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7

        4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asic characteristics of the adjustment process to Korean food with an analysis of Japanese independent tourist culture social resistance factors. To collect data for empirical study, a survey was distributed to 284 Japanese tourists through Korean travel agenci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media and cultural beliefs affecting the diffusion process of Korean food. The results showed that cultural belief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diffusion process of most Korean food. However, people who value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South Korea and Japan-demonstrated a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and identification group. Therefore, cultural beliefs did not influence the diffusion of Korean food, although there are surely cultural beliefs and subjective factors affecting their reform decisions.
        4,000원
        43.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i, Kyung-ae. 2012. A study on the unexpected phonological change in the English loanwords in Korean from Japanes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1). pp. 295-3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sound change by tracing the transition of English loanwords in Korean, which came from Japan, from phonological and sociolinguistic perspectives. The Japanese-style English loanwords from an earlier period have been transformed into newly adjusted forms at a surprisingly rapid rate and many of them have shown unexpected sound changes which went against general Korean phonological rules. This shows that sound change is not necessarily expected to occur in accordance with language-specific phonological rules. It can occur through the political and sociological will of speakers against their native grammar at a surprisingly rapid rate.
        5,700원
        4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between groups of Japanese consumers segmented in accordance to their food-related lifestyl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Korean food service companies basic information to implement a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Japanese consumers were deduced to the following four factors: "health and safetyoriented lifestyle", "palate and safety-oriented lifestyle", "economic efficiency-oriented lifestyle", and "simplicity-oriented lifestyle". Further,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food-related lifestyl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 group highly interested in food-related life", "an economic efficiency-oriented group", and "a simplicity-oriented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between the groups. Third, also in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with and loyalty to Korean restaurants with crucial attributes during the selection of Korean fo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orean food products that will cater to Japanese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each segmented group.
        4,000원
        46.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翻訳という作業は母語とターゲットランギジとのミュチュアル·コンビネーション作用(mutual combination working)によって行われる行為と言える。翻訳には母語からターゲットランギジとその逆方向があり得るが、本稿では前者のことに焦点を当てることにした。本研究では、一般的に翻訳からやさしいと思われている一対一の対応が割りとはっきりする名詞の件について韓国語から日本語への転換において起こる問題と、ふつう一対一の対応が難しいと言われている韓国語の副詞、修飾語としての役割を担当している形容詞の問題主に取り上げることにした。本稿では、韓国文学作品の日本語翻訳に見える表現の多義性(ambiguity)に対し、翻訳専門家グループの翻訳文を通して照明を省てることにより、翻訳に現れる数々の判断に関わる事項を調査分析した。その一つとして、主語の扱いが翻訳者によって文脈を考慮した苦択に強いられることが多々あることである。主語は時には省略された形で現れることもあった。韓日翻訳においてはテンスとアスペクトの問題も対応に注目する必要があった。韓国での「-ㅆ다」は単純過去を表す機能を持っている。しかし、日本語文では「-た」形を用いることがあれば、時制が「現在」に置き換えられることもある。ナイダは、翻訳を「Formal Equivalence」と「Dynamic Equivalence」で分けている。本稿を通して良い翻訳とは何かについても枠を広げてみたい。
        6,300원
        47.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the tax ethics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sixty (N=60) Korean university students, sixt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sixt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Compared with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Korean students have a higher level of knowledge about tax law. However,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tax ethics. This results tell that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ax ethics betwee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as not rejected. Al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sexual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udents. The additional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improved through the tax lecture or cours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vel of tax ethics could be affected by the education of tax law.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6,600원
        4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장묘 방법의 대부분은 매장묘지와 납골당묘지로 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토 및 임야의 효율적 이용 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매장묘지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 (산림 청), 지방자치단체 (인천광역시), 종교법인 (은회사)에서는 새로운 장묘 방법인 수목장을 조성하여 운영 하기시작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수목장에 대한 의식비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80% 이상이 기존의 매장묘지 및 납골당묘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은 장묘문화에 대한 제반 문 제점이 산적해 있고, 수목장에 대한 전문가가 없는 상태에서 관리 및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어 국민들의 기대와 요구에 부응한 기능 발휘를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경 친화적 인 수목장은 새로운 장묘 문화로의 전환이다. 일본의 이와테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知勝院의 경우에 는 수목장 조성이 지역 정주 환경 개선에 영향을 주었고, 살기 좋은 마을 100선에 선정되어 관광객의 증가는 물론 지역경제소득 창출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주시를 대상으로 사회 환경 변화와 산림의 다양한 기능 발휘를 통해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지역 주민과 공존할 수 있는 지 역 상황에 적합한 수목장 조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4,000원
        49.
        2011.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explores the perceptual learning style, ideal L2 self, and motivated L2 behavior of Chinese, Japanese, South Korean, and Swedish high school students. Guided by Dörnyei’s (2005, 2009a) L2 motivational self-system, this quantitative study extends Al-Shehri’s (2009) and Tae-Young Kim's (2009a) research byreinterpreting the role of perceptual leaming styles in the creation of learners' ideal L2 self and the maintenance of their motivated L2 behavi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learners' perceptual learning styles (i.e., visual, auditory, and kinesthetic sty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ideal L2 self and motivated L2 behavior. However,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none of three perceptual learning styles were meaningful predictors of motivated L2 behavior. Instead, only ideal L2 self were found to be meaningful predictors of their motivated L2 behavior. The ANOVA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the Chines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show motivated L2 behavior than the other students, they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level of the ideal L2 self than the Swedish student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ceptual learning styles and motivated L2 behavior based on the L2 motivational self-system,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creation of ideal L2 selves plays a pivotal role in sustaining motivated L2 behavior .
        5,800원
        50.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漢字文化圈의 올바른 外來語表記方法을 알기 위해 韓國신문과 日本신문의 상대국 관련 외래어 표기를 比較考察했다. 日本신문은 『朝日新聞』의 2009 년 3월 記事중 韓國관련 기사를 調査對象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日本『朝日新聞』은 韓國固有名詞를 漢字로 적는 것을 原則으로 삼고 독자는 自國語發音 으로 읽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日本이 漢字文化圈의 漢字語는 外來語 가 아닌 自國語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漢字文化圈의 共通되고 오래된 傳統인 데, 日本은 그 傳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日本人은 漢字文化圈外來語를 ‘自國語中心主義’로 便利하게 사용한다. 反面에 韓國신문들은 日本고유 명사를 한글로 日本語現地原音을 적고 있다. 이는 이미 準固有語化되어 있는 漢字語를 현행 外來語表記法이 外國語로 잘못 취급하여 잘못된 ‘現地原音主義’ 을 적용해버린 것이다. 그 결과, 韓國독자들은 日本고유명사 표기를 대하여 發音도 不便하고 意味도 알기 어려워 큰 不便을 겪고 있다. 따라서 韓國政府는 韓國語의 오랜 傳統을 回復하여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發音으로 읽게 해야 마땅하다. 그래야만 韓國국민이 正常的인 言語生活을 할 수 있을 것이다.
        8,000원
        5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꽃꽂이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문헌과 궁중 행사 장식용으로 이용되었던 전통 궁중회화를 이용하여 조형의 요소와 원리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시대 선정은 한국의 조선, 중국의 명, 일본의 에도 시대로 한 정하였다. 유사점은 한·중·일 모두 꽃꽂이의 기원을 원시신앙 에 두었으며 조형적인 형태가 발생한 시점은 불전공화에 두었다. 이용된 소재는 아취가 있는 화목류를 주로 사용 하였으며 자연의 모습을 존중하고 심상적인 표현을 하 였다(Fig. 1a-c). 기술적인 부분은 수제(水際)부분이 있 었으며 선을 이용하여 한 가지에서 나온 것처럼 줄기를 모아 꽂았다(Fig. 2a-c). 차이점은 한국이 두 나라에 비해 소재의 수를 적게 사용하였고, 양감적이었으며, 도식화된 타원형으로 의궤에 계승되어 내려왔다(Hong, 2001). 또한 중국보다 조형적이었으나 일본보다는 자연미가 있었고 좌우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3a-c). 한국의 꽃 꽂이는 여백 처리와 선의 각도 변화가 크지 않아 부드럽 고 온화하였으며 규모는 일본보다 더 큰 형태를 선호하였 다(Table 1). 또한 화목류의 단일 소재 사용으로 화려함 보다는 조용함과 소박함이 있었다(Fig. 4a-c). 반면 한국에 비해 중국과 일본은 비균제의 미가 발달하였으며 많은 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화려하였고 화기의 외부 형태도 섬세한 디자인으로 되어있었다(Fig. 1a-c). 중국의 특징은 다양한 소재로 화려함과 풍부함, 소재에 인공을 가하지 않은 자연의 미였다(Fig. 1b). 그러나 형식을 경계하여 조형적으로 일본처럼 접근하여 발전시키지 못했다. 일본 은 한국보다 다양한 소재와 각도의 변화로 화려하며, 섬 세한 여백의 분할로 인공적인 기교가 극치를 이루었고, 격식에 맞춰 곡선과 직선의 대비로 선이 날카롭고 강하였 다. 또한 제한된 주지의 각도 변화로 여백이 많아 가벼웠 으며, 불균제의 미가 발달해 있었다(Fig. 1c).
        4,200원
        53.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 네덜란드의 개인주의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원인을 고찰하고, 개인주의에 미치는 국가, 성별, 연령 등의 영향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한국 267명, 중국 271명, 일본 251명, 네덜란드 262명의 데이터를 통계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요인분석 결과, 개인주의를 구성하는 하위개념들로 볼 수 있는 4가지 요인들('독자행동', '익과 의사결정', '타인 무관심', '자신의 의지')을 추출하였고, 이들 요인들이 특정 국가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어 국가별 비교를 통해, '네덜란드,일본〉중국》한국'의 순으로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네덜란드는 여러 문항에 걸쳐 개인주의 성향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나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는 낮은 수치를 보인 반면, 일본은 타인무관심 관련 문항에서 가장 높은 개인주의 성향을 보였다. 한국은 가장 집단주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개인주의성향이 강하였다. 연령에 있어서는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집단주의 성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21개 문항 중 유의차를 보인 문항수는 국가별 비교에서는 21개 문항 모두, 성별은 6개 문항, 연령은 7개 문항으로 나타나, 국가가 개인주의 구분의 가장 유용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4,300원
        5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en globalizing Korean food, it is important to conduct regional consumer research before entering the market so that an effective market strategy can be develop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regarding Thai, Chinese, Japanese and Korean food between Swedish and Yugoslavian university students in Växjo, Sweden, where regional market research is lacking. As immigration increases worldwide, comparison of consumer perceptions of immigrants and domestic individuals will provide meaningful insight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areas where immigrant populations are increasing rapidly. In this study, six attributes of Asian food, fresh vegetables, low fat, chicken and sea food, exotic ingredient, value for money and unknown food, were compared. The perception of fresh vegetables and low fat of Chinese food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two groups. Because both of these attributes are health rel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cipe modification may be necessary to adapt to the preferred taste of target customers in this prospective market.
        4,000원
        55.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상으로 한ㆍ중ㆍ일 삼국의 대표적 자전체 작가인 이상과 郁達夫, 太宰治의 작품에 나타난 공간의 특징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작가들의 특정 작품, 즉〈날개〉(이상),〈봄바람에 흠뻑 취한 밤〉(郁達夫),〈광대의 꽃〉(太宰治)에 공통적으로 땅콩껍질과 같은 특별하게 분할된 공간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이 고찰은 시작되었다. 그 공간은 거주자와 하나로 통일되지 않고 삐걱인다는 점에서 가장 큰 공통점을 가진다. 그것은 근대성의 개념으로 공간을 해석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공통점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문의 기능이 상실된 공간. 이들 작품에는 대문이 언제나 열려 있거나 아예 없는 집이 그려진다. 이렇게 대문이 적절한 기능--방어와 소통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 인해 모두가 하나로 만나는 마당을 구성하지 못한다. 둘째, 대문과 마당의 부재로 인해 방이 마당, 혹은 거리가 된다. 방에 숨을 수 없게 된 주인공들은 여기에 칸막이를 설치하고 그 뒤에 숨은 방을 만든다. 그러나 그것은 자폐적 도피로서 자아를 확인할 거울을 상실하는 일이기도 하다. 셋째, 광장도 없고, 신도 없는 밀실에서 개인이 견딜 수 있는 길은 없다. 따라서 소설의 인물들은 자아를 비춰볼 대상을 찾아 외출을 감행한다. 그러나 그 관계 중심의 세계는 자아의 실체를 찾는 과정에서 가장 먼저 버렸던 공간이기도 하다. 개인의 태도에 변화가 없이 똑같은 공간의 의미가 달라질 수는 없다. 넷째, 소설의 인물들이 겪는 자살충동에 있어서 동일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의 공통점 외에 차이점도 발견된다. 첫째,〈날개〉에는 형식적으로 완비된 공간이 제시된다. 그래서 그 노출은 형식적, 내용적으로 철저하며 그것은 당시 일제의 전일적 지배하에 있었던 조선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이에 비해〈봄바람에 흠뻑 취한 밤〉의 공간은 반쪽짜리 집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곳에는 ‘우리’의 공간이 주는 위안이 있다. 중국의 반식민지적 사회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아 무리가 없다. 마지막으로〈광대의 꽃〉의 공간은 내부적으로 복잡하게 구획되어 있다. 지식인의 고민이 외부를 상정한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이미 내면적 자기동력하에 진행되고 있었던 당시 일본의 상황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장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데, 이것은 결국 개인, 혹은 동양 삼국의 지식인들이 체험한 자아에 대한 고민이 그 정도와 방향에 있어 뚜렷한 차이점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400원
        56.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gmatic transfer and the proficiency level.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ragmatic competenc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compared with Japanese native speakers (JNs) and Korean native speakers (KNs). Written complaints were collected from 160 people, composed of 40 JNs, 40 KNs, and 80 Korean learners of Japanese (40 intermediate level and 40 advanced level), and their pragmatic competence was analyzed quantitatively in terms of complaining strategies and the length of their complaints. We found that pragmatic transfer exists at the lower and the higher proficiency levels. But the advanced learners reflect more transfer than the intermediate learners. The results imply that increasing proficiency in the target language can apparently facilitate negative pragmatic transfer.
        4,800원
        57.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t is essential to research and analyze target markets in advance. However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a lack of food research in regions of select countries in order to create systematic plans for marketing Korean food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Korean foods as compared to other Asian foods in young adults living in Vaxjo, Sweden. Over 90 percent of the Swedish students had experienced Thai and Chinese cuisines, indicating their popularity as Asian foods in Sweden. The participants were attracted to six positive attributes of Asian food: 'fresh vegetables', 'low fat', 'chicken and sea food', 'exotic ingredients', 'good value for the money' and 'unknown foods'. The favorite type of Asian food was Thai food and Korean food was the least tried, as over 50% of respondents linked it to 'unknown food' attributes.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introduce Korean food more successfully, focus should be placed on the unique and unknown attributes of Korean food, as well as emphasis placed on its healthfulness, to stimulate the curiosity of target markets such as young Swedish adults.
        4,000원
        59.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characteristics of complaints of Korean native speakers (KNs), Korean learners (primary, intermediate, and high class) of Japanese language of (KL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JNs). When fourteen displeased situations happening occasionally in daily life were given to them, for their complaints about the situations, the degree of complaints and the expression behavior of complaints were investigated. Particularly the complaints by speech act were analyzed with a point of view on the use of strategy and the degree of face-threat (FT). The degree of complaints was higher in order of JNs>KLs>KNs. For the expression behavior of complaints, all of three group (KNs, KLs and JNs) tended to use speech act. For the strategy of complaints and the degree of FT, JNs tended to use strategy of lower degree of FT than that of KN. And KLs showed a tendency of interlanguage which was getting close to targeting language, using strategy of lower FT degree than that of mother language group (KNs) even at a primary class. These results gi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of Japanese language for KLs. 1) As the most useful method to resolve the situations of complaints, JNs also use speech act, but JNs recognize the situations more seriously than KNs and their degree of complaints is higher. 2) Nevertheless, JNs are contrasted with KNs by that they would minimize the probable trouble with a person due to their complaints by selecting strategy of low FT degree.
        5,100원
        60.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monstrate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s for Koreans who learn Japanese through the contrast of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The sample of analysis comes from OPI data. The two results below are described in detail: First, Koreans who learn Japanese use more frequently the ellipsis at the end of sentences under the “Existing-Verb-Clauses” than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However, the acquisition level goes up, the frequency of usage is getting higher to the point where the acquisition process is inclined to be equal at both side (Koreans who learn Japanese vs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 Second, the formality varies more than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as well as it appears at the beginning level. The formality includes “「けど」,「から」,「て」,「ので」”.The formality of Chinese and English native speakers is similar to Koreans who learn Japanese at the end of the learning stage.
        4,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