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8

        4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단축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을 정상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을 대상 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SSP2를 6곳에 거주하고 있는 정상아동 100명과 장애아동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를 검증하였고 신뢰도에는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검증을 하였으며 타당도에는 내용타당도와 판별타 당도 수렴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결과 : SSP2의 감각처리영역의 내적일치도는 .89로 확인되었으며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응영역은 .92 를 확인되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감각처리영역은 .89에서 .90이었으며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 응영역은 .80~.97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정상아동과 장애아동을 비교한 판별타당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SSP2와 SSP를 비교한 수렴타당도의 감각처리영역의 총 점수간의 계수는 .85이고 감각처리와 관련된 행동반응영역의 총 점수간의 상관계수는 .85로 높은 상 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SSP2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 높은 수준을 보였으므로 SSP와 같 이 임상에서의 사용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HSSAT)를 번안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HSSAT의 번안을 위하여 번역과 역 번역의 과정을 실시하여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ome Safety Self-Assessment Tool; K-HSSAT)를 완성하였다. 그 후 내용타당도와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간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10명에게 해결책을 적용한 전·후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 : K-HSSAT의 내용타당도 지수는 .94로 높게 나타나 내용타당도를 수립하였다. 수렴타당도 검증 결 과 K-HSSAT의 총점과 주거환경 위험평가(Checklist for Home Fall Hazard; CHFH)의 각 영역 간 상관계수는 .23~.52의 범위를 보였고 CHFH의 총 4개 영역 모두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p<.01). K-HSSAT의 내적일치도 Cronhach's α값은 .89를 나타내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증 결 과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p<.05). 검사자간 신뢰도 검증 결과 9가지 영역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1). K-HSSAT의 해결책을 제 시하고 전·후 비교한 결과 적용 전 17.40±4.55, 적용 후 12.70±3.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결론 : 한국어판 가정안전 자가 평가도구(K-HSSAT)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가정 낙상환경위 험 평가와 환경적 중재를 위한 다양성을 갖춘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4,600원
        43.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a reliability analysis of the proposed wind load combination which governs the design of support structures of subsidiary road facilities, and to evaluate whether the target reliability of the design is satisfied.METHODS :The statistical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and the design period of the support structure is used to obtain the statistical property of the wind load. In addition,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strength of support structures are obtain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simulation study. Actual support structures are designed by the proposed load combination and are used as the examples to examine if the target reliability is obtained.RESULTS :The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perform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load and resistance for the support structure i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proposed wind load combination satisfied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of the design. Also, the convenience of the design is achieved by adopting the same design wind velocity given in the bridge design code by applying the wind velocity ratio defined for the design period of the support structure.CONCLUSIONS :It is presented that the design using the wind load combination proposed in this study achieved the target reliability index and the design wind load for different design periods can be conveniently defined by applying the velocity ratio proposed in this study.
        4,000원
        44.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프리즘 분리법으로 사위검사를 시행할 때 수평사위에 대한 분리 프리즘(dissociating prism)의 신뢰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5명을 대상(평균 22.23±2.22세)으로 자각적 굴절검사와 von Graefe법으로 사위검사를 하였다. 우안에 12 △ base-in (BI)의 측정 프리즘을 가입하고, 좌안에 4, 6, 8, 10 △ base-up (BU)의 분리 프리즘을 하나씩 무작위 순서로 가입하여 수평사위를 반복 측정 하여 수평사위에 미치는 분리 프리즘의 영향을 분석했다. 각 세팅 방법에 따른 사위검사의 신뢰도는 두 방법 간의 상관관계와 Bland-Altman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분리 프리즘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체적인 외사위량은 점차 감소하였다. 특히 원거리 외사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근거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측정 방법 간의 비교에서 평균차이가 적고, 95% 일치도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을 기준하여 각 세팅별 신뢰도를 비교하면 원거리 및 근거리 수평사위 검사에서는 8△과 10△의 분리 프리 즘이 신뢰도가 높았다. 결론: 분리 프리즘이 8△과 10△일 때 두 측정법 간의 신뢰도가 가장 높았다. 10△의 분리 프리즘은 분리 정도가 너무 커서 피검자가 반응이 불명료하였고, 6△의 분리 프리즘은 표준 편차가 커 변동성이 컸다. 따라서 von Graefe법에 의한 사위도 측정 시 8△의 분리 프 리즘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본다.
        4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장소에 따라 안경사의 직무신뢰도 및 안경과 콘택트렌즈 가격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5년 5월에서 6월 두 달 동안 대구·경북, 부산·경남지역의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고객을 대상 으로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 장소, 안경사의 판매 및 검안에 대한 신뢰도 및 안경과 콘택트렌즈 구매가격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 과: 직무신뢰도에서 검안은 남자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고(3.89±0.88), 가격만족도에서는 모두 여자 의 평균값이 높았다(3.18±0.72). 구매장소에 따른 상관관계에서는 비 프랜차이즈의 검안신뢰도가 가장 높 았다(3.99±0.91). 결 론: 구매장소에 따른 직무신뢰도와 가격만족도에 대하여 일부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신뢰도와 가격만족도를 높이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4,000원
        51.
        2016.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weapon system is designed and developed, a reliability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goal.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weapon system and equipment is based on MIL Specification, MIL-HDBK-217F and MIL-HDBK-338B. And the weapon system is operated on various environments by operating concept of the military using the weapon system. This study, at first, present failure rate by PSA comparing with failure rates by PCM, the different reliability analysis method, for same CCA(Circuit Card Assembly). And the study present change of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for CCA on various operation environment condition..
        4,000원
        5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사회참여도를 평가하는 사회참여 척도(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RNLI)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RNLI를 번역-역번역하여 내용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안면타당도 검증은 K-RNLI(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대상자의 문항에 대한 이해도 정도로 검사하였다. 준거타당도 검증은 K-RNLI와 Frenchay 일상생활활동 자기평가 지수(Frenchay Activities Index; FAI), 삶의 만족도(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도구와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 가를 검증하였다. K-RNLI 신뢰도 검증은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 내용타당도 검증에서 K-RNLI 도구 전체의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85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안면타당도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준거타당도는 K-RNLI는 FAI(γ=.74) 와 SWLS(γ=.54)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신뢰도 검증에서는 내적일치도가 Cronbach’s α 값이 .99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9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결론 :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사회참여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 로써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K-RNLI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사회참여 수준을 파악하고 중재계 획 및 중재결과, 연구를 위한 유용한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4,000원
        53.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ssessments of Sit-to-Stand (STS) and gait functions are essential procedures in evaluating level of independence for the patients after stroke. In a previous study, we developed the software to analyze center of pressure (COP) in standing position on Wii Balance Board (WBB). Objects: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est-retest reliability of ground reaction forces, COP and time using WBB on STS and gait in healthy adults. Methods: Fifteen healthy participants performed three trials of STS and gait on WBB. The time (s), vertical peak (%) and COP path-length (㎝) were measured on both tasks. Additionally, counter (%), different peak (%), symmetry ratio, COP x-range and COP y-range were analyzed on STS, 1st peak (%), 2nd peak (%) of weight were analyzed on gai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standard error measurement (SEM) and smallest real difference (SRD) were analyzed for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ICC of all variables except COP path-length appeared to .676∼.946 on STS, and to .723∼.901 on gait. SEM and SRD of all variables excepting COP path-length appeared .227∼8.886, .033∼24.575 on STS. SEM and SRD excepting COP path-length appeared about .019∼3.933, .054∼11.879 on gait. Conclusion: WBB is not only cheaper than force plate, but also easier to use clinically. WBB is considered as an adequate equipment for measuring changes of weight bearing during balance, STS and gait test which are normally used for functional assessment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problems and elderly. The further study is needed concurrent validity on neurological patients, elderly patients using force plate and WBB.
        4,000원
        54.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paper proposes a reliability index for the safety evaluation of freeway sections. It establishes a reliability index as a safety surrogate on freeways considering speeds and speed dispersions. METHODS : We collated values of design elements including radii, curve lengths, vertical slopes (absolute values), superelevations, and vertical slopes from seven freeway sections in Korea. We also collected data about driving speeds, traffic accidents, and their deviations. We established a reliability index using these variables. RESULTS : The average radii, curve lengths, and superelevation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traffic accidents. Deviations in radius and curve lengths show an especially high correlation. The reliability index, derived from speed and speed dispersions of the seven freeway sections, also correlated highly with accidents with a correlation index of 0.63. CONCLUSIONS : Since the reliability index obtained from speed and speed dispersion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raffic accidents, we conclude that a reliability index can be a safety surrogate on freeways considering speeds and speed dispersions together in terms of design and operational levels.
        4,000원
        5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건성안 증후군 대학생을 대상으로 Skindex-29를 이용한 피부과적 삶의 질을 분석하여, 건성안 증후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연관된 문항의 항목별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McMonnies 설문을 통해 206명의 건성안 증후군을 선별하였으며, Skindex-29 설문을 통해 피부 과적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자의 피부과적 삶의 질의 전체 점수는 44.84점이였고, 증상 영역, 기능 영역, 감정 영역은 각 각 11.95점, 16.78점, 19.25점이었다. 신뢰도 분석한 결과 Cronbach’s α값이 0.80, 0.87, 0.96로 내적합치 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삶의 질의 수준별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증상 영역은 알레르 기 약 복용 여부, 감정 영역은 성별과 음주 여부, 전체 점수에서는 알레르기 약 복용 여부와 유의하여 연관성 이 있었다. 타당도 검증을 위한 ROC곡선에서 음주 여부는 유의하지 않았고 알레르기 약 복용 여부는 피부과 적 삶의 질의 증상 영역에서 AUC값이 0.74를 보이며 유의하였다.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은 감정 영역에서 가장 낮았으며, 알레르기 약을 복용한 사람일수록 감정 영역의 피부과적 삶의 질이 낮았다. 결 론: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은 선행연구의 일반 대상자보다 낮았으며, 알레르기 약을 복용 하는 건성안 증후군은 감정 영역의 피부과적 삶의 질이 낮았다. 추후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 을 연구하여 건성안 증후군의 피부과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4,000원
        56.
        2016.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메르스’에 대한 재난 뉴스 이용매체와 뉴스 이용정도 및 뉴스의 신뢰여부가 미디어 이용자의 인지된 심각성, 취약성, 자기 효능감 및 대처비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것을 매개로 하여 최종적으로 개인과 공중의 건강 보호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SNS와 인터넷뉴스가 TV보다 메르스의 심각성을 지각하게 했지만 메르스에 대한 대처역량을 키우거나 하지는 않았다.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메르스에 대한 뉴스 이용정도는 메르스에 대한 취약성과 심각성 지각 뿐 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대처비용의 대처평가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메르스 뉴스 이용정도가 메르스 사태의 본질을 인지하게 하였다. 그리고 개인과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개인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고 지각된 심각성, 자기효능감, 대처비용에 의해 공중건강보호행위를 강화하였다. 뉴스신뢰도는 자기효능감에만 영향을 미쳐 실제로 메르스 사태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진 못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심각성과 자기효능감을 매개요인으로 하여 개인보호행위의도를 증진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지만 공중의 보호행위의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6,400원
        57.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kground: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using rigor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order to be used in Korea. Because these procedures are insufficient for establishing the cross-cultural and linguistic equivalence, the need for statistical methods is raised.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back translation method, b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not yet been proven by statistical method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KFAB) by statistical methods in elderly people. Methods: A total of 97 elderly adults (39 males and 58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FAB was measured using Cronbach’s alpha and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used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asurement sessions. Concurrent validity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KFAB responses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KBBS) using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Construct validity of the KFAB was measured us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FAB was found be adequate with Cronbach’s alpha (.96),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excellent as evidenced by the high ICC (r=.996). Concurrent validity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KFAB and KBBS (r=.89, p<.001).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from Bartlett test of spheric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nd the value of Kaiser-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was .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existence of only one dominant factor that explained 76.43%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KFAB is a reliable, valid and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the balance functions in elderly people.
        58.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 (AHA), which can assess the elderly’s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in the three areas of independence, difficulty, and safety.Methods : A total of 360 elderly people aged 55 or older without physical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HA,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nalyzed. Of them, we calculated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and between each activity of the AHA and Korean-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were examined. In addition, to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between the group of general elderly and the group of elderly after a stroke was compared.Results :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within the range of .91 to .98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showed a range of .78 to .86. The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of all sets of two activities with similar names or featu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 The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that the general elderly people performed daily activities at a higher level than the elderly after suffering a stroke in all areas (p<.01).Conclusion : The AHA is a suitable instrument that can assess the performance of daily activities at home of elderly people,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implementing interventions of training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home modifications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4,000원
        60.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의 개발을 위해 원 도구 개발자에게 한국에서의 번안과 사용을 허락 받았다. CBS 원문을 한글로 번안하여 번역-역번역 기 법에 따라 번역타당도를 구하고,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와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를 구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Cronbach’s α와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α)을 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병원에 입원, 외래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으로 인한 왼쪽 편마비 환자 127명을 대 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04월까지 진행되었다. 결과 : 번역-역번역 기법에 따라 번역타당도가 수립되었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지수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는 Pearson 상관계수가 선 나누기 검사(r=.719), 알버트 검사(r=.671)로 K-CBS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항목이 모두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내적일관성은 .956으로 항목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문항이 제거 되었을 때의 Cronbach’s α값보다 높아지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 K-CBS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 써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에는 K-CBS의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검증 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뇌졸중, 신뢰도, 타당도, 편측무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