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an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tea. Roasting burdock’ contained 75.87% carbohydrates;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were 10.43%, 1.77%, 8.50%, and 3.43%, respectively. Roasting Jerusalem artichoke showed 77.477% carbohydrate content, with moisture content,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fiber of 10.67%, 1.23%, 7.83%, and 2.80%, respectively. Roasting burdock’s water-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was 4.8 g/100 g and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was 1.5 g/100 g; whereas, roasting Jerusalem artichoke’ water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was 2.4 g/100 g and insoluble dietary fiber content was 1.6 g/100 g. The highest mineral contents in roasting burdock and Jerusalem artichoke were potassium and magnesium, in order. The results of amino acid analyses s indicated a total of 25 types in roasting burdock, with total amino acid content of 1,382.112 mg/100 g,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766.031 mg/100 g. In total, 24 types of amino acids were separated and identified in roasting Jerusalem artichoke, with total amino acid content of 2,678.018 mg/100 g, and total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157.294 mg/100 g. Roasting burdock and Jerusalem artichoke’ polyphenol contents were 32.56 and 29.56 mg GAE/g each, and their flavonoid contents were 16.54 and 16.71 CE/g each. IC50 values of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roasting burdock and Jerusalem artichoke were 12.99 and 19.74, respectively; and IC50 values of hyd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were 25.96 and 22.93, respectively.
        4,000원
        2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ntioxidant capacities,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total quercetin contents (TQC) of a red (Chenjujuck), a yellow (Sunpower), and a white (Grasier) onion cultivar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Onion was separated into edible portion and dry skin. In the case of edible portion, the yellow onion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followed by the red onion. The white onion showed neither antioxidant activity nor quercetin compounds. On the other hand, the dry skin of the red onion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yellow onion skin. The white onion skin had slight antioxidant activity, low TPC, and no quercetin compounds. In addition, the flavonoid compounds of the edible portion and dry skins of these colored onions were analyzed by UFLC(ultra-fast liquid chromatography). The major compounds were quercetin 3,4-diglucoside and quercetin 4- glucoside in yellow and red onion edible portion, whereas the major compounds in yellow and red onion skins were quercetin 4- glucoside, quercetin, and quercetin 3,4-diglucoside.
        4,000원
        2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major functional components of fermented Gastrodia elata Blum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by Phellinus linteus repeated thrice (3rd FGP)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 non-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NFGP), and once fermented G. elata Blume powder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500 and 1,000 ppm.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3rd FGP was similar to that of BHA at a dose of 1,000 ppm. Moreov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3rd FGP increased compared to NFGP and 1st FGP at a concentration of 31.25 ppm.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as fermentation progressed. Ergothioneine content was increased more than 8 times in the 1st FGP, 3 times in the 3rd FGP, respectively than NFG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unctional component contents of G. elata Blume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fermentation number.
        4,000원
        24.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46℃의 열풍건조기에서 0~9시간 동안 처리한 후, 저장 기간 중 화학성분들과 항산화활성이 변화하는지를 측정하였다. 복숭아 중 ascorbic acid의 함량은 13.81 ㎎%였으며, 열풍처리군은 11.73~14.16 ㎎%로 대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열풍처리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중 함량 변화에서는 6시간 열풍처리군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대조군의 변화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대조군은 22.64 ㎎%였으며, 열풍처리군은 19.03~23.19 ㎎%로 복숭아 저장성 증진을 위한 열풍처리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중의 변화에서는 대조군보다는 열풍처리군에서 약간 높은 함량을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Flavonoid 함량에서는 대조군 및 열풍처리군 모두 저장하는 동안 특정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변화에서는 대조군 및 열풍처리군 모두 개체 차이일 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 중 변화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의 변화도 대조군과 열풍처리군 모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000원
        2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valuate utilization of persimmon peels as novel bio-materials, the gener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bong persimmon vinegar (DPV), Daebong persimmon peel vinegar (DPPV) and commercial persimmon vinegar (CPV) were investigated. The pH of DP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titratable acidities of vinegars were 3.24% (DPV), 2.77% (DPPV) and 7.78% (CPV), respectively. The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at DPV ha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vinegars. The browning degree of DPV was lower than CPV in contrast to the turbidity. The results of Hunter’s color value have showed that overall values of CPV had significantly higher than DPPV and DPV.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DPV and CPV were 19.49 and 17.13 mg/100g GAE, respectively.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DPPV (8.04 mg/100g CE) were two fold higher than that of DPV (3.85 mg/100g 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nd FRAP assays, of DPV showed stronger than those of other vinegars. Free sugars were mainly composed of fructose and glucose. Organic acids were presented in the order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aebong persimmon peels could be utilized for vinegar production as a health-benefit material.
        4,000원
        2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arious types of tea are consumed as a popular beverage worldwide particularly in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s, antioxidant properties and anticancer activity of Yak-Sun tea that is prepared by six oriental medicinal herbs. The results of the mineral contents were as follows; Ca, Mg, and Na cont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tea, whereas Fe, P, and K cont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green tea. The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 of the Yak-Sun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green and black teas. The IC50 values of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of Yak-Sun tea were 0.78, 1.58, and 2.04 ㎎/㎖, respectively, whereas the radical scavenging values of α-tocopherol was 0.06, 0.05, and 0.09 ㎎/㎖, respectively. When cancer cells were treated with Yak-Sun tea, the anticancer activit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HCT116 colon cancer cell line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to other cancer cell lines, such as MCF-7, H460, and MKN45 cell l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Yak-Sun tea could function as a tea to enhance health conditions for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4,000원
        27.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시판 비파나무잎차의 영양성분 분석 및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 다. 일반성분은 수분 5.34%, 조단백 8.38%, 조지방 13.26%, 가용성 무질소물 46.21%, 조섬유 19.24% 및 조회분 7.57%순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0.47 mg/100 g 및 42.55 mg/g이였다. 무기성분은 Ca, K 및 Mg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1,624.01, 1,099.66 및 192.70 mg/100g이었다. 비파나무잎차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 glutamic acid (565.98 mg/100 g)가 가장 높게 함유되었고, 반면 가장 낮은 함량은 cystine (12.97 mg/100 g)이였다. 시판 비 파나무잎차 열수 추출물 농도 1,000 μg/mL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86.87%와 98.14%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과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는 농도 의존 적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시판 비파나무잎차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9.
        199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ornic powder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thylacetate to obtain a crude acornic compounds. And they were examined concerning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for linoleic ac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drogen donating activity for DPPH was higher in 100ppm acornic compound than 100ppm BHT and 100ppm α-tocopherol. 2. When the 100ppm acornic compound was added to linoleic acid, which was heated at 50℃ for 48 hours, antioxidant activities by POV and TBA was higher than that of 100ppm α-tocopherol, but the effect was almost the same as the 100ppm BHT. 3. Antioxiodant activity of acornic compound showed synergistic effect along with m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alanine, arginine, histidine, lysine-HCl, galactose, maltose, glucose and sucrose. 4. Acornic compound inhibited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induced by heavy metals.
        4,000원
        30.
        199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search for separate and identify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ERS tannins. Tannins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and ethylacetate from acorn powder and identified TLC, UV spectrum, HPLC, IR, GC/MS, and 1H NMR. Three spots(Rf 0.94, 0.84 and 0.29) detected on TLC. These spots gave dark blue color fairly on spraying with 0.3% potassium ferricyanid·0.3% ferricchloride reagent, and these tannins identified as gallic acid, caffeic acid and ellagic acid by UV spectrum, HPLC, IR, GC/ MS, and 1H NMR.
        4,000원
        31.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e effective components of Omija(Schisandra chinensis Bailllon) are lignans (schizandrins and gomisins), and this components were contented mostly in seed part on Omija, which have various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such as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ive condition(CO2, CO2+ethanol) on extraction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SFE) system and to find interrelation on effe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and residues obtained after extraction. Effective components were analysed lignans an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rty was determined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n methanol extracts of SFE-extract and SFE-residue. On SFE with ethanol, SFE extract was separated two phase, upper(water phase) and lower(oil phase).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61.36 mg/g, 72.14 mg/g on lower, 50.58 mg/g on upper) and the lowest total phenolic compounds(6.52 mg/100g) and SFE-residue showed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1.45 mg/g) and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s(16.23 mg/100g) by extracted on CO2+ethanol treatment. SFE-residu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nd SFE-extract upper showed the lowest. Conclusion : Thus, this results showed SFE-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lignans content, but SFE-residue show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lthough the lowest total lignans content.
        32.
        2016.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꽃송이버섯 원물과 꽃송이버섯 8% 첨가하여 유산균으로 발효한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 섯 혼합물의 수분,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꽃송이버섯원물 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총 식이섬유소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가 각각 89.21%와 95.74%를 차지하였 다. 꽃송이버섯 원물의 β-glucan 함량은 38.03%으로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β-glucan 함량 5.4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꽃송이버섯 원물에는 유리당 중 glucose와 fructose만 함유하고 있으며, 유산균 발효 꽃송 이버섯 혼합물은 sucrose만을 함유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 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총 flavonoid 함량 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이 꽃송이버섯 원물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DDPH radical 소거능은 꽃송이버섯 원물과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DDPH radical 소거능을 나타냈 다(p<0.05).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산균 발효 꽃송이 버 섯 혼합물이 꽃송이 버섯 원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인 비타민 C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꽃송이버섯 원물과 유산균 발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의 항산화지수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대조군인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첨가하지 않는 음성대조군 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유산균 발 효 꽃송이버섯 혼합물은 항산화 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천연소재로서 산업적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33.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업 폐기물인 비지를 활용하여 부가 가치가 높은 가공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즉 대두 가공 부산물인 비지를 활용하여 죽류, 음료류 및 유동 식 등의 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초고압균질 가공 기술을 활용하여 초미세 비지 현탁액을 제조하고 추출수율, 영양 성분 및 항산화성을 확인하였다. 비지 분산액을 homogenizer 를 이용하여 1,0000 rpm에서 5분 분쇄한 후 1,000bar, 1,500bar 및 2,000bar의 압력을 가해 고압균질 가공 처리 하였다. 고압균질 가공처리한 모든 실험구가 대조군에 비 하여 추출수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초고압 균질 처리 후 총당, 환원당 및 가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단백질 함량과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처리 압력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능도 유의적으로 증대되었다(p<0.05). 초고압 균질 가공 기술은 비지의 영양성분과 항산화성을 증가시키 는 매우 효과적인 가공방법이며, 비지의 영양성분을 효율적 으로 활용하여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5.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연화 및 연화주에 대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화 및 연화주의 영양성분, 항산화성분 및 다양한 모델에서의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다. 연화 및 연화주의 수분함량은 각각 85.90 및 92.87%이었고, 조회분 함량은 1.04 및 0.15%, 조단백질 함량은 1.91 및 1.70%, 조지방 함량은 0.30 및 0.11%, 탄수화물 함량은 10.85 및 5.17%이었다. 연화 및 연화주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168 및 6,341 mg/kg 이었고 필수 아미노산은 각각 485 및 2,246 mg/kg으로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약 26.0 및 35.4%이었다. 연화에는 fructose가 0.14 g/100 g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주에는 glucose 1.85 g/100 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연화의 경우, palmitic acid(C16:0)가 약 38.63%로 가장 높았고, 연화주의 경우 oleic acid(C18:1n9c)가 약 76.24%의 비율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함량은 연화(390 mg/100 g) 및 연화주(27.40 g/100 g)에서 모두 K이 가장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연화에서 citric acid(2,222 mg/kg)가 가장 많았고, 연화주는 lactic acid(5,427.90 mg/kg)가 가장 많았다. 한편, 연화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연화주 동결건조물에 비해 높았으며 이는 총 페놀 함량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ORAC value는 연화 에탄올 추출 및 열수 추출물에서 각각 272.9±7.6 및 275.3±2.6 mM TE/g을 나타낸 반면, 연화주 동결건조물에서는 11.5±0.4 mM TE/g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연화 추출물은 다양한 항산화 평가모델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통방식에 의해 제조된 연화주의 항산화 활성은 연화에 함유된 일부 항산화 성분의 침출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되며, 연화추출물 및 연화주는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 저감에 일부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되었다.
        3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light spectrum using red (660 nm), blue (460 nm), red and blue mixed (Red : Blue = 6 : 4) LED (light-emitting diode), and fluorescent lamp on antioxidant activitie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andelion irradiated with the red and blue mixed or the red LED were 121.77 mg/100 g or 115.36 mg/100 g, respectively, which were greater than those in dandelion treated with blue LED and fluorescent lamp. Asparagine showed the highest content among amino acids in leaves and roots regardless of treatments. Total amino acid was the highest when illuminated with the red LE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SOD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were increased under all of the LED treatments compared with fluorescent lamp,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the red and the mixed LED illumin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pplication of the red and the mixed LED illumination promote antioxidant activity and increase functional components during cultivation of dandelion.
        38.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능성 옥수수 수염을 가지는 옥수수 계통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자식계통과 F1을 대상으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각각 980~2,420 mg 100 g-1, 1,532~3,274 mg 100 g-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안토시아닌의 고유영역인 517 nm에서의 흡광도는 0.05에서 0.76까지의 범위를 보였다.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성분과 DPPH, ABTS, FRAP assay에서 얻어진 항산화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BTS와 FRAP assay에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 활성과 페놀성물질 및 안토시아닌간의 상관계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옥수수 수염의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용매가 산성이라는 점과 안토시아닌의 DPPH 용액과의 가시영역 파장에서의 간섭을 고려할 때, DPPH 보다는 ABTS assay나 FRAP assay가 더 적합한 항산화능 측정 방법이 될 것이다. 이들 중 특히 ABTS assay는 옥수수 수염의 주요한 기능성 성분인 안토시아닌과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물질과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옥수수 수염의 종합적인 항산화능을 평가하고 우수 계통을 선발하는데 적합한 측정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 안토시아닌 함량과 페놀 함량이 높고 ABTS assay와 FRAP assay에서 모두 높은 항산화능을 보여준 S15은 고 기능성 품종 육종 및 옥수수 수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옥수수 수염의 항산화능 측정에 대한 항산화 실험의 적합성 연구는 우수한 옥수수 수염을 선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39.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호성과 품질성이 우수한 전통부각을 개발하기 위하여 천연색소 함유 농산물과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약초부각의 공정개발과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초부각의 탈유율은 정치 3.5%나 타봉 8.9%에 비하여 원심력이 약 37.6%로서 효과적이었다(p에서 0.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에서 녹차가 83.8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울금 39.48%, 흑미 28.45%와 복분자 22.25% 순이었다(p로 7일간 고온저장한 녹차와 복분자 발효약초부각
        40.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리활성성분(isoflavone, anthocyanin 및 tocopherol 함량, 항산화 활성)변이를 구명하여,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품종선발과 생리활성성분 축적에 유리한 재배지역을 발굴하여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립중은 품종간에는 차이 없었으나, 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현저하게 가벼웠다. 총 isoflavone 함량은 2004년에는 일품검정콩이 1,064.9ug/g 으로 청자콩의 801.3ug/g 에 비해 높았으나, 2005년에는 오히려 일품검정콩에 비해 청자콩이 높았다. 재배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두 품종 모두 화성지역에서 뚜렷하게 높았으나, 2005년에는 진주지역이 화성이나 나주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총 anthocyanin 함량은 품종 간에는 일품검정콩이 7.22 mg/g으로 청자콩의 6.83 mg/g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지역간에는 진주지역에서 9.16 mg/g으로 나주, 화성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품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간에는 화성, 진주지역이 각각 217.2ug/g , 216.3ug/g 으로 나주지역 189.7ug/g 에 비해 높았다. tocopherol 성분비율은 ~gamma -tocopherol이 56.2~59.9% 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간에는 일품검정콩이 청자콩보다, 지역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EDA 값이 55.6%로 가장 높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