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5

        61.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학령기 아동의 우울과 인지왜곡이 학교에서의 기능적인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우울, 인지왜곡, 학교에서의 기능적 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등학교 2학년에서 6학년까지, 경기지역에서 아동발달센터를 이용하는 장애아동과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일반아동 10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소아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아동용 부정적 인지 오류 질문지(Children’s Negative Cognitive Error Questionnaire; CNCEQ),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 수행능력 평가(School Function Assessment; SFA)를 측정하였다. 그 중 90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장애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우울 정도가 높고, 부정적 인지왜곡이 심하며,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기능적 과제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부정적 인지오류의 하위영역인 학업성취 영역이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25.2% 이었다. 결론 : 학령기 아동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는 아동기 우울과 인지적 왜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동의 부정적 반응에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심리학적 지식과 기술을 치료에 응용할 필요가 있다.
        4,200원
        6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선택 과정의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연구방법:장애아동 부모의 재활치료기관 선택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의사로부터 자녀가 장애진단을 받은 후 1년 이상의 재활치료를 경험하였고, 본 연구에 동의한 장애아동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결과:연구결과는 의미단위 26개와 구성요소 8개, 그리고 주제 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재활치료의 필요성, 재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재활치료의 필요성은 장애문제의 심각성을 통해 인지하게 되었고, 재활치료기관 이용 시 어려움은 재활치료기관 이용에 따른 심리적 불편함과 이용 절차의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재활치료기관 선택 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결론:장애아동 부모의 가장 중요한 재활치료기관 선택전략은 치료사의 전문성이다. 다른 선택전략은 근 거리, 치료비용, 치료시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 부모들이 겪는 다양한 치료선택과정의 경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과정 중에 발생하는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관과 현장 관계자들이 장애아동부모들의 욕구를 이해하고 치료기관을 운영하고 자 하는 치료사에게 도움을 주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4,300원
        6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eople have been experiencing lot of incidents for their lives which results in gaining their impetus. Each impetus derives an emotion and such emotion is either of positive or negative one. The positive emotion motivates activation of his life but the negative emotion demotivates one. Specifically, the negative motivation will be much worse for children and it could be adversely affected to their emotional development. The paper first characterizes how to regulate an emotion in a view of psychology base and also characterizes how to regulate the emotion for children. And then, we analyze serious game contents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care a negative emotion for children and youth to derive some game elements to be used in the games. Finally, by combining the two characterizations of regulation of emotion in psychology view and the serious games, we propose effective game elements for caring children’s negative emot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will provide a good guideline when we make a serious game to care children’s negative emotion.
        4,000원
        64.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외현화 문제행동 특성을 파악하여 감각통합치료를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을 사용하였고,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유아용 행동평가척도-부모용(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1.5-5)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뇌성마비로 진단받은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보호자에게 설문조사에 대한 동의를 얻어 총 32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과 감각처리기능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특성을 기술통계분석 하였다. ◉ 연구결과 : 학령전기(만 1.5∼5세)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프로파일 검사결과 전정감각처리 항목이 의심범주, 지구력/근 긴장도 조절이 문제 범주, 신체자세/움직임 조절 항목이 의심범주에 속하였고, 감정반응에 대한 감각입력 항목과 감각처리 행동 항목에서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감각요소 하위항목에서는 낮은 지구력/근 긴장도 항목이 문제범주, 감각등록의 저하, 미세동작/지각력 항목이 각각 의심범주에 속하였다. 유아용 행동평가척도 검사결과로는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서 준임상 범주에 속하는 결과를 보였다. ◉ 결론 : 학령전기 뇌성마비 아동은 감각처리기능의 문제와 내재화, 외현화의 문제행동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감각처리기능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서 뇌성마비 아동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4,200원
        6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fter the founding of new China, with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china’s economy and society, China's child welfare systems are being perfec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hina's child welfare system can be divided into several stages, every stages presented it’s unique characteristics. Although, child welfare system in china still in the early stages now. As regard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the current China's child welfare system can be perceived as a narrower “complementary welfare”, cannot effectively solve the various problems. Therefore, China urgently needs enact unified law and establish corresponding administrative agencies, In addition, China will be necessary to advocate diversified child welfare concept. So,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ituation of China's child welfare system, this paper will pointing out the problems which existing in its system, And on this basis, proposed policy recommendations.
        5,500원
        6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통합실행검사(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의 실행과 관련된 항목들을 사용하여 실행능력평가의 표준화를 위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1년 10월 21일부터 10월 29일까지 B시 소재의 00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10개월~6세 10개월 아동 총 50명(남 27명, 여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각통합실행검사(Sensory Integration and Praxis Tests; SIPT) 항목 중 실행과 관련된 자세실행(Postural Praxis; PPr), 구두지시에 따른 실행(Praxis on Verbal Command; PrVC), 순서실 행(Sequencing Praxis; SPr), 구강실행(Oral Praxis; OPr)항목을 사용하여 대상자를 평가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사용 하여 실행능력의 평균값,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을 제시하였고, t검정을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실행능력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 평가 항목별 실행능력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는 PPr가 25.72±4.35, PrVC가 15.62±4.35, SPr가 84.52±13.09, OPr가 31.36±6.01 있었다. 아동의 실행능력에 있어서 성별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학령전기 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지표인 평균값을 제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실행능력 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임상가들에게 정상아동의 실행능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는 연구대상을 확장하고 SIPT의 다른 항목들을 포함하여 표준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6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functional effect on creativity and community sense of children by playing games. The games have positive effects on various fields with social and cultural category. Categorized by discipline effect, learning effect, family effect, remedy effect, prevention and diagnosis effect, the functionality of playing games each has a positive role to improve creativity, imagination, independence, openness and adventure of children and to inspire consciousness of membership and interaction, parts of community sense of children. The research about functionality of the games will contribute to develop new programs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other various subjects and provide a chance to study a positivity of using games.
        4,000원
        69.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Interactive Metronome; IM)을 이용한 작업치료가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 양측 협응과 균형 능력,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개별 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 : 선천성 뇌성마비로 진단 받은 편마비 아동 1인을 대상으로, 개별실험 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총 20회기로 매주 2회기씩 10주간 진행하였다. 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고 중재기 12회기는 상호작용식 메트로놈을 이용한 중재를 1일 1회 40~45분씩 실시한 후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재기초선 4회기는 중재 없이 양측 협응을 평가하였다. 중재전과 후의 균형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재 전, 중, 후에는 상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을 통한 중재 결과,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양측 협응의 향상에 따른 중재 전, 중, 후의 상지기능은 향상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상호작용식 메트로놈 훈련이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편마비 뇌성마비 아동의 양측 협응과 균형 훈련의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임상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300원
        7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Self-esteem)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효과성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OO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아동이며 연구기간은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아동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확인을 위하여 자아존중감 척도 측정과 K-HTP 그림검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는 집단 내에서 서로 비슷한 문제를 발견과 이해를 할 수 있으며, 개인의 욕구 해결과 감정의 순화 및 자신과 타인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자존감을 향상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본 연구의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에서는 집. 나무. 사람 그림에서 사전, 사후 그림 비교에서 안정적인 필압과 균형 있는 구도를 나타냈고 집의 형태는 비현실적인 형태에서 현실적인 형태로 변화 하였다. 사람의 표정은 사전보다 사후에서 자연스럽고 편안한 표정으로 변화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아름다움과 조화로움을 갖추었다. 둘째, 자아존중감척도 검사에서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모든 아동의 점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미술치료활동과정에서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면 초기단계에는 불안하고 경계하는 눈빛으로 말을 잘 하지 않으려고 하였으나 표출단계에서는 자유로운 감정표출로 방어기재가 완화 되어 갔으며 집단에 적응하는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다. 실행단계에서 아동들은 초기와 달리 서로를 격려하고 칭찬하였으며, 종결단계에서는 긍정적인 마음 갖기로 자신감을 회복하고 수용적 자기태도로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만족감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한 입증효과를 토대로 저소득층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8,600원
        7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임상에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어려움에 대한 적응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의 임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11개월의 임상경험이 있는 5명의 아동작업치료사들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주로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내용의 수집 및 대상자의 면담 내용 확인은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하였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가 겪는 임상 경험에 관하여 14개의 중심의미와 5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는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을 경험하였다.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의 중심의미에는 아동작업치료의 선택, 기대, 역할이 포함되었고, 능력 부족의중심의미에는 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및 자신감 부족이 있었다.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의 중심의미에는 조직체계에 대한 만족과 불만, 대인관계의 어려움, 그리고 직무에 대한 만족과 불만이 포함되었다. 교육에 대한 열망의 중심의미에는 학교 교육, 교육에 대한 지각, 교육방법이 포함되었으며 적응 전략의 중심의미에는 개인생활, 치료와 조직의 적응 전략이 있었다. 결론 :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은 임상에서 아동작업치료에 대한 기대, 능력 부족, 조직생활에 대한 감정, 교육에 대한 열망, 적응 전략의 경험을 겪었다. 신임 아동작업치료사들이 아동작업치료사로써의 역할에 부응하고, 소속기관에 적응하며 이탈되지 않도록 기관장이나 선임 치료사들이 협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과정의 개편 및 기관의 제도적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4,600원
        72.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식사보조도구 적용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15세의 경직형 뇌성마비 남자 1명이었으며, 연구는 사례연구였다. 식사보조도구는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평가한 후 작업치료사가 대상자에게 적합한 형태를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식사보조도구 적용 전과 후 대상자의 자가-섭식 기능의 변화는 일상생활평가도구인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FIM) 중 먹기(eating) 항목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수행의 변화에 대한 만족도는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의 수행도와 만족도 항목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한 이후 FIM의 먹기 영역의 점수는 2점에서 5점으로 증가되었고, 만족도 점수는 2점에서 8점으로 향상되었다. 결론 : 대상자의 신체기능 및 손기능을 고려하여 제작한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가-섭식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3.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보조의자 및 손 보조도구를 통하여 칸나반병 아동의 미리쓰기(pre-writing)에 필요한 손기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의 카나반병 아동으로 8주간, 주 3회, 회당 20분의 고전적 작업치료 및 10분의 손 보조도구를 착용하여 실시하였다. 치료시간 30분 동안 아동은 보조의자에 계속 앉아 있었다. 아동의 발달력, 손기능 및 시지각 기능을 살펴보기 위해 치료 전, 치료 4주 후, 치료 8주 후로 총 3번에 걸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 한국판 덴버 발달 판별 검사(K-DDST)의 미세운동-적응 영역에서 2개월의 수준 향상을 보였다. 한국판 시지각 발달검사(K-DTVP-2)에서 일반적 시지각 지수가 증가하였다. 특히 운동감소 시지각 지수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시각-운동 통합 지수에서도 향상을 보여 손기능의 정확성이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결론 :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중재를 한 결과 손기능 및 시지각 능력의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카나반병 아동을 대상으로 보조도구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는 이러한 증례가 보고된 적이 없기에, 저자들은 카나반병 아동에 대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조도구 사용 전후 아동의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4,000원
        75.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을 중심으로 현행 장애아동 재활치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취합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구성하고, 우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국의 장애인복지관을 포함한 장애아동 재활치료 기관의 종사자에게 4,000부의 설문을 배포 후 수거된 966부 중 작업치료사가 응답한 162부를 기술통계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에 응답한 작업치료사는 뇌병변 및 자폐성 장애를 주로 치료하였고, 일일 평균 7.1명, 주당 평균 4회, 일 회당 37분을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서비스 전문인력 공급 여부는 부족하다는 의견이 높았고, 전문 인력의 확대방안으로는 치료사의 처우개선을 1순위로 꼽았다. 또한 재활치료 제공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이수과목 확대가 우선 필요하고, 재활치료 서비스 대상자 선정방법은 팀접근 방식이 적절하며, 향후 재활치료 전문 인력의 학력기준은 전문학사이상 이어야 한다는 의견이 87.5%를 차지하였다. 재활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시급한 국가정책은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이며, 공적지원체계는 보건복지부 관할로 일원화하자는 의견이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재활치료 분야 중 작업치료 서비스 실태와 재활치료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의견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작업치료와 관련된 제도정비 및 전달체계 개선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76.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backward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in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CP). Twelve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P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8-week course of backward gait training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for 3 days per week.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of temporal-spatial gait parameters, the symmetry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and gross motor function were analyzed using motion analysis system, force plate,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p<.05) in the measures of both step length and right stance phase time. Joint kinematics showed increase in right hip abduction in initial contact and terminal swing, right hip external rotation and knee flexion in mid-swing, left ankle dorsiflexion in initial contact and terminal swing (p<.05). The symmetry of the bilateral lower extremity weight bearing and GMFM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5).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ackward gait training using a treadmill is beneficial for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c CP.
        4,000원
        7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스마트기기 보급의 활성화로 광고에서도 ‘Smart Korea’를 내세울 정도로 정부와 사회구성원 모두의 스마트기기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 최근 몇 년 사이 스마트기기의 사용 인구가 급증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에서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스마트코리아의 일원으로 한국 사회에서 뿌리내리고 자라야 하는 일꾼으로 소중한 인적자원이다. 이에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영어수업에서 아동들의 수업 몰입도와 집중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처음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 활용수업을 할 때 아동들은 새로운 도구에 대한 호기심으로 수업 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하지 못함 등으로 인한 학습 욕구 충족 부족으로 아동들의 몰입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첫째, 아동들의 수준에 맞는 애플리케이션개발 즉,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기기 애플리케이션 활용 수업 시 단일 도구가 아닌 다양한 도구 활용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한국어에 서툰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자기 주도 학습과 집중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언어 지원이 필요하다.
        5,400원
        78.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래동화는 전통사회의 질서와 종교적 세계관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통사상과 문화가 언어를 매개로 자연스럽게 후세에 전승되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전래동화는 학령기전에 성인과 아동이 음성이나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즐거움을 함께하는 도구로 활용되며, 재미있는 이야기 속에 숨겨진 조상의 지혜와 슬기를 자연스럽게 익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아동의 언어교육을 위해 전래동화의 활용이 필요하다는 인식은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아동기는 언어발달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기로서 개인차가 크므로 언어발달에 적합한 교재의 선택은 매우 어려운 과제로 여겨지며, 일반적으로 전래동화를 0-3세아, 4세-8세아 등으로 폭넓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이 시기의 언어발달은 양과 질에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특성이 있어, 어휘력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연령별 단계가 세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어휘발달에 기초하여 전래동화의 어휘 구성이 아동의 연령 발달 변화에 적합한가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아동의 어휘력 발달에 적합한 전래동화의 선택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6,300원
        7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고 코칭관련 지식과 기법을 익힐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정적 신념과 가치관을 형성하고 자신의 학습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절차는 먼저, 국내외 자기주도학습 관련 문헌 및 코칭프로그램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본 프로그램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의 목표, 자기주도학습의 개념, 구성요소의 설정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자기주도학습 코칭프로그램의 개요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회기․2회기․3회기․4회기의 구성요인은 동기적 측면이고 5․6회기의 구성요인은 인지적측면이고, 7․8회기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측면이다. 1․2․3․4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아개념, 내적가치, 목표설정, 개방성이고, 5․6회기의 하위요인은 문제해결력, 창의성이다. 그리고 7․8회기의 하위요인은 자율성, 자기평가이다. 1회기의 주제는 자아효능감, 2회기의 주제는 내적가치, 3회기의 주제는 목표설정이다. 4회기의 주제는 자신감 향상 5회기주제는 주의집중력 향상, 6회기의 주제는 학습전략 7회기의 주제는 시간관리, 8회기의 주제는 내면다스리기이다.
        4,800원
        80.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술(Art)은 아동의 정서발달(Emotional advancement)에 영향을 준다. 아동은 성장하면서 자신의 감정 상태를 인식하고 조절할 줄 알아야 상대방의 사고, 감정, 의도 등 을 이해하고 공감하여 기초적 수준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다. 아동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고 조절하는 능력이나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은 반복되는 정서의 학습이 각인되어 비슷한 상황에서 학습한 것처럼 반응되는데 미술치료를 통하여 분노를 잘 다루는 법을 배우거나 감정이입의 표현을 경험한다면 이것은 평생 동안 지속 될 것이다. 정서란 태어나면서 부터 행동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성격의 전반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영유아기 때부터 개발된 정서를 잘 유지하고 가족 간의 바람직한 양육과 보호로 정서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정서장애 아동은 부모의 통제와 억압으로 불안정한 정서를 갖게 되므로 미술치료(art therapy)활동에서 자신의 욕구표현과 매체(Media)의 충족 경험으로 내면에 억압된 감정을 표현하고 보상(compensation)하도록 도와 스트레스(stress)의 경감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의 정서함양을 위한 미술치료는 언어발달상 표현의 한계가 있거나 언어적 상호작용에 문제를 가지고 있는 아동에게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 아동은 미술활동을 통하여 우울(depression), 분노(anger), 반항(defiance), 공격성(aggression)등을 표출하며 부정적 감정배설(excretions)과 정화(catharsis),그리고 HTP그림 진단기법을 적용한 질적사례 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8,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