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6

        61.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food habits, anthropometry and obesity of 252 children(136 boys, 116 girls) aged 2~6 years old. The anthropometric indices were measured and food habits were surveyed. Average food habit score was 11.7/20.0 in boys and 11.8/20.0 in girls. It was found that 60.3% of the subjects belonged to fair score group(7-13) in food habits, while subjects in poor (0-6) and in excellent (14-20) were 30.6% and 9.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habits score between boys and girls. The food habits score tended to be higher as the mother's education level, total family income, number of siblings were increased. The mean height, weight and chest circumference of the subjects were much higher than the Korean standards. Evaluating the obesity by weight for height, 77.8% subjects was normal, 4.0% was underweight and 18.3% was obese. Underweight children did not seem to enjoy their meals and ate too slowly compared to normal or obese children. Therefore they needed to promote food habits by good nutritional education.
        4,300원
        62.
        199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at free congregate meal service for elderly people. Forty seven meal service centers as well as randomly selected Seoul and Kyunggido area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an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st of each meal(lunch) was ranged from 1,300 won to 1,500 won and 68% of target centers were severed over 100 meals per day. Meal time for lunch begins from 10:30 am to 12:00 because great portion of elderly didn't take breakfast frequently. 52.3% of centers severed meal 5 times per week, just weekdays. 21.3% of centers employeed dietitian, 63.8% of center employeed cook. 95.7% of center were supported labor force by volunteers. Volunteer was important contribution to free meal service. Utilizing the labor force more effectively is thus a major challenge facing manager in each center. Ideal supporting system of free foodstuff, foodbank was still minor source of securing foodstuff. Most of centers(46 centers)served lunch, only one of them served breakfast and lunch. Government was the major financial sponsor, the second of them was religious organization. The large portions of financial support provided only food cost of total meal service budget. Most of center adapted self-service system. Standardized recipes were not developed and meal preparation was controlled under the experience of volunteers. Recording system of nutrition management, production control, storage and inventory control was not adapted by most of site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meet the change of the patterns of social and family structure, the service of the center should be offended in urban area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ystematic management models for the center. It was suggested that not only financial support but also systematical support on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 may be necessary to meet the goal of supply nutritionally balanced food at center.
        4,900원
        63.
        199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nsciousness level of health. A total of 499 people living in Seoul and the vicinities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the October 1997 to the January 1998. Among the 532 answers collected 33 was imcompleate data, and 499 answers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PSS program. The most worried disease was cancer(27.6%), indigestion(23.0%), liver trouble(14.8%) and high blood pressure(14.8%). The perception of Korean on health and food habit indicated that food habit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as appeared in 28.9% of the subject. Eighty-seven percent of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health food is necessary for the health.
        4,000원
        64.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urban form of Korean citie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e influence of commercial development was the main cause of these changes. Commerce became a important function of existing cities, and the new type of commercial towns emerged at the important spots of traffic routes. In both cases streets became dominant element of urban form. Mainly commercial buildings aggregated along the streets, and to obtain higher land use intensity shape of lots became narrow and deep. Koyang(高陽) shows the most significant example of this new type of lot and lot pattern. Approximately 30 narrow and deep type of lots lined on each side of street forming about 390 meters long linear commercial town. Similar examples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south gate of Suwon(水原), Nuwon(樓院), and Pangyo(板橋).
        5,400원
        65.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강화도 지역의 산지형 도시녹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분석을 통한 관리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면적 11,331ha에 대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식물군집은 19개 유형으로 분리할 수 있었는데 이중 상수리나무군집,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등 2차림이 전체의 92.32%(10,461ha)를 차지하고 있었다. 아까시나무림 등 인공식재림은 전체의 5.40%(612ha)로서 수도권지역 다른 도시들 보다 적은 면적을 나타내었다. 총 57개 조사구에 대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분석 결과 총 7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는데 그것은 리기다소나무(군집 A), 상수리나무(군집 B), 소나무-상수리나무(군집 C), 상수리나무-소나무 (군집 D), 소나무-서어나무-졸참나무-상수리나무(군집 E),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 F), 느티나무-고로쇠나무 (군집 G)이었다. 강화도 지역은 온대 중부지방에서의 일반적인 천이진행단계인 소나무림에서 상수리나무림을 거쳐 신갈나무림, 졸참나무림, 서어나무림으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토양 pH는 평균 4.17의 강산성 토양으로서 토양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산림식생 관리계획에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66.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487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tudents got 6.66/10 points in th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The girl and the student from nuclear familie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boy and the student from extended families respectively. Most of the students(95%) respond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n succession and be developed because it suits Korean tradition of our own and our tastes. However,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mproved in cooking process to more convenient way and in tastes. Especially students in urban area emphasized cooking process, and students in rural area emphasized tastes. Many students(80%) answered that the households may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succeed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food. Most of students(82.5%) thought that the Korean traditional food needs to be made fast food because they need to take it more easily. However, hygiene, taste and nutrition have to be considered. Pulgogi, Mandoo, Rice, Ddeokgook, Chabchae are highly preferred foods while Torantang, Mookuen-Namool, Jutgal, Jeonyoouh are poorly preferred. Some students had never tasted Shinseonro, Goocheolpan, Torantang, Chokpyun and Pyunyook.
        4,000원
        67.
        199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부터 조성된 5개 신도시 공동주택단지의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형태와 식재기법, 효과 등을 분석하여 완충녹지 조성시 배식에 이용할 수 있는 자료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지 완충녹지의 형태는 마운딩형, 사면형, 펴연형이었으며 식재된 수종으로는 교목은 상록수 10종, 낙엽수 20종의 총 30종이었고 관목은 총 13종 이었으며 도시공원 등의 관상용수종과 차이가 없었고 식재는 단층적으로 한 상태였다. 완충녹지에 의해 소음완화 효과는 인정되었으나 7개 조사유형중 4유형에서는 공동주택단지의 소음 기준치(65dB) 이하의 완충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소음완화효과는 마운드형이 효과적이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식재밀도, 녹지용적계수는 완충녹지의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자연림과 비교했을 때 식재밀도가 매우 적었고 녹지용적계수도 기준 녹지에 비해 션격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개선이 요구되었다. 완충녹지는 높이를 2m 이상으로 한 마운딩형으로 조성지역 인근 자연림의 식생구조를 모델로 하는 복층적 식재기법을 이요하여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500원
        68.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내 친자연공간에서 자연관찰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것으로서 일본 관동지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요한 자연관찰시설은 비지터센터, 자연관찰로 그리고 자연관찰로 상에 설치된 각종 해설시설이었다. 또한, 친자연공간에서는 자연을 이해하고 체험하게 하는 인터프리테이션이 다양한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인터프리테이션은 레인져, 자연해설원 등 전문가와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자원봉사조직이 있는 대상지에서 자연해설 종류가 다양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의 주요활동은 자연해설 이외에도 환경관리와 조사, 소식지 발간이었다. 친자연공간의 셀프가이드룰 위한 학습매체는 2~4종류이었고 홍보방법은 도, 시, 구의 홍보가 가장 많았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지역 전자게시판, 케이블 TV와 Fax를 이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5,100원
        69.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 문헌의 고찰로 서울시 야생조류상의 현황 및 관리방안은 다음과 같이 결론지을 수 있다. 1. 서울시 야생조류상에 대하여 물새와 산새를 모두 연구한 결과가 아직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현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번식기에는 약 40 여종, 겨울철에는 40여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정교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2. 도시림 뿐만 아니라 주변의 패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적 접근방식(intergrated approach)으로 도시림을 연구하여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도시림의 면적은 도시림에 번식하는 야생조류의 종 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지배적인 인자로써 도시림이 더 이상 다른 토지이용 형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가장 기초적인 관리 지침이다. 4. 대면적의 숲이 세분화 될 경우, 여름철새의 번식에 지장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면적 숲의 세분화를 막아야 하며, 가능한 한 생태통로(eco-corridor)로 세분화 된 숲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5. 도시림에 생육하는 임목 중 대경급 임목은 나무구멍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중요한 은신처와 둥지이므로 대경급 임목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새집의 설치는 나무구멍을 둥지로 이용하는 조류의 번식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이다. 또한, 도시림이 시민에 의해 과도하게 이용될 경우, 관목층이 제거되어 관목층을 둥지자원으로 이용하는 조류의 서식에 불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등산로 주변에 관목성 수목을 밀식하여 등산로의 확폭과 파괴를 막아야 할 것이다. 풍부한 먹이 자원을 제공하기 위하여 관목층 보호를 꾀하고 임목의 조림과 무육에 힘써야 할 것이다. 6. 동일한 면적에서 번식 조류 종 수를 높이는 방법은 엽층의 피도량을 늘이는 것이다. 현재 서울의 도시림은 엽층의 분화보다는 우선, 피도량의 증가를 위해 노력해야 하며 후에 엽층의 다양성을 높여 산림의 수직적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어야 할 것이다. 7. 들고양이와 들개에 의한 소형 조류의 피해가 늘고 있으므로, 야생조류의 천적인 들고양이와 들개를 구제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서식실태가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8. 한각을 비롯한 지천의 하변에 서식, 월동하는 물새류와 서식지에 대한 연구와 관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9. 산불방지와 도시림 정비의 일환으로 실시해 온 관목층과 낙엽 및 죽은 가지를 제거하는 비과학적인 관행과, 하천유지유량을 높이고 하변 정비 및 산불 방지으 ㅣ한 방편으로 진행된 하변 식생 제거는 전문가와 충분히 제고한 후, 없어져야 할 것이다.
        4,000원
        70.
        199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도시내 친자연공간의 조성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일본 관동지방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지는 6개의 사업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들 사업의 입안 배경을 파악하였다. 각 대상지의 기본구상, 환경조건 및 생태적 조건조사, 계획 및 설계(zoning)과 이용계획, 목표설정 및 관리계획), 자연환경의 정비, 관리,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 및 기법을 분석하였다. 도시내에 자연과의 접촉공간 창출을 위해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비오톱조성기법에 의해 환경이설형, 환경창출형, 환경개량형을 기본으로 하였다. 또한 현 환경과 생태계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비오톱을 창출하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조성계획시 목표종의 설정은 조성방향성을 명확히 하는데 핵심적인 사항으로 판단되었다.
        6,100원
        71.
        199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인공지반 녹화에 적합한 수종의 선정과 식재기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험식재와 사례조사이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식재를 토한 자연토양과 인공토양의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두 지역의 생육이 비슷하거나 인공토양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공토양 식새지에서 생육상태가 더 좋게 나타난 수종은 옥상실험구에서는 서약측백, 살구나무, 단풍나무, 불두화, 회양목, 지하주차장 상부 실험구에서는 수수꽃다리, 무궁화, 자산홍이었다. 인공토양의 토층별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관목은 토층에 따른 새육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토층 30cm에 관목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교목식재지는 45~60cm 토층의 인공토양으로 조성하여도 수목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있었다. 인공지반 조경녹화지역 사례분석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감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목련, 신나무, 희말채나무, 남부지역에서는 남천, 주목, 꽝꽝나무, 아왜나무, 식나무, 사철나무가 인공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적합수종으로 분석되었고 그 밖에 향나무,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등은 지역에 관계없이 적정수종을 판단되었다. 인공지반 녹화공간의 관리는 건조가 장기화 될 경우 관수를 해야 하며 또한 연 1회 이상의 시비가 수목 생육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반 녹화와 관련한 토심규정 세분화와 조경면적으로의 인정기준 등 관련법규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4,800원
        72.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의 환경문제가 인구와 시설의 증가에 의해서 점점 더 심각해짐에 따라 도시내 산림을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에서 도시내 또는 도시외곽에 위치한 산림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한 기본적 분석 단계로서 산림지역의 지형환경을 Landsat - 5 TM데이타와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Landsat - 5 TM의 영상자료로부터 산림지역을 추출하였고, 수치지형자료를 이용하여 표고, 경사도, 주경사향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영상자료로부터 추출한 산림지역에서 특히 보문산, 봉산, 갑하산, 식장산과 계족산의 5개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환경 분석이 이루어졌다. 대전지역에서 산림지역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은 55.1%로 도심지역보다 약 5배 많은 며적이다. 전체 산림지역의 표고 분포는 200m 이하가 70.8%이고, 400m 이상은 4.8%이다. 5개 지역에서 계족산은 100~200m 지역의 전체의 45.7%, 보문산은 300m 이하 지역이 92.4%이다. 갑하산과 식장산에서 300m 이상되는 지역은 각각 20.4%와 46.6%이다. 도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봉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50% 이상이 경사 20˚ 이상의 급경사지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식장산에서는 30˚ 이상의 절험지가 35.2%나 분포하고 있다. 식장산과 갑하산은 보문산, 계족산보다 고도, 경사도 변화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3.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size distributions of water-soluble inorganic ionic species (WSIS) in roadside aerosols, sampl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urban roadside area of Jeju City on August 2018 and January 2019 by using the eight-stage cascade impactor sampler. The mass of roadside aerosols were partitioned at 57% in fine fraction, 36-37% in coarse fraction, and 6-7% in giant fraction, regardless of summer and winter. The mass concentrations of WSIS except for Na+ and SO42- in roadside aerosols were higher in winter than in summer. The size distributions of Na+, Mg2+, Ca2+ and Cl- were characterized by bimodal types with coarse particle mode peaking around 3.3-4.7㎛ and 5.8-9.0㎛ . The size distributions of NO3 - and K+ shifted from a single fine mode peaking around 0.7-1.1㎛ in winter to bimodal and/or trimodal types with peaks around coarse mode in summer. SO4 2- and NH4 + showed a single fine mode peaking around 0.7-1.1㎛ . The MMAD of roadside aerosols was lower than that of Na+, Mg2+, Ca2+ and Cl-. Based on the marine enrichment factors and the ratio values of WSIS and the corresponding value for sea water, the composition of roadside aerosols in Jeju City may be practically affected by terrestrial sources rather than marine source.
        74.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gh-resolution meteorological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a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with an Urban Canopy Model (UCM) in the Ulsan Metropolitan Region (UMR) where large-scale industrial facilities are located on the coast. We improved the land cover input data for the WRF-UCM by reclassifying the default urban category into four detailed areas (low and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commerc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using subdivided data (class 3) of the Environment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EGIS). The urban area accounted for about 12% of the total UMR and the largest proportion (47.4%) was in the industrial area. Results from the WRF-UCM simulation in a summer episode with high temperatures showed that the modeled temperatures agreed greatly with the observations. Comparison with a standard WRF simulation (WRF-BASE) indicated that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surface air temperature in the UMR were properly captured. Specifically, the WRF-UCM reproduced daily maximum and nighttime variations in air temperature very well, indicating that our model can improve the accuracy of temperature simulation for a summer heatwave. However, the WRF-UCM somewhat overestimated wind speed in the UMR largely due to an increased air temperature gradient between land and sea.
        7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 사회에서의 항만공간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히 항구로써의 기능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주거, 레저, 관광 등 다양한 기능이 복합화 되고 있다. 그에 따라 더욱 많은 사람들이 밀집하는 공간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반면 항만 공간은 지형적, 환경적 특성 상 재해에 취약한 공간이기도 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방재·도시계획이 명확히 자리 잡고 있는 실정이 아니다. 따라서 항만공간의 특성을 감안한 방재·도시계획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7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pose urban park utilization and master plan in rural areas. Urban parks designed for the rural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 themed type for rural tourism, a community type for hub regenerations and a waterfront type for using agricultural reservoirs. To use the them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ness, these types are required a multi-layered spatial structure. And ecological, cultural and economic networks of local tourism resources have to be integrated by utilizing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urban parks in rural areas can be defined as a part of the public benefit project aiming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lso, urban parks are necessary to use attractions and amenities in rural area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proposed two sustainable master plans as the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project for Baelyeonje, Gulye-gun. For ecologic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posed the environment restoration plan which reinforces the scenic resource of Nogodan in Mt. Jiri by developing the underdevelopment plan with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For economic sustainability, building the Mt. Jiri tourism complex and economic communities are needed to promote investments for securing mutual economic benefits. To achieve the sustainability, further studies related to the social equity and investment of private capital in rural areas are needed.
        7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revolved around the forests of Yangjae Citizen’s Forest, a park where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was applied. The survey methods for analysis are as follows. From August to October, a total of eight surveys were conducted and 147 of the 300 samples collected were utiliz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43.5% of participants were males and 56.5% were females. The highest number of participants visited the forest at midday and aged twenties visited most among all age groups. The participants visited the forest mostly with family and the main purpose of visit was for walking exercise including strolling. In case of criminal experience two sexual harassment (6.0%), and a fraud crime (3.0%) were tallied. Insecurity analysis resulted that “other users’ drinking” and “few Closed-Circuit Televisions (CCTVs)” were found to increase visitor’s insecurity.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security analysis, participants reported they felt safer in open space than the enclosed areas. They also responded that dense wooded areas along the trails would increase the level of insecurity, while open space and resting areas were effectively relieve unsafe feelings. CCTVs and lighting fixtures facilities in the study area play an important role to effectively manage the park to prevent crime.
        78.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implications by observing the changing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with Gimhae city, Gyeongsangnam-do as the subjec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first examined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of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land use and community were examined for Gimhae city, Gyeongsangnam-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35 years from 1981 to 2015, Gimhae decreased 50.52㎢ of farmland, which is about 17.4 times that of Yoido, and about 69.4% of the decreased farmland area. Second, the decrease in agricultural land has been expanding to the whole of Gimhae City from 1990 to 2010, and has been continuing since 2010 around dong-area. Third, in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the number of settlements increases rapidly, but the aging population also increases. Fourth, the composition of the community is getting complicated with the change of the members. Taken together,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area efficiently because rapid change is present in the farmland reduction area in urban vicinity.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change in land use due to the reduction of farmland not designated as agricultural development reg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armland-conversion standard. Second, despite the fact that land use management has been carried out, there have been problems such as uncontrolled development due to the development pressure beyond institutional management,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ructural defects of the pertinent legal system. Fourth, while the traditional farming activities are decreasing with the decrease of agricultural land area, the increase in farms with secondary jobs and the urban-rural interchanges organization’s efforts can lead to increased visits from outsiders that seek rural tourism and experiential learning.
        79.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regular inspection check-list for vulnerable areas of debris flow was developed in order to cope with expected debris flow in urban areas. First, items for regular inspection were obtained by the Delphi technique, and the regular inspection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obtained items. The check-list was verified and improved by means of applying it in 2 test-bed site.
        80.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구와 자산이 밀집된 도시에서 침수가 발생할 경우 농촌과 달리 관거월류에 의한 건축물 피해가 지배적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피해액산정기 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림천 유역의 도림1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침수예측을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방법을 통한 침수피해액 분석을 실 시하였다. 과거 침수가 발생한 강우사상을 활용하여 XP-SWMM 모형을 통한 도시유출해석 및 침수해석을 실시하였고, 침수구역의 행정구역별 기 초자료와 유출해석 결과를 활용하여 건물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침수범위를 예측하기 위한 XP-SWMM모형 구동 결과, 관거 월류에 의한 침수 발 생 4시간 후인 16시 30분에 침수면적이 가장 넓게 나타났고, 계산된 침수심 별 침수면적을 다차원법과 연계하여 건물 피해액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최대 침수면적은 305,955 m2으로 나타났으며, 0~0.5 m의 경우 305,190 m2, 0.5 m 이상은 765 m2으로 나타났으며, 침수해석 결과를 활 용한 도림1 배수분구의 건물피해액은 약 155억 원, 건물 내용물 피해액은 약 70억 원으로 산정되었고, 0~0.5 m 이하의 건물 및 건물 내용물 피해 액은 약 224억 원, 0.5 m 이상 약 1억 원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할 때, 도시지역의 침수피해액 산정을 위해 침수심 및 침수시간과 같은 다양한 피해양상에 따라 세분화된 피해액 산정기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