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0

        61.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of two architectures ‘Kim Sa-haeng’ and ‘Park Ja-cheong.’ They were the architects whose architecture were established and well known however they were not acknowledged by the people. Because they were not revealed under the large-scale national construction in complicated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Kim Sa-haeng who was an overseas architect in Yuan dynasty stood out in all areas of architecture. Particularly in making royal tombs; His works were recognized as the most beautiful royal tombs ever existed and was later on followed by the Joseon dynasty. Second, Park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Joseon's by faithfully reflecting on the discussed process of Neo-Confucian while coming after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Kim Sa-haeng. Third, although Kim Sa-haeng was a vassal of the Buddhist nation in Goryeo, he built the Moon-myo, a Confucian inspired temple of Joseon. Park Ja-cheong, who continued to build Kim Sa-haeng's architecture, reproduced Kim Sa-haeng's confucian's temple of Joseon dynasty while modifying it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Joseon dynasty. The constructions of the two architects' monuments continues unabatedly. Their architecture has continued without massive changes.
        4,300원
        62.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coptolabrus changeonleei Ishikawa et Kim, 1983 (Coleoptera: Carabidae), has been listed as an endangered insect in South Korea.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pecies was 16,831 bp with a typical set of genes (13 protein-coding genes [PCGs], 2 rRNA genes, and 22 tRNA genes) and one non-coding region, with the arrangement identical to that observed in most insect genomes. Phylogenetic analyses with concatenated sequences of the 13 PCGs and 2 rRNA genes, using the Bayesian inference (BI) and maximum-likelihood (ML) methods, placed A. changeonleei as a sister to the within-subfamilial species Damaster mirabilissimus in Carabinae, with the highest nodal support by both analyses.
        6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an endemic species in Korea Adenophora erecta S. Lee, Joongku Lee et S. Kim is distributed in a restricted area of Ulleung island. In this study, we confirmed finding only about 60 individuals in Taeha-ryeung in an area measuring 900 m² in size. These data together with previously collected data indicate that this species is in the “Critically Endangered (CR)” category based on taxon evaluation criteria of the IUCN. We propagated this species using seeds of transplanted plant from a site where this plant was first found. The best seed germination was observed in a batch treated with GA3 (500 mg/L) under the sun light and the best plant growth was observed in a bed of nursery soil and rough-sand soil (1:1). The original habitat of A. erecta in Sukpo-dong was successfully restored by transplantation of the propagated young plants.
        4,000원
        6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종삼의 시는 1960-1970년대에 이르는 근대화 속에서 시인으로서의 결 핍으로 인하여 더욱 아름다움에 몰입하고 완전한 예술의 시간을 지향한다. 그 안에 순 수와 이상의 세계로서의 사랑이 존재한다. 예이츠 역시 젊은 시절 집요하게 사랑을 추 구하던 시 정신이 노년기에 자아통일의 과정에서 변화하며 반영된다. 두 시인에게 연 인과 애인이란 문명화되어가는 세상에서 자신들을 잃어버리지 않으려 한 목적이자 삶 의 방식이었다. 또한 닿을 수 없는 과거에 존재하는 그리움이며, 그 고통을 견뎌내면 서 천상의 행복을 삶에서 구하려했던 시의 시작과 종결이었다.
        6,600원
        66.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김수영의 예이츠 문학 수용 양상을 살피고, 그것이 그의 시 세계에 미친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 19 혁명을 계기로 김수영은 한국 의 시대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 아래 새로운 시 쓰기 방법론에 고심(苦心)하는데, 이러한 시적(詩的) 모색은 이 시기 그가 주시했던 예이츠 문학의 특징과 긴밀하게 연 동된다. 김수영은 시대 현실에 대한 예이츠의 인식과 이를 기저로 한 창작 방법론을 매개로 한국 시단의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한국시가 나가야 할 ‘현대성’의 방향을 타 진하였다. 『巨大한 뿌리‏‎』 에서 김수영은 아일랜드 전통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예이츠 의 시적 특징을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마련하였다.
        5,800원
        6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920년대 천도교 기관지 『개벽』에 실린 시편을 중심으로 김소월과 동 학(천도교) 사상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김소월이 『개벽』에 발표한 산 문시  자리 는 동학의 범신론적 세계관을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을 바탕을 둔 타고르의 시편은 ‘님’을 초월적인 신 격으로 보고 현실을 해탈의 대상으로 보는 반면에, 김소월의 산문시는 ‘님’을 인 간에 내재한 생성 원리로 보고 현실의 삶 자체를 긍정한다. 소월의 깁흔구멍 에 서 ‘님’은 생성 원리로서의 천(天)과 가깝다. 이 작품에서 천(天)은 인간의 삶을 초월하여 있는 존재가 아니라, 모든 인간[人]의 마음속에 내재[乃]한는 존재로 그려진다. 김소월이 『개벽』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시 신앙(信仰) 에서도 ‘신 (神)’은 모든 인간의 가슴속에 내재하여 있는 존재라고 하며, 생명 자체를 긍정 하는 힘이라고 하였다. 『개벽』에 소월이 처음으로 발표한 동시(童詩)들은 ‘봄’ 의 기호를 등장시키는 동시에 대립적 요소의 결합이라는 시적 기법을 활용함으 로써, 단순한 언어를 통하여 생성 원리 자체를 표현하였다.
        8,400원
        68.
        2017.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note assesses the implications of the D.C. Circuit Court case of Han Kim v.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n which the court found the North Korean state responsible for the torture and unlawful killing of Kim Dong Shik, a South Korean missionary who was abduct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while in China. In particular, this note shows how the judgment breaks new ground by holding a state responsible for torture and unlawful killing based solely on general evidence of that country’s human rights practices, withou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fate of the victim himself. This note also discusses this case’s implications for the plaintiffs themselves, and for other victims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buses.
        4,000원
        69.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김동리의 『을화』와 치누아 아체베의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를 대상으로 한다. 두 작품은 모두 기독교와 토착 신앙이 충돌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차이점 또한 확연하다. 을화 에서 기독교는 서구 제국주의와 동의어가 아니며, 기독교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토착 신앙과 가치체계를 고수하는 부모 세대와 기독교적 가치체계를 받아들인 아들 세대는 서로 충돌하게 된다. 그 결과 을화에서는 아들 영술이,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지다』에서는 아버지 오콩코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영술의 죽음은 기독교가 토착 신앙화되고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결합하면서 일어난 것이었다. 오콩코의 죽음은 기독교로 대표되는 서구 제국주의 세계의 폭력 때문이었다. 그러나 두 작품의 결말에서, 기독교와 지배 이데올로기의 양 면성을 읽을 필요가 있다. 젊은 세대를 희생양으로 삼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와 존중받아야 할 문화를 삭제하는 제국주의가 모두 폭력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이 다. 종교가 지배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빚어진 죽음을 그려낸다는 점에서 두 작품을 재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기반으로 종교 간의 갈등이 문학작 품에서 그려지는 조건과 인물형을 유형화할 수 있을 것이다.
        5,500원
        70.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학의 언어는 인간 본질과 관련하여 근본적으로 죽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 관점은 문학텍스트를 단순 평가하기보다 부재, 죽음, 소멸, 망각 등의 문학적 의미 가 생성되는 공간이자 가능성으로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이 글은 문학의 공간으로 대표되는 모리스 블랑쇼의 시학과 문학론을 토대로 셰이머스 히니 시와 김수영의 시 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히니의 경우, 아일랜드의 역사성과 토착성을 잊지 않으면서도 기존의 이데올로기의 틀을 벗어나려는 상상적 공간으로 아일랜드를 파악하고 시적 자 아의 경험과 함께 녹여내고 새로운 공간을 빚어내고 있다. 김수영의 경우, 시적 글쓰 기에서 침묵 또는 죽음의 의미를 끊임없이 언어적이고 문학적으로 재구성하며 블랑쇼 의 이론과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5,800원
        71.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물질적인 풍요로움에 비해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는 한국 사회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인성교육이 중요하다는 문제제기가 부각되고 있다. 인성에 대한 이해 와 좋은 인성의 내용을 모색하는데 문학은 효과적인 텍스트이다. 그 중 김별아 의『미실』은 신라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들의 권력 관계와 일상적인 삶, 신라시대의 독특한 풍속을 다룬 역사소설로 다양한 인물들을 통하여 인성의 형 성과 변용 과정을 잘 보여준 작품이다.『미실』을 통해서 볼 때, 인간의 인성이 란 선험적이거나 이상적이고 단일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조건과 시대정신, 인간 관계에 의해 변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사회 구조와 인생의 희로 애락을 통해서 변용되는 것임을 통찰하게 된다. 인성교육은 건강한 시대정신과 사회적 가치가 먼저 마련될 때 효과적이며, 서로 존중하고 인정해주는 인간관계 를 중시하는 문화가 조성되어야 가능하다. 김별아의 미실은 다양한 인물을 통해서 오늘날 인성 교육을 하기 위한 중요한 인성형성의 기제를 성찰하게 해 주는 작품이다.
        5,400원
        7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value of Soswaewon construction represented in Kim In-Hu's 48 poems on the basis of the concept and idea of soundscape. It classified the landscape resources through the various emotional elements such as the sense of sight, hearing, smell, touch, taste, and warmth described in the 48 poems of Soswaewon, and also interpreted the meaning and value of Soswaewon construction. Appreciating various sounds of Soswaewon, Kim In-Hu understood a soun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landscape. Also, he abundantly wrote down the interesting changes of Soswaewon which vary depending on time or seasons. The 48 poems contain the scent and feel of Soswaewon as well as the soundscapes which can be heard with ears. A variety of sounds heard in Soswaewon are the whole sense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hill of Soswaewon, the fragrance of trees and the mystery of the mountain, etc, and they mean the wider world much more than the value of physical sounds. Soundscapes of Soswaewon are becoming an emotional space which intactly conveys not only the musical inspiration but also the scent of life to us.
        4,500원
        7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순교자』는 전쟁이라는 역사의 폭력 앞에 내동댕이쳐진 인간의 실존적 고뇌를 다루면서, 신의 존재를 부인하는 신 목사를 통해 자기를 희생하면서까지 교인들에게 희망을 전하고자 하는 새로운 신앙의 진실을 그려낸 작품이다. 작가는 신 목사를 통해 침묵하는 신을 대신해서 불가사의한 현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랑에 기초한 윤리적 휴머니즘이야말로 곧 희망의 복음이라는 메시지를 역설하고 있다. 󰡔순교자󰡕가 현실을 살아내야 하는 견인주의적 관점을 고수하는 실존신학의 입장을 드러냈다면 󰡔침묵󰡕의 경우는 비록 실존신학적인 주제이긴 하지만 신의 침묵 뒤에서 신의 응답을 듣게 되는 율법에서 자유로운 신앙을 구현해 냈다고 볼 수 있다. 신부는 성화판을 밟는 이율배반적인 사랑의 행위를 치르면서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고난을 대리 경험하고 신의 현존을 새롭게 인식하게 된다. 베드로가 예수를 부인한 고통 속에서 참 그리스도를 만나게 되었듯이 로드리고 신부 역시 성육신한 구속주 예수를 성화판 사건을 통해 만나고 애벌레가 나비가 되는 탈바꿈에 이른 역동적 신앙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5,500원
        78.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surveys basic costumes and games from the 11 Genre paintings by Junkeun Kim in the book “Korean Games (Stewart Culin 1858-1929)”. The characters in the painting are 3 adult males, 19 boys, and 8 girls. The characters of the general dress-costumes, games and the culture of life from the late 19thCentury in genre painting of Junkeun Kimare are as follow. It is classified as a children’s game and combined game, children’s game classified one more as a boy’s game and the girl’s game from life culture. It also classified the body type and the multi complex type by game character. The boy’s games are kite-flying, spinning tops, playing shuttlecock with the feet, blind man’s bluff, yut (“Four-Stick Game”). Girl’s games are seesaw with board, blind man’s bluff, and marbles. Combined games are mount shoulder, sledge, tightrope walking for men with boy. The strengthen one’s body type were seesaw with board, tightrope walking and the multi complex type were yut (“Four-Stick Game”), kite-flying. The study results on the costumes of 19 boys, 8 girls, and 3adultsin genre paintings are as follow. Boy’s hair was knotted on the back of the head by ‘Dang-ki’ (Korean traditional hair ribbon) with the middle part in his hair which was colored red and bright brown. A ‘Go-kal’ (peaked hat), ‘Cho-lip’ (straw hat), towel hood, ‘Pung-cha’ and ‘I-um’ for winter on their heads. They wore a ‘Po’ (Korean traditional coat) which was ‘So-chang-i’, ‘Do-ru-ma-gi’ and ‘Jun-bok’ (Korean traditional vest). They were green, yellow green, violet, pink. The boys wore ‘Jeogori’(Korean traditional jacket) which were blue, red, violet, green and pink which reached down to the hip line. The variety of colors was more colorful than men’s. The ‘Jeogori’ had mostly ‘Dunggun-kit’ (a round head collar) or ‘Dangko-kit’ (a round head with nose collar), ‘Kal-kit’ (knife shaped collar) with white ‘Dong-jung’ and fit around the neck and ‘Go-rum’ was short and narrow. ‘Baji’ (slacks) were white with a colorful sash (green, blue and red) knotted at the waist, worn ‘Hang-jun’ (shank band). They wore white ‘Beoseon’ (Korean traditional socks) with Jipsin (straw shoes), ‘Mi-to-ri’, black or red, brown ‘Hea’ (leather shoes) and ‘Sulmal’ (sleigh shoes).They wore a green, indigo and red collar ‘To-si’(Korean traditional wristlets) for winter and attached a ‘Yum-lang’ (a Korean traditional pocket bag). The common man wore ‘Jeogori’ (Korean traditional jacket) which were green and white with a white lining that reached down to the hip line with white ‘Baji’ (slacks). The shape and method of wearing modern man’s Hanbok (a Korean traditional costume) remained unchanged. But it istied by another color sash for padding Jeogori in winter games. They wore white ‘Baji’ (slacks) with a colorful sash (red and white) knotted at the waist and wore a ‘Hang-jun’ (shank band).Park C.S. et al. (2009) found the same result in that the basic color was white with various intermediate colors. They wore padded Jeogori and Bajiin the winter while wearing, single a layer ‘Po’ inthe summer. They wore their hair in a topknot (sangtu) with a green color towel surrounding the forehead with ‘Bungezi’ and ‘Got’ on their head in a topknot. They wore ‘So-chang-i’, but they often did not wear ‘Po’ and put on ‘Jipsin’ (Korean traditional straw shoes) or ‘Sulmal’ (sleigh shoes). The girl’s hair was knotted to the back of the head or with partedbraidedhairso that there was a pigtail over each ear tied with a ‘Dang-ki’ (a Korean traditional hair ribbon) with a middle part in the hair. ‘Jeogoei’ was short and fitted with the narrow sleeve of a short and narrow ‘Go-rum’. It has ‘Dunggun-kit’ (a round head collar) or Dangko-kit (a round head with nose collar) with a white ‘Dong-jung’ and fit around the neck.They wore indigo, green, red ‘Jeogori’ matching the color of the ‘Kit’ (collar), ‘Go-rum’ (ribbon), ‘Kut-dong’ called ‘Ban-hoijang-jeogori’ and with a indigo/red, green/red, and red/indigocolor combination.They wore ‘Chi-ma’ (a Korean traditional skirt) colored red, green, and pink that contrasted with the ‘Jeogori’. The right side of ‘Chi-ma’ was covered to the left side and knotted by a waist band stringin the front of the chest and tucked up skirt. The width of ‘Chi-ma’ was adequate. The white inner slacks came from under the skirt. They put on ‘Jipsin’, brown ‘Hea’ (leather shoes). Through genre painting in the 19thcentury, we know a boy’s ‘Jeogori’ and ‘Ba-ji’ were similar to a modern man’s and boy’s ‘Hanbok’ with a traditional method of wearing. We believe that the originality of a traditional costume was an unchangeable characteristic. Girl’s ‘Jeogori’ and ‘Chi-ma’ changed in length and width, and method of wearing; however, the basic shape did not change. The analysis for artist’s genre painting which was ordered by a foreigner and the late of 19thcentury’s children’s costume and game of life culture is useful to match the counters and show how to wear a modern Korean costume used to understand the ‘Hanbok’ and establish a costume of life.
        3,000원
        7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the only high moor in Korea, is a core area to conserve biodiversity. Even though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is relatively small, various plant species are distribut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because it includes various habitats showing different environmental gradients.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were identified as a total of 376 taxa that is composed of 73 families, 217 genera, 322 species, 3 subspecies, 44 varieties and 7 forms. For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5 species including Trientalis europaea var. arctica, Lilium dauricum, Halenia corniculata, Lychnis wilfordii and Menyanthes trifoliata were found and 34 taxa were confirmed to be distributed only in the mountainous wetland habitats. Regarding naturalized plants, a total of 11 taxa were distributed, but most of them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where artificial interference has occurred. And in areas inside the wetlands that are relatively well preserved, 2 species of Bidens frondosa and Erigeron annuus were observed. In this study, the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Pseudostellaria baekdusanensis M. Kim, which was recently found in Mt. Baekdu and reported as a new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A wetland is a very vulnerable area to drastic environmental changes and damages to its ecosystem could cause the extinction of rare plant species which are distributed only in the wetlands. Therefore, it is mandatory that current status of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is evaluated and actions to prev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re taken. Fourteen separat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2013 and another four in 2014, to evaluate current status of the Yongneup wetland protected area. These investigations have provided us th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actions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4,500원
        80.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김영호는 지속적으로 문학과 종교를 연구해왔으며, 시인으로서 탁월한 종교 시들을 선보이고 있다. 디지털 시대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문명의 혜택으로 창작 물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하다. 김영호 시는 「대지의 기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인간의 한계와 신적인 용서 사이에서 고뇌하는 종교적 깊이가 잘 드러난 다. 「순복」에 나타나듯이 하나님의 종이 되어 예수가 구주임을 만천하에 증거 하는 것이 가장 고귀한 사명임을 천명한다. 최근에 페이스북을 통해 발표된 시 편들에서도 아름다움과 배려와 천국의 행복을 추구하는 시심이 깊은 종교성을 간직한 채 선보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김영호가 계속하여 종교성과 예술성의 조화로운 시 창작을 이뤄가는 가운데 문학과 종교와 삶에 밝은 비전을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
        5,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