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5

        4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사회성 말벌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과거 1960-1980년도까지 1차적으로 한국산 말벌을 정리하여 그 개략적인 윤곽이 나타났으며 90년대 이후 전문 분류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현재 남한지역에서 보고된 사회성 말벌류는 총 2아과 5속 30종이다. 그러나 아직도 분류학적 논의가 필요한 종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특히 각 계급별 및 벌집의 특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종들이 많은 상태이다. 최근 들어서는 외래종 말벌의 침입을 통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공중보건적, 경제적, 생태적 피해가 나타남에 따라 이들의 조절 및 관리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및 도시화에 의해 전국적으로 말벌류가 증가함에 따라 119 소방서의 벌집제거수가 연간 20만건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종 벌쏘임 사고가 빈발하여 연간 10여명의 사망사고가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국가적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말벌을 이용하여 만든 노봉방주의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들의 과학적 검증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독성, 타액 등의 효능분석 및 유해성 분석도 일부 진행되고 있다. 그 외 말벌의 공격성분석, 먹이 원분석, 사냥행동 특성, 기생, 천적 등의 생태적 연구도 일부 진행 중에 있다. 이처럼 말벌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말벌 전문 학자 부족으로 인해 가시적인 연구 성과가 미진하며 문제 해결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4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Miller et Park, is one of the severe pest to pine forests in South Korea. In 1963, a severe pine damage by unknown causes were reported at Goheung region and it turned out that the damage was caused by the black pine bast scale, M. thunbergianae 20 years later. The black pine bast scale have been causing serious damage to Japanese black pine forests in the east and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South Korea and its distribution has been expanded. The areas of Japanese black pine forests damaged by M. thunbergianae was 4,043ha in 41 cities or districts in 2017. In males, two nymphal instars are followed by wingless preadult, the pupa, and the adult, whereas the female adult directly emerges from the second nymphal instar. According to recent sex pheromone survey for male adult, M. thunbergianae occur mainly single generation in South Korea with possibility its phenology was advanced probably due to climate change. Until now, the most effective measure to control the black pine bast scale is to trunk injection with insecticides after thinning of a damaged pine forest.
        4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코칭프로그램 현황과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코칭프로그램의 운영 및 개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코칭프로그램 현황에 대한 파악을 위하여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인증 프로그램을 분석하였고,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경향분석은 2000년 1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연구된 논문을 대상으로 ‘코칭프로그램’을 키워드로 검색된 학술지를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코칭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본바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인증 받은 코칭프로그램은 총 106개이며, 60개의 코칭기관에서 1개의 인증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이 65.0%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코칭프로그램의 운영과정을 보면 54.2%의 코칭기관이 기본과정의 코칭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심화과정은 23.3%, 역량과정은 22.5%를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국내의 코칭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는 최근 19년 동안 학술지 99편, 학위논문 34편으로 최근 5년 이내에 급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의 경우 성인을 위한 코칭프로그램 연구가 학술지 50편, 학위논문 20편으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코칭프로그램 관련 연구 주제는 16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역량강화, 학습코칭, 진로 코칭 등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코칭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서 코칭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돕고 코칭프로그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5,800원
        46.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성과를 검토하여 불교무용연구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불교무용에 대한 연구는 1968년 홍윤식의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46호인식당작법을 시작으로 약 50여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연구는 초기 민속학자ㆍ무용학자ㆍ국악학자들에 의한 현지조사로 광의적 시각에서 불교무용을 조사하였으나, 현재는 무용전공자, 불교학자 중심으로 협의적 시각에서 세부적으로 연구한다. 현재 불교무용의 연구업적은 201편으로, 보고서 3편, 박사학위논문 9편, 석사학위논문 72편, 학술지논문 41편, 단행본 41권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대부분이 영산재(119편)에 대한 연구이며, 수륙재, 상주권공재, 예수재의 논문은 매우 소량이다. 이는 영산재가 1973년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이후 세간에 널리 전승,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영산재 논문 119편중에서 작법무 56편, 나비춤 25편, 바라춤 23편, 식당작법 10편, 법고춤 5편으로 작법무에 대한 연구가 많은데, 이는 불교무용을 통합․융합적으로 보는 시각의 확장과 작법무를 무대공연화, 창작작품화, 교육프로그램개발 등 콘텐츠로 변모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무용 연구의 약 35%가 무보를 수록하였는데, 무보의 형식은 그림무보, 사진무보, 문자무보 등 다양한 형식의 무보가 사용되었다. 불교무용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바람직한 불교무용의 연구과제는 불교무용의 용어정리, 작법승 계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불교무용에 적합한 무보개발, 작법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개발, 불교무용 콘텐츠와 산업과의 연계성 등의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13,200원
        47.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 불교음악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과제를 정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동안 많은 연구가 있었고 그에 대한 연구사 정리도 여러 차례 있었기 때문에 그것을 바탕으로 통계적 정리와 큰 흐름을 정리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찾아보려 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음악 연구의 추이는 문화재 지정과 같은 외부적 요구와 깊은 관련이 있다. 연구자의 수도 적고 그들의 연구 성향은 다양하지 않다. 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 주제의 설정에 있어서도 평면적인 경향, 특정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이 강했고, 깊이 없이 개관에 그치는 연구, 쉽게 진행할 수 있는 연구에 집중하는 경향들도 상당수 확인되었다. 다양한 주제로의 확장,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주제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재료의 한계와 방법의 획일화 문제를 다루었다. 불교음악, 특히 범패 전승의 특성으로 인해 구전음악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가장 넘기 어려운 점이라 보았다. 무엇보다 현재 불교음악 연구에 필요한 것은 특별한 ‘결론’이 아니라 논문작성을 위한 자료집의 축적이다. 음원 자료의 축적과 악보 자료의 구축이 시간별로 가창자별로 중복적으로 누적되어야만 한다. 학자들이 자유롭게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증명할 수 있도록 말이다. 매우 적은 수의 학자들의 고군분투에 박수를 보내며 이들의 노력을 발판삼아 한 발 더 나아가기를 기대한다.
        6,700원
        48.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xport Market Orientation (EMO)- one of the most important strategic orientations of exporting firms- has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last two decades within organization and academia alike. EMO has become an emerging issue that benefits the integration of market orientation, internationalization, and export performance literature into coherenc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is concept in international business (IB) literature, we observed a surge of research focusing on EMO incorporating scale development for measurement as well as empirical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antecedents to and consequences of EMO along with moderation and mediation. This review systematically examines EMO research, analyzing 31 articles published in 19 leading journals available between 1999 and 2017. What we can conclude from the review is that EMO research is still in its infancy. We attempted to identify some research gaps and suggest some future avenues of research.
        52.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온실을 운영하고 있는 농장주를 대상으로 영농작업기록장(농가경영기록장 또는 농가작업일지)의 작성 실태, 활용도 및 작성 상의 애로 사항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다. 논문의 목적은 조사된 내용을 분석하여 기존 영농작업기록장의 애로 사항을 도출하고 기록장의 활용방안 제안하는 것이다.
        5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구제역은 발생 시 전염이 쉽게 일어나며 심각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질병이다. 구제역의 방역정책은 발견 직 후 빠른 살처분이 최선책이나, 전파 속도나 상황 등에 따 라 타지역 백신 접종 등의 방법을 시행할 수도 있다. 이러 한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제역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필요성이 있다. 개발된 진단법들은 구제역의 확진, 혈청형의 동정, 백신 접종 후 항체의 생성 확인 등에 사용 된다. 많은 진단법들이 개발되었지만 아직은 빠른 시간 내 에 검출이 가능하며 동시에 정확성도 가진 방법이 드물다. 그렇기에 기존의 방법들을 개선시킨 새로운 진단법이 필 요하다. 현재는 대부분 혈청학적 진단법인 ELISA에 의존 하거나 분자 유전학적 기술인 PCR을 사용한다. 가장 최근 기술은 그 둘을 합치는 방법으로, 어떻게 하면 더 신속하 고 저비용이면서, 민감하고 정확한 방법이 될 수 있을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5,400원
        54.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향후 우리 사회의 혁신적 변화를 가져올 휴대용 전자기기, 전기자동차 및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장치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그 전원으로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대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리튬이차전지 핵심 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에 대해 기공 구조 및 물리화학적 물성 관점에서 고찰하고, 이와 함께 최신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자 한다. 리튬이차전지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다공성 막으로서, 두 전극 간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분리막 자체는 전지 내 전기화학 반응에는 직접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나, 앞서 언급한 기능들에 의해 전지 성능 및 안전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최근 들어, 이러한 분리막의 기본 특성 이외에, 전지 안전성 강화 및 금속 이온 흡착 등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 부여를 위한 노력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현재 상업화된 폴리올 레핀 분리막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개질 폴리올레핀 분리막, 부직포 분리막, 세라믹 복합 분리막 및 화학 활성 분리막 등으 로 대표되는 최신 분리막 기술들을, 차세대 전지 개발 방향과 관련 지어 기술하고자 한다.
        4,600원
        5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Council with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looks over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Every five years, it revises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esearch Basic Plan. Based on the information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to implement domestic research projects. First, the strategic planning and promo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re needed to achieve the goals of the country and agricultural policy. Second, it is necessary to break up and diversify research assignments so that the project implementation reflects the trend of the time. Thir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research partnership that strengthens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to utilize technology seeds from fields other than agriculture.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field demonstration research projects where central and local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ies, private companies, agricultural cooperation, and farmers can participate. Fifth, follow-ups should be conducted at the end of research to advance research implementation systems. Finally, there is a need to build a new dissemination system which includes research results and policy.
        4,000원
        56.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present status of Plant Genetic Resources (PGRs), their research, and management system in the genebank of Nepal. PGRs for food and agriculture are the biological basis of world food and nutrition security. The remarkable elevation ranging from 60 meter above sea level (masl) to highest summit Mount Everest (8,848 masl) has created huge geographical and climatic variation which harbor enormous plant species in the country. National Agriculture Genetic Resource Center (NAGRC) or ‘Genebank’ currently conserved 11,051 accessions of more than 110 crops species belonging to cereals (5,850), pseudo cereals (1,150), pulses (1,800), oilseeds (185), and vegetables (565) including other crops (1,501) at ex-situ. Diversity mapping,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PGRs, duplicates identification, diversity study, pre-breeding and landrace enhancement are the major research works of NAGRC, and its management strategies include conservation method, types, and groupings of PGRs. Characterization, evaluation and tagging of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in PGRs are now more important for strengthening their pre-breeding and proper utilization. Additionally, stro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ve network among public, private, community based organiz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importa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GRs.
        4,000원
        57.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 research status of Lepidoptera in China has been briefly reviewed, focusing mainly on the taxonomy of Lepidoptera. Data of projects funded by the National Natural Science Foundation of China (NSFC) on entomology during 2001-2011 (Qi, 2012) and 2012-2015 are used in analyzing the relevance of the publication quantity and the support strength of NSFC. Funds from NSFC on entomology have become more diverse. Current funds include general, regional and youth projects. NSFC encourages scientists to focus on the weak aspects of entomology, and the researchers have made rapid progress in recent years under the successive support of NSFC. Insect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have developed fastest, and more funds have been granted than other branches. But traditional disciplines, such as taxonomy, still develop slowly and need to be further supported by NSFC. NSFC has made effective effects to improve the research level and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entomology. In recent five years, a total of 1504 projects have been supported by NSFC in all fields of entomology. Among them, 250 projects are associated with Lepidoptera (including famous species such as Bombyx mori, Plutella xylostella, Ostrinia nubilalis), but only 18 projects are involved in the taxonomy of Lepidoptera. Since research fields of insects are very broad, some specific groups still need to be supported. In this regard, we should strengthen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s.
        5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litosis is a bad odor in mouth. The etiology of halitosis is multifactorial including intra-oral and extra-oral causes. It affects social interactions in many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ssociation between recognition group and non-recognition group by evaluating halitosis level and systemic factors. Nineteen participants who visited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re enrolled. Volatile sulfur a compounds (VSCs) were measured by Oral ChromaⓇ, a questionnaire was requested and oral exam was carried out in all subjects. Female is more sensitive than male for oral malodor. VSCs level of hydrogen sulfide(H2S) and methyl mercaptan(CH3SH) in male is higher than that in female. Participants who gave appeal dry mouth seem to recognize halitosis.
        4,300원
        5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학계의 중국해양사 연구는 모든 시대와 분야에 대해 고루 연구되었다기보다 연구인력 의 한계로 말미암아 명청시기와 같은 특정시대와 분야에 집중되었다. 특히 해양사연구의 대 세가 중국해양사에서 대만해양사로 바뀌면서 더욱 그러하다. 이 글에서는 주로 대만학계의 명청시기와 근대시기의 중국해양사 연구현황을 주요 저서와 『중국해양발전사논문집』에 실린 논문들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 2장에서는 해양사연구의 출발을 알린 중앙연구원 의 『중국해양발전사논문집』을 소개하고, 3장과 4장에서는 명청시기와 근대시기의 중국해양사 연구성과를 해양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리할 것이다. 나오는 말에서는 대만학계의 해양사 연구에 대한 한 두 가지 특징을 언급할 것이다
        6,7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