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2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one of recent issues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internet of things has attracted attention to provide intelligent infrastructure services which connect and share data and information between real and virtual worl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se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types of machines,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terminals are increasing tremendously. In this situation, connectivity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internet of things components are important issues to build a hyper connected society. To visualize this society, it is important to set up and develop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tandards among stakeholders. However, under limited budget and human resources, it is essential to rank standardization work items for setting standards with respect to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for setting standardization strategies within group decision making. As a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tool,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s adopted and applied to determine the priorities of setting work items. The proposed method first defines decision making problem with objective, criteria, and alternatives which produces a hierarch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criteria. Then, pairwise comparisons of academy and public sector experts a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ir relative meaning and importance. Individual surveys of expert groups are collected and summarized to determine relative criteria importance measures. Furthermore, to deliver reliable importance criteria measures, differences between academy and public sector expert groups are compared and tested using Mann-Whitney non-parametric test. The results are illustrated for useful guidelines to practical group decision making in standardization strategy establishments.
        4,000원
        23.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술 표준은 기술적 특성과 사양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합의로서 기술의 발달 과 함께 모든 산업에 걸쳐 존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술의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기술 표준 연구(표준화 연구)는 기술 표준의 채택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 고유 의 가치와 상호호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술 중심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데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기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기술 차별화 정도와 기업별 기술 선호도 함 수를 두 단계 게임 이론 분석 방법에 반영하여 새로운 기술 중심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실증 사례로 사물인터넷의 무선 팬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해당 시장의 기술 구조 및 표준 관련 함의를 도출하였다.
        6,000원
        2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시각손상을 유발하였을 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을 사용시 근거리 사물을 인식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15명의 참여자에게 영수증 내에 있는 여러 가지 정보와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3가지 시각 손상 조건을 구현하였으며, 이는 시력저하, 백내장 그리고 시야협착이었다. 이런 시각 손상 조건하에서 광학확대경과 전자확대경에 대한 사물인식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21세부터 26세로 평균나이는 22.73±1.28이다 근거리 정보를 인식과 사진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걸린 시간은 광학확대경과 휴대용 확대경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시각 손상 조건을 서로 비교하였을 때, 시력저하 조건과 백내장 조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력저하와 시야협착 그리고 백내장 조건과 시야협착 조건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근거리 사물의 정보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광학 확대경과 휴대용 전자확대경은 비슷한 정도의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시야 손상에 비해 정보인식 시간이 다소 오래 걸렸다. 따라서, 시야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시야 확장에 도움이 되는 보조기기의 처방을 통하여, 읽기 능력 향상을 도와주는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4,000원
        2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죽은 부친과 동료 문인에 대한 그리움이 창작 동기가 된 『환영을 찾아서』는 애가인 동시에 작가의 사후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엿 볼 수 있는 초월 시 작법 서다. 시인은 죽은 자의 소유물을 응시함으로써 그들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고 그들의 영혼이 어디로 갔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와 더불어 작가는 그들이 사라 진 사후세계를 상상 함으로써 현실세계로부터 영혼세계로의 항해를 시도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들은 죽은 자들에 대한 회상 및 연민을 그린 점 때문에 낭만적 태도로부터 탄생 되었고 죽은 이들이 남겨 준 정신적 유산에 관심을 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작품을 만들려는 점 때문에 부분적으로 모더니즘 작품의 특성을 나타낸다. 나아가 구체로부터 추상으로 의미의 다양화를 시도한 점 때문에 포스트모던 경향 역시 띤다고 평가할 수 있다.
        5,200원
        26.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정보통신망이 고도화되면 기존에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던 통신에서 확대되어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기기나 사물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기기나 사물 사이의 통신이 자동적·지능적으로 이루어지면 사람이 통제해야 하는 작업이나 역할의 상당 부분이 기기나 사물에 맡겨지게 되어 편리한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 이처럼 기기나 사물 사이에 지능적으로 이루어지는 정보통신을 사물지능통신이라고 한다. 이 글에서는 사물지능통신의 촉진이 필요한 배경으로서 동향의 파악과 함께 검토가 필요한 법제도적 문제점으로 무엇이 있는가를 살펴본 후, 아직 거의 알려지지 않은 사물지능통신에 대한 진흥이라는 측면에서의 법제도적 대응방안으로서 입법론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즉, 기존의 법을 개정하거나 신규 통합 사업법을 제정하는 방안보다는 현실적으로는 단행법률의 제정방안을 검토한 후에 필요하면 기존법의 개정작업에 반영하거나 신규 통합 사업법에 반영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에 따라 단행법률의 제정을 상정하여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가를 검토하여 정리해보았다. 우선 사물지능통신이라는 신규 서비스 및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규제는 최소화하면서도 진흥을 촉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입법을 추진한다는 점을 기본이념 및 대전제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정부와 민간간 협력을 바탕으로 진흥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추진체계를 수립토록 하였으며,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지원책의 마련이나 시범사업의 실시, 사물지능통신기반의 확충을 위한 표준화나 기술기준의 제정, 합리적인 산업의 규제를 위하여 진입규제의 최소화 및 간접규제, 최소한의 사후규제의 도입,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의 부여, 자율규제의 촉진을 위한 시책 등을 규정하도록 제언하였다. 또한 관련 서비스의 촉진을 위하여 전파사용료의 감면이나 취약계층의 지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하며, 산업발전의 한 축을 이루는 이용자 측면에서도 안심하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용자 보호에 관한 다양한 시책을 수립하여 시행토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지원이나 의무가 실효성을 가지기 위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입법이 추진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방송통신이 융합되는 환경에서 통합 사업법이 적용됨에 따라 단행 법률은 불필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단행법 제정의 논의가 과도기적인 시기에 사물지능통신에 대한 선도적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 MACS)를 통한 경직형 뇌성 마비 아동의 사 물조작능력 수준 분류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 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명의 검사자가 동시에 평가하였으며, 주검사자가 평가 시행 시 부검사자가 독립적으로 채점하도록 하였다. 검 사자간 신뢰도는 급간 내 상관계수(ICC)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변처리 기술 능력을 평가하기 위 해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사용하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 간의 상관성 분석은 스피어만 상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MACS 단계에 따른 신변처리 기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크루스칼- 윌리스 검정 과 맨-휘트니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MACS의 검사자간 신뢰도는 ICC .93으로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MACS와 신변처리 기술은 높은 수준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921), 신변처리 기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 중 신발 /양말 신기 (r=-.852), 단추/지퍼 채우기(r=-.849), 하의(r=-.846)에서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또한 MACS 단계 간 신 변처리 기술 총점 및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CS 1-2단계 간 에는 3가지 항목(얼굴과 몸 씻기, 티셔츠/앞여밈이 있는 의복입기, 단추/지퍼 채우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 2-3단계 간 에는 4가지 항목(손 씻기, 하의, 신발/양말 신기, 화장실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4단계 간 에는 단추/ 지퍼 채우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4-5단계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다. 결론 :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평가하기에 신뢰할 수 있는 도구 이다. 또한 뇌성 마비 아동의 사물조작능력 분류 체계는 뇌성마비 아동의 신변처리 기술 수행 능력을 잘 반영하는 유 용한 평가 체 계라고 판단된다.
        4,000원
        2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조작능력 분류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이용한 뇌성마비 아동 사물조작능력과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PEDI)를 이용한 기능적 능력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 16개의 장애인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이용하는 186명의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사는 MACS를 통하여 아동을 분류하였으며, 부모들은 PEDI 설문지를 통하여 아동의 기능적 능력을 평가하였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기위하여 Spearman의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였으며 MACS 각 단계별 기능적 점수의 차이는 ANOVA 분석과 Bonferroni의 사후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 186명의 아동 중 남자는 105명, 여자는 8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7세 5개월(4세~13세 7개월)이었다. MACS와 PEDI 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MACS 단계별로 신변처리 영역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r=-.79),이동하기 영역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77). MACS 각 단계별 신변처리 능력의 차이를 보면, 1단계와 2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동 능력은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MACS에 의한 분류는 뇌성마비의 기능적 기술 중 신변처리와 이동하기 기능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MACS 단계를 통하여 뇌성마비아의 대략적인 기능적 기술을 설명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임상적으로 폭넓은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2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를 사용 하여 아동의 사물조작능력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측정자가 치료사인 경우와 아동의 부모인 경우에 둘 사이에 어느 정도 일치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6개 장애인 복지관에서 재활프로그램을 받고 있는 136명의 뇌성마비 아동 이다. 아동의 부모와 치료사들은 사물조작 능력 분류 체계(MACS)를 이용하여 아동들의 사물 조작 능력을 평가하였 다. 측정에 대한 측정자간 일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급내 상관계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 참여한 136명의 아동(남 73명, 여 63명)들의 평균나이는 7세 6개월이었으며 나이 범위는 4세 0 개월부터 13세 6개월이었다. 아동의 부모가 측정한 MACS값과 치료사가 측정한 MACS의 값은 좋은 일치도를 보 였다(ICC=.84, 95% 신뢰구간 .77-.88). 결론 : MACS는 뇌성마비 아동의 사물조작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장애아동을 비롯한 부모들에 의해 평가가 이루 어진다고 하더라도 전문가에 의한 평가와 적절한 일치도를 보임으로써 일반인에 의해 보다 자주 손쉬운 평가가 가 능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0.
        199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urveying the literature of architectur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one can identify two dominant but problematic attitudes, among several, that pursue the task of defining what modern architecture is and should be. The first is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second is the pursuit of form. This study, following Michel Foucault, asserts that the dual formation of meaning and form is a historical product of modernity and belies architecture's uncritical dependence on language since the nineteenth century. This study is a critique and historical analysis of this pernicious reliance, and constitutes a first step towards thinking of alternative relations between 'words and architecture' in the modern world. In reconstructing this problematic, the paper has called on Foucault's seminal The Order of Things. The study follows his construction of the Renaissance, the Classical and the Modern episteme, and in brief fashion, reconstructs the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architecture in each episteme. In analysing the Modern, the study focuses on Hegel's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placed architecture in a genre hierarchy within which architecture, because of its material basis, was fundamentally limited in its ability to express the Spirit. For Hegel it was, among the arts, poetic language, and beyond art, the language of philosophy, through which the Absolute Spirit could be atttained. Much of post-nineteenth century architecture has remained within the shadow of Hegel, where architecture's materiality is perceived to be a burden, and in order to secure its relevance in modern society, architecture was deemed to pursue the role of language. As the most recent and sophisticated example of architecture's pursuit of form, the paper analyses the work of Peter Eisenman. Though Eisenman's theoretical writings are replete with post-Hegelian rhetoric, his architecture remains dependent upon the model of language, albeit a structuralist one. The paper concludes that ultimately, the pursuit of meaning and form is unable to face the crucial issue of value in modernity. While the former decides to easily what it is, the latter evades the issue itself. The second installment of this ongoing study will pursue a third possibility alluded to by Foucault, where language remains silent, pointing only to its 'ponderous' material existence.
        5,400원
        31.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marked predicate in Korean must have an honorific vocative element in Spec-Voc in order for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 on Voc to be discharged in the Spec-head relation with the vocative element in Spec-Voc in the concept of Chomsky's (1995) Minimalist Program, which induces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at the speech level.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marker si-ess-upnita/sey-yo) percolates from T to Voc. At this point, VocP is above CP, which is why addressee honorification and impersonal subject honorification cannot appear in the embedded clause in Korean. Imperatives with quantificational subjects in English can exhibit, in addition to second person pronouns, third person pronouns as well. This is because a bound element exhibits either the person feature of the partitive phrase binding second or third person pronoun, or default third person value, which is against S. Park (2020).
        32.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물인터넷은 최근 가장 뜨겁게 정보통신업계를 흔들고 있는 트랜드이다. 수많은 사람이 사물인터넷을 말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전략과 국/내외 디자인 사례들을 통하여 사물인터넷이 우리의 문화생활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산업과 사회를 새롭게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기술적인 측면의 사물인터넷 예시들을 분석하여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개인과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범위와 방법으로는 사물인터넷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작으로 영역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스마트 제조사들의 사물인터넷 영역 및 방향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이에 따른 한국의 준비 수준과 방향성에 관하여 분석하고 연구한다. 블루오션을 창출하는 기업들의 활동을 조사하여 사물인터넷에 관하여 앞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은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으며, 기업들이 사물인터넷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연구한다. 그중에서 특히 다양한 디자인 제조기업들을 분석하여 결과적인 한국의 수준과 방향성을 연구해본다.
        33.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물인터넷은 단말기 중심 센싱(RFID)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IoT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보안 기술, 빅 데이터와 서비스 기술이 상호 연동되어 명확한 타깃 고객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한다. IoT는 단말기 중심에게 기술개 발이 전개되었다. 향후 인간의 역할을 최소화하면서 사물들은 온도, 습도, 열, 가스, 조도, 초음파 센서부터 원격감지, 전자 파흡수율(SAR), 레이더, 위치, 모션, 영상센서 등의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하게 된다. 웨어러블 센싱 기술은 사람과 사 물, 사물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는 통로와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센싱은 정보를 수집, 처리, 관리하고 정보가 서비스로 구현되기 위한 최첨단이라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있어서는 단말기기,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방식이 함께 구 동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단말기 중심 IoT 제품 사례를 기반으로 표준기구 위에서 IoT의 공통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방형 생태계를 구성하는 IoT 공통 서비스 플랫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따라서 IoT 응용서비스, IoT 디바이스, 센서 및 부품, IoT 플랫폼, IoT 보안 솔루션 분야에서 IoT 표준 연구 분야로 5G, 사물인터넷, U-헬스, 빅 데이터 활용 Health care, 편리 하고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는 서비스 플랫폼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IoT는 누구에게나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위한 인간 중심에서 서비스 환경이 있어야 한다.
        34.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was conducted for making accident-free, accurate and effective construction site to improve the smar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by using new developed technology such as IoT, RFID, and etc... The study recommends new IoT construction management application and web with a structure of the system
        3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wadays, wireless sensor network applications have been used in several important areas, such as healthcare, construction, critical infrastructure,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manufacturing.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SNs in terms of memory, energy, computation, and scalability,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arge number of WSNs data in these areas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There is a need for a high-performance computing and massive storage infrastructure for real-time processing and storing of the data as well as analysis of the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sensor cloud computing based on IoT and service to manage monitoring sensor data for the f construction design-build projects. With this IoT sensor cloud platform, the entire project participants can efficiently share information to identify and solve issues in the design build phas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