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스트리트 파이터 2는 1990년대 대전 격투 게임(Fighting Game)이라는 장르에서 혁신적인 역 할을 하였던 게임이다. 이 게임이 흥행했던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필자는 캐 릭터의 배경음악(Background Music)에 관하여 서술하고자한다. 사운드적인 측면에서 열두 명 의 캐릭터에 어울리는 주제음악(Theme Music)과, 각 캐릭터의 기술을 사용할 때 나오는 보이 스(Voice)가 탁월한 게임이다. 스트리트 파이터 2는 캐릭터의 체력에 따라 배경음악이 다른 양 상을 보이는데 이를 화성적으로 분석하고, 음악 심리학(Music Psychology)의 관점에서 연구해보 고자 한다.
        2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create urban landscapes that take human emotio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waterscape facilities on users, as these facilities significantly impact their psychological comfort.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D scales and POMS of 60 male and 60 female participants after they watched a video of four waterscape facilities. Participants deemed the video clip of a fountain waterscape to be artificial and linked it with changeable images that increased their vigor. The video clip of waterfall stimulated various impressions (e.g., vital, liked, active, etc.) and changed participant’ mood states by increasing their vigor and decreasing fatigue. The video clip of the pond yielded familiar impressions, produced less free images, and decreased tension among participants. Finally, the video clip of the stream stimulated quiet and comfortable images as well as reduced negative feelings of anger, confusion, and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Furthermore, males experienc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fema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waterscape facility.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ur different waterscape facilities influenced participants’ mood states. Additionally, the psychological effects differed by gender. The data suggest that landscape planners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ir choice of waterscape facility when designing green spaces to ensure that the space is psychologically comforting to users.
        2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게임 산업 시장이 모바일 게임중심으로 변화하며, 모바일 게임 상의 가상전자화폐 구매는 게 임업체의 주요 수익창출요소가 되어 왔다. 특히 확률게임 원리가 도입된 캐릭터 뽑기 시스템은 가상전자화폐를 이용한 대표적인 수익창출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게임업체 가운데서 도 이례적인 매출을 기록한 일본의 겅호 엔터테인먼트의 모바일 게임 퍼즐 앤 드래곤의 캐릭터 뽑기 시스템에 과금하는 사용자들의 심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도출된 세 가지 심리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갓 페스티벌의 확률게임에 적용되는 도박적 심리반응 추구와 인지적 오류의 발생 (2) 기간한정 갓 페스티벌과 콜라보의 희소성메시지의 전달을 통한 반응심리 (3) 친구시스템 및 캐릭터 콜렉션을 통한 개인적 만족감의 추구.
        24.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psychological relaxation effects of different forest types on users .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Chamaecyparis obtusa, Quercus serrata, and Pinus densiflora, and 180 subjects were enrolled for the study. Mood improvement was analyzed using profile of moods states (POMS). After staying in the three types of forests, the emotional conditions of all subjects improved with respect to psychological stability. Chamaecyparis obtusa and Pinus densiflora forests were particularly helpful in ameliorating mood states. With respect to subcategory, C. obtusa forest improved conditions such as tension, confusion, and vigor, Q. serrata forest improved tension and P. densiflora forest improved tension, depression, fatigue, confusion, and vigor. Also, it is reported the improvement of tension and vigor in Hypertensive, tension, fatigue, confusion on diabetic, as well as tension, fatigue, confusion and vigor in ordinary peoples. The psychological reactions differed according to the forest type and disease types. Therefore, the forest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mood improvement.
        25.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특성, 수업만족 등 관련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2013년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자료 가운데 2013년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등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으며, 이러한 관계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들은 수업만족에는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학교생활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 특성, 수업만족 요인들 가운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관계 특성요인, 수업만족 요인, 심리적 특성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26.
        201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ort psychological skill training(PST)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psychological variables and frontal EEG asymmetry, a psychophysiological index of affect, motivation and anxiety. Methods: Participants were seven shooting athletes whose mean age were 18.3 years. They participated 8 sessions of positive psychology-based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60 min short lecture and group counseling sessions.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 psychological skill, and state sport confidence) and cortical activation at F3, F4, F7, F8, T3, T4 were collected under two conditions(before and after competition recall) before and after 8 sessions of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Electroencephalography(EEG) asymmetry scores and cortical activation at left and right each electrode sites were analyzed. Results: State sport confidence was increased following PST. Before PST, frontal EEG alpha asymmetry scores(FAS) after competition recall was lower compared to FAS before competition recall. However, FAS was not decreased after competition recall following PS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ort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ppears to increase state sport confidence and to enhance cortical activation at left frontal region, which is related to positive affect and approach motivation.
        27.
        2014.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ith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ose newly-coined words are widely spread and used in people’s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ife. Besides, due to the advanced internet and network, more and more internet new words are coined and the speed of it is increasingly faster. There is no doubt that those internet new words are not only popular among young people, but also adopted by people of all the ages. The author in this paper aims to study and analyze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the words newly-coined from sociological, psychological and linguistic perspectives, and in the mean time to observe the specific mentality of modern people as well as all kinds of social phenomena.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new words in both China and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olinguistics and sociolinguistics, among which the former concludes three parts of psychology of filling invacancies, psychology of language minimization and imitative, conspicuous motivations and poppsychology, while the latter involves four parts of reflection of life style, economic phenomena, appearance supremacist and pursuit of health. Through the analysis and study of the newly-coined words in China and South Korea in the light of sociology as well as psychology, the author finds that the occurrence and spread of new words in both the two countries is greatly influenced by society and people’s mentality, resulting in similar types of new words emerging in the two countries. Thus, fundamentally, new words are coined and popularized because of the integration of human’s specific mentality and social phenomena.
        2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rick walls are being widely introduced in rural areas. Walls are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of space. However, most brick wall works do not consider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rick wall bonds such as the stack bond, running bond, english bond, flemish bond, america b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psychological evaluation results among student group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using 10 adjectives. 2)Stack bonds have an uninspiring, artificial, simple, restful, boring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Running bonds have an uninspiring, restful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merica bonds have a unique and modernis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English bonds have a unique, modernistic, complex and chao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lemish bonds have no crit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3)The running bond earned the highest score in preference, while the stack bond scored the lowest. Employment of brick wall bonds on this study wa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brick wall bond design. 4)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brick wall bonds is very important and we should consider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of rural areas.
        29.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스포츠팀을 대상으로 팀의 심리요인과 수행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지적되었던 레벨이슈(level issue)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수준의 응답내용을 팀수준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여러 통계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37개팀 342명의 남녀 농구선수들이 이용현(2009)이 개발한 농구경기의 팀워크 지각 척도에 응답한 내용들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척도는 단결, 동료애, 평등지도, 지도자 노력의 4요인 1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결과, η2(eta-squared), ICC(intraclass correlation)(1), ICC(2), WABA(within-and between-entity analysis)에서 자료 합산의 정당성을 결정하는 기준치에 각각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구 선수들이 지각한 팀워크 수준을 팀이 지각하는 팀워크 수준으로 합산할 수 있는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추후 연구에서는 팀 수준에 대한 심리요인의 규명을 위해 집단측정 척도를 활용하는 경우 반드시 자료분석 이전에 자료의 합산을 정당화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0.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내 수준에서 지각된 코치-선수 관계, 기본 욕구만족 및 신체적,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6개 팀종목의 429명의 대학 운동부 남자선수가 참여하였으며, 지각된 코치-선수 관계의 세 요인(헌신, 친근감, 상보성)에 대한 군집 프로파일을 확인하기 위해 계층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였다. 추출된 군집 프로파일 간 기본 욕구만족, 신체적 및 심리적 안녕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유의미한 코치-선수 관계 군집이 확인되었다: 세 개의 관계 요인에서 점수가 모두 높은 집단(군집 1), 모두 낮은 집단(군집 2), 그리고 모두 보통 수준을 보인 집단(군집 3). 다변량분석의 결과 군집 1이 자율성, 유능성과 관계성 욕구에 대한 만족 수준이 가장 높고 부정적인 신체적 증상은 가장 낮았다. 군집 1은 군집 1, 2에 비해 자아수용과 삶의 목적 수준이 높았으며, 군집 1과 3은 군집 2에 비해 개인적 성장 수준이 높았다.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와 환경에 대한 통제 수준에서는 군집 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코치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한 선수일수록 기본욕구만족이 크고 긍정적인 신체적 안녕감과 자아수용,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 동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31.
        200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일반 아마추어 골퍼들을 대상으로 핸디캡 수준에 따라서 심리상태(목표설정, 루틴, 집중력, 자신감)에 어떠한 점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피험자는 총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리상태를 알아 보기위한 도구로는 골프심리 질문지(GPQ: Golf Psychology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아마추어 골퍼들의 심리상태중 목표설정 부분에서는 핸디캡이 낮은(경기력이 높은) 아마추어 골퍼들이 핸디캡이 높은(경기력이 낮은) 아마추어 골퍼들보다 목표설정 점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1) 루틴 및 자심감에서도 핸디캡이 낮은(경기력이 높은) 아마추어골퍼들이 핸디캡이 높은(경기력이 낮은) 골퍼들보다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1). 그러나 집중력에서는 핸디캡이 낮은 골퍼와 핸디캡이 높은 골퍼들 사이에서는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2.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rick pavement were widely introduced on the pavement in rural area. A variety of vision effects can be created from patterns of brick pavement. However, in most of brick pavement works,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concer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psychological effect on brick pavement patter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Psychological impression on brick pavement pattern is similar among man and woman groups. 2)Stack bond and running bond pattern have a simple, relaxed, organized, and comfor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asket weave & stack bond pattern has a simple and organiz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Herringbone bond pattern has a complex, dislike and uncomfortabl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Pinwheel bond pattern has a highly complex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asket weave and Basket weave variation bond pattern have a comm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3)Employment of brick pavement pattern on this research i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ick pavement patterns that hav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 concerned.
        33.
        200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국내의 체육 및 무용관련학회지에 발표된 무용심리관련 연구물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의 특성, 연구 주제, 연구방법, 통계분석방법 등을 시기별로 분석하고 향후 무용심리학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 무용심리학 관련연구의 경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 무용학 연구의 성과와 전망』(장윤정, 박중길, 2005)의 부록에 수록되어 있는 452편의 무용심리학 관련논문 중에서 무용 및 체육관련 학회지에 공식 게재된 논문으로서 원문 수집(한국학술정보 DB)이 가능한 85편의 연구물을 선정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은 대학생(26.5%)과 중고등학생(25.9%) 및 일반인(15.3%)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연구 주제는 무용수의 불안과 스트레스 (27.0%), 건강심리(24.7%), 수행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17.6%), 성격(16.5%), 창의성(7.0%)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주로 심리검사지를 사용한 조사연구(61.2%)가 가장 많았고, 현장실험연구(24.7%), 질적연구(8.2%)와 문헌연구(5.9%) 순으로 이용되었다. 통계분석기법은 기술통계가 전체의 26.1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t-검증(21.1%), ANOVA(20.0%), 회귀분석(10.0%), 상관관계분석(8.3%) 등의 순으로 이용되었다.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크게 연구대상의 제한 및 기본적인 정보 누락, 연구주제의 편중, 스포츠심리학이론의 무비판적 수용, 특정 연구방법에의 편중 등으로서 향후 연구대상의 확대, 무용 장면에 맞는 연구주제 개발 및 현장 중심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34.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운동참가자의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 증진에 관계가 있는지, 신체적 자기개념이 증진되면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운동참여 정도가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KAFA에어로빅 장에서 현재 참가하고 있는 16세-60세까지의 여성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은 김병준(2001)의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80~.89로 나타났고, 심리적 행복감은 양명환(1998)의 척도를 탐색한 결과 행복감, 몰입감 등 2개의 요인이 탐색되었으며, 신뢰도는 .80~.87로 나타났다. 운동참여 정도는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시간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정모형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 높은 적합도를 나타냈다. 각 변인간 인과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운동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참여정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참여정도가 신체적 자기개념을 통한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체적 자기개념은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직접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운동을 하면 신체적 자기개념이 향상됨으로써 심리적 행복감도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운동참여가 직접적으로 심리적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신체적 자기개념이 증진됨으로써 심리적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연구결과였다.
        3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국 투어프로 골퍼들의 시합 중 여러 가지 심리상태(집중력, 심상훈련, 목표설정, 루틴, 자신감)를 경기력(랭킹)과 비교해 보고, 각 변인간의 관련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다. 제 45회 PGA 선수권 시합에 참가한 서수 중 47명의 프로골퍼들을 무선 표집 하여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운동선수들의 심리상태정도와 심리기술 연습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개발된 MTE-1(Partington & Orlick, 1998)을 기본으로 한 GPQ(Lydia, 1999)를 사용하였다. MTE-1은 4가지 형식의 심리기술을 기본으로 한 39가지 세부항목으로 이뤄져 있고, GPQ(Golf Psychology Questionnaire)는 그중에서 20가지를 체택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프리샷루틴 이었다. 즉, 상위 랭킹 선수일수록 시합 중 프리샷루틴을 더 일정하게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경기력이 높을수록, 시합 중 심리적 준비상태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McCaffrey와 Orlick(1989)은 미국 PGA 투어선수들은 다른 골프선수들과 비교해서 시합 중 혹은 연습 중에 훨씬 효과적으로 심리적 준비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코치 혹은 레슨프로들은 골퍼들의 신체적, 기술적 면에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나 적절한 심리적 기술을 지도하기엔 역부족이다. 골프 선진국인 미국, 호주, 혹은 유럽의 많은 PGA, LPGA 선수들이 이런 점을 실감하고, 스포츠 심리학자들과 상담을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국내 PGA투어골프 선수들이 시합 중 심리기술을 이행하는 것은 최적의 능력을 수행하는데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