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

        23.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erb samgyetang, ginseng chicken soup added with medicinal herb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addition level of medicinal herbs. The pH of herb samgyetang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 level of the Acorus gramineus addition level, and the soluble solid content increased as the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creased. The herb samgyetang with the highest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had the lowest L* and b* value. In contrast, the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 sensory evaluation, the highest col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were obtained by the herb samgyetang with the highest Codonopsis lanceolata addition level. In conclusion, the optimum addition levels of medicinal herbs for herb Samgyetang are as follows: Platycodon grandiflorum 4 g, Acorus gramineus 4 g, Codonopsis lanceolata 12 g, Schizandra chinensis 6 g, Atractylodeslancea 4 g, Glycyrrhiza uralensis 4 g, and Zizyphus jujube 4 g.
        24.
        2012.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amgyetang herb to which different dried medicinal herbs were added were investigated to find the best formulation for the product. For the Samgyetang herbal product, Schizandra chinensis, Atractylodes lancea, Glycyrrhiza uralensis, and Zizyphus jujube were used at a fixed ratio in the formulation, and Paeonia lactiflora (PL), Codonopsis lanceolata (CL), and Scutellaria baicalensis (SB) were added, with different amounts. The pH of Samgyetang increased along with the SB amount, and the soluble-solid content increased along with the CL amount. S7, which had the highest SB addition level, had the highest L value, and the b values were the highest in S7, which had the highest SB addition level. In the sensory evaluation, S7, which had the highest amount of SB, had the highest score in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best formulation for Samgyetang would include PL 8 g, CL 4 g, SB 12 g, Schizandra chinensis 6 g, Atractylodes lancea 4 g, Glycyrrhiza uralensis 2 g, and Zizyphus jujube 4 g.
        2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in Seoul in 2009. Sulfur dioxide in th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onnier-Williams's modified method. A total of 1,821 samples of 205 different types of herbs were collected from Kyung-Dong Herb markets and Oriental medicine hospitals in Seoul. Of these samples, 642 samples were domestic, and 1,179 samples were imported. Of the 1,821 samples, 61 (3.3%, 31 types) failed to meet the regulations for sulfur dioxide residues of KFDA in medicinal herbs. Among these 61 unsuitable samples, 17 (7 types) were domestic, and 44 samples (26 types) were imported. The content of sulfur dioxide in the domestic medicinal herbs ranged from 0 to 809 mg/kg, while those in imported medicinal herbs ranged from 0 to 4,481 mg/kg. Approximately 84.6% of the samples contained less than 10 mg/kg of sulfur dioxide and about 10.0% of samples contained more than 30 mg/kg of sulfur dioxide.
        2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약추출박은 배출되는 양이 많아 쓰레기화 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이러한 한약추출박을 퇴비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시험으로 첩약(貼藥)인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의 한약추출박 성분을 분석하였고, 여기에 배초향을 재배하여 비료로 시용한 후 생육특성과 전초 수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약추출박의 분석 성분 중 유기물은 89.6%가 함유되어 있었고, 염분은 0.1%로 약초의 생장에 지장이 없는 공정규격(1.0%)이하의 범위였다. 약초의 생장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비료 3요소 중 질소는 2.8%가 함유되어 있었고, 인산은 0.6%, 그리고 칼륨은 0.5%가 함유되어 있었다. 미량성분으로 식물체의 영양분이 될 수 있는 성분은 아연과 구리 등이 함유되어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 한약추출박 성분은 유기물과 질소, 인산, 가리, 미량요소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유기질 비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 한약추출박의 시용에 따른 배초향의 생육은 한약추출박 시용이 무시용보다 초장과 경직경이 크고, 엽수와 가지수가 많아 생장이 양호 하였고, 수량도 전초 1주중이 무거워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한약추출박의 시용농도는 30~50 g의 시용에서 효과가 인정되었으므로 추출박 30 g의 농도가 적정 시용 농도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한약추출박은 배초향과 같은 전초이용 약초에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27.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식생활에서 기본 조미료의 하나인 한식간장에 기능성을 부여하고자 기존의 식염수 대신 멸치 발효액을 사용하고 약용식물인 삼백초와 어성초를 5%씩 첨가하여 4개월간 발효시켜 기능성 어간장을 제조하였다. 어간장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총질소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삼백초 첨가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어성초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28.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간장을 개발하고자 기능성 간장을 제조하여 일반 간장과 특성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 간장과 3% 및 5%의 약용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기능성 간장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결과, 성분 조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향기성분 분석 결과, 일반 간장과 기능성 간장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에서 유래된 paeonol과 senkyunolide A 및 cnidilide들이 기능성 제품에서도 관찰됨으로써 약용식물 추출물을
        29.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various Oriental medicinal herbs on mast-cell-mediated allergic reactio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Out of these extracts, the medicinal herb Atractylodis rhizoma alba exhibited the most potent activity in the cells, with IC50 values of 20.5 μg/ml, by DNP-BSA and 33.04 μg/ml, by compound 48/80. Similar to the in vitro activity, Atractylodis rhizoma alba inhibited compound-48/80-induced systemic anaphylaxis by 31.3% at 300 mg/kg in mice. It also suppressed the secretion of TNF-α, a major pro-inflammatory cytokine in the cells.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Atractylodis rhizoma alba shows anti-allergic activity in compound 48/80-induced anaphylactic mice through the inhibition of mast cells.
        30.
        200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8종의 한약재 MeOH 추출물과 EtOH 추출물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하고초, 소목, 오배자 및 향유는 5mg/ml 수준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지실, 금은화 및 황금 등은 10mg/ml, 오미자, 초두구 및 희렴 등은 30mg/ml 이상에서 항균성을 보였다. 최소저해농도는 MeOH추출물에서는 1~34mg/ml, EtOH추출물에서는 1~46mg/ml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분획 층 중 EtOAc층에서 성장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소목, 오배자 및 황금추출물의 미생물 증식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증식배지에 각각의 추출물을 0, 100, 300 및 500ppm의 농도로 첨가하여 균주의 증식을 조사한 결과 배양후 24시간에 소목 추출물 무첨가구의 OD620값이 0.4인 반면 1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고, 오배자 추출물 무첨가구의 OD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0.03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황금 추출물 무첨가구의 OD620값이 0.4인 반면 300ppm 이상의 추출물 첨가 시 0.02~0.07 정도로 균증식이 현저히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제대염, 부종성 피부염 및 관절염 등의 다양한 가축질병을 일으키는 Staphylococcus aureusi의 감염을 예방하거나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 사료첨가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1.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품질특성과 기능성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해서, 고춧가루, 찹쌀, 메주, 엿기름, 소금, 물과 3종류의 한약재(당귀,목통,골담초)의 물추출물을 첨가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한방고추장을 제조한 후, 와 에서 90일간 저장하면서 고추장의 품질특성을 수분함량, 색도, 관능검사로서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저장 초기에 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저장 90일후에는 까지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색도는 명도(L), 적색도(a),
        32.
        200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hen we carried out an anti-stress study using the extracts of A. senticosus, R. coreanus, F .japonica root, and A. fruticosa fruit grown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blood cell counts returned to normal levels fastest with R. coreanus after stress application. The total WBC count was decreased in mice due to stress, whereas the number of lymphocytes was increased. The serum glucose level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stress group. The weight of each organ to returning to normal level was significantly faster in those mice treated with the extracts compared with those in control groups. Especially, it even return to that of normal level with R. coreanus extract, suggesting that the administration of the plant extracts in this study would affect hormonal activities in the body to increase immune activities. F. japonica root that showed the highest anti-stress activities maybe effective for lipid and carbohydrate metabolism. These results would provide basic data to examine anti-stress effects of natural plants. Further in-depth studies could contribute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plant materials with anti-stress activities.
        33.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생약재 32종을 대상으로 천연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메탄올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 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2종의 균주 B. subtilis, M. luteus, Sta aureus, Sta. epidermidis, Strep. mutans, E. coli, Pse. aeruginosa, Sal. typhimurium, V. vulnificus, Lac. brevis, L
        34.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2종의 생약재를 메탄올로 추출한 후 진공 건조한 후 각추출물의 생리활성 물질 및 알코올 대사와 관련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으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정향, 녹차, 목단, 적양은 90% 이상의 소거활성을 보이고, 부위별로 살펴보면 줄기껍질> 잎 > 열매 > 뿌리 순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천초, 적양, 녹차, 지구자목, 팔각향 등이 우수한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 또한 부위별로는 줄기껍질이나 잎에
        35.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캔음료용 건강미숫가루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 보리 및 콩을 이용하여 기본미숫가루용액을 만든 후 몇 종의 한약재를 선발하여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 추출, 첨가하여 건강미숫가루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본미숫가루용액으로 적당한 재료의 혼합은 물 100mL에 쌀, 보리 및 콩을 각각 5 g씩 혼합한 것이 가장 물성이 좋았다. 건강미숫가루용액 제조를 위하여 첨가한 한약재의 추출물은 맥문동 50, 오미자 15, 인삼 10, 대추 25의 비율로 혼합 후 10
        36.
        200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46종의 약용식물에 대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활성을 검색한 결과, 메탄을 추출물 중에서는 수비소 지상부가 70% 이상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고, 질경이택사 덩이뿌리 등 6점이 50%~69%의 ACE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물 추출물 중에서는 하늘타리 종자 (78.6%), 큰조롱 덩이뿌리 (77.0%), 죽여 근간(根幹)의 중간층피 (72.0%), 겨자무 지상부 (71.2%)가 70%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호 뿌리 등 5점이 50%~69%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7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낸 식물들중에서도 특히 죽여 근간(根幹)의 중간층피의 물 추출물과 하늘타리 종자의 물 추출물은 1,000 μg ml-1 및 500 μg ml-1의 낮은 농도에서도 25% 이상의 ACE 저해활성을 나타내 산업화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되었다.
        37.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래식 된장의 품질을 고급화하기 위해 재래식 된장과 각종 한약제와 약초류를 달리 첨가하여 제조한 두 종류의 약용 된장들을 6개월간 숙성시키면서 성인병에 관련된 몇 가지 생리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약용 된장들의 고혈압을 예방하는 엔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여 숙성 6개월 후에 39.0%∼51.7%을 보였고 혈전용해활성은 숙성 6개월후에 10.4∼11.3 U를 보였다. 약용 된장들의 전자공여능은
        38.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화과 약용식물들의 각 추출물은 정상세포에 대한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두 종류 모두 0.5g/L 이하의 농도로 투여시는 정상세포 생존율을 85%이상으로 유지시켜 정상세포에 대한 안정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의 경우, 국화과 Herb들은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 모두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유방암세포주인 MCF7에 대하여 70%이상, 폐암세포주인 A549에 대하여 60%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하여서는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4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7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위암세포주인 AGS에 대하여 증류수 추출물들은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약 60%정도, 에탄올 추출물들은 80%이상의 높은 암세포 생육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암세포의 상대적 사멸도인 selectivity에 있어서 각 추출물이 0.1mg/ml에서 1.0mg/ml의 농도에서 3이상의 수치를 나타내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기작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간 B 세포와 T 세포에 대한 생육촉진 실험 결과, Echinacea, 엉겅퀴의 증류수 추출물과 Echinacea 에탄을 추출물은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배 이상, B-cell의 경우 1.5배 이상의 생육을 증진시켰으며, Echinacea 경우 증류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0.5mg/ml이상의 농도에서 T-cell의 생장을 2~2.6배 이상 B-cell의 경우 1.4배 이상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료들의 IL-6와 TNF-α의 cytokine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IL-6는 엉겅퀴의 에탄올 추출이 0.5mg/ml의 농도에서 96pg/ml의 분비량을 TNF-α는 Echinacea의 에탄을 추출물이 94pg/ml의 분비량을 나타내었다. Echinacea의 에탄올 추출물의 인간 간암 세포에 대한 산화는 추출물 투여 후 세포의 산화가 급격히 나타났다. 위의 연구들을 미루어 볼 때 국화과 약용식물들은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40.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study the natural preservation of food, sixteen kinds of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The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showed good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excep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 Especially, the extracts of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virganrea shower goo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bacteria to the cooling preservation foods, and Artemisia annua was decreased of the TMA(Trimethylamine) test. the result thus indicate that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fischeri extract inhibitory effe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so that it may be potential as a natural preservativ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