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6

        23.
        2004.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24.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채집한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약제감수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반수치 사농도는 1령층에서 0.5-5.6ppm,2령층에서 9.9-27.9ppm, 3령층에서 9.6-125.1ppm 및 4령층에서 24.3-546.6ppm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또한 약제별 추천농도에 대한 유충의 90%치사농도의 비로 나타낸 약제내성비(내성비= 약제별 추천농도)도 1령충에서 0.04-0.8, 2령충에서 0.2-7.5, 3령충에서 0.7-115.3및 4령충 에서 1.2-483.4으로 약종에 따른 차이와 함께 유충의 영기가 증가할수록 높았다. 한편,동일 약제에서 유충의 영기간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는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에서 매우 낮았으며, lufenuron, chlorfluazuron및 teflubenzuron에서 매우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의 방제는 영기가 어릴수록 또한 약제감수성이 낮은 약제, 즉 반수치사농도 및 내성비의 차이가 적은 약제인 chlorfenapyr, chlorpyrifos 및 EPN을 사용할수록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4,000원
        27.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to the historic changes of Yungnam-Ru(嶺南樓), which are based on the site layout, and architectural forms in architectural building history and historic periods analyzed with the historic reference, paintings, and photos. This study is to search the alteration of the types of axis and the formation of spaces in Yungnam-Ru which is the Ru-Gak(樓閣) The conclusion of the architectural changes from the historic period and architectural form which is the belows. The first Yungnam-Ru by name had been used to be called, before it was re-called Yungnam-Ru by Kim Ju in 1365. Therefore, the hypothesis in naming Yungnam-Ru form assumption that the building under the name of Yungnam-Ru was re-named by Kim Ju from the Old Budist Temple called Yungnam-Sa, should re-considered in history. The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Milyang-Sibyi-Kyungdo(密陽十二景圖) as the painting can only be seen the site layout in 1542. It could b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the site layouts from in 1542 to the present time. At that time Nyungpadang(凌派堂) was connected the main buildings called Yungnam-Ru Chimrudang(沈流堂),building was seperated with the Yungnam-Ru at that period. In 1542, the main Building(Yungnam-Ru) was consist of 5 spans of columns(from the front) and 2 spans of columns(from the side). Now, the main Building(Yungnam-Ru) has the 5 spans of columns from the front, and two spans of columns short from the side, compared to the present facade. At the past, Chimrudang(building) has the two spans of columns and one span of columns short, compared to the present facade. The third, It supposed that main building, Nyungpadang and Chimrudang in the composite of facade was connected with Wolrang(月廊) and Hunrang(軒廊) after invatioin from japan in 1592. 1844, (Chosun dynasty, Hunjong 10) the Yungnam-Ru was re-builted by maintaining the same concept in site layout of the past, and finally the three buildings was put together with Wolrang and Hunrang. As a result, the plan of the Yungnam-Ru was expanded with many aspects. From 1542 to 1844, the present site-layout gradually completed with three buildings which was spatially connected. The forth, in the middle age of Chosun dynasty, after added Gaeksa(客舍), the building is for the government officer staying temporally from outside province) in the site, the site layout was greatly changed with volume of building. In 1844, the Yungnam-Ru as the Nugak belongs to Miljukwan(密州館) was expanded spacially and formally. After that time, the burned buildings could not have been re-built because of aspects in government ability and economical ability.
        5,400원
        28.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 4월부터 1997년 10월까지 밀양강에 대한 어류상의 조사를 한 결과 모두 13과 30속 42종의 어종이 채집되었다. 과별 어종의 수로는 잉어과 24종(57.1%), 기름종개과 6종(14.3%)으로 가장 많았다. 한국고유종 및 아종은 18종으로 전체 어종수의 42.9%를 차지하였다. 상대풍부도의 면에서 보아 밀양강 전체에서는 Zacco temmincki (23.69%)가 우점종이었고, Zacco platypus (12.12%)가 아우점종이었으며, Moroco oxycephalus (8.35%), Niwaella multifasciata (7.97%), Pungtungia herzi (7.04%), Squalidus gracilis majimae (5.61%), Acheilognathus koreensis (4.77%)는 보통종이었다. Lam-petra reissneri, Cyprinus carpio, Rhodeus ocellatus,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Microphysogobio koreensis, Microphysogobio rapidus, Misgurnus mizolepis, Cobitis rotundicaudata, Plecoglossus altivelis, Macropodus chinensis, Channa argus의 11종은 상대풍부도가 0.1% 미만인 희소종이었다. 군집구조분석의 결과 St. 24 의 지점이 가장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지류별로는 청도천이 동창천과 단장천보다 훨씬 다양한 군집구조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밀양강의 각 조사지점 사이의 유사도지수를 이용한 집괴분석의 결과 크게 상류형, 중류형 및 하류형 군집의 3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4,200원
        29.
        199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끝동매미충 개체군의 월동상채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현황은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 4령약충이 약 77~7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약 15~17%의 3령약충과 약 3%의 5령약충이었다.이러한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 비율은 월동중 채집시기와 함께 2령약충과 3령약충의비율이 상재덕으로 감소하고 5령약충의 비율이 서서히 증가하여 이듬해 2월 20일에는 5령약충의 비율이 13~16% 였으며, 월동후기인 3월에는 5령약충과 성충의 비율이 점점 증가하였 3월 19일에는 5령약충이 약 70-71%였고, 4월 8일에는 성충의 비율이 약 47~50%를 차지하였다. 끝동매미충의 두 월동기간 시기별 영기수성 현황을 수치로 환산한 평균령기는 월동초기인 12월 5일에는 각각 약 3.91령기와 3.86령기였으며, 이듬해 2월 20일에는 각각 4.11령기와 4.07령기, 3월 19일 에는 각각 약 4.75령기와 4.79령기였고, 4월 8일에는 각각 약 5.42령기와 5.45령기였다. 한편 끝동매미충의 시기별 영기구성 및 평균령기는 두 월동기간간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끝동매미충이 월동에 들어가는 초기(11월 12월상순)의 기온과 월동후기(3월)의 기온에 따라 끝동매미충의 영기구성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끝동매미충의 채집기간 평균령기를 비교한 발육지수의 값이 대체로 1.0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월동중에도 끝동매미충은 발육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끝동매미충의 월동장소별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 서 현저히 높았다.
        4,000원
        30.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밀양에서 월동하는 애멸구 개체군의 월동생태에 관한 정확한 자료를 얻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은 12월상순에 4령충(약 60%)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3령충(약 30%), 5령충(약 6%), 2령충(약 3.4%), 성충 및 1령충 순서였다. 이러한 월동 애멸구의 영구성 비율과 순서는 채집시기에 따라 변화였으며, 그 결과 3월상순에는 5령충(47-50%)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4령충(44-46%)이었으며, 4월상순에는 성충이 약 75-81%를 차지하였다. 월동 애멸구의 발육상황을 수치로 나타낸 평균령기는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채집년도간 평균령기의 차이는 연도간 월동기간중의 온도차이에 따른 월동 애멸구 영구성 비율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애멸구의 체중도 월동기간동안 계속하여 증가하였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으 채집밀도는 보리밭보다 휴반에서 월등하게 높았다. 월동기간동안 애멸구 약충기생봉에 의한 기생률은 평균 약 21%였다.
        4,000원
        32.
        202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y 31, 2022 Miryang wildfire on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in Busan and Gimhae, which are neighboring urban areas. In addition, fine particle characteristics and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in Miryang, where haze occurred. The Miryang city wildfire that occurred on May 31, 2022, at 0925 LST, was driven by strong north winds and increased fine particle concentrations in Dongsangdong and Jangyoodong, Gimhae City, which are approximately 35 km to the southeast and south, respectively, of the wildfire occurrence site. Furthermore, the fine particle concentration in Myeongjidong, which is approximately 50 km south-southeast of the wildfire site, exhibited a temporary increase at 1400 LST owing to the effects of wildfire smoke. On the morning of June 1, the day after the fire, the Miryang area had very bad visibility because of the smoke from the fire. Therefore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Naeildong, 3 km south of the wildfire site, were 276 μg/㎥ and 222 μg/㎥, respectively, at 1200 LST. In addition, the gases O3, CO, and SO2 showed high concentrations at the time of haze generation.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policy making in response to the rapid increase in fine dust when wildfire occurs near cities.
        33.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松溪先生으로 알려진 申季誠(1499-1562)은 흔히 南冥 曺植의 ‘畏友’ 로 언급되고는 한다. 송계는 平山을 본관으로 하는 고려 건국의 충신인 壯節公 申崇謙의 후예로 연산군 5년 밀양 후사포리에서 출생해 명종 17년에 향년 64세의 일기로 삶을 마친 인물이다. 하지만 송계 신계성의 행적은 문학이나 사학, 혹은 철학계에서 그리 주목을 받지 못한 분이다. 다만 사학계에서는 조선전기 영남 지역의 사림 학맥을 고찰하면서, 혹은 남명 조식의 학술적 면모를 언급하는 과정에 잠시 언급되고는 할 뿐이다. 하지만 송계가 영남 지역 사림의 한 부분을 대표하며 남명과 함께 언급된다는 점에서 학계가 간과할 수 없는 인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밀양이라는 지역은 이미 삼한시대에 김제의 벽골제, 제천의 의림지와 함께 수산제와 같은 수리 시설을 갖춘 농경 지역이었다. 또한 낙동강을 이용한 漕運倉의 운영은 물론 嶺南大路의 거점에 놓인 嶺南樓라는 조선3대 누각에 꼽히는 문화적 존재가 증명하듯 주변 지역과의 관계망을 갖춘 경제의 중심으로서 근대 전환의 시점 까지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지역적 기반을 바탕으로 春亭 卞季良(1369-1430)과 佔畢齋 金宗直(1431-1492)의 뒤를 이어 사림의 중망을 얻은 송계와 같은 인물의 등장이 일견 자연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송계 신계성의 면모와 학적 형상은 춘정과 점필재에 비해 그리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남명을 비롯해 명종 때 領相을 지낸 東皐 李浚慶, 錦溪 黃俊良 등의 언급을 볼 때 영남 사림의 한 부분인 송계의 존재를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송계가 남명, 黃江 李希顔과 세상에서 嶺中三高로 일컬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송계 가문의 밀양 정착 과정으로부터 후대인들의 송계 추숭 과정을 살펴 그의 영남지역에서의 위상을 엿보고자 한다.
        34.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optimum seeding dates for selecting a double-cropping system and to assess the effect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on the yield of Proso millet. Seeds of the varieties Hwanggeumgijang and Ibaegchal were sown in Miryang on five different dates: 1st (May 25), 2nd (June 15), 3rd (June 25), 4th (July 5), and 5th (July 15), with and without polyvinyl mulching. The varietie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Hwanggeumgijang is an early-maturing type and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whereas Ibaegchal is a medium-maturing type and more sensitive to the duration for which it is exposed to sunlight. Late-sown Hwanggeumgijang had a short heading date from seeding and required a low accumulated temperature. It also had a shorter period of heading, a shorter culm length and a shorter diameter of stem. In contrast, it had had a higher number of ears per m2 although similar ear length and similar 1000-grain weight. The yield potential of Hwanggeumgijang was found to decrease at a late seeding date. In particular, i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seeding date of July 15. In the case of cultivation with polyvinyl mulching, the period of heading was shorter by 2–4 days and the yield potential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32%. The length and diameter of culm in Ibaegchal were slowly decreased, but the length of ear, the 1000-grain weight and the yield potential were similar for all seeding dates (except July 15) and cultivation with and without mulching. When sown late, th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ulm of Ibaegchal very rapidly decreased by the July 15 seeding date. The protein content of Ibaegchal was higher but the amlyose content of Ibaechal was lower compared to Hwanggeumgijang. At late seeding dates, the protein contents of the two varieties increased but the amylose contents were similar.
        35.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ice recombinant inbred lines derived from Milyang23 and Gihobyeo cross were used in genetic mapping and QTL analysis stud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101 CAPS markers based on the SNPs in the whole genome region between these varieties. As a result, the total genetic distance and average distances were 1,696.97 cM and 3.64 cM,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e distance of the previous genetic map constructed based on 365 DNA markers, the new genetic map was found to have a decreased distance. The map was applied for the detection of QTLs on all seven traits relevant to diameter of stem internode, length of culms, length of panicles and the number of panicles including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trait. The QTLs results were similar to the report in previous studies, where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rkers was narrowed and accurac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101 CAPS markers. A total of 9 new QTLs were detected for stem internode traits. Among them, qI1D-6 had higher LOD of 5.1 and phenotype variation of 50.92%. In this experiment, a molecular map was constructed with CAPS markers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showing high accuracy for markers and QTLs. In the future, developing more accurate QTL information on stem internode diameters with various agriculturally important traits will be possible for further rice breeding.
        36.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adside agricultural product shops located in Miryang city, and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on how people rat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s of various aspects through surveys on sellers and consumers. With this information, the main problems and possible solutions are analyzed with the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IPA) method. First, building parking spaces for customers should be prioritized to improve safety. Because many roadside shops for agricultural products are located alongside two-lane roads, sufficient parking spaces are needed for the consumers' safety. Second, to enhance the rural landscape, consumers express that improving store quality and integrating more with the environment are important. Store owners should take more care in maintaining store quality so that customers do not experience inconvenience while shopping. Futhermore, institutional guidelines and standards must be implemented to allow for a mor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se shops and the environment. Third, both sellers and consumers think that taste, price, and freshness are important aspects of roadside agricultural product shops. However, while sellers and consumers both agree that the pric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se two groups regarding the satisfactory price level. The sellers do not agree that their products are being sold at the fair price. This can be interpreted as sellers believe that the prices are set too low. Because pricing is important aspect and also a very delicate issue, mid to long term consideration and study will be needed to improve roadside shops for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37.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양시 단장면에서 대규모의 아연-연 광화대가 최근 새롭게 발견되었는데 정각산층 내에 협재되어 있는 석회암층을 모암으로 하는 스카른광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한 광화대의 분포를 파악하고, 광석시료의 암석학적 특징 및 스카른광물과 광석광물의 조성 연구를 통해 이 지역에 발달된 광화대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단장면 일대에 발달하는 광화대는 국전리 광화대, 고례리 광화대 및 구천리 광화대로 크게 3개의 지역에서 산출이 확인되며, 광화대는 주로 약 200-300 m 고도에서는 섬아연석이 주 광석광물을 구성하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방연석의 함량이 많아진다. 광석은 주로 단사휘석대에 산출되며 암녹색 내지 암회색을 띠며 헤덴버자이트, 그로슐라, 양기석 및 녹염석 등의 스카른광물과 함께 수반되고, 액시나이트, 방해석 및 석영 등이 부성분광물로 산출된다. 광석광물로는 섬아연석과 방연석이 산출되는데 섬아연석은 내부에 황동석 및 방연석을 수반하거나 인접하게 산출하며, 단사휘석 및 녹염석과 함께 산출될 때 부광대를 형성한다. 섬아연석의 FeS의 함량은 1.53-23.07 mole%로 넓은 범위를 보이며, 관계화성암으로 추정되는 흑운모화강암에서 멀어질수록 그 함량이 현저히 낮아진다. CdS의 값은 0.22-0.93 mole% 범위를 보이며, 국전리 지역에서 구천리 지역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같이 밀양 단장면 일대에 발달하는 아연-연 광화대는 국전리 지역에서부터 구천리지역에 이르기까지 광화유체가 지속적으로 진화하면서 섬아연석의 조성도 순차적으로 변하고 온도가 감소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38.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양납석광상의 지표시료와 시추시료의 광물조성과 화학조성 분석결과를 통하여 열수변질양상과 형성 환경을 연구하였다. 밀양납석광상의 열수변질대는 광물조합을 근거로 주로 엽납석-딕카이트(석영) 광물조합을 가지며 납석광체에 해당하는 강이질변질대와 견운모-석영-딕카이트를 주로 수반하는 필릭변질대 및 녹니석-석영이 주된 광물조합으로 수반되는 프로필라이트변질대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지표 및 시추시료의 수평적⋅수직적 변질양상 및 지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연구지역 내 납석광체는 수차례의 열수변질작용을 통하여 형성되었으며, 현재 채광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표광체로부터 남쪽-남동쪽 심부에 이르기까지 대규모로 연장되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납석광체의 광물조합 및 엽납석의 다구조형(2M) 등을 통하여 밀양납석광상의 형성온도는 약 300-350℃ 내외일 것으로 추측된다.
        39.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밀양23호의 배경에 O. glaberrima의 특정 염색체단편을 가지는 55 이입계통의 내건성 관련 형질을 조 사하여 변이를 검정하고 내건성이 향상된 4 계통을 선발하였 다. 특히 IL55는 유묘기, 영양생장기 그리고 생식생장기에서 반복친인 밀양23호에 비해 조사된 내건성 형질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였으며 내건성 관련 유전자의 분석 및 교배모본으 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입계통들은 밀양23호의 유전적 배경에 각 계통마다 서로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계통으로, 이 집단은 O. glaberrima에서 유래된 내재해성 및 작물학적으로 유용한 유전자의 탐색에 효율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4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밀양23호/기호벼 재조합자식 유전집단을 대상으로 PCR 기반 DNA 마커들로 구성된 분자유전자지도를 만들고자, 주로 아가로스 젤 상에서 분석이 가능한 마커들을 위주로 STS, InDel, RTM, SSR 마커들을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InDel 마커 37개, STS 마커 88개, RTM 마커 8개, SSR 마커 91개를 포함한 224개의 마커로 구성된 유전지도를 만들었는데, 총 유전거리는 1,425 cM이었으며, 마커간 평균거리는 6.7 cM이었다. 이들 DNA 마커들의 프라이머 시퀀스 정보를 바탕으로 e-PCR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마커들의 벼 유전체상에서의 물리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물리지도를 작성하였다. 이 물리지도에서 마커간의 물리적 거리의 합은 356.8 Mbp이었으며, 총 유전거리에서 이를 나누어 구한 1 cM당 평균 물리적 거리는 250 kbp이었다. 5% 유의수준에서 분리비 편의(segregation distortion) 현상을 보인 마커는 전체 마커의 22.8%인 51개이었으며, 주로 3번 염색체의 중간부위, 6번 염색체의 거의 모든 영역, 7번 염색체의 상단부위, 8번 염색체의 하단부위, 12번 염색체의 상단부위에 분포하였다. 이 분자유전자지도는 자포니카형 품종과 통일형 품종 또는 인디카 품종간의 교배후대 집단에서 유용형질의 유전자 위치를 분석하고자 할 때 이용 가능한 마커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