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

        22.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akju lees extract is expected to be a promising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glycemic index (GI) of Takju lees extract and its effects in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The GI for Takju lees extract was evaluated with 10 healthy young adults (Male 5, Female 5). OGTT was conducted in 20 male db/db mice, fed on a diet containing 2% Takju lees extract for 4 weeks. Those animals were subjected to OGTT after one oral administration of Takju lees extract at 2 g/kg BW. The GI of the Takju lees extract was measured at 97.97. The effects of the Takju lees extract on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db/db mice evidenced no differenc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akju lees extract is a high GI material, and it has no effe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a type II diabetic animal model.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confirm its anti-diabetic effects.
        3,000원
        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량방호 안전시설에 대한 성능의 검증은 충돌시험의 가속도와 각속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정한 탑승자 안전지수를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탑승자 안전지수로는 THIV(Theoretical Head Impact Velocity), PHD(Post-impact Head Deceleration), ASI(Acceleration Severity Index), OIV(Occupant Impact Velocity)와 ORA(Occupant Ridedown Acceleration)가 있다. 탑승자 안전지수 계산에 상이한 데이터 처리과정과 수치절차의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동일한 시험 데이터에 대하여 다양한 탑승자 안전지수값이 결정될 수 있어서 혼란이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세절차와 데이터 처리과정이 탑승자 안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지침에 제시된 계측시간간격을 사용하여 차량충돌시험이 수행된다면 보간법과 수치적분방법은 THIV와 OIV 값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PHD에 대한 10msec 이동평균방법과 데이터 처리과정의 영점보정은 탑승자 안전지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이 지침에 규정되어야 한다.
        4,300원
        24.
        200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any manufacturing occupations, industrial workers reported foot or lower leg problems such as discomfort, pain or orthopedic deform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wo different working conditions upon assembly worker's perception of discomfort and foot pain associated with various body parts. Twenty-three male volunteers performed work in the factory. Ergonomic intervention has been to modify the flooring in an attempt to alleviat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onstrained standing and walking work. The worker's standing conditions consisted of standing on a hard floor while wearing shoe insoles. Questions were asked regarding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were found when comparing the overall effects of wearing shoe insoles on a hard floor (p<.05).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shoe insoles reduced body discomfort and foot pain (p<.05).
        4,000원
        25.
        200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alker provides stability for walking for people whose lower extremities ar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height of a walker to conserve energy and to improve fun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walker height and gait velocity on triceps, latissimus dorsi muscle activation,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EEI) during ambulation with a walker. Fifteen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signed a walker with one of three heights (high, standard, lower height) and of two gait velocities (comfortable gait velocity or fast gait velocity). Electromyographic data were collected from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and EEI was determined from each condition.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ost hoc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VIC of triceps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MVIC of dominant triceps brachii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VIC of the latissimus dors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VIC of dominant latissimus dors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and in those who used the faster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E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E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higher and lower walkers compared with the standard walker. The EE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the fast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creased muscle activation in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was required when the walker height increased and that more energy was exp ended when the gait velocity increased. Therefore,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walker heigh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gait training and that healthy subjects conserve energy when ambulating with standard walkers in a comfortable gait velocity.
        4,000원
        26.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ronic stroke patients on physiological cost index (PCI) during walking. Fourteen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Fugl-Meyer score (FMS), gait velocity (GV), muscle strength of the knee extensor, modified Ashworth scale (MAS) of ankle plantar flexor, devices, and gait patterns during walking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use of devices and high MAS of the ankle plantar flexor significantly increased PCI. Secondly, PCI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MS and MAS of the ankle plantar flexor. In conclusion, inhibition of spasticity of the ankle plantar flexor is considered to reduce PCI during walking for chronic stroke patients.
        4,000원
        27.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조건에서 미량요소 Fe, Mn, Cu, Zn, Mo 및 B의 조합시비가 목초의 생육, 개화, 수량, 양분 함량 및 식생구성비율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다량료소 양분을 동일 량 시비한 조건에서 7 수준의 미량요소 조합시비는 T; 대조구, T; Fe, T; Fe+Mn, T; Fe+Mn+Cu, T; Fe+Mn+Cu+Zn, T;Fe+Mn+Cu+Zn+Mo 및 T; Fe+Mn+Cu+Zn+
        4,000원
        28.
        200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지운동 동안에 복부에 적용된 압력이 요부와 복부의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남자 5명이었다. 연구대상자가 10 repetitions maximun (RM) 무게의 아령을 이용하여 1분 동안 상지운동을 수행 시 0 mmHg, 저압(30 mmHg), 중압(70 mmHg), 고압(100 mmHg)의 외부 압력이 복부에 적용되었고,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척추기립근에서 근전도 자료가 수집되었다. 주파수 분석을
        4,000원
        29.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rchardgrass 및 white clover의 단파 및 혼파재배에서 미량요소 붕소(B)의 시비수준별 목초의 가시적 생육상, 뿌리/근류 형성, 수량성, 영양성분/무기양분 및 초종간 경합지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처리내용은 다양 및 미량요소 시비를 동일하게 한 조건에서 5 수준의 붕소 처리: 1) ; 0.0, 2) ; 0.2, 3); 2.0. 4) ; 6.0, 5) ; 15.0me B/pot로 하였으며, glasshouse에서 pot시험으로
        4,000원
        30.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body mass index of 618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Gwangju area, from Nov. 20th to 30th, 2002. The subjects included 301 males(48.7%) and 317 females(51.3%).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were underweight, normal and overweight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BMI) was 3.7, 88.0 and 8.3 for the males, and 29, 71 and 0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Most students (73.8%) skipped breakfast. This was because of lack of time(65.1%) of the cases. Self-reported eating habit problems were eating irregular meal(52.4%), overeating(21%), prejudiced meal(12.4%) and skipping meal(7.4%). The type of favorite snack was biscuit(31.9%) and cup Ramyon(31.9%). The type of favorite beverage was juice(23.3%). The coffee intake was higher in males compared to females. The rates of alcohol drinking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88.0% and 85.8% respectively, and the rates of smoking were 35.9% and 2.8% respectively. Percentages of weight control experience were 30.2 and 51.4 in the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BMI of students living in home and eating breakfas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tudents. The BMI of students eating cup Ramyon and water increased. The BMI of students taking regular exercise and weight control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subjects not doing so. When the amount of pocket money available and the rates of coffee intake, alchol drinking and smoking increased, the BMI was increased. Therefore, nutrition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needed so as to improve their health and to modify life habits an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these students.
        5,100원
        31.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자의 동결보존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 목적은 동결과정에서 최소한의 손상으로, 응해 후 최대한 높은 활력도의 정자를 얻는 것이다 정자가 난자와 수정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생존성과 운동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정자의 진진 운동성과 첨체의 정상 여부 및 형태 검사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사람 정액을 동결보존 할 때 semi-programmable freezer를 이용한 완만동결 방법과, 액체질소의 vapor를 이용한 급속동결 방법이
        4,000원
        33.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ysteine and glutathione on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of human spermatozoa at the sperm processing in vitro.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medium containing cysteine and glutathione, we measured the motility index and morphology at 0.5 h and 24 h. 1.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h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cysteine, curvilinear velocity (VCL)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ntrol than that in all treatments. And straight-line velocity (VSL) was high at 1 mM and average path velocity (VAP) was low at 5 mM and 10 mM. But the motility (MOT) and morphology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all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significantly high in treatment groups (58.9, 74.4 and 62.3%),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28.7%) and the VCL was also high in treatment groups (31.4, 37.9, and 34.0 /s),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21.3 /s). The VSL (18.4, 21.7, and 18.9 /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10.7 /s) and the VAP (20.3, 24.7, and 21.4 /s) in treatments was also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12.6 /s). The NOM was no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2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0.5 after treating the sperm with the medium containing 0, 1, 5, 10 mM glutathione, the MOT, VCL, VSL, VAP, and NOM were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Following the sperm culture for 24 h, the MOT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82.9, 83.6, 83.4%) than in control (51.1%) and the VCL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s (50.9, 51.3, and 49.4 /s) than control (34.1 /s). The VSL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17.1 /s) and the VAP was also higher in treatment groups (30.1, 32.5, and 29.7 /s) than in control (19.8 /s). The NOM was not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s.
        4,000원
        35.
        202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yphoons using a more objective index based on strong winds and precipitation data from 1904 to 2019 obtained from the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The Typhoon Type Index (TTI) was calculated by classifying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of each typhoon, thereby revealing the rate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type and rain-type typhoons. In addition, the top 10 typhoons for property damag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typhoon course. The analysis showed that typhoons of type 1, heading north to the west coast, were most clearly affected by the wind.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wind was reduced and the impact of rain increased in the order of typhoon type 2 that landed on the southern coast and type 6 that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China.
        36.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관전압과 관전류량이 디지털 방사선영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노출 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사선발생장치는 인버터방식의 디지털 X선 발생장치를 사용했으며 영상검출체는 포터블 형태의 무선 디텍터를 그리드 없이 사용하였다. 방사선영상은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원뿔형 피라미드 팬텀을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X선의 관전압 조사조건은 40 kVp부터 120 kVp까지 10 kVp 씩 증가시켰고 각 관전압에서 관전류량은 1 mAs에서부터 128 mAs까지 배수적으로 증가시켰다. 그 결과 관전압이 EI와 높은 R2값으로 로그 함수적 관계가 있었으며 관전류량이 매우 높은 선형적인 관계가 있었다. 또한 영상 검출체의 면적선량과 EI도 R2값이 0.76 이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관전류량이 EI에 선형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적절한 영상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예측이 용이한 관전류량을 주로 조절하 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37.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과 random forest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한강유역(34,148 km2)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국립 환경과학원에서 8년간(2008~2015년) 봄철(4~6월)에 모니터링한 부착돌말류 지수(TDI), 저서형 대형무척추동물지수(BMI), 어류평가지수(FAI)는 0~100점, A~E등급으로 평가되며, 이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수생태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수질(T-N, NH4, NO3, T-P, PO4)과 수온을 선정하였으며, 수질 오염도가 낮은 경우에는 수생태계 건강성 점수가 광범위하게 분포되지만 수질 오염도가 높은 경우 수생태계 건강성 점수가 낮아지는 역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기계학습의 분류 분석 기법 중 하나인 random forest 모델을 이용한 세 개의 수생태 건강성 지수 등급 분류 결과 정밀도, 재현율, f1-score 모두 0.81 이상의 예측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기상청의 HadGEM3-RA RCP 4.5와 8.5 시나리오를 적용한 미래 SWAT 수문, 수질 결과 기저유출의 증가로 인해 질소 계열 수질 농도는 기준년도 대비 최대 43.2% 증가하였고, 지표유출 감소로 인해 인 계열 수질 오염도는 최대 18.9%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 FAI, BMI의 등급은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TDI는 등급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를 통해 TDI는 질소 계열 수질에 민감하고 FAI, BMI는 인 계열 수질에 더 민감하다고 판단하였다.
        3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동노출제어 (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이용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체질량지수 (BMI; Body Mass Index)가 입사표면공기커마 (ESAK; Entrance Surface Air Kerma)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AEC를 이용하여 복부 일반 X선 검사를 시행 받은 321명을 대상으로 키, 몸무게, BMI와 ESAK의 관계 및 BMI범주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Obese 1, Obese 2)에 따른 평균 ESAK값을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몸무게 (R2=0.777, p<.001)와 BMI (R2=0.835, p<.001)는 ESAK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던 반면, 키 (R2=0.075, p<.001)와 BMI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BMI범주에 대한 평균 ESAK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분석을 통해 유의수준 0.05에 대해 5개의 부집단이 존재하여 모든 BMI범주 간 ESAK값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접한 BMI간 ESAK값 증가폭이 Underweight에서 Obese 2로 갈수록 점차 늘어나 BMI가 증가할수록 피폭선량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복부 일반 X선 검사에서 AEC를 사용할 경우 BMI가 증가함에 따라 과도한 선량이 조사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검사조건을 고정하여 촬영하는 등의 노력을 통한 선량저감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9.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제방의 취약성 변화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여 홍수위를 구하고 제방의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침투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대표 제방을 선정한 후, 대표 제방의 현재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위를 고려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방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본 연구자가 기 개발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40.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추관절의 부정렬로 인한 두부전방자세를 가진 대상자에게 관절가동술을 적용 후 경추관절의 자세변화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자들은 경상북도 G대학 학생 39명 중 경부관절가동술그룹 20명, 가동술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 19명을 나누어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방사선 사진 촬영을 한 후 그 중 경추전만각(cervical lordosis angle)이 21°이하이고, 머리의 전방무게부하(anterior weight bearing, AWB)가 15㎜이상이며, 경추 신전 관절가동범위(extension ROM)가 70°이하인 대학생을 선별하여 자발적 동의를 구하였다, Mulligan 기법(1995) 중 SNAGS로 경추 신전과 굴곡 운동을 주당 3회, 4주간 통증이 있는 관절을 치료사가 지속적인 종속활주운동(sustained accessory glide)을 적용하는 동안 환자가 능동적으로 관절운동을 각 회마다 천천히 8회 정도 적용하였다. 측정 방법은 방사선 검사와 경부장애지수를 통해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두부전방자세 대상자에게 경부관절가동술 적용 후 경부관절가동술군에서 경부의 AWB와 ARA, 굴곡신전범위 변화, NDI에 대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관절가동술 적용이 경부관절의 자세개선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두경부의 기능개선에서도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