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9

        21.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가물치(Channa argus) 추출물의 신경세포 분화와 산화 스트레스에서의 효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녹차와 효소를 이용한 다양한 추출 방법(상온 추출물, RE; 녹차 상온 추출물, GRE; 효소 상온 추출물, ERE; 녹차 효소 상온 추출물, GERE)을 사용하여 제조 된 추출물의 아미노산 조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신경성장인자 (NGF) 유도 신경세포 분화 및 과산화수소 처리에 의해 유도된 PC12 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RE 및 GRE보다 효소 추출물인 ERE 및 GERE에서 훨씬 더 높았다. 효소 가수 분해물 (ERE 및 GERE)에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RE 및 GRE보다 높았다. 또한, RE와 ERE는 PC12 세포에서 neuronal growth factor (NGF) 매개 신경 돌기 성장뿐만 아 니라 growth associated protein (GAP)-43 및 synapsin-1의 발현을 현저하게 향상 시켰다. 과산화수소(H2O2)에 의해 손 상된 PC12 세포에 4가지 유형의 Channa argus 추출물을 첨가한 후 PC12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PC12 세포 의 생존율은 RE, GRE, GERE에서 각각 77.5±1.9%, 84.0±0.8%, 81.1±0.9%이였다. 이러한 세포 생존율은 H2O2 만을 처리 한 음성 대조군(70.0±2.0%)에 비해 더 높았다. H2O2 처리에 의해 유도 된 세포 독성도 RE, GRE 및 GERE 처리에 대한 반응으로 상당히 완화되었다. 종합하면, Channa argus 추출물은 산화 스트레스와 신경 손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성 물질로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향후 이들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
        202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웅성생식세포의 분화과정과 정자의 형태를 미세구조적으로 기 재하였다. 정자의 분화과정은 정원세포기, 정모세포기, 정세포기 및 정자기의 4단계로 구분하였 다. 정원세포기에서 정모세포기로의 분화과정은 형태학적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정자변 태과정 동안 염색질 응축, 핵의 형태 변화, 첨체와 중편 및 편모 형성 등의 급격한 형태학적 변 화를 나타냈다. 북방전복의 정자는 두부, 중편 및 미부로 구성되며, 두부의 길이는 약 5.3 μm로 전자밀도가 높은 핵과 총알형의 첨체로 이루어져 있었다. 중편은 기저체와 미토콘드리아로 구 성되어 있었으며, 기저체를 중심으로 5개의 미토콘드리아가 한 층으로 배열되어 있었다. 미부 의 횡단면은 "9+2"의 미세소관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형태 및 구조적 특징은 북방전복의 정자 는 원시형(primitive type) 정자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4,000원
        24.
        2021.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장기간 수송을 통한 수출 시 포장 전 최종 관수 시기가 호접란의 생장, 개화, 그리고 분화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명하였다. 지름 11cm의 플라스틱 화분의 수태 기반의 배지에 식재하여 8개월간 재배한 호접란(Palaenopsis) Sogo Yukidian ‘V3’ 식물체를 모의 암흑 수송(SDS)을 위한 포장 전 3.5, 7, 10일(실험 1)과 4, 6, 8, 10일(실험 2)에 최종 관수를 실시하였다. SDS를 위해 식물체를 수출용 종이상자에 포장한 후 온도 20 ± 1°C, 상대습도 70 ± 3%의 챔버에 두었고, 4주 후 상자에서 꺼낸 식물체들은 온도 23 ± 3°C의 온실에서 재배하면서 생육 및 상품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태와 바크의 혼합배지를 사용한 실험 1에서, FIT 3.5의 생존율은 FIT 7과 FIT 10에 비해 낮았으나, 개화소요일수, 개화수, 꽃대 신장률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수태 배지를 사용한 실험 2에서는 모의 수송 후, 온실 입실 직전과 입실 후 재배 12주차에 측정한 부패엽 발생률은 FIT 6에서 가장 낮았다. 온실 입실 직전 FIT 8의 부패엽 발생률은 FIT 6와 비슷했지만 12주 후에는 상당히 증가하였다. FIT 10에서 부패엽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FIT 4에서도 높았다. 개화 특성에서는 처리 간 차이가 적었다. 결론적으로, 호접란 분화의 4주간 암흑 수송을 통한 수출 시 포장 전 최종 관수 시기가 수출 후 생장 및 개화보다는 부패엽 발생에 영향을 미쳤으며, 포장 직전 배지의 용적수분함량을 30%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4,000원
        2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의 비행유형에 따른 자아분화와 KHTP 반 응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하는 ○○소년원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KHTP 그림 검사와 자아분화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비행청소년의 비행유형에 따라 자아분화 수준과 KHTP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행청소년의 비행유형에 따 라 자아분화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비 행청소년의 비행유형에 따라 KHTP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동적 집, 나무, 사람검사(KHTP) 가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비행유형검사 와 자아분화검사 뿐만 아니라 KHTP검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900원
        2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ED 광원의 파장이 분화 국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2℃ 항온조건에서 주간 11시간, 야 간 13시간의 광주기로 조절된 폐쇄형 식물생장상에서 7주간 단일상태로 재배된 ‘오렌지에그’ 품종의 생육 및 개화 특성을 비교하였다. LED 인공광원은 청색광(444nm), 적색광(652nm), 그리고 청색광과 적색광, 백색광이 각각 2:5:1로 조합된 혼합 광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분화 국화 ‘오렌지에그’ 품종의 초 장은 적색광에서의 평균 9.43cm로 가장 길었으며, 청색광이 혼합광에 비해 짧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초폭과 엽폭은 초장에 대한 생육반응과 유사하게 적색광에서 가장 크게 신장하였고, 청색광과 혼합광에서는 유의적인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엽수와 엽장은 혼합광보다 청색광과 적색 광 등 단색광에서 더 많고 길었다. 분화 국화 ‘오렌지에그’ 품 종의 개화특성의 경우에는 청색광과 적색광, 혼합광 모두 단 일처리 16~17일 이후에 화아분화가 완료되어 발뢰가 시작되 었으나, 적색광과 청색광 하에서 생육한 국화는 화아발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개화까지 이루어지지 않았 고, 혼합광 하에서 생육한 국화만 단일처리 5주 후에 정상적 으로 개화되었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 분화 국화를 생산하기 위한 인공광원으로는 청색광과 적색광, 백색광으로 구성된 혼 합광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리라고 판단된다.
        4,000원
        2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관상가치가 뛰어난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차광, 기비, 추비, 왜화제 및 적심처리를 각각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차광 시 산꼬리풀의 생육이 감소 하였으며, 차광률이 증가할수록 크게 억제되었다. 기비 처리는 초장, 절간장, 경직경 및 엽수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Hyponex를 이용한 추비 처리는 무처리와 비교했을 때 생육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왜화제 처리시 diniconazole은 농도에 관계없이 왜화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억제되었다. Daminozide는 저농도 처리시 무처리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2000mg·L-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왜화효과가 나타났으며, 개화율은 diniconazole 저농도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한편 적심 처리에 따른 유의적인 생육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4,000원
        3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rbal medicine has been the basis for medical treatments through much of human history, and such traditional medicine is still widely practiced today. Modern medicine makes use of many plant-derived compounds as the basis for pharmaceutical drugs. In traditionally, Achyranthes aspera,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 and Acanthopanax senticosus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one-related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armacological effect of mixture of Achyranthes aspera,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 and Acanthopanax senticosus and the other herbs. Two types of enzymes were used to enhance the extraction components of amino acid, mineral content, free sugar, and flavor recovery in extracting natural herbal mixtures(NME). We evaluated regulat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using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alizarin red S staining and RT-PCR. The CCK-8 assay indicated that NME had no cytotoxicity but increased cell survival. In addition, NME promoted the mineralization and expression of osteogenic differention marker genes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Therefore, NME has an effect of promoting proliferation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
        4,000원
        33.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ssue engineering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Biocompatible scaffold from chemically composites seeded with stem cells is essential and several growth factors for bone formation and angiogenesis are also required. To overcome limited activity of new bone formation with scaffolds, several biomechanical stimulation methods on cells have been made to grow cells in scaffold. Several bioreactors have been developed for real tissue growth in culture laboratory. In addition to biological stimulants like BMP, growth factors and exogenous drugs, biomechanical stimulation technique has also been known as an effective method in cell differentiation. We developed our own bioreactor with tensile mechanical strains. Then we tested with it for detection of suitable biomechanical effect on the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And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effect of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Mechanical strain group showed more rapid reaction with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than non-mechanical strain group. Mechanical strain groups stimulated with 0.5∼0.7Hz for 6 hours and 8 hours showed more active cell differentiation than the group with 0.5∼0.7Hz for 2.5 hours tensile strain stimulation. Group of LIPUS also showed more rapid reaction in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LIPUS with 3MHz showed more cell reaction than the LIPUS group with 1MHz. Our results showed the positive effect on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cell with mechanical tensile strain, LIPUS both.
        4,000원
        34.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erve injury induced protein 1 (Ninjurin1) was originally described in neuroscience in which the expression of Ninjurin1 was regulated by Schwann cells and dorsal root ganglion neuronal cells of damaged nerve tissues. After the first discovery of Ninjurin1, the widespread expression of Ninjurin1 in adult and embryonic tissues have been observed including bone marrow,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thymus, and heart. Currently, the Ninjurin1 mediated positive regulation of pre-osteoclasts fusion and osteoclast development was reported. The bone homeostasis is dynamically balanced by bone-resorbing activity of osteoclast and bone-forming activity of osteoblast. Until now, the role of Ninjurin1 was never been described in osteoblastogenesis.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Ninjurin1 in osteoblast. The ample expression of Ninjurin1 was observed in bone marrow of mouse tibia sections but it was barely expressed in osteocytes. And also the expression levels of Ninjurin1 were gradually increased during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calvarial pre-osteoblast, C2C12, and MC3T3-E1 cells. Importantly, the expression of Ninjurin1 was increased in the absence of osteogenic stimulus, BMP2, which suggests the cell density-dependent regulation of Ninjurin1. The controlled expression of Ninjurin1 by cell-density was evidently shown in not only pre-osteogenic osteoblast lineage cells but also in non-osteogenic cancer cells such as HeLa and A549 cells. In addition, the isoform-specific knockdown of Ninjurin1 remarkably reduced the alkaline phosphatase (ALP)-positive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us, our results suggest a previously unappreciated mechanism of Ninjurin1 expression and also suggest its role on osteoblastogenesis.
        4,000원
        3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제적으로 신품종과 품종 육성자의 권리가 지적 재산권으로 보호됨에 따라 화훼작물의 경우 국내 민간종묘에서 품종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구 국립 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에서 1992년부터 본격적으로 품종육성 연구가 시작되었다. 2017년 재배면적 44ha, 판매액 93.6억원 인 주요 난류의 하나인 심비디움은 다른 화종에 비해 육종년 한이 길어 2002년에 ‘뷰티프린세스’ 등 4품종이 육성된 후 2017년까지 51품종이 육성되었고, 농촌진흥청 연구비 지원으로 지산영농조합법인에서도 ‘핑크레이스’ 등 26품종이 육성된 바 있다. 이렇게 개발된 품종은 농가에 보급되어 분화나 절화 로 유통되고 있어 최근에는 국산 품종에 대한 재배농가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2009년부터 2017년까지 aT화훼공판장 에서 거래되고 있는 국산 심비디움 품종들의 분화 거래내역을 조사한 결과, 농촌진흥청 개발 51품종 중 21품종이 지산영농 조합 개발 26품종 중 7품종이 1년에서 5년동안 거래된 것을 확인하였다. 국산 품종 거래 수는 2010년과 2015년을 제외하고는 2,568~5,693분으로 총 심비디움 판매량의 1.5~2.1%를 차지하였다. 심비디움 거래량의 65.2~97.6%를 차지하는 꽃대 2, 3, 4대 가격을 비교한 결과, 국산 품종이 외국산 품종에 비하 여 최고가는 낮았지만 평균가는 높았고, 최저가는 훨씬 높았다. 결론적으로 aT화훼공판장 거래가를 기준으로 국산 품종이 외국산 품종과 비교할 때 품질이 양호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6.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백합 구근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국내 품종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분화용 나팔나리 유전자원 ‘Ace’, ‘Nelli White’, ‘Mount Carmel’을 수집하여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자가수정을 실시하였다. 2014년에 자가수정 7세대 ‘ L2-127-1’과 ‘ L2-81-5’계통을 교잡하여 1대잡종 나팔나리 ‘White Eve’를 개발하였다. 분화용 나팔나리 일대잡종 ‘White Eve’는 백색의 나팔모양의 홑꽃으로 반점이 없으며, 식물체 당 개화수가 5.8개로 많은 편이며, 꽃의 직경이 13.1cm로 중간 정도이고 측향으로 개화한다. 초장은 40.9cm이고, 잎의 수는 32.8개이고, 잎의 길이는 13.5cm이며, 잎의 폭은 2.1 cm이다. 일대 잡종 ‘White Eve’는 대조품종인 ‘Mount Carmel’ 보다 화경이 크고 화수가 많아서 개화 기간이 길며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4,000원
        39.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최대 규모의 마르형 분화구 내에 형성된 하논은 제주도에서 유일하게 벼농사가 약 500년 동안 유지되고 있는 논 생태계이다. 이러한 하논의 식물상 특성과 복원 방안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8년 사이 총 8회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55과 151속 194종 1아종 26변종 4품종으로 총 22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과별 분포현황은 벼과가 가장 많은 36분류군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국화과 29분류군, 사초과 20분류군, 콩과 13분류군, 마디풀과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하논에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 조성은 일년생식물-단립식물-중력산포형-총생형 (Th-R5-D4-t)으로 나타났다. 희귀식물로는 물질경이 (Ottelia alismoides (L.) Pers.), 창포 (Acorus calamus L.), 물잔디 (Pseudoraphis ukishiba Ohwi) 3종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1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34속 41종 2변종으로 총 43분류군이 확인되었고, 도시화지수는 13.3%, 귀화율은 16.9%를 나타냈다. 현재 제주도 하논은 멸종위기야생식물, 희귀식물을 포함하여 높은 식물 다양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주도 유일의 벼농사 지역으로서 지속적으로 보전해야할 충분한 경관생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5,100원
        40.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디지털 게임의 하위 장르 분화 양상을 고찰하고 각 양상에 따라 핵심 장르 요소가 변화 하는 특성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디지털 게임의 장르는 변화를 거듭하는 생성적 체계이다. 기존 장르의 핵심 메커니즘을 수정하거나 뒤집으며 등장하는 게임의 하위 장르들은 게임의 장르 체계가 지닌 생성적 성격을 확인할수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하위 장르 분화를 고찰한 기존의 연구들 이 게임 텍스트의 계보학을 통해 메커니즘의 변화를 추적했다면, 본 논문은 플레이어가 장르 변화를 인지하는 원리에 초점을 두고 해당 양상을 분석한다.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통해 ‘로그라이크’와 ‘메트로배니아’ 장르의 분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로그라이크는 상위 장르와의 프레임 대립을 통해, 메트로배니아는 상위 장르의 프레임 확장을 통해 변별력을 확보한 장르임을 확인했다. 프레임 대립에 따라 분화한 하위 장르의 경우 핵심 장르 요소는 독립성을 확보하고 손쉽게 타 장르와 결합되며, 프레임 확장에 따라 분화한 하위 장르의 경우 핵심 장르 요소는 맥락 의존성을 강하게 드러내며 해당 장르의 맥락을 벗어나 사용되기 힘들다는 특징을 보인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