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21.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 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 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 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 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 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2.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the STS (Sequence Tagged Site) marker for discrimination between oat cultivars used the EEG (Euchromatin Enriched Genomic) DNA library in oat. The EEG DNA library was constructed the Mcr A and Mcr BC system in DH5 alpha bacterial cell line. About 3,500 EEG colonies had been constructed by using junk DNA exclusion. About 800 colonies were selected that included insert DNA more than 500 bp. It was analyzed the genetic information by using blast searches of NCBI web site. More than three hundred STS primer sets were developed using sequencing data of selected colonies and about 90 primer sets which showed single band were selected in Olgwiri. It was applied to twelve oat cultivars including Olgwiri and has been shown polymorphism at 15%. PCR product which amplified with selected STS primer was treated with six endonucleases and was showed polymorphic bands. These primers could be useful for specific allele tagging in mapping populations and germplasm and for the study of functional genomics of oat.
        23.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형태적․유전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앞서 수집종 58점의 유전 분석 결과 를 이용 금산과 풍기지역간에 가장 멀리 떨어져 grouping된 수집종 각 5점씩을 선발 주요 유전적 형태적 특성 비교 및 기존품종 15종과 유전분석 결과와 풍기지역에서 약 20년 이상 재래종 인삼을 자가 채종 재배하고 있는 10농가를 대상으로 UPOV 특성 조사 기준에 따른 설문조사 등을 토대로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기준으로 풍기 재래인삼의 지역표시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풍기지역 고유의 신품종 육성 및 선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수집종과 기존품종에서 선발된 9개의 primer 에서 얻어진 PCR 결과는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첫 째는 풍기 수집종 3점과 금산 수집종 3점, 둘째는 대부분의 기존 품종과 금산 수집종 2점, 풍기 수집종 2점이 group지어졌지만 그룹 내에서 수집종들은 지역별 로 clustering되었다. 풍기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은 기존 품종과 90%정도에서 유사성을 보였지만 함께 group지어지진 않아 기존 품종과는 유전적 차이를 보였다. 지역간에 가장 멀리 group지어진 풍기 수집종 중 331004, 331007, 331005 및 331026은 함께 group지어졌고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grouping 된 반면 금산 수집종 5점은 함께 group지어졌다. 이는 농가 조사에서 풍기 재래종은 경수는 대체로 1개, 장엽 수 5개, 경색과 엽병색은 대부분 자색계열이라는 것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풍기 수집종 중 유전분석 및 농가 설문조사 등의 결과와 일치하는 특성을 가진 풍기 재래인삼은 수집종 중에서도 331007이 대표적이었다.
        2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ice blast resistanc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its in rice breeding and the disease, caused by Magnaporthe grisea Barr, has brought significant crop losses annually. Moreover, breakdown of resistance normally occurs in two to five years after cultivar release, thus a more durable resistance is needed for better control of this disease. We developed a new variety, Keumo3, which showed strong resistance to leaf blast. It was tested in 2003 to 2007 at fourteen blast nursery sites covering entire rice-growing regions of South Korea. It showed resistance reactions in 12 regions and moderate in 2 regions without showing susceptible reactions. Durability test by sequential planting method indicated that this variety had better resistance. Results showed that Keumo3 was incompatible against 19 blast isolates with the exception of KI101 by artificial inoculation. To understand the genetic control of blast resistance in rice cultivar Keumo3 and facilitate its utilization, recombinant inbred lines (RIL) consisting of 290 F5 lines derived from Akidagomachi/Keumo3 were analyzed and genotyped with Pizt InDel marker zt56591. The recombination value between the marker allele of zt56591 and bioassay data of blast nursery test was 1.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AS can be applied in selecting breeding populations for blast resistance using zt56591 as DNA marker.
        30.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omopsis seed decay (PSD) is part of a major fungal disease complex found in most soybean production areas of the world. To establish the genetic linkage map and efficient soybean breeding program, DNA markers were surveyed for polymorphism between PSD resistant (cv. PI 417479) and susceptible (cv. Hwaeomput-kong) varieties. F2, BC1F2, BC2F2 and the corresponding F2:3 population families were used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lecular markers and resistance to PSD. In SSR analysis, Sct_033 was the mos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D resistance among selected eight primers. AF1, AF2, and AF3 were also selected in AFLP analysis. And a few promising lines could be selected from two times of back cross. Especially a breeding line SS01415-8-1 was developed, which has high seed quality such a large seed size, bright hilum color, round shape, and etc. It might be considered a good breeding material for new recommend variety having resistance gene to PSD with good seed quality.
        35.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of molecular markers to improve crops largel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rapid and of efficient DNA extraction methods. Here we developed a cheap and convenient method to isolate genomic DNA from rice grains suitable for large-scale microsatellite analysis. We confirmed that the isolated rice DNA is suitable for PCR analysis with STS marker and SNP marker, as well as microsatellite marker. Further, we established high-throughput DNA extraction system in a 96-well plate format which make it possible high-throughput analysis of microsatellite markers with rice grains. This implies that the new method could be a useful tool for other types of marker analysis in large scale.
        39.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NA markers such as a STS marker, BpE18-3, and three RFLP markers, RG413, RG901, and G258 linked to Bph1 were employed to classify the source of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BHP) in rices. The markers, BpE18-3, RG413, and G258, showed distinct po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