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1.
        198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know the decreasing causes of plant density and its relations with pasture productivity by the times of established pastur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yield components of dead plant can be u
        4,000원
        22.
        198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 역병균(疫病菌) Phytophthorn cepsici의 토양중(土壤中) 밀도(密度)와 고추의 생육기(生育期) 및 온도(溫度)가 역병발생(疫病發生)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내실험(室內實驗)과 비닐하우스 재배실험(栽培實驗)을 했던 바 다음 몇가지 결과(結果)를 얻었다. 인위적(人爲的)으로 접종(接種)한 병원균(病原菌)의 초기 생존수(生存數)는 무살균토양에서 월등히 많았으나 13일(日)이 경과된 후에는 급격히 감소되어 35일(日) 후에는 살균 무살균토양 모두 생존균(生存菌)을 검출(檢出)할 수 없었다. 토양 1g당(當) 최소 5개 이상의 유주자낭(遊走子囊)에 해당하는 전염원(傳染源)이 있어야 고추역병(疫病)이 발생(發生)되었으며 그 이상 전염원량(傳染源量)이 증가될수록 발생(發生)이 증가되었고 잠복기(替伏期)도 짧아졌다. 동일(同一)한 양(量)의 병균(病菌)을 접종(接種)했을 때 초기(初期)에는 묘령(苗令)이 어릴수록 발병(發病)이 많았으나 4주후(週後)부터는 묘령(苗令)에 관계없이 비슷하였다. 잠복기(潛伏期)는 묘령(苗令)이 어릴수록 짧았으나 병지속(病持續期間)은 생육기(生育期)에 따른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다. 고추 유묘(幼苗)의 이병율(罹病率)은 에서 가장 높았고 순(順)이었으며, 전혀 발병이 없었던 와 에 처리(處理)했던 식물(植物)을 처리로 옮겼을 때 처리식물은 50%까지 계속 발병을 보인 반면 는 전혀 발병되지 않았다.)이 심(甚)하여도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높지 않았다. 그리고 발아율(發芽率)에서는 반문(斑紋)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 검정(檢定)에서 Columbus외(外) 14품종(品種)이 이병성(罹病性), Chief외(外) 14품종(品種)이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 장백(長白)콩외(外) 17품종(品種)이 저항성(抵抗性)인 것으로 나타났다.(增加)되었는데, 특히 diazinon 과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높은 증가율(增加率)을 보였다. 7. 약제처리(藥劑處理) 후(後), hopperburn발현도(發現度)는 약제(藥劑)의 종류(種類) 및 처리농도(處理濃度)에 따라 큰 차이(差異)를 보였는데, hopperburn발현(發現)은 diazinon, decamethrin 처리(處理)에서 크게 촉진(促進)되었다. 이상의 결과(結果)를 종합적(綜合的)으로 볼 때, diazinon 과 decamethrin의 처리(處理)는 포장(圃場)에서 벼멸구의 산란력(産卵力)과 성충수명을 증대(增大)시키고, 식이활동(食餌活動)을 촉진(促進)함으로서 벼멸구의 resurgence를 유발(誘發)하고 아울러 수도체(水稻體)의 hopperbun을 가속화시킬 가능성(可能性)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는 점차 약하여 졌으나 catalase, invertase는 그 활성도가 일단 숙성중기에 높아졌다가 낮아졌다.n 이 pH 4.2이고 temperature는 이었다. 그리고 5'-phosphodiesterase 생성에서 최적 탄소원은 sucrose이고 질소원은 이고 corn steep liquor나 혹은 yeast extract를 각각 0.01%씩 첨가한 구는 첨가하지 않은 control 구보다 20%의 5'-phosphodies
        4,000원
        23.
        197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이삭선충(심고선충), Aphelenchoides besseyi Christie의 접종밀도가 벼의 생육 및 본선충의 자성충의 체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온실내에서 포트시험을 수행하였다. 선충을 접종하였을 경우에 벼의 초장, 분벽수 및 지상부의 건물중의 감소를 초래했으며 접종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성충의 체장도 감소하였다.
        3,000원
        24.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골풀의 본답재배에서 시비량과 재식밀도 차이가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시험하였다. 그 결과 시비량에서는 N-P2O5-K2O(kg/10a)=80-20-40구가 재식밀도에서는 20×10cm와 20×15cm 처리에서 경장과 경수에서 우수하였고 건경 수량과 건경 품질에서도 우수하였다.
        25.
        2005.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utumn,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Yudal variety for autumn sowing,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three different planting dates and five different plant densities.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2, number of branches and pod length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Sep. 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Yield of seed, oil and 1,000 grains weight were highest at th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 cm drilling of plant density.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seemed to be Sep.30 of planting date and 30/20cm plant density in autumn sowing.
        26.
        2005.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spring,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in southern areas of Korea. Taiwan#1 variety for spring sowing,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ear length, number of seedling stand per m2, number of per ear and seed set percentage were highest at the plots with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drilling of plant density. Yield of seed, oil, gas and 1,000 grains weight and erucic acid content were highest at the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drilling of plant density. Judging from the results reported above, at optimum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f rapeseed seemed too be Mar. 5 of planting date and 50/20cm plant density in spring sowing.
        27.
        200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optimal plant density of forage rye in southern areas of Korea, forage rye cv. Paldanghomil,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experimental varieties of forage rye,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plant density.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height, and number of leaves were highest at the broad casting. Plants sown at broadcasting also showed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yield. When plants were grown of the broad casting, they showed higher values in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er values in contents of crude fiber such as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IVDMD) and plant density. Plants sown at the broad casting showed highest digestible dry matter yields.
        28.
        200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distance in cultivation of yacon (Polymnia sonchifolia Poeppig & Endlicher). Plug seedlings were planted with 6 different plant densities of 80 ~times 60, 80 ~times 50, 70 ~times 50, 70 ~times 45, 70 ~times 40 and 60 ~times 45 cm. The plant height and the petiole length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planting distance. The tallest plant height of yacon was 165.4cm with the plant density of 80 ~times 60 cm. However, branch number per plant, leaf number on main stem and stem diamete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planting densities. Tuberous root was harvested 31.42 tons/ha in 70 ~times 50 cm spacing. The ratio of heavier tuberous roots than 200 g to total tuberous roots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crease of planting density. Fresh weights of shoot and root, contain the crown bud, were decreased, as planting distance was shorter. Tuberous root number was fewer but its weight was heavier in wide planting than in dense planting. We think that optimal planting density is about 30,000 plants/ha, if it were to be 70 cm row spacing, intrarow spacing should calculate about 47cm.
        29.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known to produce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mutrients (TDN) yield among summer grain legumes in Jeju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A determinate soybean cv. Baegunkong was planted on 5 June, 20 June, and 3 July and grown at four plant densities (30, 50, 70 and 90 plants m-2 in 1998 in Jeju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Days to flowering decreased from 47 to 38 days, average plant height from 61 to 51cm and main stem diameter from 6.31 to 5.00mm as planting was delayed from 5 June to 3 July. Average plant height quadratically increased from 45 to 62cm as plant density increased from 30 to 90 plants m-2 . Planting date did not affect the ave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The average dry matter and TDN yields display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and the optimum plant density for both dry matter and TDN yields was estimated about 60 plants m-2 . Plant density had no effect on crude protein yield. Planting da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orage qualit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lant density. Increasing plant density slightly increase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ut slightly decreased TDN content.
        30.
        2001.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weet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cultivar was planted on 9 and 30 June 2000 at plant densities of 4, 6, 8, 10, and 12 plants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 density in Jeju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lanting date x plant density interactions for most traits measured. Delaying planting from 9 to 30 June delayed 21 days in heading dat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lant height, the number of productive stems m-2 /, and lodging. Fresh stem yield tended to be higher at the 9 June planting date than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but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planting date. Percentage of soluble solid was higher at the 30 June planting date compared with the 9 June planting date.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yields quadractically increased from 22.9 to 36.7 t-1 , from 1.66 to 2.54 t-1 , and from 945 to 1440 L-1 ,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plant density. The optimal plant densities for the maximum fresh stem, total sugar, and ethanol were estimated to be 10.7, 9.6, and 9.9 plants m-2 respectively.
        31.
        199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기의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수확년차별(收穫年次別)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정선(旅善) 지방(雄方)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 ,휴간(畦間) 30, 40cm ,주간거리(株間距離) 5, 10, 15, 20cm로 파종(播種)하여 3년간(年間)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생(年生)의 경우 출아기(出芽期), 개화기(開花期), 경장(莖長), 마디수는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 대차 없었으며 분지수(分支數), 근장(根長), 근경(根莖), 근중(根重) 등(等)의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넓을수록 많았으나 건근수량(乾根收量)은 밀식조건(密植條件)인 30×5cm(67주(株)/m2)에서 211.8kg/10a 으로 가장 높았다. 2. 2년생(年生)의 경우 분지수(分支數), 마디수 등(等)의 지상부(地上部) 생육량(生育量)과 근경(根莖), 근경(根莖), 근중(根重) 등(等)의 지하부(地下部) 생육량(生育量)은 재식거리(栽植距離)가 넓을수록 많은 경향(傾向)이었으나, 수확주률(收穫株率)에 있어서는 재식거리(栽植距離)가 좁을수록 낮았으며, 건근수량(乾根收量)은 수확주률(收穫株率)이 높고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량이 많았던 40×10cm(25주(株)/m2)가 292kg/1ha으로 가장 많았다. 3. 3년생(年生)에 있어서는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생육상황(生育狀況)은 2년생(年生과)과 비슷한 경향(傾向)이었고 건근수량(乾根收量)도 2년생(年生)과 같은 평방미터 당(當) 25주(株)인 40×10cm에서 623kg/10a 으로 가장 높았다.
        32.
        199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황(地黃)의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화(影響)을 규명(究明)코자 지방재내종(地方在來種)을 공시(共試)하여 두둑 100cm에 휴폭(畦幅) 30cm × 주간(株間) l0cm 2열(列)(20주(株) / m2), 30 × l0cm 3열(列)(30주(株) / m2), 30 × l0cm 4열(列)(40주(株) / m2)로 하고, N-P2O5-K2O=12-12-l6kg / 10a, 퇴비 1,000kg/10a를 시용(施用), 4월(月) 11일(日)에 파종(播種)하여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은 재식밀도간(裁植密度間)에 차리(差異)가 없었고, 초장(草長)은 m2당(當) 20주구(株區) 15.5cm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0.5cm, 40(주구株區)는 0.7cm가 각각(各各) 짧았으며, 엽장(葉長) 및 엽폭(葉幅)은 처리간(處理間)에 차리(差理)가 없었다. 2. 근장(根長)은 24cm 정도(程度)로 처리간(處理間)에 차리(差理)가 없었으나 근경(根莖)의 굵기는 m2당(當) 20주구(朱區)의 11.4mm에 비(比)하여 밀식(密植)일 수록 0.6mm, 1.2mm가 각각(各各) 가늘었으며, 주당근경수(株當根莖數)는 감소되는 경향(傾向)이었다. 3. 10a당(當) 총(總) 수양(收量)은 m2당(當) 20주구(株區) 793kg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40%, 40주구(株區)는 45%가 각각(各各) 증수(增收) 되었고, 상품수양(商品收量)은 m2당(當) 20주구(朱區)의 420kg에 비(比)하여, 30주구(株區)는 48%, 40주구(株區)는 12%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으나, 중북부(中北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소득(所得)을 고려(考慮)한 지황(地黃)의 적정재식밀도(適正裁植密度)는 m2당(當) 30주(株)로 재배(栽培)하는 것이 유리(有利)하다고 판단(判斷)되었다.
        33.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2년 수원에서 간생 교잡종인 Golden Elite 70을 간기 및 보통기재배로 4수준의 재식밀도(4,500, 5.500, 6,500, 7,500본/10a)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기재배보다 보통기재배에서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 등은 컸으나 이삭수는 적었고 10a당 이삭무게는 비숫하였다. 2. 재배유형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은 이삭길이를 제외한 다른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 등의 형질에서 5% 수준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재식밀도간 출사기, 간장. 착수고, 이삭크기는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개체당 이삭수는 밀식 할수록 감소되었다. 4. 10a당 이삭수와 이삭무게는 10a 당 6,500본까지는 밀식할수록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밀식할 경우 감소되었다. 5. 따라서 단옥수수의 적정재식밀도는 재배유형에 관계없이 10a당 6,500본 정도가 알맞은 것으로 생각된다.
        34.
        198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72년 맥주맥 기신 2조 001 Deba abed를 교배하여 Hetero 반복자식법에 의하여 1982년에 만들어진 수두형 및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Isogenic lines)을 이용하여 시비량 3수준(표준비, 질소 30% 증비, 질소 60% 증비), 재식밀도 3수준 (60 18cm, 40 18cm, 20 5cm)으로 처리하고 시비량재식밀도에 따른 수두형 및 직두형계통의 생육, 수량 및 품질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10월부터 1985년 10월까지 천안에 위치한 단국대학교 농과대학 실험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수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은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보다 수장과 수축절간장이 길고 입착각도가 크며 1수립수는 계통간에 차이가 없었다. 재식밀도에 따라서 변화가 인정되지 않는 특성은 출수기와 수장이며 재식밀도에 따라 변화되는 유의 2. 수형유전자의 작용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간장, m2 당 수수, 1수립수, 수량, 가변성질소등으로 수형동질유전자계통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수형유전자의 작용을 강하게 받는 형질은 주로 품질에 관련되는 형질로서 수장, 천립중, 정립률, 원맥 및 맥아조단백질함량, 맥아수량률, 맥아전질소, 콜박지수, 효소력 등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3. 수두형과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이 시비량 차이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간장, 수장, 1수립수, 천립중 등이며 영향을 많이 받는 형질은 m2 당수수, 수량, 정립률, 원맥 및 맥아조단백질함량, 맥아수량률, Extract 수량률, 맥아전질소, 가용성질소, 콜박지수, 효소력 등이다. 4. 수두형과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이 재식밀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은 형질은 출수기, 수장이며 영향을 받는 형질은 간장, m2 당수수, 1수립수, 천립중, 1 중, 수량, 정립률과 품질관련 형질들이었다. 5. 시비량에 있어서 12-12-9 kg 구가 맥주맥의 품질이 가장 좋으며 수양은 15-12-9kg 가 많았고 재식밀도에 있어서 관행재배보다 협신파재배나 세조파재배를 할수록 다시 말하면 균등배치양식을 할수록 수량이 많아지고 품질이 양호하였다. 6. 수두형이 직두형 동질유전자계통보다 품질관련형질면에서 유리하므로 양질맥주맥 품종육성에 있어서 선발지표로 할 수 있으며 수두형은 직두형보다 간이 연약하여 도복이 우려되므로 선발시 항상 유의해야 한다.
        35.
        198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변형단교잡종 채종재배에 있어서 웅주간파 ♂♀ 1 : 2, 2 : 4 등의 파종양식과 재식밀도가 종자친의 생육 및 채종량과 화분친의 웅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1983년 제천옥의 종자친 KS8/B68과 화분친 KS5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 및 간장은 파종양식이나 재식밀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고 종자친의 착수고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2. 종자친의 100주당 수수는 10a당 종자친 3,500본에서는 파종양식간에 비슷하나 5,000본 이상에서는 2 : 4 재배보다 웅주간파나 1 : 2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파종양식에 관계없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수당입수는 파종양식간에는 차이가 없고 파종양식과 재식밀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지 않았으나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작아졌다. 100입중은 25g 내외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3. 화분친의 화분이 제한되지 않은 조건에서의 채종량은 웅주간파, 1 : 2재배, 2 : 4재배순으로 많은 경향이였고 10a당 종자 친 3,500본에서 5,000본으로 증가시킴에 따라 크게 증가하나 5,000본에서 6,500본으로 재식밀도 증가에 따른 채종량 증가는 크지 않았다. 4. 화분친의 웅수장과 웅수당 영화수는 1 : 2나 2 :4재배에 비하여 웅주간파 재배에서 작았고 재식밀도 증가에 따라 1 : 2 및 2 : 4재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으나 2: 4재배에서는 유의하게 작아지지 않았다. 5. 변형단교잡종의 채종에는 1 : 2나 2 : 4재배의 10a당 종자친 5,000본 재식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36.
        198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교잡종 옥수수인 수원 19호(일반형)와 수원 58호(직립형)를 10a당 4,000, 5,500, 7,000, 8,500 본의 비율로 각각 5월 4일, 5월 25일, 6월 15일에 파종하여 파종기와 재식밀도가 옥수수 및 수량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에서 출사까지 일수는 5월 4일 파종구가 74일이였으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감소하여 6월 15일 파종에서 58일로 단축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출사기가 1일 늦어졌다. 파종에서 출사까지 기간을 유효적산온도로 표시하면 어느 시기에 파종하더라도 약 810℃ 가 소요되었다. 2. 100본당 이삭수와 수당립수는 재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다. 3. 5월 4일과 5월 25일 파종한 수원 19호의 100립중은 밀식할수록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수원 58호의 100립중은 어느 파종기에서도 재식밀도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파종이 지연됨에 따라 두 교잡종의 종실수량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원 58호가 현저하였다. 5. Duncan의 방법에 의하여 추정한 적정재식밀도는 수원 19호가 5월 4일과 25일 파종시에는 10a당 약 5,500본이고 6월 15일 파종에서는 3,200본이었다. 수원 58호는 5월 4일 파종구가 약 7,100 본, 5월 25일 파종구가 약 5,400본이었다.
        37.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수도 만식재배에 있어 m2당 재식밀도나 주상묘수를 달리 하였을때 수량구성 요소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실시하였든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 재식밀도의 증가와 주당묘수의 증가는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를 증가시켜 수량의 증대를 가져왔다. 2 재식밀도의 증가, 주당묘수의 증가는 단위면적당 엽신장과 엽신의 건물중을 높여 영화수를 증가시켰다. 3. 재식밀도의 증가는 단위면적당 엽면적과 건물중을 높여 수량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4. 밀양2001의 만식기는 m2당 재식밀도는 28~33주, 주당묘수는 6본식으로 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