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0

        2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fficiently produce forage crop seed of spring oat (Avena sativa L., cultivar High Speed) in Gyeongbuk area. Forage crop oats (130 kg/ha) were sown with a randomized block design. They were sown in triplicates in 2015 and 2016 using basal fertilizer of 70 kg N, 74 kg P, and 39 kg K/ha. Agronomic traits and seed production of oat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eeding dates (February 28/29th, March 10th, and March 20th). Heading, flowering, and maturing dates of these oats sown on February 28/29th and March 10th were almost close to each other with 1-2 days of difference for all test plots. For oats sown on the last day (28/29) of Feb., plant heights (111.6-122.6 cm)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ose sown in March each year. In addition, panicle number (416.7 per m2) and panicle length (17.3 cm)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sown in March in 2015 and 2016,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commended to sow these oats on the last day of February to have better agronomic traits in terms of plant height, stem length, panicle length, and panicle number per m2. Grain numbers (56.3 and 63.3) and kernel weights (1.72 and 2.00 g) per spike in plots of oats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larger than those of oats in other plots in 2016 and in the average of 2015~2016, respectively. The highest grain yield (6,243 kg/ha) was obtained when oats were sown on the last day of February. Feed value of harvested oats was good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cluding fiber contents and TDN contents. In conclusion, sowing on the last day of February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crease seed production of spring oats in Gyeongbuk area of Korea.
        4,000원
        2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proper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the effective seed production of Winter Rye (Secale cereale L.) with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by combining both seeding rates (3, 5, and 7 kg/10a) and different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levels (0, 3, 6, and 9 kg/10a) in nor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from Oct. 7, 2013 to Jun. 15, 2014. Emergence and overwintering rates were not influenced but lodging degree was influenced by seeding rate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High lodging were observed at the seeding rates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s of more than 5 kg/10a and 6 kg/10a, respectively (p < 0.01). Lodging less than 20% were observed at the seeding rate of 3 kg/10a regardless of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furthermore, no lodging was shown though seeding rate was increased up to 7 kg/10a under the condition without nitrogen fertilizer. No. of leaves per plant,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were increased as affect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rather than the increase of seeding rate. Spike length was shortened as affected by the increase of seeding rate while it was lengthen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with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No. of stems and spikes per m2 were influenced by the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level rather than by seeding rate with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wo factors. Grain yield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influenced by the increases of seeding rate (A) and nitrogen fertilizer level (B) with interaction effect (A × B), which resulted in the highest grain yield (310 kg/10a) at the seeding rate of 5 kg/10a and the nitrogen fertilizer level of 3 kg/ 10a. In conclusion, the proper seeding rate and fertilizer application level would be 5 kg/10a and 3 kg/ 10a, respectively to effectively produce the winter rye seeds i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4,000원
        2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Dasik’s recipe of Jong-Ga in the Gyeongbuk area. Main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To study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traditional Dasik, analysis of 11 cooking books from the 1400’s to 1800’s was carried out. Jong-Ga was made using Dasik and main ingredients were Songhwa, Kka and Kong Dasik. Special Dasik was in nine of Jong-Ga (Ipjae’s head family of Pungyang Jo’s clan, Sojea head family Gwangju No’s clan, Sawoodang head family Uiseong Kim’s clan, Heobaekdang’s head family of Bukye Hong’s clan, Taechon’s head family of Gyeseong Go’s clan, Gwiam’s head family of Gwangju Lee’s clan, Songdang’s head family of Milyang Park’s clan, Haeweol's head family of Pyeonghae Hwang's clan, Galyam's head family of Jaeryoung Lee’s clan) and Dasik are Gamphi dasik, Heukimja dasik, Baksulgi dasik, Tibap dasik, Daechu dasik, Yukpo dasik, Misutgaru dasik, Dotori dasik and Omija Dasik. It was used as a ritual food and reception food for guests. These recipes are good examples of functional and modern of Korean food. In the future, Dasik as well as discovery of ingredients in other foods of Jong-Ga are needed.
        4,600원
        24.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시력검사와 조제가공, 그리고 제품의 차별화를 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안경원이 탄생하고 있는 경영환경에서 안경원의 관계효익과 경북지역 20대 대학생의 고객가치가 어떠한 관 계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안경테, 안경렌즈, C/L를 구입하였던 217명의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안경원의 관계효익과 고객가치에 관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 과: 첫째, 관계효익 중 경제적효익이 가격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관계효익의 네 요인, 즉 경제적효익, 고객화효익, 사회적효익, 심리적효익이 모두 품질가치에 미약하지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효익 중 경제적효익이 사회적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넷째, 관계효 익 중 사회적효익이 감정적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의 관계효익 중에서 경제적효익이 가격가치와 사회적가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과 관계효익의 네 요인이 고객의 품질가치에 약하지만 고르게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사 회적효익은 감정적가치에 영향을 미치므로 안경원 경영자는 고객에게 제공되는 경제적효익을 개발하는 노력 뿐만 아니라 안경원을 지속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획득하게 되는 사회적효익을 높이고 고객이 인식하는 다양 한 가치를 개발하기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5,100원
        26.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안경원의 경영 환경에서 경북지역 20대 대학생들의 안경원 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구매 후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고, 안경원의 환경과 경험적 쇼핑가 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용 형태와 구매 활동에 따라 안경원 환경과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인식이 차 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 이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안경, 콘택트렌즈, 썬글라스 등을 구매했던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안경원의 환경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연구가 설과 유형에 따른 점포환경과 경험적 쇼핑가치 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 과: 첫째, 일반 안경원의 이용 형태가 체인 안경원보다 높았으며, 많은 학생들이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각각 구입하였다. 둘째, 안경원의 환경은 경험적 쇼핑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안경원의 매력 성과 상품의 다양성이 경험적 쇼핑 가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안경원의 환경은 쾌락적 체험에 영향을 받았 다. 셋째, 체인 안경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안경원의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일반 안경원을 이용 하는 소비자들은 경험적 쇼핑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의 환경이 경험적 쇼핑 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 안경원과 체인 안경원에 따라 안경원의 환경과 경험적 쇼핑가치가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최근의 소비 경향에 따라 안 경원의 매력성과 제품의 다양성, 그리고 쾌락적 체험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600원
        2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들의 고등학교 출신 유형을 조사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의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 출신 학생으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적응 및 학과적응과 학업성취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Ver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로 처리하였다. 결과: 출신 고교에 따른 인지적 차원의 학과적응은 이과 출신 학생들이 3.82로 문과 출신 학 생보다 다소 높았으나 그 외의 학과적응과 대학생활 적응도는 문과 출신 학생과 이과출신 학 생들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설문에 응답한 학생들은 학과적응 중 정서적차원의 적응도가 다른 항목의 적응도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으며(p=0.00), 이는 이과의 교육과정과 안경광학과에서 배우는 학문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이과출신의 학생들이 다소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고등학교 출신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해 안경광학과 전공 학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의 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되리라 사료된다.
        2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a current mushroom export situation in Gyeongbuk area for establishingexports strategy, and policy of mushrooms export. Mushroom industry has made a rapid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in Korea.Gyeongbuk province exports volume of enoki and king oyster mushrooms account for about half of the country, enoki and totalexports in 2009, and 81%, increased to 14% in 2010 and 2010, the maximum exports (9,415 tons) and the maximum exports(14,840 grand)was recorded. But, enoki and total exports in 2011, and -15%, decreased to -19% in 2012, and increased to 32%in 2013, 1% in 2014. King oyster mushroom to represent the Netherlands in Europe, exports were higher exports to China isnegligible. In the case of China in 2001, 5 spots automated mushroom factory, production, but only 8,000 tons in 2011, 652mushroom factory, production of 1,100,000 tons and in 2012, 788 mushroom factory, production of 1,520,000 tons quicklygrew.
        3,000원
        29.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of the cause of button mushroom production decrease of Gyoengbukprovince. In 1978, Agaricus bisporus was produced 48,000 ton and exported more than $50 millions. But since 2000, Domestic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was decreased by 70%, and button mushroom farm was also decreased by 37%. Cultivationarea was increased by 6%, but Gyeongbuk Province was decreased by 30%. Especially, Production per 3.3ߊ was dramaticallydecreased more than half. There were several causes such as rising labor and material cost, climate changes, and aging ofmushroom cultivation farmers. And there was no effort to develop of domestic button mushroom cultivation equipments. One ofthe main reasons for this reduction was supplied to low quality of button mushroom compost to the farm.
        4,000원
        3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13년부터 2014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여름 파종 수수류 교잡종의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품종을 처리로 한 6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파종기는 2013년과 2014년 7월 31일에 조파하였고 수확은 2013년 11월 3일과 2014년 11월 5일에 하였다. 출수기는 2년 평균이 sordan79 10월 5일 sprint 10월 8일 SX17 10월 9일 순으로 조사되었고, 2013년 수수류 교잡종의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가 각각 24.2, 23.9 및 23.4톤/ha으로 SS405, PACF8350 및 Sugar grazer 21.5, 20.6 및 20.5톤/ha 보다 높았으며(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014년 DM수량은 SX17, Sordan79 및 Sprint가 20.8, 19.3 및 20.0톤/ha로 다른 3품종 보다 높았으며(p<0.05), DDM수량 역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DF와 NDF의 함량은 비교적 낮았으며 반면에 DDM 함량은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여름 파종 시 전통형(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SX17, Sordan79와 수단그라스-수단그라스 교잡종 Sprint가 늦은 개화형(비출수형)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 PACF8350이나 수수-수수교잡종 SS405와 Sugar grazer 보다 수량측면에서 남부지방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3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허목許穆(1595(선조 28)∼1682(숙종 8)은 본관이 양천陽川, 자는 문보文甫·화보和甫등이고, 호는 미수眉叟〮.태령노인台嶺老人이 다. 허목은 당시 보기 드문 개성적인 자가풍의 전서를 활용해 많은 작품을 남김으로써 후인들이 그의 이런 전서를 두고 ‘미 전眉篆’이라고 칭하였으며, 전서로는 ‘동방제일’이라는 평가를 얻었다. 그의 학문은 고학古學이고, 문장은 고문古文이며, 서예 는 고서古書라고 할 수 있다. 허목은 삼대치도三代治道의 이상향을 미전眉篆으로 표현하였 고, 삼대三代를 동경하며 그 때와 같은 태평성대가 실현되기를 기대하였다. 특히 자신이 만든 미전眉篆을 고집한 이유도 여기 에 있었다. 그러나 당색에 따라 그의 전서를 위전僞篆으로 폄 하하기도 하고, 가치를 높이 평가하기도 하였다. 특히 경북지역 에 산재되어 있는 허목의 전서현판은 빼어난 조형성과 역사성 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예사적으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고 지금까지 상세히 연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경상북도에 산재되어 있는 허목의 미전 으로 걸린 현판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서예사 자료보강에 일조하 고 ‘미전眉篆’의 예술적 가치를 되짚어 보는데 의미를 두었다. 허목의 경북지역 전서를 다루기에 앞서 우선 허목의 생애와 학 통을 검토하였다. 왜냐하면 삶과 학통은 한 사람의 학문성향과 예술환경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강 정구와 퇴계에 이르는 학통에 따라 경북지역 성리학자들과 교류가 있었고, 그 들의 서원이나 별당 혹은 사랑채에 허목의 미전이 걸리게 되었 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아울러 당색에 따라 호불호가 나뉘었던 17세기 시대환경에 따라 동색同色의 선비들의 거소居所에 다수 의 미전이 걸렸다는 것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경북지 역 명가들의 서원, 사랑채, 별당에 걸린 허목의 전서현판의 내 용과 예술적 격조를 살펴봄으로써 그 동안 가려졌던 그의 예술 적 위상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봉화의 충재 권벌의 별당에 걸린 <청암수석>현판은 미수의 절필작絶筆作으로 밝혀졌고, 미전의 최종예술성을 지닌 작품으 로 천진한 품격을 보여주어 주목되었다. 영천의 완귀 안증의 정자인 완귀정에 걸린 <완귀정>현판은 주변의 정경과 어울리 게 문자의 편방을 재구성하였고, 각 문자에 맞으면서 전체 장 법을 고려한 예술성을 지니고 있다. 안동 하회마을 서애 류성 룡의 종택에 걸린 <충효당>현판은 이 건물의 당호이며, 서애 의 유시遺詩[후세에 전하다]에서 강조한 충忠자와 효孝자를 넣 어서 만든 현판이다. 충과 효를 강조한 내용을 살리면서도 경 직되지 않고 변화를 모색한 필획미를 느낄 수 있다, 성주의 회 연서원은 미수의 스승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건물이다. 스승을 대하듯이 운필에서 멋과 변화를 줄여 절제되고 정제된 분위기 를 드러낸다. <옥설헌>현판의 옥[귀하게 여김]玉자에 좌우로 길게 드리워진 대칭획이 일품이며, 장법에 있어서도 안정과 대 칭을 중시한 점이 살펴진다. 이와 같이 미전眉篆이 유독 많이 남아있는 경북지역 허목의 전서현판을 통해 한국서예사의 자료발굴에 일조하고, 미전眉篆 의 예술성에 대해서도 접근해 보았다. 아울러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을 통해 한국서예의 새로운 면모를 개척한 허목에 대한 재 평가와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8,400원
        33.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 노지고추의 주요 재배지인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총채벌레에 의한 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노지고추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는 주로 과실을 직접 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또한 최근 고추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Tomato spotted wilt virus(TSWV)는 꽃노랑총채벌레가 매개하여 재배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다. 이에 경북 북부지역 노지고추에서 총채벌레의 발생양상 및 피해정도를 조사하여 적합한 방제시기 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총채벌레류 발생양상은 영양지역에서 2007~2014년에 걸쳐 고추 정식기인 5월부터 9월까지 7일 간격으로 황색평판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총채벌레 피해정도는 영양과 의성지역에서 2010~2012년에 7월 하순~9월 초순까지 순별로 조사하였다. 총채벌레의 종류는 영양지역에서 2014년 7월 하순에 해발별(250m, 350m, 450m)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채벌레는 연중 3차례의 발생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총채벌레의 발생은 6월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6월 하순~7월 상순에 1차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이후 감소하다가 7월 중순에 다시 증가하여 7월 하순에 2차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8월 하순에 3차 발생최성기를 나타내었다. 총채벌레 발생밀도는 2차 발생최성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기별 피해정도는 영양과 의성지역 모두 8월 하순에 가장 많았으며, 각각 5.5%, 10.3%의 피해과율을 나타내었다. 노지고추에 발생하는 총채벌레는 조사지역 모두에서 대만총채벌레가 우점종이였으며, 발생비율은 93.1~100%로 나타났다. 향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방제 실증시험을 통해 경북지역 노지고추에서의 구체적인 방제처리 적기를 제시하고자 한다.
        3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lationship between lipid intake and obesity has been well-addressed but recent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ype of lipid or composition of lipid in the diet also contributes to body fat accumulation and consequential health out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nutrition intake including fatty acids, lipids and lipid soluble nutrients between the obese and lean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certain fatty acids and body fat accumulation. Anthropometric elements including body weight, height, body fat and composition were measured, and dietary recall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4 college students. Data showed that total calorie intake and total lipid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bese and lean subject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male obese subjects ate more amount of plant lipids and palmitic acids (C16:0) from their diet (p<0.05), while female obese subjects consumed more linoleic acids (18:2) and linolenic acids (C18:3) compared to normal subjects (p<0.01).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sumption of palmitoleic acid (C16:1) and lipid soluble vitamin D were negatively (p<0.05) correlated with body fat accumulation in all subjects and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by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for those variable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rather than only considering the amount of lipids, suggesting a proper type of lipids or lipid metabolites can be considered in nutrition counseling or education.
        4,000원
        35.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버섯산업은 지난 2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세계 버섯시장은 양송이버섯이 주도하고 있으나 최근 다양한 버섯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동양의 특수버섯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의 수출은 최근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버섯수출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임산버섯(송이, 표고, 목이 등)은 점차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있는 반면, 농산버섯(팽이, 새송이, 만가닥, 느타리 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농산버섯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공장형 재배방식 도입으로 연중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자동화 설비와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버섯 품질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4년 상반기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팽이버섯은 약 68%, 새송이버섯은 약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17,163톤)과 최대수출액(26,291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하다가 2013년 16% 증가하였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 2013년 13%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팽이버섯 수출량 중 비중이 높았던 중국으로의 수출은 중국의 대규모 공장형 생산방식의 도입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 및 유럽국가등으로 수출방향을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KREI-KASMO 모형 추정결과 한국의 버섯수출은 2013년 15.7천톤에서 2014년 15.8천톤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2023년 16.3천톤까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3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 매개 역할과 함께 참외에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다. 담배가루이는 기주 작물과 농약 감수성 정도에 따라 다양한 생태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안동시 풍천면에 소재한 참외밭에서 성충을 채집하여 PCR 분자진단기법으로 동정하 였다. 전체 11 곳의 채집 장소에서 Q 생태형 담배가루이를 진단하였고, 이 가운데 4 곳의 채집 장소에서 B 생태형도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북지역 참외 재배지에서 담배가루이가 발생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며, 특히 두 생태형이 동일한 재배지에 혼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4,000원
        37.
        2014.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의 버섯산업은 지난 20년간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버섯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하는데 있다. 세계 버섯시장은 양송이버섯이 주도하고 있으나 최근 다양한 버섯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동양의 특수버섯으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의 수출은 최근 매년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의 버섯수출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임산버섯(송이, 표고, 목이 등)은 점차 감소하거나 정체되어 있는 반면, 농산버섯(팽이, 새송이, 만가닥, 느타리 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농산버섯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공장형 재배방식 도입으로 연중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자동화 설비와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버섯 품질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2013년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팽이버섯은 약 67%, 새송이버섯은 약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수출액이 2009년 81%, 2010년 14%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17,163톤)과 최대수출액(26,291천$)을 기록했다. 이후 2011년 -15%, 2012년 -19%로 다소 감소하다가 2013년 16% 증가하였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0년 52%, 2011년 18%, 2012년 6.5%, 2013년 13%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팽이버섯 수출량 중 비중이 높았던 중국으로의 수출은 중국의 대규모 공장형 생산방식의 도입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지역 및 유럽국가등으로 수출방향을 다각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후작 수단그라스간 교잡종 및 귀리의 파종기가 생육특성, 품질 및 수량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로 수단그라스는 파종기를 처리로 한 5처리 3반복 귀리는 파종기를 처리로한 3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수단그라스의 파종기는 2012년과 2013년에 7월 31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귀리는 2013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조파하였다. 수확은 2012년 10월 26일과 2013년 11월 2일에 하였다. 수단그라스의 출수는 3차 파종기까지만 되었고 귀리는 2차 파종기의 것만 출수 되었다. 초장과 건물함량은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수단그라스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파종기의 것이 다른 4파종기의 것보다 높았으며(P<0.05) 파종기 간에는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P<0.05). 귀리의 DM 및 DDM 수량은 1차 및 2차 파종기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3차 파종기의 것이 낮았다(P<0.05). 수단그라스와 귀리의 CP 함량은 파종기 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된 반면 ADF와 NDF의 함량은 감소되어 DDM 함량은 증가되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재배 수단그라스의 파종시기는 8월 20일 이전 귀리의 파종시기는 8월 30일 이전까지 파종해야 수량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40.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S. Korea is becoming an “aged society”, workers in the country would be exposed to higher risk of workplace injuries due to their reducing work abilities as they are getting ol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bility and the incident rate of workplace injuries, the work ability index (WAI) scores were surveyed from 409 workers occupied in different manufacturing industries reside on north GyoengBuk area. The workplace injury statistics in the year of 2010 for the corresponding industri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with the WAI scores by age groups, years of service, and sizes of business. The results showed the WAI scores of the workers occupied in the higher risk of workplace injury was lower than that of the workers of the lower risk. It means the lower the WAI score, the higher the chance of being injured during the task. It is concluded that appropriat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WAI scores of workers and the incident rate of workplace injury. It is recommended to administrate individual work abilities of aged workers in order to keep low rate of workplace injuries in upcoming aged and highly aged socie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