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중 보리, 밀, 호밀, 귀리,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5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월동 후 예취시기에 따른 생육 및 조사료 생산성에 관한 생장곡선을 조사하기 위하여 충남 예산군 소재의 충남농업기술원 답리작 포장에서 20062007년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상부 건물중에서 줄기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동 후 점차 증가하다가 어느 정점부터는 감소하는 2차원적인 경향을 보였는데, 줄기의 구성비율이 최고가 되는 시기는 각각 영양
        4,000원
        2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사료 생산에 유망한 동계작물 중 보리, 밀, 귀리(월동 가능), 트리티케일(라이밀) 등 4종의 총체맥류에 대하여 보리를 주품종으로 한 혼파재배시 조사료 생산 증대 효과를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보리 식물체의 건물중과 이삭크기 등으로 볼 때 혼파재배시 보리의 생육이 저하되는 작물은 트리티케일이 가장 심하였고, 다음은 밀이었으며, 귀리는 생육차이가 없었다. 보리를 주품종으로 하고 밀, 트리티케일, 귀리 등과의 혼파재배시 이삭수 증가 또는 보조작물의
        4,300원
        25.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품종 및 수확시기가 총체 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식용벼인 추청벼와 총체 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출수기, 개화기, 유숙기, 호숙기, 황숙기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을 하여 사일리지로 조제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숙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TDN 함량은 증가되었다.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총체 벼 전용품종이 식용벼 품종보다는 높게
        4,000원
        2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fermented alcoholic feedstuff (FAF), sustained-release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rBST)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size of Korean native cattle, Hanwoo. The experiment was carried at the Livestock Breeding Station in Kangwon-do with fourteen bulls of two groups, control and treatment. Seven bulls per each group were allocateed. In control group, bulls were treated with total mixed ration(TMR)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s. In treatment group, bulls were treated with TMR+FAF+rBST for the fattening period and TMR+FAF for the finishing period,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Average daily gains(ADG) of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0.86 and 1.11kg during the fattening period. ADG of treatment group were 29.1%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the fattening period and finishing period, ADG in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were 0.69 and 0.79kg, respectively, which shows 14.5% improvement of ADG in treatment group. Dry matter intake(DMI) was higher in treatmen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during the finishing, fattening or whole experimental period. Feed conversion efficiencies in fattening period were 8.65 for control group and 6.93 for treatment group which shows improving 19.9% of feed conversion efficiency for treatment group, while 12.38 for control group and 14.48 for treatment group in finishing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and treatment group in feed conversion efficiency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the favorable feeding system to produce growth performance is TMR+FAF+rBST feeding during the fattening period and TMR+FAF feeding in treatment during the finishing period.
        4,000원
        2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중부지역 답리작에서 파종시기를 달리하여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IRG, Lolium multiflorum), 총체보리(barley, Hordeum vulgare), 호밀(rye, Secale cereale)을 재배할 경우 생육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축산과학원(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생육특성 및 숙기는 조기 파종(9월 26일)구에서 관
        4,000원
        30.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료용 총체 벼의 수확시기 및 품종이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축산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식용벼인 추청벼와 총체벼 전용품종인 하마사리를 이용하여 생육시기별로 6회(출수, 개화, 유숙, 호숙, 황숙 및 완숙기)에 걸쳐 수확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TDN 함량은 증가되었다. ADF 함량으로 추정된() 평균 TDN 함량은 60% 내외로 나타났다. ADF 및 ND
        4,000원
        34.
        198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질계(砂質系) 답토양(畓土壤) 유형별(類型別)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Bentonite와 Zeolite를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이 수도생육(水稻生育)고 수량(收量) 및 토양개량(土壤改良) 효과(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포장(圃場) 시험(試驗)하였다.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 동시(同時) 전량전층(全量全層) 시용(施用)이 증수(增收)되었는데 사양토(砂壤土)에서는 Zeolite 1.0 M/T, 사토(砂土)에서는 Bentonite 0.5 M/T, 시용(施用)이 각각(各各) 5%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었고 사토((砂土)에서 Bentonite 1.0 M/T 시용(施用)은 1% 수준(水準)에서 유의증수(有意增收)되었다. 출수기(出穗期) 수도경엽중(水稻莖葉中)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은 삼요소(三要素)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에 비(比)해 삼요소(三要素)와 점토광물(粘土鑛物)을 동시(同時)에 전량전층시용(全量全層施用)함으로써 질소(窒素)와 규산함량(珪酸含量)은 높아졌고 인산(燐酸) 및 염기(鹽基)의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또 토양(土壤)의 pH와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다소 높아졌고 유효규산(有效珪酸) 및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4,000원
        3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Hair care products are mainly prepared by mixing chemicals and natural extracts, such as those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ic extracts from the whole plant of Houttuynia cordata and tymosin β4 powder mixtures on the growth of HaCat cells,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and 3T3-L1 cells. Methods and Results : In the ratio of tymosin β4 more than 10% concentrations, the cell viability of HaCat and HFDPC cell were increased by higher tymosin β4 concentrations. The mixtures of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and tymosin β4 had no toxicity potential to 3T3-L1 cell viability. In this test, the content of thymosin β4 was higher concentration, a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was increased.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adipogenesi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treatment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optimal mixture ratio of hair growth effect was 70% ethanolic extract of H. cordata solution 50% and tymosin β4 solution 50%. This mixture solution could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hair care products.
        36.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Hair loss related syndromes are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tress. Hair care products are mainly prepared by mixing chemicals and natural extracts, such as those obtained from medicinal 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70% ethanol extracts from the flowers of Calendula officinalis,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and the whole plant of Houttuynia cordata on the growth of CCD-986 cells, hair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HFDPC), and 3T3-L1 cells. Methods and Results: All sample extracts at all concentrations, except for that from P. linteus fruit body at 500㎍/㎖, were cytotoxic to CCD-986 cells. However, none of the sample extracts were cytotoxic to HFDPC.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3T3-L1 cells regulates hair regeneration via secretion o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The 70% ethanol extract of H. cordata whole plant promoted hair growth. Adipogenesis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treatment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70% ethanol extracts of C. officinalis flower, P. linteus fruit body and H. cordata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hair care products.
        37.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kwoo’, a mid-late maturing, high dry matter yielding rice (Oryza sativa L.) cultivar with a good early growth and low-temperature germinability, was developed for whole crop silage (WCS) use. It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leafy tropical japonica ‘LK1A-2-12-1-1’ with high biomass and good germinability in low temperature and new plant type (NPT), ‘IR72225-29-1-1’ which had low tillering trait, large panicle, dark green leaf, thick and sturdy stem and vigorous root system. This cultivar had about 123 days growth period from seeding to heading, 122㎝ culm length, 29㎝ panicle length, 9 panicles per hill, 144 spikelets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of 24.4 g as brown rice in central plain region, Suwon. This wide and long leafy WCS rice variety was weak to cold stresses similar to ‘Nokyang’ but was a little resistant to lodging in the field, strong to viviparous germination and good to low temperature germination. In addition, ‘Nokwoo’ was resistant to leaf and neck blast but susceptible to bacterial blight, rice stripe virus and brown planthopper. Its average dry matter yield for three years reached 16.5 MT/ha, 14% higher than that of ‘Nokyang’. This cultivar had 5.3% crude protein and 68.8% total digestible nutrients a little low compared to ‘Nokyang’. In Korea peninsular, ‘Nokwoo’ grows well in central and southern plain and is good to harvest between 15 to 30 days after heading to improve its feeding value and digestion rate of livestock (Grant No. 6072).
        3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Recently, hair loss,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mere means of middle-aged men due to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 market for hair loss in Korea is about four trillion won and it is growing continuously. It is mainly made by mixing natural extracts such as medicinal pl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whole plant and Calendula officinalis L. flower extracts on the growth of fibroblasts, dermal papilla cells and lipid precursors, I want to try to make a materialization. Methods and Results : The cytotoxicity of each sample extracts treated with 50%, 100%, and 500 μg to fibroblasts, cell-viability were 107.3%, 109.6%, and 128.2%, respectively. The cytotoxicity of each sample to the dermal papilla cells was not observed. And the lipid differentiation of the lipogenic precursor cells which regulates the hairegeneration by secretion of the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The 70% ethanol extracts of H. cordata whole plant and C. officinalis flower were showed promotes the hair growth activity. The lipolysis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reatment concentration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n-vitro hair growth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for hair treatment material development was not shown to be toxic to each cell. And 70% ethanol extract of H. cordata whole plant stimulated lipid precursor cells inducing differentiation. As a result, the 70% ethanol extracts of H. cordata whole plant and C. officinalis flower have potential to developing hair-related product.
        3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하여 조사료를 생 산함으로써 간척지 이용률 증진과 조사료생산의 두가지 가 능성을 검토해보고자 일반답과 간척답에서 사료용벼를 재 배하여 생육특성, 총체수량 및 사료가치 등을 조사하였다. 1. 출수기는 일반답에서 8월15일에서 8월30일, 간척답에 서 8월14일에서 8월 29일이었으며, 간척답이 일반답 보다 1~2일 빨랐으며, 목우는 일반답에서 8월 26일, 간 척답에서 8월 27일로 수원 544호를 제외하고는 가장 늦었다. 2. 초장은 일반답에서 105~135 cm범위이었고, 간척답에 서 97~126 cm범위였으며 일반답에서는 목양이 간척 답에서는 수원544호가 가장 컸다. 주당경수는 일반답 과 간척답 모두 녹양이 16개로 가장 많았고 총체수량 은 일반답은 15.26~23.24 MT ha-1, 간척답은 11.94~18.89 MT ha-1범위이었으며 목우벼가 두지역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각품종별 수량은 일반답에 비하여 78~84% 수준이었다. 3. 단백질 함량은 일반답에서는 녹양벼가 높았으나 간척 답에서는 6.7~8.7%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 고 목양벼가 8.7%로 가장 높았다. 각 품종별 NDF는 31.2~55.5% 수준을 나타냈으며 ADF는 일반답에 비 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가소화 양분총량을 계산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목우벼가 71.2%로 가장 높 았고 전체적으로 60%이상의 함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배하여도 사료로서의 가치는 충분할 것으로 생각되 었다. 4. TDN수량을 비교해본 결과 일반답에서 TDN수량은 목우벼가 16.54 MT ha-1로 가장 높았으며 간척답에서 도 12.69 MT ha-1 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5. 이상의 결과로 간척지에서 사료용벼를 재배할 경우 일 반답에 비하여 80%정도의 수량을 보여 간척지에서 재 배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목우를 재배할 경우 수량 및 사료가치면에서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4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에 조성된 신간척지 포장에서 담수와 하작물 재배처리가 제염 및 후작으로 재배한 청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신간척지포장의 조기제염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1. 담수기간별 하작물 재배후 청보리 입모를 보면 무담수에서 m2당 216개로 입모율 25%, 1개월 담수 43%, 2개월과 3개월 담수 58%, 벼 재배구는 60% 이었다.2. 토양염농도는 청보리 파종 시에 무담수 처리에서 0.50%로 높았고, 그 외 담수처리에서는 0.2% 이내로 낮았으며, 생육 중기까지는 높아지다가 생육후기에는 파종시의 수준과 비슷하였다.3. 초장과 간장은 담수기간이 길수록 많았으며, 경수도에서 504%, 벼 재배에서는 536% 증수하였다.5. 사료가치는 담수 1개월은 단백질함량과 섬유소함량이낮게 나타났고, 담수 3개월은 벼 재배구와 사료가치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새로 조성된 간척지(사양토)에서 제염을 목적으로 담수할 경우 3개월 이상 담수하거나 벼를 재배하여 제염을 하고 밭작물(청보리)을 재배하여야 어느 정도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많아지는 경향이었다.4. 수량은 무담수에서는 극히 적었으며, 담수기간이 길수록 수량은 급격히 증가하여, 무담수 대비 3개월 담수에서 504%, 벼 재배에서는 536% 증수하였다. 5. 사료가치는 담수 1개월은 단백질함량과 섬유소함량이낮게 나타났고, 담수 3개월은 벼 재배구와 사료가치면에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새로 조성된 간척지(사양토)에서 제염을 목적으로 담수할 경우 3개월 이상 담수하거나 벼를 재배하여 제염을 하고 밭작물(청보리)을 재배하여야 어느 정도 수량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