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4.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ctual overall migration data obtained from plastic food packaging materials into food simulants under high temperature testing conditions as described in the regulations of European Union, USA, and Korea or Japan were compared. Overall migration values(OMVs) with non-fatty food simulant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were observed to be generally below 2.5 mg/dm^2 except polyamides(CPA and PA 6,6) which were tested at 121 for 2 hrs. As for the fatty food simulants, the OMVs with soybean oil were higher than other simulants. Among the films tested, PVC wrap showed higher OMVs ranging betwn 23.9 and 54.6 mg/dm^2 than others. The OMVs were measured at higher level with the elevation of contact temperature and the extension of contact time, and in fatty food simulants rather than in non-fatty simulants. Under similar testing temperature and time conditions. the OMVs tended to be increased in polar films like PA with polar simulants, and contrarily in non-polar films like PO with non-polar simulants. It is noteworthy that a discrepancy with regard to the result of OMVs was observed for some films as a result of different migration testing methods and conditions of each country areas.
        4,000원
        25.
        2000.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전연소합성(SHS)법을 이용하여 탄소섬유와 티타늄, 지르코늄, 니오븀, 규소, 붕소, 중석, 몰리브덴의 분말로부터 여러 가지 섬유상 탄화물의 합성을 시도하였다. 티타늄과 지르코늄은 예열없이, 그 이외의 경우는 전기로 또는 화학로를 사용하여 예열하여 반응을일으킨 결과, TiC, ZrC, NbC, SiC, B4C, WC, Mo2C 의 순수한 탄화물의 형성되었다. TiC, ZrC, NbC 및 B4C 탄화물의 형상은 속의 빈 섬유상이었고, SiC는 보다 작은 입자와 미세 휘스커로 이루어진 섬유상을 하고 있었고 WC와 Mo2C 는 비섬유상을 하고 있었다. 여러 가지 형상의 원인에 대하여 합리적 설명을 시도하였으며 정성적 메카니즘을 제안하였다.
        4,000원
        27.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high-performance and high-fluidity concrete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ecause high-rised build is constructed. An early-age properties of these concretes have been studied and developed bacause of comparing existed concrete. This study proposed non-destructive method as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which evaluates setting time of cement-based materials. An assessment of the effect on the setting time was studied on the addition of a superplasticizer to delay the setting time and the curing temperature to promote the setting time. 6th of samples prepared mortar according to adding superplasticizer(PNS) or curing temperature and measured the electrical resistivity during 24 h. As the results, mortars which curing higher temperature were promoted rising time which is setting time in the electrical resistivity, also mortars which adding superplasticizer were retard rising time.
        28.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composite concrete under low velocity impact with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 was assessed. The displacement-time curve from the experimental device impactor was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ductility when composite material is used at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
        29.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ngelica gigas N., one of the herbs has been used most frequently with Glycyrrhiza uralensis. It is usually cultivated in semi-alpine of more than 400m in North Central province of South Korea. However its production is becoming more unstable due to the climate change especially abnormally high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change may cause not only a change in production but also a change in active ingredient of Angelica gigas 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se problems.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emperature gradient tunnel(TGT)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Temperature conditions were maintained the ambient+0~2℃ (T1), ambient+2~4℃(T2), ambient+4~5℃(T3) throughout the year. We planted and grown one year old seedlings of Angelica gigas N. from mid-April to early November. As a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arly growth of Angelica gigas N. among the temperature range bu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ach treatment region from the survey in June. Average length of soot in T1, T2, T3 was the largest(36cm), medium(27cm), smallest(19cm) respectively. This trend was similar to a survey in September and November. Each of death rate was 0%(T1), 19%(T2), 71%(T3). There was no bolting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The yield of a plant of Angelica gigas N. was 476g(T1), 76g(T2), 26g(T3), respectively. Production of Angelica gigas N. is foreseen 84.7% and 94.5% reduction if the temperature rises to 3±1℃ and 4±1℃ more than it is at present based on temperature in Pyeongchang 2015. Total amount of Decursin was reduced at higher temperatur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quality and production of Angelica gigas N. is expected to decline significantly if the temperature rise than the current.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ous techniques is required to response to climate change.
        30.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능성 작물, 사방용 수종, 토양개량 등 활용성이 뛰어난 갈매보리수나무의 유용 유전자원의 장기보존 및 실생번식에 도움을 주고자 종자의 발아 온도조건 및 전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는 10~35℃의 온도조건에 치상한 결과, 15, 20℃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치는 25℃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요 발아온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 및 선형 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였는데, 발아율을 이용한 2차 회귀분석 모델에서는 기준온도 0.6℃, 최대온도 36.4℃, 적정온도 18.5℃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35.8℃이었다. 발아속도를 이용한 선형 회귀분석모델에서는 기준온도 8.3℃, 최대온도 35.4℃, 적정온도 25.3℃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27.2℃로 분석모델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를 생리적 처리 방법인 예냉, 층적 및 priming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발아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아율에서는 CaCl2 300, 400 mM priming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균발아일수는 층적 6, 8주 처리구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으나 대조구 보다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발아일수의 단축 보다는 발아의 종기 종료로 판단되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치의 경우 예냉 1, 2주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율 또한 CaCl2 300, 400 mM 처리구에 이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유묘 생산시 양적 질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정한 조건으로 판단 되었다.
        31.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e to the fact that tocopherols and tocotrienols have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e commercial utilization of unsaponifiable fractions in rice bran is increasing. These nutraceutical compounds, however, are fairly unstable and readily break down when exposed to oxygen or lighting conditions. To compare the relative sensitivity of vit E isomers to heat and oxygen,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extracted from crude rice bran oil were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 oxygen (nitrogen-balanced), and bathing solvent conditions and resultant concentration changes in α- and γ-tocopherols (T) and tocotrienols (T3) were evaluated. Each isomer exhibited different heat stability. Among them, α-T3 degraded more rapidly compared to other vit E isomers while α-T was the most stable isomer. Oxygen level also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each isomer's stability where severe reductions of γ-T (by 20%) and γ-T3 (by 29%) were observed under 2% oxygen conditions, while under 0% oxygen conditions no degradation could be observed even after exposure to 95℃ for 4 hours. When various blending solvents were mixed with concentrated unsaponifiable fractions, organic solvents such as isooctane and hexane were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γ- T3 compared to edible oils, among which com oil was more efficient than soybean and rice bran oils.
        32.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삼을 주근 및 세근으로 분리하여 원적외선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온도(70, 80, 90, 100, 110, 120, 130 및 140℃)에 따라 건조한 후, 사포닌, 당, 유기산 및 색도를 분석하였다. 건조한 주근의 총사포닌 함량은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미량 증가하여 130℃에서 가장 높았고 세근에서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세근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감소한 ginsenoside는 Re, Rc, Rb1 및 Rb2 이었고 Rg1, Rg3, Rf 및 Rb3는 미량씩 증가하였다. 가용성 당은 주근, 세근 모두 70℃에서 가장 많이 용출되었고, 유기산 함량은 주근 세근 모두 120℃에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건조온도에 따른 색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밝기는 주근 세근 모두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서 120℃에서 가장 높았고 황색도는 100℃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수삼 건조 시 건조온도에 따라 사포닌 구성함량 변화의 차이를 보임으로서 백삼의 이용목적에 맞게 수삼 건조 시 온도, 건조 형태 및 주근과 세근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3.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검은비늘버섯(CBPM-6호)의 선도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포장재(Wrap, PE, PP, AE)및 저장온도(1, 3, 6)을 달리하여 18일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장기간 중 포장재별 중량 감모율은 랩포장시 1에서 18일 후 3.17%이었으나, AF필름에서는 1.08%의 낮은 중량 감모율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저장기간이 연장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반면 랩 포장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섯 저장 전
        34.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터널식 보온절충못자리 육묘에서 고온장해를 막기 위한 바람트기는 묘의 광합성과 관련하여 상내 CO2 공급 또한 중요하므로 바람트기 방법에 따른 상내 온도와 CO2 농도의 낮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맑은 날(5월 20일)에 조사한 바람트기 방법별 상내 CO2 농도는 바람트기 방법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통풍이 가장 낮았고, 관행이 가장 높았으며, 가로일자찢기는 중간 정도였다. 상내 CO2 농도가 가장 낮아진 시각은 무통풍에서는 10:30시에 58ppm, 가로일자찢기에서는 15:30시에 155ppm, 관행은 17: 30시에 272ppm 이었다. 광합성이 이루어지는 낮 동안의 상내 CO2 의 평균 농도는 외기 15.74m ㏖/㎥에 비하여 무통풍은 3.27m ㏖/㎥, 가로일자찢기는 12.81m ㏖/㎥이었다. 2. 외기온도에 대한 상내 기온울 보면 무통풍에서 외기가 22℃ 일 때 46℃ 까지 높아졌으며, 이때 가로일자찢기는 37℃ 였고, 관행은 32℃ 였다. 상내 기온이 15℃ 이하에서는 가로일자찢기가 관행보다 더 큰 보온효과를 보였다. 3. 해돋이 전 상내 기온이 10℃ -15℃ 로 비교적 낮은 때 CO2 농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해독이후 상내 기온이 20℃ 까지 높아지고 동시에 광합성이 이루어지게 되면 급격히 감소하다가 20℃ 이상으로 높아짐에 따라 CO2 농도는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40일묘의 묘소질은 건물중, 충실도 모두 가로일자찢기에 의한 바람트기가 가장 높았고, 관행이 그 다음이었으며, 무통풍이 가장 낮았다. 5. 보온 못자리의 바람트기는 튼튼한 모기르기를 위한 보온, 고온장해 방지 , CO2 공급 등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인정하고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35.
        197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잡초발생전에 처리하는 제초제에 대한 품종간 내약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엽기별로 수심 및 온도처리를 달리하여 얻어진 약간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3엽기에 수심이 1cm에서 9cm로 깊어 질수록 품종에 관계없이 낙해가 심하였으나 묘령이 진전된 7엽기에서는 품종간 수심처리의 영향이 경미하였다. 2. Saturn-S의 용해도는 타 처리여초제에 비하여 높은 관계로 수심이 1cm에서 9cm로 증가될수록 희석되어 낙해가 감소되었다. 3. 온도가 10℃ 에서 30℃ 로 상승할수록 낙해는 증가되었고 "토일"이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여 건물중의 감소를 보였으며 진흥이 가장 큰 내락성을 보였다. 4. 품종간의 내략성차이는 품종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차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을 간주된다나는 것을 간주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