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97

        381.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rwinia rarotovora subsp carotovora에 의한 콩나물 무름병 발생을 인위적인 조건하에서 조사하였다. 콩나물의 재배 온도가 콩나물 무름병 발생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30℃이상의 고온에서 무름병 발생율이 높아졌으며 35℃에서는 약 22%의 발병율을 나타내었다. 종피와 자엽 부위에 인위적인 상처를 낸 경우 70%이상의 발병율을 보였으며 콩나물의 신장을 억제하였다. 습도는 90%이상 유지시 33%의 발병율을 보였으며 콩나물의 생장을 억제시켰다. 콩나물 재배 배출액을 관수액으로 재이용하였을 때 무름병의 발병율이 증가하였다.
        4,000원
        383.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류균과 두과작물의 공생에서 숙주결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종자 및 및 유근으로부터 분리한 lectin과 근류균의 표피다당과의 결합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팔달, 백운 및 황금으로부터 분리한 종자선을 형성하였다. 대두 종자 lectin 및 뿌리추출물은 R. japonicum및 B. japonicum과 결합하였고 R. viceae와는 결합 하지 않았으며 완두의 lectin은 R. viceae와 결합하였으나 R. japonicum및 B. japonicum과는 결합 하지 않았다. B. japonicum과 R. viceae로 부터 분리한 세포표피 다당의 겔 여과한 결과 두개의 분획으로 각각 나타났다. B. japonicum으로 부터 분리한 표피다당은 대두의 종자 lectin과 결합하였으나 R. viceae로 부터 분리한 표피다당은 대두 lectin과 결합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근류균이 숙주세포와 결합할 때 숙주를 인식하는 초기 단계에서 lectin이 관여함을 추론할 수 있고 이것이 상호접종군을 형성하는데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4,000원
        384.
        199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답전윤환답(沓田輪換沓)에 콩을 재배(栽培)할 경우 석회시용(石灰施用)에 의한 산도보정(酸度補正)과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의 효과를 검토한 바,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답(沓田輪換沓) 콩재배시 근류착생(根瘤着生) 정도(程度)는 1년차에 비하여 3년차 답전윤환답(沓田輪換沓)에서 높았으며 콩의 생육초기(生育初期)에 비하여 개화기(開花期)에는 그 차이가 더 컸으며, 품종간에도 근류착생(根瘤着生)에 차이가 인정 되었다. 2. 3년차 답전윤환답(沓田輪換沓)에서는 유.무한형(有.無限型) 공(共)히 석회(石灰)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는 근류접종(根瘤接種) 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석회시용시(石灰施用時)는 근류접종(根瘤接種)의 효과(效果)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석회시용(石灰施用)과 근류접종(根瘤接種)이 콩의 초기생육(初期生育)에는 크게 영향하지 않았고, 개화기(開花期)에는 이들 형질의 대부분이 석회시용(石灰施用)에 남해(南海)콩에비해 무한형(無限型)인 Williams 79에서 증가폭이 더 컸다. 4. 성숙기(成熟期)의 수량구성(收量構成) 요소(要素) 및 수량생(收量生)이 석회시용(石灰施用)에 의하여 증가하였는데, 품종별(品種別)로는 남해(南海)콩에서 보다 Williams79에서 더 컸다. 또한, 2품종 공(共)히 근류접종(根瘤接種)의 효과(效果)는 석회(石灰) 시용시(施用時)에는 없었으나 석회(石灰) 무시용시(無施用時)에는 근류접종(根瘤接種)의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5. 석회(石灰) 및 근류접종(根瘤接種)에 관계(關係)없이 1년차 대비(對比) 3년차의 답전윤환답(沓田輪換沓)에서 수량구성(收量構成) 요소(要素) 및 수량성(收量性)이 높아 답전윤환(沓田輪換) 재배(栽培)의 년차증가(年次增加)에 의(依)해 콩의 생육(生育)은 양호(良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85.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crude protein yield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ates at sorghum sudangrass hybrid(SSH) and soybean intercropping. Planting dates were five treatment of may 6(T
        4,000원
        386.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in Chungiu and Jungwon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root development, dry matter yield, crude protein yield and palatability according to nitrogen fertilizer level at intercropping cultivation of sorghum sudangrass
        4,000원
        387.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at home were surveyed by 1,436 housewives through the country by premade questionnaires. The kochujang meju (Korean style soybean Koji for kochujang) were made by solely soybean (45.3% of respondents) or soybean with rice (26.3%) from September to November (52.2%) or December to February (32.7%). The shape of meju was either doughnut (28.4%) or brick (25.6%) type. Kochujang making seasons were either from March to May (56.6%) or December to February (25.0%) and it was prepared in proportion of mostly 6~10% meju powder (32%) with over 20% of red pepper powder (57.2%) prepared by seed removed dry red pepper. Subsidiary ingredients for kochujang making were boiled waxy rice (73.5%), malt (33.3%), corn syrup (18.9%) or corn syrup with malt (21.9%). After mixing all ingredients, kochujang in clay pot were occasionally exposed to the sun for fermentation for 3~4 months (35.0%) or 1~2 months (34.7%).
        4,000원
        388.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eneral views of 1,436 housewives respondents through the country on commerci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The 65.0% of total respondents had experience of purchasing commercial kochujang on the market, mostly super market (43.0%) of respondents, and the respondents who has job and live in apartment purchased the commercial products more often than the others (80.5%). The reason for purchasing commercial products were convenience (36.1%) and short of time (13.0%). The critera for purchasing commercial product were previous experience (40.1%) and well known trademark (20.6%) and not for purchasing were concerning of noxiousness (29.2%) and inferior taste (25.0%). Respondents prefered glass packing (44.3%) and plastic bottle (20.2%) of 500 g pack for single usage (42.3%).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kochujang taste were pungency (59.1%) and savory taste (28.6%). The problems indicated to commercial products were inferior taste (32.2%), especially too sweet (52.6%), and safety (20.6%).
        4,000원
        390.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oybean has been cultivated in China for 5,000 years. The soybean cyst neamtode (SCN), Heterodra glycines, was recongnized in Northeastern China in 1899. Currently, it is known to occur in 12 provinces. The biology of SCN was investigated in several provinces. Six races of SCN were identified (race 1, 2, 3, 4, 5 and 7). About f10,000 soybean germplasm lines were evaluated for their resistance to race 1, 3, 4 and 5 of SCN. At least two black-seeded cultivars are resistant to all four races. Several tolerant soybean cultivars with yellow seed coat were released and are in production. Additional resistant cultivars are being developed. Nematicides were not applied in production Potential biocontrol agents and related aspects are being investigated.
        4,000원
        391.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청예용으로 생산성이 우수한 대두를 선발할 목적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재배되고 있는 종실용대두(각 도별 추천품종)10품종의 생육특성, 기호성 및 건물수량을 비교 검토한 것으로 시험은 3년간 (1989~1991) 건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부속 사료포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재배기간 70, 80일째는 장백이 90일째는 백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재배기간 70, 80일째는 장백이 9
        4,000원
        392.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stomary usage of oil at homes and rancidity of edible soybean oil by cooking frequency at homes and mass meal services were investigated. 80% of house wives bought the cooking oil by 1.8 f unit container and 70% of them read either the manufactured date or explanatory note for use. 85% of house wives kept oil in the storage case under sink or in the pantry chest, and 80% of oils were used once or twice and 20% used three times for cooking. Acid value(AV), iodine value(IV), peroxide value(POV), carbonyl value(CoV)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TBAV) of fresh soybean oil were lower than standard level. In the rancidity by cooking frequency,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carbonyl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oil was used once and iodine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used once and twice at both mass meal services and homes. The level of the acid value, iodine value, carbonyl value and thiobarbituric acid value of oil used at mass meal servic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ose of oil used at homes. But, the peroxide value of oil used thrice at mass meal servic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homes.
        4,000원
        393.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ects of soybean oil(SO), cottonseed oil(CO) and ricebran oil(RO) on stability and flavor of yackwa. This study consisted of yackwa fried in 3 differnet oils, then stored for 0, 3, 6 weeks in normal wrap at room temp. or vaccum package at 4℃. The moisture, oil contents, Hunter color values(L, 'a' and 'b'), % free fatty acid(FFA), thiobarbituric acid(TBA) value and sensory scores for color, flavor and acceptability were analyzed. The foam height of the oil after frying was also determined. Yackwa fried in RO was more red('a'=11.43) than yackwa fried in SO(10.64) or CO(10.51). TBA value of yackwa showed no difference among frying oils. Yackwa fried in SO showed better acceptability than those fried in CO. Yackwa fried in RO showed similar acceptability to yackwa fried in SO. The % FFA and TBA value of yackwa averaged across oil and package showed increasing tendency during 6 weeks storage.
        4,000원
        395.
        199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7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대전근교의 콩에 기생하고 있는 콩진딧물에서 진디벌에 기생당한 mu-mmy를 채집하여 진디벌과 중기생벌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진딧물의 진디벌에 대한 기생율,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기주선택, mummy형성수와 형성 비율, 주요 진디벌과 중기생벌 종의 수명 등을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77개의 채집된 진딧물 mummy 중 진디벌은 27.1%m 중기생벌은 50.3%였다. Aphidius cingulatus, Ephedrus persicae, E. plagiator가 콩진딧물에 기생하고 있는 진디벌의 주요 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진디벌에 기생하고 있는 중기생벌들 중에 A. vulgaris, A. convexa가 우점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기생벌중 Charios brasicae는 한국 미기록종이었다. E.plagiator가 다른 콩진딧물에 기생하는 진디벌에 비해 중기생벌에 적게 기생되었다. 기생능력은 A. cingulatus 보다 E. plagiator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디벌과 중기생벌의 수명은 중기생벌이 3일~29일, 진디벌은 1일~4일로 추정되었다.
        4,000원
        396.
        199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大豆)-근류균(根瘤菌)의 공생(共生)에서 숙주식물(宿主植物)의 Root Exudate에 대한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이 근류형성(根瘤形性)(숙주식물(宿主植物))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기 위해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대두(大豆) Seed Lectin은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분자량(分子量) 120,000정도(程度)의 4개(個)의 동일(同一)한 subunit를 가지는 물질(物質)이며, Pea Seed Lectin은 분자량(分子量) 44,000정도(程度)이며 15,000과 7,000정도(程度)의 두 종류(種類)의 subunit를 가지는 물질(物質)이며 대두(大豆) lectin은 표준 lectin 항체와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완두의 lectin은 표준 lectin과 항원-항체반응이 없었으므로 두 lectin은 동일 항원이 되지 않아 서로 다른 물질이었다. 팔달의 Crude Root Exudate에 대(對)한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 비(比)는 KCTC 2422는 각각(各各) 3.5이고 LPN-100은 1.4이며 LCR-101은 각각(各各) 1.4이었다. 뿌리분비물의 각 fraction에 대한 근류균의 화학주성은 중성분획이 가장 높고 양성분획이 그다음이며 음성분획이 가장 낮은 화학주성을 나타내어 각물질에 대한 근류균의 친화도에 차이가 있었다. 근류형성(根瘤形性)의 정도(程度)는 KCTC 2422의 경우(境遇)는 접종(接種)후 7日경부터 Nitrogenase Activity가 나타났으며 LCR-101는 15일 이후(以後)에 Nitrogenase Activity를 나타내었다. LPN-100은 Nitrogenase Activity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근류균(根瘤菌)의 화학주성(化學走性)이 숙주인식과정(宿主認識過程)에 영향(影響)을 미쳤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4,300원
        397.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ction and vari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oil when it is partially hydrogenated until its iodine value(IV) shifts from 134 to 110. Experment was conducted under he outlined reactiion conditions of temperatures(170, 190 and 210℃), pressure(1.3, 2.8 and 4.2atm) and nickel(Ni) catalyst concentraons(0.005, 0.01, 0.05, and 0.1%) with a fixed agitation(350rpm). Further investigation was also made to see the effect of added lecithin on hydrogenation. When reaction temperature was gradually raised and catalys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linolenic acid progressively decreased while the increase amount of stearic acid reduced(P〈0.05). On he other hand when pressure gradually increased, the contents of stearic acid and linolenic acid increased(P〈0.05). Meanwhile when lecithin was added, reaction time increased by two to six times more than when no addition was made.
        4,000원
        398.
        199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lended oil was prepared from cottonseed oil and palm olien. The oxidative stability of blended oil after the addition of natural tocopherol and soybean lecithin during heating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lecithin were evaluated. The result obtained were as follows: 1. When the concentration of palm olein in blended oil during heating was increased, the oxidative stability was improved. 2. By both addition of natural tocopherol and soybean lecithin during heating in blended oil, induction period was considerably increased and residual ratio of tocopherol was high. 3. The oxidative stability of potato chips prepared from blended oil was higher in the prsence of lecithin than in the absence of it.
        4,000원
        399.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꿀벌의 수분작용이 콩 품종별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년간 경북농촌진흥원 망사하우스에서 단엽콩, 무한콩, 황금콩, 밀양콩, 팔달콩 및 단경콩의 6개품종을 공시하여 꿀벌을 방사처리 하여 조사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콩꽃에 대한 꿀벌의 방화회수는 노지포장에 비해 방사구에서 58% 많았으며 시간별로는 노지포장, 방사구 모두 오전 10시에 가장 많았다. 주당협수 및 결협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증가 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과 무한콩은 3립협 비율이, 황금콩과 밀양콩은 1립협 비율이 증가 되었으나 팔달콩과 단경콩은 3립협 비율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2립협 비율은 품종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콩수량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가 0~12% 증수되었는데, 특히 팔달콩과 단경콩은 꿀벌 방사에 의한 중수효과가 컸었다. 콩 hybrid주 비율은 무방사구에 비해 방사구에서 증가되었는데 팔달콩과 단경콩에서 hybrid주 비율이 높았다. 콩 개화기간과 hybrid주 비율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4,000원
        400.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유충의 피해가 차후 대두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생태형별로 조사하고 또 해충종합관리의 방안으로서 토양내 유기물함량, 토양의 종류, 피복등과 피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콩 초생단엽의 피해로 영양생장이 지연되었는데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개화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적엽한 구 보다는 충접종에 의한 피해구에서 생육지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초생단엽 피해 외에 지하 경.근부가 함께 피해를 받은 때문이었다. 생산량은 초생단엽이 25% 피해를 받은 구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출현속도는 무피복구에 비해 피복구에서 빨랐는데 투명비닐의 촉진 효과가 가장컸다. 식양토와 식토구에서 재배한 콩의 피해가 적었으며 토양내 부엽토 함량이 증가하면 출현속도가 빨라져 초생단엽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