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1

        21.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operated to establish induction using ultrasonography by estimating the relation of follicle size and estrus manifestation. Clinical estrus symptoms were observed 97.4% in cows and 87.5% in heifers when overall 55 cows were induced to estrus in a single dose of after verifying CL through ultrasonography, which means estrus hours among those 52 cows showing the clinical estrus symptoms were estimated 2.39 days on cows and for 2.37 days on heifers which showed no differences (p>0.05). The estrus manifestation hours according to the follicle size in cows didn't have any significance each other (p>0.05), though estrus hours was 54 hours (the shortest) with follicle size bigger than 10 mm and were made up within 69 hours. The estrus manifestation hours according to the follicle size in heifers didn't have any significance each other (p>0.05) and took around 42 hours (the shortest) with follicle size of 5mm (the smallest) and were made up within 66 hours. Follicles after injection were ovulated and assigned to many phases as follows; Group 1 (growing phase) - continuously growing into ovulation, Group 2 (growing and static phase) - delaying in growth after the growth of follicles, Group 3 (static and growing phase) - growing after growth delay, Group 4 (regressing and new growing phase) - the follicle is closed and a new follicle grows. In addition, the process of follicle development and estrus hours had no significance each other (p>0.05), though estrus manifestation hours in Group 1 and 2 was relatively short, and in Group 3 and 4 for a relatively long time. In the result of all above, the estrus manifestation hours after injection has no differences accoring to the follicle size in cows and heifers. Therefore, High pregnancy rate is obtained when practicing artificial insemination within 3 days in estrus or TAI in 72 to 80 hours after adminitrating .
        4,000원
        2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useful inducing method of estrus for Korean native cows. Under the condition of estrus induction by administering for the cows in which corpus luteum (CL) in ovaries was detected by ultrasonography, ovarian responses and the changes of progesterone () concentration against compared with conception rate were observed in cows and heifers. In inducing estrus administering . to the cows which has corpus luteum in ovaries, ovarian reponses, the change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conception rate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The results attained from the studies were as follows. Significant decreases of CL in size over time after administration were detected in both cow and heifer groups (p<0.001), but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the CL regression rate (p>0.05). In addition, the percentage changes relative to the plasma concentration on day 1 after treatment were decreased to below 1ng/ml. The growth rate of follicle was observed as 31% on day 1 and 42% on day 2 in cows, and 34% on day 1 and 97% on day 2 in heifers, resulting that growth of heifers are faster than that of cows (p<0.05). The conception rate after treatment were 60.5% and 64.2% in cows and heifers, respectively. It also indicated that the conception rate after estrus observation with injection was as high as 66.6% while that with timed-artificial insemination (TAI) regardless of the estrus observation was 56%, which means the pregnancy rat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fter estrus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AI (p<0.05). In the result of all above,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CL size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by days but rapid growth in follicles, which has no differences in cows and heifers. The conception rate was commonly high after estrus observation and more than 50% under TAI.
        4,000원
        23.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광판식 번식 기록관리 시스템은 판넬식 전광판 형태로 되어 있고, 우사의 벽에 설치하 도록 제작되어 있어, 재발정일, 이전(以前) 수정일, 분만예정일, 건유일 등과 같은 관리일 (日)을 알고 싶을 때나 그밖의 개체에 관한 번식정보를 알고자 할 때는 수시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분만, 인공수정 등과 같은 관리사항을 기록해야 할 일이 생겼을 때는, 기입할 칸에 <날짜입력>이라는 키를 누름으로써 오늘 날짜가 자동적으로 기록됨과 동시에 저장이 되도록 고안되어 있어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되어 있는 기록관리의 편의성 을 제공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이다. 전광판식 번식 기록관리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하여 도태율, 번식장애로 인한 도태율, 공태기간 및 공태기간 분포를 조사한 결과, 도태율은 5.7%, 번식장애로 인한 도태율은 10.3% 낮아졌고, 공태기간은 32.2일 단축되었으며, 공태 기간 121일 이상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젖소 농장에서 1일 3회 이상 관찰을 하는 것은 정보 및 경영 활동 등으로 인한 목장에 부재하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실적 으로 어려움이 따르고, 또한 온도상승, 사육환경(사육밀도, 우사바닥)의 변화, 고능력우의 증 가, 심야시간대의 발정개시, 미약발정우의 증가 등으로 발정발견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발정발견 보조 수단으로는 발정발견의 가장 중요한 지표가 되는 승가허용 원리를 이용하여 소의 미근부에 부착하는 형태의 일회용 또는 전자식 보조기가 많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 는데, 여기서 공시한 발정탐색기는 승가 및 승가허용 행동을 할 때, 발목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가 수직적인 충격에 의해 위와 아래의 전극이 접지되어 신호가 발생되고, 그 신호가 전 광판으로 전송되어 발정 정보(발정행동 횟수 및 개시시간)를 표시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승 가나 승가허용의 발정행동에 의해 90% 정확도와 75%의 수태율을 나타내었고, 젖소 사육 농가 5개소에 적용한 결과, 적용 전에 비하여 적용 후에 발정발견율이 크게 향상되는 경향 을 나타내었다. 무인 발정탐색기를 이용하여 발정이 개시되는 시간대를 조사한 결과, 발정 발견이 곤란한 저녁 7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 사이에 59.1%가 발정이 개시되는 현상을 나 타내었고, 발정행동을 한 최초의 시간으로부터 12시간 이후에 인공수정을 실시하는 것이 높은 수태율을 나타내었으며, 발정행동 횟수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3회 이하의 비율이 40.9 %를 나타내었다.
        24.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에서 BCS는 영양관리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BCS 조건에 따라 번식 성적에 영향을 주며 난소활동 재개 지연 등의 현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 라에서 수정란 이식기술은 우수종축의 우수한 유전능력을 단기간에 확대 보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수정란 이식 기술은 단기간에 다수의 수정란을 확보 할 수 있고, 우수한 종축의 능력을 증식 · 보존할 수 있는 기술로 전 세계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기술이 다. 본 실험은 한우의 BCS별 체내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의 비율을 비교하였고, BCS별 채란일로부터 발정재귀까지의 기간을 비교 조사하였다. 본 실험은 국립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보유중인 한우 55마리를 공시하고, BCS 2.5 이하인 개체 8두, BCS 3.0인 개체 36두, BCS 3.5이상인 개체 11두, 세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 내에 삽입하고, 4일 후부터 FSH(안토린) 28 AU를 12시간 간격으로 주사하고, FSH(안토린) 주사 3일째 CIDR을 제거함과 동시에 PGF2α (Lutalyse) 3 ml을 주사해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PGF2α(Lutalyse) 주사한 뒤 발 정 확인 후 12시간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다. 1차 인공수정 전 GnRH 1.0 ml을 주사하고,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8일째에 3-Way Catheter를 이용해 실시하였다. 발정재귀 확인은 채란 후 발정확인일까지의 날짜 수로 계산하였다. BCS 2.5 이하, 3.0, 3.5 이상 그룹에서 회수된 총 수정란 개수는 각각 44개, 363개, 87개 였으며, 평균 회수란의 개수는 각각 6.29±1.91개, 12.96±1.50개, 7.91±1.68개였다. 평균 이 식가능한 수정란의 개수는 각각 5.43±1.67개, 8.50±1.41개, 4.82±1.79개로 BCS 3.0인 집단 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 수정란 회수율을 보였다. 발정재귀일 까지 걸리는 기간은 각각 평균 28.40±1.94일, 22.38±4.02일, 19.22±6.76일로 나타나 유의 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적절한 BCS는 체내수정란 회수시 수정란 회수율과 이식가능한 수 정란의 비율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BCS와 채란 후 발정재귀일의 관 계는 집단 내 개체간의 차이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25.
        2012.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암소를 사육하는 농가 현장에서 번식효율은 농가의 수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국내 번식 간격은 15.9개월로써 일본의 번식 간격 13.6개월에 비하여 2개월 이 상이나 차이가 나고 있고, 한우가 번식 간격이 길어진 주된 요인은 우선 분만후 발정재귀일 의 지연으로 인한 무발정 기간이 길어진 영향과 인공수정시 수태율이 떨어지고 있는데서 공태기간이 길어지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꾭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발정동기화 방법중에서 한우에게 가장 높은 수태율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아울러 발정동기화 처리가 혈중 P4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를 혼합한 복합 프로그램 적용시 발정발현율에서 대조구는 PGF ₂α (25 mg; i.m.)를 1차 투여하고 11일이 경과한 후 PGF₂α(25 mg; i.m.)를 2차 투여하고 72시 간에 인공수정하였고, 처리 1구는 CIDR을 삽입하고 7일후 CIDR 제거와 동시에 PGF₂α(25 mg; i.m.)를 투여하고 72시간 경과후 인공수정하였으며, 처리 2구는 CIDR을 삽입하면서 GnRH 100 μg을 투여하고 7일후 CIDR를 제거함과 동시에 PGF₂α(25 mg; i.m.)를 투여하고 2일후 GnRH 100 μg을 재투여하고 24시간후 인공수정을 실시한 처리구로써 발정발현율은 대조구 85%, 처리 1구 88.3% 및 처리 2구는 93.3%로 나타냈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P4 수준은 0일차에 1.64~6.56 ng/ml이였고 3일이 경과한 후 7.18~9.9 ng/ml로 최고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PGF₂α 투여 시 점인 7일이 경과한 후 6.59~9.58 ng/ml 수준으로 분포하였으며, 10일이 경과한 인공수정 시점에는 0.7~1 ng/ml 수준으로 하강하여 대조구, 처리 1구, 처리 2구 공히 발정이 적절히 유도되었으나 인공수정후 발정 한주기가 지나간 재발정 시기에는 처리 1구 11.02 ng/ml, 처 리 2구 13.65 ng/ml 대비 대조구에서는 낮은 수태율로 인하여 혈중 P4 수준이 5.73 ng/ml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 병용처리시 수태율 개선 효과에서 발정동기화와 배란동기화 복합 프로그램 사용에 따른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 51.6% 대비 처리 1구 58.3%, 처리 2구 66.6%로써 15% 개선되는 경향이였고 수태율은 각각 83.3%, 88.3% 및 93.3%였다.
        2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분만 후 최적 수정시기를 탐색하기 위한 초기의 연구에서는 분만 후 경과일 수에 따라 분만 후 60일 이내, 61 90일 및 90일 이상으로 구분하여 시험이 수행되었는데 처리별 첫수정 수태율이 각각 48%, 70% 및 76%였고, 수태당 수정횟수가 2.09회, 1.55회 및 1.54회였다고 보고하였으며(George, 1955), 분만간격이 360 374일인 젖소의 첫수정 수 태율에 있어서 분만 후 0 45일 38%, 46 60일 47%, 61 90일 55% 91 120일 59% 및 121 180일 59%로 분만 후 일수가 경과됨에 따라 수태율이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 보고하였다(Bozworth 등, 1972). 그리고 분만 후 50일 및 80일에 발정이 발견된 경우 의 수태일수는 각각 88일 및 121일이었고, 수태당수정횟수는 각각 1.50회 및 1.96회였다 고 보고하였다(Schneider 등, 1981). 또한, 분만 후 50 75일, 76 100일 및 100일 이상 에서 인공수정 시 임신율이 각각 36%, 47% 및 43%로 76 100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Pursley 등, 1998). 분만 후 비유단계에 따른 발정발현율, 수태율 등이 연구자 들에 따라 다소 의견을 달리하고 있고, 특히 산유능력(평균능력 및 고능력)에 따른 조사 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유단계 및 산유능력에 따른 발정발현 율, 수태율을 조사하고, 차기의 번식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 않는 적정 수정시기를 구 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분만 후 기간에 따라, 분만 후 30 59일(30일구), 60 89일(60 일구), 90 110일(90일구) 및 111일 이후(111일구)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분만 후 발정 발현율은 30일구가 16.7%(17/102), 60일구가 28.4%(29/102), 90일구가 20.6%(21/102) 및 111일구가 34.3%(35/102)였고, 분만 후 수태율은 30일구가 52.9%(9/17), 60일구가 51.7 %(15/29), 90일구가 47.6%(10/21) 및 111일구가 48.6%(17/35)였다. 산유능력별로 보면, 발정발현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25.0% 및 16.7%, 60일구의 경우 각각 40.6% 및 20.8%, 90일구의 경우 25.0% 및 12.5%, 111일구의 경우 9.4% 및 50.0%였고, 수태율에 있어서 30일구의 경우 평균능력우 및 고능력우가 각각 87.5% 및 25.0%, 60일구의 경우 각각 61.5% 및 0%, 90일구의 경우 75.0% 및 33.3%, 111일구의 경우 66.7% 및 50.0%였다.
        2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의 말 산업 확대와 승마인구 저변확대에 따른 승용말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승용말은 경주 퇴역마 또는 고가의 수입말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 서 우수하고 경제적인 승용말의 국내 생산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 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의 발정동기화 처리법에 따른 난소와 혈중 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란말 및 수란말의 발정동기화는 CIDR-Plus, 경구용 프로제 스테론(Regumate) 및 PGF2a를 이용하였다. CIDR-Plus 및 Regumate는 투여 시작부터 3 일간격으로 채혈 및 초음파 검사를 하였고, PGF2a는 투여전 및 투여 후 3일간격으로 채 혈과 호름파 검사를 하였다. CIDR-Plus 삽입 전 프로제스테론 농도가 평균 1.02 ng/ml, 3 일, 6일 및 9일째 각각 1.10 ng/ml, 4.21 ng/ml 및 8.90 ng/ml이었고, 9일째 PGF2a를 투 여하여 배란유도한 후 3일째에 0.04 ng.ml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한편 Regumate는 투여 전, 투여 후 3일, 6일 9일 및 PGF2a 투여 후 3일째에 각각 평균 0.04 ng/ml. 0.03 ng/ ml, 1.59 ng/ml, 8/84 ng/ml 및 0.93 ng/ml이었다. 발정 증상이 없는 번식말에 PGF2a 투 여전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는 평균 2.45 ng/ml였으며, PGF2a 투여로 평균 0.03 ng/ml 미만으로 감소하였다. CIDR-plus는 발정 증상이 대체로 미약하였고, 기구 삽입에 따른 질 의 발적과 염증소견이 관찰되었다. Regumate는 급여 후 황체의 크기가 6일째에 평균 3.2 cm로 성장하였고, PGF2a 투여 후 황체 소실 및 난포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를 통하여 말의 발정동기화는 경구용 프로제스테론이 기구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판 단된다.
        28.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한우 60두에 대하여 발정주기에 관계없이 CIDR를 질내에 삽입 후 4일째부터 성선자극 호르몬(안토린) 28AU를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 하였다. 투여 3일째 CIDR를 제 거하였으며, 동시에 PGF2α 25 mg을 근육 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공란우의 인공 수정은 PGF2α 투여 후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회 인공수정 하였으며, 1회 인공수정 전 GnRH 100 μg을 근육 주사하였다. 수정란 회수는 1차 인공수정 후 7 8일 째에 비외과적 방법으로 채란하였다. 총 60두를 공시하여 55두에서 발정이 유기되었으 며, 발정 및 승가는 유기된 55두 중 각각 2두, 34두 및 19두에서 발정 발현을 보였다. 발 정 유기율에서 BCS 2.25 2.75와 2.75 이상인 우군에서는 97.1% 및 95.0%인 반면 2.25 미만인 우군에서는 40.0%로 유의적인(p< 0.05) 차이를 보였으며, 승가율에서도 BCS 2.25 2.75인 우군에서 94.1%, 2.75 이상인 우군은 89.5%를 보인 반면 BCS 2.25 미만인 우 군에서는 50.00%로 BCS 2.25 이상인 우군에 비해 유의적(p< 0.05)으로 낮게 나타났다. 과배란 처리 우군의 발정 유기율, 승가율과 BUN 수준과의 관계에서는 10 mg/dl 이하 우 군, 11 18 mg/dl 사이 우군 및 19 mg/dl 이상인 우군에서 각각 77,8%, 95.1%, 90.0% 및 85.7 %, 92.3%, 88.9%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 연구 결과 나타난 BUN 의 수준에 따라서는 발정 유기율 및 발현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BUN 의 수준이 기준치 보다 낮을 경우는 대부분 사료섭취량의 부족한 것으로 판정을 하고 높 을 경우는 사료내 에너지의 부족에 기인한다고 해석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BCS가 2.25 이하일 때 총 회수된 난자 수는 11.5개로써 2.25 2.75와 2.75 이상일 때 보다 적게 회수됐다.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서도 2.5 2.75와 2.75 이상 이상일 때에 비해 2.25 이하 일 때 4.5±0.7개로 5.9±1.8, 5.6±2.3개에 비해 적게 나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BCS 수준별 이식가능 수정란과의 관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 이지 않았지만 신체충실지수(BCS)는 소의 영양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 며, BCS의 저하는 번식성적에 나쁜 영향(Markusfeld 등, 1997)을 줄 것이다. 공란우의 과 배란 처리 전․후의 영양상태는 총 회수난자 수 및 이식가능 수정란 수에 영향을 미칠 것 이며, 기전과 요인에 대해서 명확하지 않지만 이러한 영양 수준 및 생화학 수준에 의해 난자 회수율 및 이식가능 수정란 수의 저하가 초래할 것으로 생각된다.
        29.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analysis and the effect of field application of a newly developed automatic heat detector in dairy cows. From 2009 to 2010, we used 48 Holstein cows (mounting cows : 38 heads, standing cows : 10 heads) raised in experimental barn of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RDA) for the accuracy analysis of automatic heat detector, and 14 Holstein cows raised in three commercial dairy farms of Cheonan and Pochun area for comparison of the effect of field application. The accuracy of response in cows attached with automatic heat detector was 86.8% (33/38) displayed on board when mounting activity observed, and 100% (10/10) when standing activity observed, and on average, 90.0% (43/48) displayed on board. The accuracy of automatic heat detector in on-farm test was 85.7% (12/14), and conception rate was 75.0% (9/12).
        3,000원
        30.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strous expression, body condition score (BCS), blood urea nitrogen (BUN) an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reproductive performance in blood of Hanwoo donors. Sixty,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AU=1 ml) administered twice daily in constant doses over 4 days. On the 3th administration of FSH, CIDR was withdrawn and 25 mg PGF2α was administered.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fter estrous detection at 12 hr intervals. The cows received 100 μg GnRH at the time of 1nd insemination.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The estrous inducement rate and estrous expression rate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cows with BCS below 2.25 than for cows with BCS above 2.25. There was 50.0% of rate of mounting in cows with BCS below 2.25 whereas the rate of mounting was markedly increased in cows with BCS above 2.25 (94.1% and 89.5% for BCS 2.25~2.75 and BCS above 2.75 cows, respectively). Cows with BCS <2.25, 2.25~2.75 and ≥2.75 ha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of 4.5±0.7, 5.9±1.8 and 5.6±2.3 respectively.
        4,000원
        34.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work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orpus luteum (CL) grade on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and we found that CL development was linked to pregnancy rate. The in vivo derived blastocyst-stage embryos were transferred to 15 recipients synchronized in the estrus cycles. Based on size and palpable characteristics, CL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ade. The grade three CL is not to be identified by rectal palpation. The pregnancy rate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increase in CL size of recipients. In grade one, two, and three, the pregnancy rates were 62.5%, 50.0%, and 0%,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s that pregnancy rates after embryo transfer might be affected by the CL status of recipients.
        3,000원
        35.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ion rate and other parameters (body condition score; BCS,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follicle size) before estrus induction with CIDR(intravaginal progesterone-releasing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The conception rate in cows with < 2.75, 2.75 to 3.25, and 3.25 <, BCS regardless of AI (artificial insemination) time was 46.6%, 63.3%, and 46.6% at CIDR insertion, respectively.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BCS was 54.9%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48.7% in cows inseminated at 72 to 80 hours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TAI) after removal of CIDR.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AI time was 40.0% in cows with low progesterone concentrations (less than 1.0 ng/ml), and 56.6% in cows with hig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more than 1.0 ng/ml) at CIDR injection.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as 53.8%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38.0% in cows of TAI after removal of CIDR.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AI time was 43.3% in cows with small follicle (less than 5 mm), 53.3% in cows between 5 mm to 10 mm of follicle, and 63.3% in cows with large folliclc (more than 10 mm) at CIDR injection, respectively.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follicle size was 58.4%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45.9% in cows of TAI after removal of CID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f the cows with BCS 2.75 to 3.25, active corpus luteum, and/or large dominant follicle (more than 10 mm) are used for estrus induction,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4,000원
        3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ion rate and other parameters (body condition score; BCS,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follicle size) before estrus induction with . The conception rate in cows with (2.75, 2.75 to 3.25 and 3.25), BCS regardless of AI (artificial insemination) time was 47.5, 67.5% and 48.5% at injection, respectively.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BCS was 59.0%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46.2% in cows inseminated at 72 to 80 hours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TAI) after injection.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AI time was 43.0% in cows with low progesterone concentrations (less than 1.0 ng/ml), and 67.5% in cows with high progesterone concentrations (more than 1.0 ng/ml) at injection.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as 59.9%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48.1% in cows of TAI after injection.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AI time was 36.0% in cows with small dominant follicles (less than 5 mm), 56.0% in cows between 5 mm to 10 mm of follicle size, and 65.5% in cows with large dominant follicles (more than 10 mm) at injection, respectively. The conception rate regardless of follicle size was 57.3% in cows inseminated based on detected estrus, and 47.6% in cows of TAI after injec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f the cows with BCS 2.75 to 3.25, active corpus luteum, and/or large dominant follicle (more than 10 mm) are used for estrus induction,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4,000원
        40.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aginal epithelial cell in estrus-induced Shih-tzu bitch, estrus was induced by PMSG (50 IU/kg, for 10 days) and hCG (1,000 IU, on Day 10) in 12 anestrus Shih-tzu bitches. Day-changes of vaginal epithelial cells during the whole period of hormon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in each experimental bitches. The first day of vulvar bleeding and the first day of male acceptant was on days (), and days after the first PMSG treatment. The duration of proestrus and estrus was days, and days. Characteristic features of vaginal cytology during the estrous cycle were the high proportion of large intermediate cell, superficial cell, anuclear cell and erythrocyte in proestrus, superficial cell and anuclear cell in estrus, and parabasal cell, small and large intermediate cell, and leukocyte in diestrus, respectively. When it was timed from the first day of PMSG administration (Day 0), the cornification index (CI) was the high proportion in proestrus and estrus. The CI peak was maintained above 80% between Day 11~14 (4 days) and CI showed a peak at Day 1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12 Shih-tzu bitches showed positive estrus induction by vaginal smear test and observation of clinical estrus sign.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