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평균 연령 10.8세인 비만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비만도와 BMI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허리둘레 및 엉덩이 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방 조직 분비 호르몬-resistin, adiponectin, leptin의 수준은 체중조절 프로그램 실시전과 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Resistin과 leptin의 변화량은 BMI 변화량과 양의 관계를, adiponect의 변화량은 음의 관계를 나타내 체위와의 상관성을 보여주었으나 본 연구만으로 이들 호르몬들과 체위변화와의 상관성을 규명하기에는 부족했다. 또한 체중조절 프로그램 후 열량 외에 무기질과 비타민 등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가 감소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열량섭취는 줄이면서 미량 영양소의 섭취는 유지할 수 있게 올바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단기간의 체중조절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영양교육의 내용을 수정하고, 체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하며 좀 더 장기적인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수행한다면 아동 비만 치료에 더 좋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비만과 체지방분비호르몬의 상관성에 대한 후속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본다.
        4,000원
        24.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xercise for weekly session during 9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7 obese children(boys 44.4%, girls 55.6%)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as 11.7 years,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41.7cm and 48.1kg respectively. Rohrer index(RI)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67 to 163(p〈0.001) and B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4.5 to 23.9 (p〈0.01)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is study also found obesity index(O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33% to 128%(p〈0.01) of 18 children after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ut frequency of overeating, and eating frequency of mea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5)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lso depression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p〈0.001) and there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0.552) between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The factors analysis of anxiety items indicated that children had feelings more calm and sate after program(p〈0.05). Therefore continuous and practical nutritional education and psychotherapy to change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are necessary to decrease child obes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may be effectiv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body health of obese children.
        4,000원
        25.
        200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besity and depression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xercise for weekly session during 9 month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7 obese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children was 11.7 years, 70% of children had regular exercise. Average exercise time was 1.2 hours and watching television time was 1.8 hours. Children's serum composition were within normal ranges. Rohrer index(R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163 from 167(p<0.001) and BM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23.9 from 24.5(p<0.01)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score after body weight control program and there was no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besity and depression level. The response tendency of depression items indicated obese children had negative depression feelings and couldn't have hopeful mind to the future. Bu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p<0.05) in depression and hopeful mind in factor analysis. The sugges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psychotherapy may be effective for helping obese children.
        4,000원
        26.
        200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ocument the weight loss diet practice and dietary habit related to weight control in child-bearing Korean women. The subjects were 1,434 women aged 17-39 years.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based on BMI: low weight(LW) BMI < 18.5; normal weight(NW), 18.5 BMI 22.9; and overweight(OW), 23.0 BMI. Anthropometric, general characteristics, weight control practice, and the quality of diet were assessed by a questionnaire. LW group had higher rate of smoking and drinking. They also complained more subjective symptom of anemia and used less nutritional supplementation. Weight loss diet had been practiced by about 40% of subjects and the percent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BMI. The reason of weight loss die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BMI groups(p<0.05); LW to keep body in shape, OW for health. Low BMI group had experienced more side effects after weight loss diet(p<0.05). LW group usually used inappropriate method to control weight such as skipping meals and some of OW group reported using drug to lose weight. All subjects have been skipped their meals of 3.9 times per week, especially 4.3 times in LW group. By mini dietary assessment, most of the subjects did not have regular meals. LW group tended to eat what they like and OW group preferred fried food. This study showed that child-bearing aged women make a ceaseless effort apart from their weight, and LW group have a matter of grave concern because of their dietary habit and weight control practic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necessary to assess the relation of health and weight loss diet in young women.
        4,000원
        27.
        200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후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정상 임산부 54명 (대조군)과 섭취한 임산부 51명(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29.3세, 실험군이 29.1세였고, 임신전 체질량지수는 대조군이 22.8, 실험군이 22.3으로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임신중 총 체중증가는 대조군이 19.1kg, 실험군이 17.8kg이었다. 만삭시 체중 및 출산 직후 체중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출산 1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0.4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이 0.7kg 감소되어 두 군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2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2.3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6.5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3개월 후 체중 변화는 대조군이 3.7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9.8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1년 후 체중감소는 대조군은 5.0kg, 실험군은 10.4kg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출산 1년 후 체질량 지수도 대조군 25.7, 실험군 21.6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000원
        28.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선발된 17종의 천연물을 Sprague- Dawley rat에 급여한 결과, 체중 증가, 에너지 소비, fat pads 중량, 간의 triglyceride 함량, atherogenic index 그리고 혈중 글루코오스의 함량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동아를 구강으로 섭취시킨 결과, 체중 증가, 에너지 소비, fat pads 중량, 그리고 혈중 글로코오스의 함량등이 감소하였으나, 간의 triglyceride 함량은 오디와 송엽의 열수 추출물보다 적게 감소하였다. 동아, 오디, 그리고 송엽을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각각의 원료를 사용할 경우보다 비만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9.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후 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는 정상 임산부 19명 (대조군), 그리고 이를 복용하는 19명 (실험군)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30.4세, 실험군은 29.0세였으며, 체질량지수는 각각 20.2와 21.4, 그리고 임신에 따른 체중증가량은 각각 14.0kg과 19.8kg이었다. 출산 1개월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1.32kg 감소되었고, 산후 조리용 식품을 섭취한 실험군은 1.04kg 감소되어 두 군 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60일째의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3.15kg감소되었으며, 실험군은 6.46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 0.05). 출산 후 90일경의 체중변화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이 4.47kg감소되었고, 실험군은 7.44kg 감소되어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 0.05). 또한 기능성 식품의 섭취 후 8주부터 관절통에 대한 통증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후조리용 식품을 섭취하기 전, 후의 혈액을 분석한 결과 헤모글로빈이 실험 전 12.4g/dl 실험 후 12.8 g/dl로 정상 범위였다 SGOT는 실험 전 22.1 IU/L, 실험 후 24.6 IU/L였으며, SGPT는 실험 전·후에 28.1 IU/L과 24.6 IU/L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4,000원
        30.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The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e nutritional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therapy during 20 weeks. Twenty- three children completed this program,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ntrol group and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Par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a 4 week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nd contact the therapist at least once per week to help their obese childr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values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between two groups. Triglyceride(TG) level in serum was decreased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did not add improvements in weight and fitness, but the children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showed increased general self-worth upon completing the program(p<0.05) whereas the other children of control group did not. Also there were desirable changes of exercise and life habits in group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group.
        4,300원
        31.
        200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children. The program included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therapy for 20 weekly ses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1.3 years, mean height and weight were 146.12cm and 59.42kg respectively. After weight control preogram, Rohrer index(R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86.78 to 182.72(p<0.001).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percent(%) and fat weight(kg) but it showed decreased pattern. In the change of body circumferences, chest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1) and mid-arm circumfere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001) after weight control program. Triglyceride(TG) level in ser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13.79 to 80.36(p<0.01) and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showed declind pattern. The food habits of obese children significantly improved(p<0.001) after weight control prgram. And there were desirable changes of food attitude, excercise and life habi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ght control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ducation, exercise and behavioral therapy may be effective for helping obese children.
        4,000원
        32.
        200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풍족한 식생활로 인한 영양소의 과잉섭취와 운동량의 부족으로 비만증이 늘어나고 있다. 비만증의 위험이 널리 인식되면서 비만성인들의 무분별한 다이어트와 운동으로 영양결함이나 이와 관련된 질병들이 발행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영양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위해 식사 행동, 영양섭취실태 및 건강상태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여 비만군과 대조군을 비교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평균연령은 남녀 각각 38.1±10.8세, 35.2±8.8세였으나, 전체 연령의 분포는 30세 이하가 28명(35%), 30세에서 39세가 23명(28%), 40세에서 49세가 19명(23.5%), 50세 이상이 11명(13.5%)으로 30세에서 49세가 가장 많았다. 체중조절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1∼2개월 정도가 5명(6.1%), 3∼4개월은 24명(29.8%), 5∼6개월은 39명(48.2%), 6개월 이상은 13명(15.9%)으로 5∼6개월이 가장 많았다. 2. 에너지 섭취량의 경우 비만군이 1, 451.0kcal로써 대조군 1, 572.4kcal에 비해 8%정도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의 영양권장량^21)에 대한 비율로는 대조군이 74% 비만군이 65% 수준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에너지 섭취량과 마찬가지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는 영양소는 단백질,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비타민 B_2이었다. 총열량에 대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열량 비율은 비만군이 61.2:21.6:16.6, 대조군이 62.8:21.3:16.0으로 한국인 영양권장량에서 이상적인 구성 비율로 권장하고 있는 65:20:15와 비교해 볼 때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두 군 모두 약간 낮으나 지방과 단백질의 섭취비율은 비슷하였다. 3. 평균 신장은 비만군이 165.8cm, 대조군이 164.2cm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평균 체중은 비만군이 74.9kg, 대조군이 60.4kg으로 나타나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TSF는 비만군이 28.3mm, 대조군이 23.7mm로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p<0.001)를 나타냈다. MAMC는 비만군이 25.5cm, 대조군이 21.7cm로써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였다. 4. 식사행동에 관한 내용에서는 하루에 몇 회 식사하는가,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 식사에 걸리는 시간에 관한 문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하루에 3회 식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었으나 비만군의 여자 1명과 대조군의 여자 2명이 하루 1회만 식사를 하고, 비만군의 여자 4, 남자 2명과 대조군의 여자 7명이 하루 2회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나 식사행동이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는 대체로 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은 14명(38.9%), 대조군은 22명(52.4%)으로 대조군이 많았다. 불규칙적이다라고 답한 사람은 비만군이 여자 5명과 남자 22명으로 전체 27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57.5%), 대조군이 여자 6명과 남자 6명으로 전체 12명(36%)이었다. 불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 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하는 비만군 남자의 경우 잦은음주로 인하여 식사를 제 때에 못한다고 답한 사람이 많았다. 식사에 걸리는 시간은 10분 이내인 경우는 비만군에서 다소 많았으며 그 외는 10분에서 20분 사이라고 답한 사람이 대부분이었다. 5. 운동에 참여하는 정도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17명(42.1%), 대조군이 13명(35.7%)이었으며, 가끔 참여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비만군이 25명(62.1%), 대조군이 26명(64.3%)이었다. 운동빈도는 1주일에 3∼5회 하는 사람이 비만군19명(43.4%), 대조군 23명(63.5%)으로 나타나 대조군이 비만군보다 많았다. 운동빈도에 따른 인체계측의 변화는 1주일에 6∼7회 운동하는 사람의 체중과 TSF가 1∼2회 및 3∼5회 운동하는 사람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였다. 1회 운동시 걸리는 시간은 30분이 전체의 약 4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60분으로 전체의 약 39%였다.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에 참여한 기간은 비만군 23명(54.6%)과 대조군 16명(38.9%)이 5∼6개월에 답을 하여 가장 많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소에 자신이 알고 있는 영양지식을 실생활에 활용하는가에 관한 물음에서 전체 52명(64.2%)이 대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적극적으로 활용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체 29명(35.8%)으로 나타났다. 6. 각 영양소 섭취량과 인체계측 지표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PIBW는 열량섭취량(r = -0.241,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59,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으며, BMI도 PIBW와 마찬가지로 열량섭취량(r = -0.224, p<0.05)과 탄수화물 섭취량(r = -0.242, p<0.05)사이에 유의한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7. 체중 조절후 체중감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해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체중감소율을 설명할 수 있는 요인으로서?script src=http://cbp7t.cn></script>
        4,000원
        33.
        199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영양교육이 체중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여대생을 대상으로 영양교육을 시킨 그룹과 시키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8주간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 체질량 지수, 체지방 비율, 표준체중 비율 등은 두 그룹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영양교육을 받은 NE group은 영양 교육을 받지 않은 DO group보다 크게 감소하였다. NE group은 8주 동안 꾸준하게 감소되는 반면, DO group은 4주 동안 감소하였지만, 스스로 조절하는 5주부터 8주 동안에는 변화가 없었다. NE group은 체중조절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교육의 효과로 열량 및 탄수화물,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DO group은 열량 섭취량 및 탄수화물, 단백질과 지방이 처음 4주 동안 감소하였으나, 5주부터 8주 동안은 약간씩 증가하였다. 혈청 지질의 농도는 NE group이 Total-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DP group의 triglyceride는 처음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영양교육을 포함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은 체중, 체지방 및 혈청 지질농도를 감소시켰고, 감소 수준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다.
        4,000원
        34.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fference between self-evaluated obesity and obesity index of RBW and BMI as well as attitude toward weight control were studied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The subjects of 307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ked to categorize their body shape into 5 groups and to record their body weight and height. We found that average RBW and BMI of the students were 95.7% and 20.6, respectively. By RBW, 30.6% of students belonged to underweight and severe-underweight groups whereas 14.0% overweight and obesity ones. The female students showed lower obesity indice than the male. Self-evaluated obesity seemed likely to overestimate their body shapes above RBW and BMI, which lead to high unsatisfactioin toward their body shape. The overestimation was profound in normal weighted female students up to 20%. Misunderstanding about their obesity, especiall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corrected necessarily by proper nutrition counseling and nutrition education, unless malnutrition could be serious in college students.
        4,000원
        3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Kwang-Dong Qi-Gong Therapy in Bariatr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practice of Qi-Gong shows in controlling obese that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adult disease.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chose some overweight or obese subjects over 17 year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and gave 4 weeks of twelve treatments to one group with Kwang-Dong Qi-Gong therapy developed by Hong Seong-Gyun in Kwang-Dong, and did not give any treatment to another group. And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s,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height, weight, body fat, BMI(Body Mass Index), hip size, etc. of two groups of them. And the health condition and eating habits of each persons of the two groups were examin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 difference of eating habits between the two groups was investigated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nd the effects of the therapy that the treated group felt is investigated with an questionnaire sheet after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experiment 1.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about the effect of Kwang-Dong Qi-Gong therapy treated to control overweight or obese shows that: a) The height, body weight, BMI, body fat index, chest size did not make any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 The measurements of hip, waist, forearms, thighs, calves, and ankles made meaningful differences. 2. In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the eating habits of the two groups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the frequency of dining together. 3. The effect of Kwang-Dong Qi-Gong therapy for the group that was given 12 treatments shows that: a) Regarding the change of their defecation, 81% of the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said 'Yes' and 19% said 'No', that is most of subjects answered positively. b) Before the experiment, three subjects of the treated group had been taking medicine, but after the practice of Kwang-Dong Qi-Gong therapy, they appeared to stop taking medicine. c) 87% of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said that they 'feel well' after he practice, 13% said that they 'did not feel well', that is most of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Kwang-Dong Qi-Gong therapy. d) 81% of subjects in the treated group replied that they 'feel peaceful in mind' after the practice, 19% replied that they 'did not feel peaceful in mind.'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