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omorphic adenoma (PA) is the most common benign salivary gland tumor. Being pleomorphic, its histologic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ably varied, showing epithelial (ductal and non-ductal) cells and mesenchyme-like tissues (chondroid, myxoid, and osseous). Here, we present a rare case of a 76-year-old female presenting with a 2.0 cm PA with an epidermoid cyst of minor salivary glands on the soft palat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as it can be used to convert more accessible mechanical energy resources to periodic electricity. Recent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s (PEHs) are associated with nanocomposites made from inorganic piezoelectric nanomaterials and organic elastomers. Here, we used the BaTiO3 nanoparticles and piezoelectric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meric matrix to fabricate the nanocomposites-based PEH to improve the output performance of PEHs. The piezoelectric nanocomposite is produced by dispersing the inorganic piezo-ceramic nanoparticles inside an organic piezo-polymer and subsequently spin-coat it onto a metal plate. The fabricated organic-inorganic piezoelectric nanocomposite-based PEH harvested the output voltage of ~1.5 V and current signals of ~90 nA under repeated mechanical pushings: these values are compared to those of energy devices made from non-piezoelectric polydimethylsiloxane (PDMS) elastomers and supported by a multiphysics simulation software.
공주 금성동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지석묘 5기, 백제시대 주거지 2기·수혈군 1개소, 통일신라시대의 주거지 1기·석렬유구 3기·수혈 2기, 조선시대 수혈 1기, 일제강점기 이후 우물 1기 등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성격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공주 금성동 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지석묘는 묘역이라고 특정지을 만한 매장주체부 주위 구획석들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점에서 기존의 묘역 지석묘와 차이를 보이며, 묘역을 표시한다기 보다는 매장주체부 주위와 개석 상부에까지 흡사 봉토분의 분(墳)과 같이 적석을 높게 쌓아 묘를 축조하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이 기존의 청동기시대 제 묘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금번 조사에서 확인된 지석묘들은 단독으로 조성된 예도 있지만, 3기 이상의 묘가 서로 연접된 형태를 취한 예도 확인되어서 당시의 묘제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어 동사 유의어 具有와 擁有를 중국어 말뭉치자료 BCC와 CCL의 통계를 활용하여 결합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具有의 주어는 사람과 사물 모두 사용이 가능한 반면, 擁有의 주어는 사람 위주이며, 국가, 정부, 시 등과 자주 결합한다. 具有의 목적어는 주로 성격, 성질, 속성 관련 명사이고, 擁有의 목적어는 구체적 명사 및 사람, 추상명사와도 결합된다. 具有의 목적어에는 사람이 올 수 없는 반면 擁有의 목적어에는 사람이 올 수 있다. 둘째, 정도부사와 부정부사와의 결합 을 살펴본 결과는 ‘不’은 具有 및 擁有와 결합되며, ‘沒有’와 ‘沒’의 경우 具有보다 擁有와의 결합비율이 높았다. 정도부사 ‘最’와 具有의 결합 비율이 가장 높았고, 擁有는 정도부사와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유의어의 동태조사와의 결합을 살펴본 결과는 모두 ‘了’와의 결합비율이 높았다. ‘擁有+過’는 결합되지만 ‘具有+過’는 결합되지 않았다.
울릉도 수토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우선은 조선후기 울릉도 搜討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현황의 사실 관계와 제도적 정착에 대한 연구를 비롯하여 울진 지역의 수토 관련 越松浦鎭城과 待風軒 등에 대한 연구, 그리고 수토사가 그려 온 울릉도 지도 및 대풍헌 현판 등 자료에 대한 연구나 사료에 대한 해제 등도 있으나 수토사와 관련하여 포괄적인 측면에서의 관련 유적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기록을 통하여 수토사 관련한 유적지를 연구하였다.
삼척지역에 소재하는 울릉도 수토 관련 유적지는 삼척 수군 관련 유적지, 수토 수행과정에서의 대풍소나 祭儀 神堂, 수토에 참여한 인물 관련 유적지, 기타 관련 유적지가 있는데 이를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척수군진이 설치되어 있던 삼척포진과 관련된 유적지인데, 이와 관련하 여서는 軍船을 정박시키는 포구였던 삼척포와 수군의 각종 장비와 물자를 보관하 고 첨사가 군관을 거느리고 주둔하였던 삼척포진성이 그 핵심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유적에 대한 조사에서 수군진성의 하부가 지하에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둘째는 삼척에서 울릉도로 항해하는 과정과 관련된 유적이다. 삼척에서 출발하는 수토군들은 먼저 모든 장비를 갖추고 營下에서 바람을 기다리다가 적당한 바 람이 불 때 바다로 나가서 출발하였는데, 이 때 바람을 기다리는 대풍소와 안전 항해를 기원하는 여러 가지 제사를 곳이 있었다. 특히 1872년에 만들어진 지방지도의 삼척부 지도를 보면 삼척수군진성으로부터 오십천 건너편 고성산(오화리산성이 있는 곳) 근처에 붉은 선 안에“東海”라고 표시해 놓은 것이 있는데 이곳이 동해신제를 지낸 곳으로 추정된다.
세 번째 삼척의 수토 관련 유적으로는 후망소, 수토사 인물 유적, 울릉도 유적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울릉도 수토가 실시되는 동안 바닷가에 위치한 마을에서는 임시의 거처를 만들고 바다를 감시해야 했는데, 그러한 후망소가 어느 곳에 설치되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체로는 울릉도에서 돌아오는 선박이 표류할 경우 동해안 지역에서 도달할 가능성이 있는 곳에 설치되었을 것이며, 대풍소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척후가 있었다고 하는 삼척의 藏吾里浦(근덕면 장호리), 그리고 『陟 州志』(上)에 바닷가의 망대인 海汀候望으로 기록된 介谷, 宮村, 馬頭, 窟岩, 龍場 이 그와 관련된 곳일 가능성이 크다. 아을러 고려시대에 삼척 지역에 설치된 戍所 인 桐津戍․臨遠戍가 있던 곳도 바다를 감시하고 방어하는 중요한 요충지였으므로 이곳도 후망 장소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수토를 수행한 인물과 관련된 유적지(혹은 유물)는 삼척지역에서 현재 뚜렷하게 확인되는 곳이 없다. 삼척영장으로 울릉도 수토를 수행한 장한상은 경북 의성에 묘가 있고, 이준명은 경기도 성남시에 묘가 있으며, 구억은 충남 공주에 묘가 있다. 여타의 수토를 수행한 것으로 확인된 삼척첨사의 관련 유적은 확인되지 않으며, 육향산에 있는 삼척영장송덕비 가운데 울릉도 수토를 수행한 삼척영장 송덕비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월송포 만호가 수토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월송만호의 上官은 삼척영장이었기 때문에 삼척영장송덕비 자체는 관련 유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조선전기에 울릉도를 세 번씩이나 왕래하며 수토 임무를 행한 삼척사람 김인우의 유적은 앞으로 확인될 가능성이 있는 바, 향후 적극적으로 자료를 발굴하여 선양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울릉도에 소재하는 수토 관련 암각문이나 표석, 김인우와 관련된 태하리 성하신당 등도 관련 유적지에 해당하나 본 논고에서는 삼척지역에 소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다루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community usage motive, and price sensitivity of customers who purchase children’s wear directly from overseas on customer satisfa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is aimed at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when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significantl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who experienced directly purchasing children’s wear from overseas and engaging in communities. A total of 41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hich 41 responses were insincere and excluded; thus, 374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n how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reveals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economic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on customer satisfaction. Moreover, informational, recreational, and social emotional usage motiv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community usage motive on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different levels of price sensitivity was verified. As a result, delivery and economic risks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for consumers with high price sensitivity. Moreover, recreational usage motiv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for high price sensitive consumers. In conclusion, perceived risk negatively impacts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system that can reduce the perceived risk of consumers who purchase children’s wear directly from overseas.
최근 우수한 유연성과 화학적 안정성 등을 가진 고분자 수지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등을 나타내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 시스템으로써 유-무기 하이브리드 코팅 필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써 사용된 o-phenylphenoxyethyl acrylate (OPPEA)는 1.576의 높은 굴절률을 나타내고, 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BAEDA)는 굴절률은 낮지만 경화된 고분자의 경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무기 소재로써 사용된 지르코니아는 산화지르코늄으로써 우수한 내구성과 광학특성 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중 BAEDA의 함량을 조절하여 필름을 제조한 뒤 연필 경도계와 아베굴절계를 이용하여 광학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고, UV-vis spectrophotometer을 이용해 투과도를 비교하여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그리고 실란 커플링제인 γ-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MPS)를 사용하여 지르코니아를 소수화 처리하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개질 전후의 물에 대한 분산성 변화를 조사하여 물에 대한 친화력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고, FT-IR ATR spectrophotometer를 통해 MPS에 의해 도입된 1716 cm-1에서의 에스터 C=O 결합 peak의 존재를 통해 MPS에 의한 지르코니아 표면의 개질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르코니아의 표면에 도입된 규소 원자의 존재는 X 선 형광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리고 화학적으로 개질된 지르코니아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도입하여 광경화 필름을 제조하였을 때, 굴절률은 아크릴레이트 자체 필름보다 1.2%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고, SEM/EDS mapping 분석을 통해 PET 필름에 코팅된 개질 후 지르코니아가 아크릴레이트 코팅층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cological and ecosystem database is becoming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origins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lso to minimize disturbance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can play important roles as a computing system to collect knowledge, distributed research findings and separated data from research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developed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EcoBank 1.0)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ecological information for diverse classes of stakeholders. To reach the goal, we had reviewed related and comparable ecological database portals to design conceptual structure of EcoBank system including database management framework. Then, we developed some functions of ecosystem analysis for each stake-holders (researchers, general public and policy mak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signed of EcoBank system covering the functions of Digital Object Identifier (DOI) publishing and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Also, we (1) applied ecological indices for calculating biodiversity by administrative boundary for policy makers, (2) provided statistical information of econature map for general public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pecies for researchers. To make a successful establishment of EcoBank, we have to collect and build up related database and offer various and reliable ecological data consistently. We expect that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EcoBank will help not only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ut also to raise the welfare of ecosystem in Korea.
외래 과실파리에 대한 모니터링은 검역에 필수적이다. 과실파리 유인물질을 왁스 재질로 제형화하여 비교적 장기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술이 금지급 과실파리 모니터링에 유효하였다. 본 연구는 이 왁스 제형의 유용성을 확장시키기 위해 금지급 과실파리가 자생하고 있는 태국 현지에 적용하였다. 포획된 개체들을 분자 동정한 결과 기존에 유인력이 입증된 오리엔탈과실파리(Bactrocera dorsalis)와 오이과실파리(Zeugodacus cucurbitae)는 물론이고 Zeugodacus caudata의 검역 과실파리가 유인된다는 것을 밝혔다.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다양한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가지고 온실가루이의 유인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치된 램프의 종류는 청색, 황색 그리고 흰색 발광 램프가 장착된 트랩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청색 발광 램프가 설치된 트랩에서 110마리로 가장 많은 온실가루이 성충이 유인되었고 황색램프 트랩과 흰색램프 트랩에서는 각각 71마리와 45마리가 포획 되었다. 이때 청색 발광램프 트랩의 파장대역은 330nm에서 430nm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황색광과 흰색광 발광램프 트랩에서도 청색광 램프의 파장대역을 가지고는 있었으나 한편으로 온실가루이가 회피하는 파장대역 또한 동시에 포함하고 있었다. 이 결과 이들 두 개의 트랩에서 보다 청색광 발광트랩이 유인 포획률이 높아 시설 토마토 온실에서 온실가루이의 방제와 예찰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논문은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토석을 도시생활권의 목표공간까지 유도하기 위한 유도둑의 도류 각 변화에 따른 토석류 퇴적형태 및 최대 충격파고의 변화를 파악할 목적으로 실시한 실내 모형실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실험결과, 유도둑이 상류에서 발생한 토석류를 목표로 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유도둑의 도류각이 30° 이상일 경우 토석류의 유심이 유도둑과 충돌하여 에너지가 손실됨으로써 토석의 퇴적이 발생하였다. 특히, 유도둑의 도류각이 0° 에서 30°까지 증가할수록 퇴적토석의 폭이 점차 좁아지고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도둑의 도류각이 45°인 경우에는 지나친 통수단면의 감소를 초래하여 상류구간에서 토석퇴적의 집중도가 높아 토석류가 유도둑을 월류하여 범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유도둑의 도류각이 30° 이하일 경우 토석류의 최대 충격파고는 유심선과 유도둑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고, 이 지점을 기준으로 실험 중에 상류구간에서 최대의 토석퇴적이 형성되며, 실험 종료 후 하류구간에서 토석 퇴적의 피크가 낮게 형성되었다. 다만, 유도둑의 도류각이 45°인 경우에는 최대 충격파고가 실험 중 최대 토석퇴적이 발생한 지점에서 매우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토석이 집중적으로 퇴적되어 후속류 등에 의한 토석의 유도에 효과적이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이번 연구를 통하여 유도 둑이 토석류 처리에 유효하다는 점은 확인되었지만, 토석류의 충격파고에 따른 유도둑의 적정 유효고 설정에 관한 수리학적 연구가 추후 필요하며, 나아가 이러한 설계기준을 근거로 현지적용에 대한 시공기준을 정립하여야 할 것이다.
긴급하거나 광역으로 발생한 해상유류오염사고에는 방제정만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어서, 해양경찰청 경비함정도 방제 작업에 동원된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경비함정에 적합한 유흡착장비를 개발하였다. 장비는 고정지지대, 폴대, 슬라이드고정부 3개 부속품으로 구성되어 용접 또는 추가 구조물 설치 없이 소형 경비함정 현측 추락방지봉에 간단하게 토글핀으로 결속하는 방식으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다. 각 부속품의 무게는 고정지지대 약 9.2 kg, 폴대(2개) 약 6.5 kg, 슬라이드 고정부(4개) 약 3.5 kg이며, 좌·우 180°로 원활하게 움직이는 길이 3 m의 폴대는 갑판 방향으로 접어서 유흡착재 교체작업을 할 수 있다. 본 장비의 개발로 소형 경비함정에서 유흡착재의 투입 및 수거가 용이한 방법으로 개선되어 보다 효율적인 방제작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SU (In-arm hydropneumatic Suspension Unit) are popularly applied to recently developed tracked vehicles because of better performance of ISU than the one of the conventional HSU (Hydraulic Suspension Unit). However, function deterioration and malfunction phenomena of the several ISUs were observed due to leakage of hydraulic fluid during operation of the tracked vehicl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fundamental leakage mechanism of hydraulic fluid for the ISU. The leakage mechanism was investigated by comparing both results of the technical data analysis and overhaul inspection of the ISU which occurred leakage of hydraulic fluid. Finally, the leakage mechanism found in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verified by using experimental methods.
Among the three elements of the story ― character, plot, and setting, the character matters the most. W. H. Hudson argues that technically the success of a work is due to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the recreation of Chunxiang, Jin Renshun deconstructed and reshaped the Korean classical work ― “the story of Chunxiang”, changing the figures of the work greatly by adding new characters, remaking the mother of Chunxiang. In doing so, the classical work is rich in new vitality and the air of new era. The writer has ever said: “There are no new things under the sun. Times and regions may be different, but the humanity is always the same.” Neglec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feudal patriarchy, in a conceived Utopian Champs, the writer wrote the stories of one or more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y. She narrated the Chinese reflections on life in the tongue of the Korean classic, and brought about the exotic culture to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In “the story of Chunxiang”, as a custodian, Yuemei who was regarded as a minor character, decided the identity of Chunxiang, while she made an contrast to the noble “Chunxiang”. However, in the novel Chunxiang, the snobbish Yuemei was turned into another major character, an elegant and plump Mrs. Xiang, and saved Chunxiang at the critical moment. The best way of appreciating a work is analyzing the characters. The characters and the theme are closely related, and the characters are the core of the whole story, which have great influence on the work. There no telling of the story without characters. “Chunxiang”, the first Korean work accepted by Chinese, did a lot of contribution to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Chinese and South Korean literature. Facing such valuable work, we should spend time on the study of the characters in order to grasp the main ideas that the writer wants to convey. Regretfully, there is only on article focusing on the study of this work. This paper tries to make a contrastive study of the mother of Chunxiang in “Chunxiang” by Jin Renshun and the classic “the story of Chunxiang”, aiming at digging into the modern ideological connotation through character analysis.
전통 유가에서 제창했던 “군신부자”(君臣父子)의 “예의관”은 고대 권귀예제주의(权贵礼制主义)라는 심각한 낙인이 찍혀 있다. 지금도 현재 여전히 중국 사회생활 중에 침전되어 있다. 특히 관직을 근본으로 유지하려는 측면에서 엄중한 부작용을 일으키고 있다. 그로 인해 현재 우리는 이론적으로 중국사회의 정의 문제라는 중요한 관건으로 바꾸어 해답을 찾고자 한다. 즉 이글에서는 어떻게 “사람을 해하지 않고 인권을 존중한다”(不坑害人)라는 정의의 저선에 기초하여 유가의 “인의 관”이라는 적극적 요소를 취하고 유가의 “예의관”의 부작용을 극복할 것인지를 다룬다.
Altar architecture is a kind of sacrificial building, mainly formed in altar. Central architecture of Altar architecture is relatively simple. However, various attached building are necessary for worship. Among them, Sinsil which is a place to seal a God’s tablet, is very important.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attempted to define the local sacrificial system and make it customary as a way to strengthen the centralization based on Confucianism. Nonetheless, the altar architecture of the province without detailed regulations, were managed and underwent repair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state and local circumstances.
Sinsil,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altar architecture, best reflects this situation.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altar architecture of the province in th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Sinsil through various document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six types.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re are temporal relation between these six types.
The natural resources of Jeju are recognized as the new regional image of that clean island. Reflecting these trends, this study is initiated to develop a textile design with the motive of persimmon, a natural resource of Jeju, and to apply it to infant’s and children’s clothes. Its purpose is to highlight the image of persimmon, a traditional dye, as a regional signature for Jeju.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 included, understanding the use of persimmon for fashion products, analyzing Infants’ and Children’s designer collections over the last three seasons (focused on 2014S/S, 2015S/S, and 2016S/S), and surveying the Children’s Clothes market for persimmon dyeing in Jeju. The conclusion was that, the natural resources of Jeju are highly valuable, and should be applied to textile design and apparel products for children. Utilizing Jeju persimmon was actively studied, but, the market for the Jeju persimmon natural - dyeing products is extremely limited. Moreover, the apparel products for infants and children represent old-fashioned styles, despite their higher prices. Therefore, us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for each theme was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patterns for textile design. Pattern designs were expressed using textured textile screen-printing, embroidery and appliqué for infants’ and children’s clothes. In this study, a total of 10 items were prepared as apparel products for infants and children. All items were designed considering mix-and-match, potential, with each other or with regular mass-market product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highlighting the unique image of Jeju and to help promote fashion cultur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