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33

        381.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ing the research period, error analysis of the amount of daily precipitation was performed with data obtained from 2DVD, Parsivel, and AWS, and from the results, 79 days were selected as research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ynoptic meteorological analysis, these days were classified into ‘LP type, CF type, HE type, and TY type’. The dates showing the maximum daily precipitation amount and precipitation intensity were ‘HE type and CF type', which were found to be attributed to atmospheric instability causing strong ascending flow, and leading to strong precipitation events. Of the 79 days, most days were found to be of the LP type. On July 27, 2011 the daily precipitation amount in the Korean Peninsula reached over 80 mm (HE type). The leading edge of the Northern Pacific high pressure was located over the Korean Peninsula with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and inflow of ai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aused ascending flow, 120 mm/h with an average precipitation intensity of over 9.57 mm/h.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precipitation in these sample dat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convective rain type. The results of a precipitation scale distribution analysis showed that most precipitation were between 0.4-5.0 mm, and ‘Rain’ size precipitation was observed in most areas. On July 9, 2011, the daily precipitation amount was recorded to be over 80 mm (CF type) at the rainy season front (Jangma front) spreading across the middle Korean Peninsular. Inflow of air with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reat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under which strong ascending air currents formed and led to convective rain type precipitation.
        382.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paper, for selected station of 8 clusters in East Asia (Park, 2017) more (less) warming periods than the wintertime mean warming of intra-seasonal fluctuation curves were taken and their means were computed. Long term trends and synoptic features of the mean temperature changes were examined. In most clusters, around the third of January there were less warming periods (LWP) than the mean wintertime warming. On the contrary, in February and the first and second of January there were more warming periods (MWP) than the winter mean or LWPs having a warming trend with statistical signicance. Time series of the daily Siberian High indices showed they had been weakening in February and being stagnant around late January. In most stations, the mean temperatures of MWP or LWP had large negative correlation coecients with the Siberian high intensity. is result explains the occurrences of MWPs in most clusters in February and LWPs in late January. In cluster B there were LWPs in early February due to the influence of the Aleutian Low which were strengthening in that periods. Cluster E showed different features without LWPs in late January. The cluster is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its plateau environment of West Yúnnán and the Tibet Plateau which prevent cold air of the lower atmosphere in Northern Asia flowing southward, and by the regional atmospheric circulation of 500hPa surface centered in this region.
        383.
        201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intra-seasonal fluctuation (ISF) of wintertime temperature change in East Asia was classified by a cluster analysis of complete linkage. A ISF of temperature change was defined as a difference of synthesized harmonics (1 to 36 harmonic) of daily temperature averaged for 30 years (1951~1980, 1981~2010). Eight clusters were gained from the ISF curves of 96 stations in East Asia. Regions of the cluster C, G and A1 seem to be affected by the Siberian High (SH) center, whereas the cluster A1, A2, D, B and F by the SH main pathways. Regions of the cluster E are apart from the SH main pathways and appear to be in the area of influence of other factors. Wintertime temperatures in Northwest China (clusters C, G) and Northeast China (cluster A1) were increased very largely. In most clusters, around late January there were less warming periods than the winter mean of the mean ISF of the clusters, before and after this time there were more warming periods than the winter mean.
        384.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lassification of airflow patterns during high ozone (O3) and PM10 episodes on Jeju Island in recent years (2009-2015), as well as their correlation with meteorological conditions according to classified airflow pattern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airflow patterns for O3 and PM10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s A-D) and three types (Types E-G), respectively, using the HYbrid Single-Particle Lagrangian Integrated Trajectory (HYSPLIT) model and synoptic weather charts. Type A was the most dominant airflow pattern for O3 episodes, being characterized by the transport of airflows from urban and industrial areas in China with the highest frequency (about 69%, with a mean of 67 ppb). With regard to the PM10 episodes, Type E was the most dominant airflow pattern, and was mostly associated with long distance transport from Asian dust source regions along northwesterly winds,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bout 92%, with a mean of 136 μg/m3). The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 of O3 and PM10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clarified in correlation with two pollutant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for example, the high (low) O3 and PM10 concentrations with high (low) air temperature and/or wind speed and vice versa for precipitation. The contribution of long-range transport to the observed PM10 levels in urban sites for different airflow patterns (Types E-F), if estimated in comparison to the data from the Gosan background site, was found to account for approximately 87-93% (on average) of its input. The overall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variations in O3 and PM10 concentrations on Jeju Island are mainly influenced by the transport effect, as well as the contribution of local emissions.
        385.
        2017.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work, HPC (High Performance Concrete) samples are prepared with 3 levels of W/B (water to binder) ratios of 0.37, 0.42, and 0.27 and 3 levels of replacement ratios of 0%, 30% and 50%. Several tests containing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passed charge, and compressive strength are performed considering age effect of 28 days and 180 days. Chloride diffusion is more reduced in OPC concrete with lower W/B ratio, and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significant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in higher W/B ratio. At the age of 28 days, GGBFS concrete with 50% replacement ratio shows more rapid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on than strength development, which reveals that abundant GGBFS replacement has effective resistance to chloride penetration even in the early-aged condition.
        386.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eteo-tsunamis are tsunamis that are typically caused by strong atmospheric instability (e.g., pressure jumps) in low pressure systems, but some meteo-tsunamis in winter can be caused by local atmospheric instability in high pressure systems (e.g., the Siberian Hig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meteo-tsunami event related to a high pressure system that occurred during winter on the Yellow Sea in 2005. Sea level data from tidal stations were analyed with a high-pass filter, and we also performed synoptic weather analyses by using various synoptic weather data (e.g., surface weather charts) collected during the winter season(DJF) of 2005. A numerical weather model (WRF) was used to analyze the atmospheric instability on the day of the selected event (21 Dec. 2005).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meteo-tsunami triggered by the high pressure system occurred because of dynamic atmospheric instability induc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iberian High.
        387.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표제에 쓴 책은 이케우치 사토시(池内敏)가 4년 전에 발간한 논문집 『다케시마 문제란 무엇인가』(‘앞의 책’으로 약칭)를 발전시키고 동시에 일반인을 위해 알기 쉽게 쓴 것이다. 새 논고로서 한·일 양국이 각각 발행한 팸플릿에 대한 비판, “근대 일본의 해도와 수로지”, 1950년대 한·일 양국 간 영유권 논쟁, “고유 영토”론 등이 추가되었다. 이번 책은 ‘앞의 책’과 마찬가지로 근대 전기까지 한·일 양국은 어느 쪽도 독도에 대한 영유권을 확립한 일이 없다고 주장한다. 일본의 경우, 겐로쿠(元禄) 다케시마(竹島)일건, 덴포(天保) 다케시마일건, 메이지 태정관(太政官) 지령에 의해 독도 영유권을 포기했다고 한다. 이 논증은 중앙과 지방을 막론하고 폭넓은 사료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한편 이케우치의 조선 사료 분석은 기무라 간(木村幹)이 지적한 바와 같이, 일본 사료의 분석에 비하면 큰 낙차가 있으며 문제가 많다. 특히 관찬서 『춘관지』의 분석은 내용의 이해 뿐만 아니라 그가 중시하는 문헌사학의 관점에서도 의문이다. 또한 이케우치는 이번에도 위험을 무릅쓰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등 현대사를 다루었다. ‘앞의 책’에 대해 기무라는 선행연구의 검토가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는데, 이런 비판이 이번 저서에서는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듯하다. 특히 영미 공동 초안에 대해 오해하고 있는 것 같으며, 따라서 이에 근거하여 도출된 결론은 의문이다.
        38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는 스모그, 담배연기 및 UV와 같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가장 큰 기관이며, 보호 기작 으로서 각질세포와 그 사이를 메우고 있는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의 세포간지질이 라멜라 액정 구조 로 피부 장벽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간지질 중 세라마이드 생합성과 관련되어 있는 세린-팔미토일 전이효소(serine-palmitoyltransferase, SPT) 발현을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결과,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농도의존적으로 SPT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5% 함유한 제형을 2주간 피부에 도포 후 TEWL을 측정하였을 때,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젼 도포부위의 TEWL이 대 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이 SPT의 발현 증가를 통해 세포간 지질의 핵심성분인 세라마이드의 생합성을 증가시켰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주산양산삼 추출물은 피부장벽기능을 개선시켜 TEWL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분야에서 피부장벽 강화 및 보습소재 로서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389.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사는 태양광, 대기 가스, 에어로졸, 해양생태계와 상호작용하여 지구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광물특성은 이와 같은 황사와 환경의 상호작용 이해에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2015년 2월 22일 인천광역시 덕적도에서 포집된 황사시료의 광물특성을 분석하였다. X선회절분석(XRD) 결과, 층상규 산염광물이 총 62 wt%이었는데, 일라이트류 점토광물(일라이트 및 일라이트-스멕타이트 혼합층)이 55%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외 녹니석이 5%, 캐올리나이트가 2% 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비층상 규산염 광물로서 석영 18%, 사장석 10%, K-장석 4%, 방해석 5%, 석고 1%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 사전자현미경(SEM)과 에너지분산분광분석(EDS)에 의한 황사 개별 입자의 광물학적 분석에서도 유사 한 조성이 얻어졌다. 황사의 주성분인 극미립 층상규산염광물입자에 대하여 투과전자현미경(TEM) 및 EDS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성분비율과 혼합양상을 보이는 일라이트류 점토광물이 주요 광물로 확인되었다. SEM 형태 관찰에 의하면 황사입자들은 점토광물이 주성분인 덩어리, 혹은 점토광물로 피복된 석영, 장석, 운모 입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석고가 점토와 함께 황사입자표면에서 자주 관찰 된 반면, 이전에 황사입자에 흔히 수반되는 것으로 보고된 섬유상 방해석은 드물어서, 황사 이동 중에 방해석이 산성대기오염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석고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분석 결과는 황사 와 환경의 상호작용 모델링을 위한 광물의 대표 특성 수립에 기여할 것이다.
        390.
        201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업의 발전에 따라 기반시설 및 인구 등이 대도시에 밀집되어, 도시홍수방어는 인명피해 뿐만 아니라 재산피해 저감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문제 가 되었다. 요즘은 이러한 도시유역의 유출해석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시강우나 분단위의 강우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 시나리오 와 같은 미래 강우시나리오는 현재 일단위 수준으로 제공되므로 미래 강우에 대한 확률빈도 해석에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계학적 기법을 이용해 일강우 자료를 시강우 자료로 분해하고자 하였다. 일자료를 시자료로 분해하기 위해 과거 시강우 자료를 기반으로 Gram Schmidt 변환과 K 개의 최근접 표본 중 하나를 재추출하는 비모수적인 기법(KNNR)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은 연유출량을 월유출량으로 분해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하지만 강우자료는 유출량 자료와 달리 확률밀도가 작아 일강우를 시강우로 분해하는 데 직접 적용하는 경우 결과가 실제와 유사한 통계 패턴을 갖는 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분해하고자 하는 일자의 전일과 후일을 포함한 3일 강우패턴을 7개로 구분하고 동일 패턴을 가진 자료들만 분해에 이용하도록 하여 강우자료에 대한 적용성을 높였다. 과거 52년간의 서울기상관측소 시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자료의 분해 에 대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분해된 시강우 자료가 관측된 시강우자료와 통계적으로 매우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기후변화자료의 시강우 분해 등에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도시유출에 대한 빈도해석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91.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lower bud differentiation by temperature and photoperiod was investigated in early-, medium-, and late-maturing cultivars of radish (Raphanus sativus L.). Flower bud differentiation was induced by only day-length extension treatment (18 hr light/day) in early - and medium-maturing cultivars. Therefore, the early- and medium-maturing cultivars of radish were advanced the time of the flowering by the 2 weeks low temperature duration with day-length extension (18 hr light/day). The vegetative growth of early- and medium-maturing cultivar was the best by only day-length extension (18 hr light/day). However, late-maturing cultivar was needed for the flower bud differentiation and optimal vegetative growth not only long-day but also low temperature during 4~6 weeks at least. Our results suggest the optimal condition for flower bud differentiation in the each early-, medium-, and late-maturing cultivars of radish, which will be useful to develop breeding materials of radish.
        392.
        2016.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강수량의 누적 패턴을 고려하여 새로운 가뭄지수(RADI)를 개발하였다. RADI는 누적 강수량의 장기간의 평균과 특정 기간에 관 측된 누적 강수량을 비교하여 일단위로 가뭄지수를 간단히 산정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가뭄기간 동안의 RADI의 시·공간 적 변동성과 재현 주기를 살펴봄으로써 장·단기 가뭄의 감시에 대한 RADI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PI의 경우, 장·단기 가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지속기간을 가지는 SPI를 사용해야 하지만, RADI는 하나의 지수로 단기 및 장기가뭄을 표현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다. RADI의 전국 평 균값을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에서 20년 주기로 가뭄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RADI의 발생확률 및 통계 분석을 통해 5단계의 가뭄 등급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가뭄 예보와 대응을 위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93.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paring to the other air pollutants like SO2, CO, the number of exceedance of the ozone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NAAQS) and the ozone warning increased recently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eliminary symptoms for high ozone days in Busan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preliminary symptoms, the hourly ozone data a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and the hourly meterological parameters at Busan regional meteorological 2007 to 2013 were used for the analysis. Averaged daily max ozone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0.055 ppm) at Noksan and Youngsuri in the ozone season from 2007 to 2013.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daily max. ozone including all stations in Busan at high ozone days(the day exceeding 0.1 ppm of ozone concentration at least one station) were classified from two to five clusters by hierarchial cluster analysis. The meteorological variables showing strong correlation with daily max. ozone were the daily mean dew point temperature, averaged total insolation, the daily mean relative humidity and the daily mean cloud amount. And the most frequent levels were 19-23℃ in dew point temperature, 21-24 MJ/m2 in total insolation on the day before, 2.6-3.0 MJ/m2 on the very day, 67-80% in relative humidity and 0-3 in cloud amount.
        394.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Arisaema Rhizome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Nakai) Kitag) aqueous extracts. Arisaema Rhizome (Chunnamsong in Korea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lk remedy plants used in Asia. In the study, a 28-day rat oral gavag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xtracts from Arisaema Rhizome at dose of 1,250, 2,500 and 5,000 ㎎/㎏/day. The following endpoints were evaluated: clinical observations, body weight,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endpoints, it was estimated that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for male rats and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for female rats are 5000 ㎎/㎏/day of the water-extracts from Arisaema Rhizome.
        395.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증보문헌비고』 학교고에도 일렀듯이, 인간에게는 아름다운 재질(잠재력)이 있는데 그러한 재질을 길러내고 성취케 하는 것은 가르치는 자 곧 학관의 역할이다. 그리하여 일찍이 문종(1063)은 국자감 학생들의 학업 태만의 책임이 학관에게 있음을 분명히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고려 최고 교육기관으로 국자감 학관에 관한 것으로, 그 명칭, 직제, 자질, 고과 등을 통해 당시 학관의 모습을 구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자감에는 정7품에서 정8품의 유학박사와 종8품에서 종9품의 기술박사, 그리고 종9품의 조교외에 경사교수, 사장, 사유 등으로 불리는 학관이 있었다. 국자감의 직제는 대체로 행정관리직, 유학교수직, 기술교수직, 사무직으로 대별된다. 문종조 기록을 중심으로 볼 때, 행정관리직으로 제거, 동제거, 관구, 판사, 좨주, 사업, 승, 주부 등이 있었고, 유학교수직으로 국자·대학·사문 박사, 조교 등이 있었으며, 기술교수직으로 율·서·산 박사 등이 있었고, 사무직으로 서사와 기관 등이 있었다. 또한, 학관의 자질로는 경명(경전에 통달하고 서적을 두루 읽은 유자, 경전에 밝고 널리 통달한 자, 경학과 제술에 뛰어난 선비 등), 행수(부지런하고 민첩한 자, 덕행을 부지런히 닦아 모범이 되는 자 등), 노성(노련하고 성숙한 자) 등이 중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교관들 중에는 육경 중 겨우 한 두 가지 경에 통할 뿐인 전문적 자질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학관의 평가 기준은 제자의 수, 과거응시자수, 강의과목수, 실제 근무일수, 각종 휴가일수 등이 있었다. 일찍이 목종(1003)이 학관의 교육이 점점 나태해지는 것을 염려하여 박사·사장으로서 생도를 권장하여 근로한 공로가 있는 자를 이름을 기록하여 올리도록 했는데, 특히 부지런히 좋은 가르침을 행한 학관의 경우 순번을 뛰어넘어 관직에 발탁한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39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n sixth industrialization policy is similar to that of Japanese such as goal of policy, setup and promotion method of specific policy projects as it benchmarked a Japanese case. First of all, the certification systems of both countries, the most representative policy, are very alike that the governments officially certificate management bodies, prepare the ground for continuous sixth industrialization, devid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into the central unit and regional unit, and have the function of support and control of sixth industrialization management bodies. Furthermore, both countries create fund for sixth industrialization as an investment support policy, and push forward with the phased support policy businesses such as individual support and connected support for management bodies.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ertification systems of both countries such as process-oriented or result-oriented for certification, subtle differences of the role in support organization, and the range and rate of support.
        398.
        2015.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Yang-gyeong-gyu-il-ui (兩景揆日儀) is a kind of elevation sundial using three wooden plates. Sang-hyeok Lee (李尙爀, 1810~?) and Byeong-cheol Nam (南秉哲, 1817~1863) gave descriptions of this sundial and explained how to use it in their Gyu-il-go (揆日考) and Ui-gi-jip-seol (儀器輯說), respectively. According to Gyu-il-go (揆日考) there are two horizontal plates and two vertical plates that have lines of season and time. Subseasonal (節候) lines are engraved between seasonal (節氣) lines, subdividing the interval into three equal lines of Cho-hu (初候, early subseason), Jung-hu (中候, mid subseason) and Mal-hu (末候, late subseason); there are 13 seasonal lines for a year, thus resulting in 37 subseasonal lines; also, there are 12 double-hour (時辰) lines for a day engraved on these plates. The only remaining artifact of Yang-gyeong-gyu-il-ui was made in 1849 (the 15th year of Heon-jong) and is kept at the Korea University Museum.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Yanggyeong- gyu-il-ui and similar western sundials. Also, we have reviewed the scientific aspect of this artifact and built a replica. Yang-gyeong-gyu-il-ui is a new model enhanced from the miniaturization developmen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can be applied to the southern part of the tropic line through a structure change.
        39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규모 수공구조물이 파괴될 경우 막대한 경제손실과 인명피해 등 사회, 경제적인 피해가 예상되므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설계시 수문기상학적 방법을 이용한 가능최대강수량(PMP)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2014년 8월 제주도 윗세오름에 1,182mm의 일 강수량이 발생하는 등 이상홍수의 빈도와 규모가 커짐에 따라 기존 산정된 PMP를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문기상학적 방법을 제외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1일 PMP를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은 한반도 남한을 5개 행정구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기상청 66개 관측지점 중 54년의 강우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14개 지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강우자료는 1일 강우를 이용하였으며, 관측된 연 최대치 강우계열로부터 통계학적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PMP 산정시 필요한 빈도계수의 경우 임의시간 24시간에 대한 빈도계수를 산정한 후 고정시간 1일 빈도계수로 역수한 수정 빈도계수를 제안하였으며, 산정된 PMP를 SMP와 CMP로 구분하고 1차 선형 회귀식의 기울기를 바탕으로 변화율(Trend)을 분석하였다. 14개 지점의 전체적인 PMP 변화율 분석 결과, CMP가 SMP보다 낮은 변화율을 보였으며, 14개 지점 평균적으로 SMP는 연간 4.4mm 증가, CMP는 연간 3.2mm 정도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 등으로 인하여 최근 극치 호우가 과거에 비해 다수 발생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생성된 미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PMP 산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된다면, 과거 및 미래 PMP의 변화율 분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meteo-tsunami occurred along the coastline of South Korea on 31 March 2007, with an estimated maximum amplitude of 240 cm in Yeonggwang (Y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ynoptic weather systems around the Yellow sea including the Bohai Bay and Shandong Peninsula using a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model and weather charts of the surface pressure level, upper pressure level and auxiliary analysis. We found that 4-lows passed through the Yellow sea from the Shandung Peninsula to Korea during 5 days. Moreover, the passage of the cold front and the locally heavy rain with a sudden pressure change may make the resonance response in the near-shore and ocean with a regular time-lag. The sea-level pressure disturbance and absolute vorticity in 500 hPa projected over the Yellow sea was propagated with a similar velocity to the coastline of South Korea at the time that meteo-tsunami occur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