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9

        4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the Standard Method of Odor Compounds, by measuring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for fatty acids and i-butyl alcohol. For the measurement, 18 panel members were selected through a panel test, and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by substance produced from the selected panel were estimated.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odor intensity with dilution factor for a fatty acids and i-butyl alcohol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I = A·log D + 0.5 (I : odor Intensity, D : dilution factor, A : material constant). The material constant was in order of propionic acid 2.0709, n-butyric acid 1.6006, n-valeric acid 1.3369, i-valeric acid 1.182, i-butyl alcohol 1.4326. The geometric average of increased dilution factor for the 5 compounds is about 4.8 time, 3.0 time for propionic acid and 7.0 tme for i-valeric acid due to odor intensity 1 increasing.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s at a boundary sites in operation.
        4,000원
        4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using the odor sensory method for 4 types of fatty acid compounds and i-butyl alcohol. For the measurement, 18 panelists were selected based on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ties provided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odor intensity for the 5 compounds, including the fatty acid compounds and i-butyl alcohol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Weber-Fechner equation. Notably the standards regulation fatty acid concentrations are very strict, and the butyl acetate standards are very loose. It is suggested tha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on complex odor concentrations on site boundaries in operation,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for the designated foul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4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times, using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on production, blood profile, and the short-chain fatty acid (SCFA), was investigated using 240 Cherry Valley (Anas platyrhynchos) meat ducks exposed to a scorching heat wave. The anim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each of which was replicated three times with twenty ducks per replicate. The experimental period was 42 days for each group. Four groups were assigned into C (heat wave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T1 (ad libitum group fed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T2 (diet-restricted group fed twice daily between 05:00-10:00 and 17:00-20:00, using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and T3 (night-restricted group, fed from 17:00-10:00, with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At 42 days, body weight increased in order of T2, T1, T3 compared to the heat wave control group although.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of T1 and T3. The heat wave control group, provided an ad libitum diet without betaine (C), showed an elevated feed conversion ratio compared to the groups fed a diet containing betaine.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the groups of T1, T2 and T3. RBC and platelet profiles except for PLT and MPV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s fed a diet containing betaine. T2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blood electrolytes Na+ and Cl- than the other groups. T2 also showed a blood gas level tha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Total SCFA,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concentration has been the increasing trend in T2, but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and valeric acid concentration has been the decreasing trend in T2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he feeding-restricted group, fed two times daily between 05:00-10:00 and 17:00-20:00, with a diet containing 800 ppm betaine may improve growth performance in meat ducks exposed to a scorching heat wave.
        4,300원
        4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armacodynamics of betaine on the blood profile and short chain fatty acid levels in meat ducks exposed to heat wave. 400 heads of Cherry valley (Anasplatyrhynchos) meat ducks were completely randomized to 5 treatments (4 repetitions each), and were raised for 42 days. They were grouped into T1 (heat wave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T2 (betaine 400 ppm), T3 (betaine 800 ppm), T4 (betaine 1200 ppm), and T5 (normal control group without betaine). Compared to T1, the betaine addition groups showed higher body weight gain at shipment, with T3 showing the highest significant difference. For hematological indictors measured (red blood cells and platelets), the betaine addi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than the heat wave control group. The pH of the former was lower but their electrolytes (K+, P+, and Cl-)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latter. For blood gas concentration, the form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the latter. For the total short chain fatty acids,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the betaine addition groups and group fed broiler-high temperature diet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heat wav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ormer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in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than the latter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ine has the pharmacodynamics that mediate heat stress, via the maintenance and control of the blood profile, osmotic pressure, gas concentration, and short chain fatty acid, of meat ducks under heat wave.
        4,200원
        4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산 조성이 우수하고 종실중도 무거운 유채 계통들을 선발하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유채 4품종(탐미, 탐라, 한라, 목포CGMS)을 모본으로 이용하고, 대만 AVRDC에서 도입된 3 품종(Sarso, Sarson, Sarsyun)을 부본으로 사용하여 종간교잡을 실시하였다. 교배친, F1 및 F2 세대에서 100립중, 지방산 조성, 및 종피색을 분석하였다. F1 및 F2 세대에서 100립중을 조사한 결과, 교배 모본으로 탐미와 부본으로 Sarsyun이 사용된 경우 평균 100립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측면에서는 Oleic acid(C18 : 1) 함량이 높은 계통들은 모본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Erucic acid(C22 : 1) 함량이 높은 계통들은 부본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종자가 크고 지방산 조성이 양호한 계통선발이 가능하여 바이오디젤용 고수율·대립 유채 종자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4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급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류의 소포제를 합성하고 FT-IR과 1H-NMR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 다. FT-IR을 이용하여 합성된 물질의 특징인 -C=O기는 1740 cm-1 부근에서, 그리고 C-O기는 1175 cm-1 피크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H-NMR 분석을 통해 에스테르의 -C=O의 Chemical shift가 2.29 ppm에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장력은 Surface Tensiometer CBVP-4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표면장력은 17.7에서 21 dyne/cm 값을 가진다. SLS 수용액에서의 소포능은 Ross-Miles법을 통해 측정되었다. 4종류의 소포제 중 소포능 은 스테아르산메틸을 이용하여 제조한 소포제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측정됐다.
        4,000원
        47.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lationship between lipid intake and obesity has been well-addressed but recent findings indicated that the type of lipid or composition of lipid in the diet also contributes to body fat accumulation and consequential health outc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nutrition intake including fatty acids, lipids and lipid soluble nutrients between the obese and lean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ake of certain fatty acids and body fat accumulation. Anthropometric elements including body weight, height, body fat and composition were measured, and dietary recall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14 college students. Data showed that total calorie intake and total lipid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bese and lean subject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male obese subjects ate more amount of plant lipids and palmitic acids (C16:0) from their diet (p<0.05), while female obese subjects consumed more linoleic acids (18:2) and linolenic acids (C18:3) compared to normal subjects (p<0.01).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nsumption of palmitoleic acid (C16:1) and lipid soluble vitamin D were negatively (p<0.05) correlated with body fat accumulation in all subjects and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by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for those variables.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rather than only considering the amount of lipids, suggesting a proper type of lipids or lipid metabolites can be considered in nutrition counseling or education.
        4,000원
        4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determined the threshold value of 10 specified offensive odor substances based on the 3 point comparison sensory method. The panelist's thresholds were calculated by taking the arithmetic, geometric mean, and 50th percentile. Three methods of calculating the odor thresholds from the same data are compared. For 10 odor substances, the panelist's thresholds revealed a logarithmically normal distribution. The 50th percentile was the best method among the three methods of calculating the odor threshold from the 270 thresholds of 18 panels. As a result, the threshold values of individual odor substances, including i-valeric acid, n-valeric acid, n-butyric acid, and butyl acetate ranged between 0.0001~0.006 ppm, while the values of methyl ethyl ketone and toluen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ther substances at 0.7107 ppm and 1.2139 ppm, respectively. The threshold values of the 10 specified odor substances were compared in Korea and overseas, which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ensory response varied by substance and nation.
        4,500원
        4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육우 송아지 출하월령(3, 6, 9, 12개월) 조건에 따른 채끝등심(m. longissimus lumborum)과 꾸리육(m. tricep brachii)의 이화학적 육질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특성을 비교하여 송아지고기의 상품성을 조사해 보고자 수행하였다. 채끝등심육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감소하였던(73.20~79.23%) 반면에 단백질(19.51~23.13%) 및 지방(0.76~1.99%) 함량은 증가하였다. 육색의 경우 두 부위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L*값(30.62~43.81)은 감소하는 반면에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P<0.05). pH는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5.96)이 꾸리육은 3개월(5.67) 및 6개월(5.73) 령이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미오글로빈 함량은 채끝등심과 꾸리육 모두 출하월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을 측정한 경과 채끝등심육 은 3개월령(5.94 kg)과 12개월령(4.34 kg)이 6개월(9.16kg) 및 9개월령(9.57 kg)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꾸리육은 3개월령(2.83 kg)이 9개월 (4.47 kg)령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가열감량은 채끝육의 경우 출하월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육은 다른 출하월령들 보다 12개월(28.37%)령이 낮았고 3개월(36.55%)령이 높았다(P<0.05). 한편 채끝등심과 꾸리육은 모두 12개월령이 근절길이가 길었고 보수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채끝등심육은 3개월령에 C18:2n6, C20:1n9, 총 다가불포화지방산 (PUFA), 포화지방산에 대한 다가불포화지방산의 비율(PUFA/SFA) 및 오메가-6(ω-6)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6:1n7, C18:1n9,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MUFA),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꾸리육의 경우 3개월령에 C20:1n9 함량이 높았고 12개월령에는 C14:0, C18:1n9, 총 단가불포화지방산(MUFA) 및 총 포화지방산에 대한 총 단가불포화 지방산의 비율(MUFA/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500원
        5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화지방산과 인지질(DMPC)혼합 LB막에 대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화지방산과 DMPC 혼합 단분자 LB막은 ITO glass에 Langmuir-Blodgett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 성은 Na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 (Ag/AgCl 기준전극, 백금선 카운터 전극 및 LB 필름이 코팅된 ITO 작업 전극)으로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과 인지질(DMPC)의 LB막은 순환전압전류도표로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과 인지질 (DMPC)혼합(몰비 1:1) LB막(C14, C16, C18, C20)에서 확산계수(D)는 0.05 N NaClO4에서 각각 1.2x10-3, 2.1x10-3, 1.4x10-4 및 1.1x10-3 cm2/s로 산출되었다.
        4,000원
        5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화지방산(C12, C14, C16, C18) 단분자층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포화지방산 단분자층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 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0.1 N NaClO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 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 LB막은 순환전압전류곡선으로 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LB막의 확산계수(D)를 산출한 결과 각각 라우르산, 2.223x10-3 cm2/s, 미리스트산, 2.461x10-4 cm2/s, 팔미트산, 7.114x10-4 cm2/s 및 스테아르 산, 2.371x10-4을 얻었다.
        4,000원
        53.
        2014.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무항생제 사육방식이 한우육내 코티졸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항생제 및 관행 축산으로 생산된 한우육 1등급 등심(M. longissimus)부위를 3가지의 브랜드별로 각각 3회씩 구매하여 시료로 공시하였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우육 등심내 코티졸 함량은 무항생제 처리구에서 관행사육 처리구 대비 유의적(p=0.0176)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에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관행사육 처리구에서는 포화지방산이, 무항생제 처리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이 각각 높은 경향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중 n-3과 n-9 지방산을 제외한 n-6 지방산(linoleic acid, γ-lino-lenic acid)에서 유의적(p<0.01)인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한우육내 코티졸 농도와 n-6 지방산 농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특히 linoleic acid와 유의적(p=0.0140)으로 부(—)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결과적으로, 무항생제 인증으로 사육된 한우육은 관행적으로 사육된 한우육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코티졸 함량이 낮았으며, 건강에 유익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으로 분석됨으로써 육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첨가가 반추위 발효성상과 효소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iromyces communis 곰팡이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Ⅰ과 Ⅱ의 대조구에는 지방산을 첨가하지 않았고, 처리구는 시험Ⅰ에서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를 첨가하였고, 실험 Ⅱ에서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를 첨가하였다. 두 실험 모두 39℃에서 7일간 (2, 3, 4, 6 및 7일) 실시되었다. 시험 Ⅰ의 가스발생량은 불포화 지방산인 oleic acid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H2가스의 비율은 가장 낮았다. 시험 Ⅱ의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2일에서 6일까지의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 비해 높았지만 이후에는 낮았다. 수소가스 생성비율은 linole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많았고 linolenic acid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시험 Ⅰ의 pH는 6.63에서 5.85로, 시험 Ⅱ에서는 6.59에서 5.40으로 낮아졌다. Carboxymethylcellulase 활력은 발효시간(day)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특히 arachidonic acid 첨가구의 증가폭이 컸다. 본 실험의 결과는 반추동물의 사료에 불포화지방산을 첨가하면 반추위곰팡이가 생성하는 수소를 불포화 지방산이 이용하여 메탄생성 억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악취물질의 농도를 계절별로 비교하여 초지 및 농경지에 살포되는 분뇨의 악취강도를 예측하고자 수행되었다. 1.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휘발성유기물의 계절별 농도 비교페놀류 중 p-크레졸 농도는 봄, 여름 및 가을에 차이가 없었지만, 페놀, 인돌 및 스카톨 농도는 여름과 가을에 비해 봄에 높았다(p<0.05). 돼지 슬러리의 경우 p-크레졸과 스카톨이 악취강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계절에 따른 휘발성유기물의 악취강도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2.비육돈사의 슬러리에 함유된 휘발성지방산의 계절별 농도 비교휘발성지방산의 경우 악취강도가 높지 않은 단쇄지방산의 농도는 봄철이 여름과 가을보다 높았으나(p<0.05), 악취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계절별로 숫자적인 차이는 보였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p> 0.05). 계절에 따라 휘발성지방산이 악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봄철에 악취물질의 농도가 더 높은 것은 온도, 환기 및 돈사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여름철은 슬러리에서 생성되는 악취농도 보다 환기에 의해 휘산되는 양이 많아서 슬러리의 악취농도가 감소되거나 증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비육돈사의 슬러리를 초지 또는 농경지에 살포하였을 때 계절에 의한 악취강도의 차이는 크지 않을 것으로 기대된다.
        3,000원
        5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지 또는 농경지에 살포되는 퇴비와 액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악취민원에 대처하기 위하여, 돼지의 분과 뇨에 존재하는 악취물질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1.비육돈의 분과 뇨에 함유된 휘발성유기물의 농도 비교페놀, p-크레졸 및 페놀류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p<0.05), 분 보다 뇨에 축적된 비율이 페놀은 138배, p-크레졸은 545배 높았다. 인돌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 스카톨은 뇨 보다 분에서 높았다(p<0.05). 휘발성유기물은 대부분 뇨로 배설되었으며, 이 중 농도 및 악취강도가 가장 높은 물질인 p-크레졸이 뇨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돼지 분뇨를 고액분리 하였을 때 퇴비로 이용되는 고체보다 액비로 이용되는 액상물질에서 악취가 훨씬 강할 것으로 예측된다. 2.비육돈의 분과 뇨에 함유된 휘발성지방산의 농도 비교아세트산과 단쇄지방산 농도는 분 보다 뇨에서 높았으며 (p<0.05), 부티르산과 프로피온산은 차이가 없었다(p> 0.05). 이성체지방산 중 I-부티르산의 농도는 뇨 보다 분에서 높았지만(p<0.05), I-발레르산과 이성체지방산은 차이가 없었다(p>0.05). 휘발성지방산 중에서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은 분에서 각각 65와 20%, 뇨에서는 각각 93과 4%로 휘발성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지만 아세트산과 프로피온산을 포함하는 단쇄지방산은 악취강도가 낮다. 반면에 악취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성체지방산은 분과 뇨 간에 차이가 없기 때문에 휘발성지방산이 악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돼지 분뇨의 악취물질 중 악취강도가 높은 p-크레졸은 뇨에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퇴비와 액비 생산과정 중 액상처리 시 악취강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악취강도는 휘발성지방산의 농도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7.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extreme heat diet(EHD), inverse lighting, and cool water on the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under extreme heat stress. There were 4 experimental groups (T1: EHD 1,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cold water 9℃; T2: EHD 2, 10:00-19:00 dark, 19:00-10:00 light, cold water 9℃; T3: EHD 1,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cold water 14℃; T4: EHD 2, 09:00-18:00 dark, 18:00-09:00 light, cold water 14℃), each group composed of 25 broilers and th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EHD 1 contained soybean oil, molasses, methionine and lysine. EHD 2 contained all nutrients of EHD 1 and vitamin C additionally. As a result, T1 and T2 displayed higher body weight increase and diet intake compared to T3 and T4 (p<0.05). The weights of their liver and gizzard were similar but the weights of the thymus and bursa F were higher for T1 and T2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p<0.05). It was observed that T1 and T2 displayed higher concentrations of blood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 and blood sugar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but LDL-C level was higher for T3 and T4 compared to that of T1 and T2 (p<0.05). T1 and T2 displayed higher levels of immunity substances such as IgG, IgA and IgM compared to T3 and T4 but the blood level of corticosterone displayed to be lower for T1 and T2 compared to T3 and T4 (p<0.05). The T1 and T2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fecal lactobacillus compared to that of T3 and T4 but the T3 and T4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fecal E. coli,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compared o that of T1 and T2 (p<0.05). T1 and T2 displayed higher concentrations of cecal acetic acid, ropionic acid and total short chain fatty acids compared to T3 and T4 but T3 and T4 displayed igher concentrations of butyric acid, isobutyric acid, 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compared to T1 and T2 (p<0.05). These results have been observed that broiler chickens exposed to extreme eat stress with feeding EHD, inverse lighting and cold water would improve blood lipid, and elevate the production of immunity substance,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short chain fatty acids. This provision would also reduce the blood sugar consumption rate as energy sources and these effects will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broilers exposed to extreme heat.
        4,500원
        58.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들기름 및 미강유를 베이스로 개발한 혼합 식용유는 오메가-3 지방산인 리놀렌산 함량이 약 20% 정도로 매우 높다. 이는 기존의 일반 식용유 중 오메가-3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콩기름과 카놀라유의 리놀렌산 함량이 각각 6% 및 10%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이들 식용유에 비하여 새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2~3배 높은 비율로 오메가-3 지방산을 제공할 수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 섭취가 부족한 현대인의 식단에서 중요한 오메가-3 지방산 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토코페롤 함량도 약 46.77 ㎎/ 100 g oil 정도인데, 가장 주목할 일은 토코페롤 동족류 중 비타민 E의 활성이 가장 강한 알파-토코페롤(31.71 ㎎/100 g oil)이 가장 많이 존재하여, 총 토코페롤의 64%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타민 E로서의 기능이 높다.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이 알려진 파이토스테롤 함량이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에 약 7,200 ppm 함유되어 있어, 일반적인 식용유의 3,000 ppm의 약 2.3배에 달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들기름과 미강유를 혼합한 식용유는 일반적인 식용유인 콩기름과 거의 유사한 산화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어, 일반 들기름에 비하여 현저히 높은 산화안정성이 확보되었다.
        4,000원
        59.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DDGS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비육성적, 도체특성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평균 28.2개월령 (평균 체중 747.1±62.8㎏)의 거세한우 44두를 대조구, 시험1구 (DDGS 15% 첨가구) 및 시험2구 (DDGS 30% 첨가구)에 각각 15, 14 및 15두씩 배치하여 84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당증체량은 처리구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요구율은 시험1구와 시험2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9.3%과 17.1% 낮게 나타났다. 도체성적의 경우 등지방두께와 등심단면적은 처리구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구별 육질등급별 출현율은 1++등급 출현율은 시험1구 (42.9%)에서 가장 높았고, 시험2구 (26.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도체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시험1구가 시험2구에 비하여 유의적 (P<0.05)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18:2 (linoleic acid) 및 다가 불포화지방산은 시험1구 및 시험2구에서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거세한우의 비육후기에 DDGS 15% 급여한 시험1구에서 사료요구율, 육질등급 및 불포화지방산 함량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200원
        6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디젤은 세계 화석연료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환경 친화적 대체물질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대체연료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응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원유의 정제로부터 얻어진 석유제품을 대체하려는 다양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윤활기유로서의 식물성 오일은 급속도로 발전된 석유산업으로 인해 상용화 되지 못했던 오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자연친화적 생분해성과 무독성, 윤활유로서의 낮은 휘발성과 우수한 계면윤활 등 대체 오일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우수한 윤활 및 마모성능에도 불구하고 윤활연구에 넓게 활용되지 못했던 이유 중에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갖는 열악한 산화안정성(oxidation stability) 및 열화안정도(thermal stability) 때문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을 윤활기유 내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윤활성능 및 산화안정성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사구식 내마모 성능시험 후 발생되는 산화 및 열화현상을 알아보았다. 또한 산화에 따른 혼합 오일의 윤활특성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윤활유 또는 윤활 향상제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4,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