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6

        6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outheastern Korea (36~circ N) on a commerce silt loam soil at paddy field. Seed were manually planted on 16 July 2003. Plants were planted with plant densities of 70~times 10 cm (row width x plant spacing), 50 x 10 cm, and 30 ~times 10 cm. Two seedlings per hill were taken prior to V3 stage. Fertilizer was applied prior to plant at a rate of 30-30-34 kg (N-~textrmP2~textrmO5 -~textrmK2~textrmO ) per ha. Experimental design w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Yield from different planting densities responded similarly in three soybean cultivars and increased when planting density increased. Somyeongkong showed the highest increasing rate of yield about 26% by 338 g ~textrmm-2 at 30 x l0 cm compared to yield of conventional planting density (70 x 10 cm). Also, the planting density significantly affected pod and seed number and seed weight, but not seed per pod. The tallest plant appeared at 30~times 10 cm. The change of leaf area according to days after emergence showed differently in soybean cultivars. The highest and lowest total dry matter production per square meter appeared at 30 x 10 cm and at 70 x 10 cm, respectively. Crop growth rate (CGR) showed greater at R3∼R4 stages compared with V7∼R2 or R2∼R3 growth stages and showed the greatest at 30 x 10 cm in three soybean cultivars. As late planted soybean,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CGR, and leaf area index (LAI) according to planting densities at before and after the flowering stage. Relationship between seed yield and CGR in three planting densitie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textrmR2 =0.757) at R3 to R4 stages, and significant relations (~textrmR2 =0.505, 0.617) at V7 to R2 and V2 to V3. Also,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seed yield and LAI during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6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 지방의 답전작 재배에 적합한 왕골의 재식밀도를 구명코자 다수성 품종으로 선발된 광산조생종을 공시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 경장, 분얼수, 출수된 경수, 경태 등의 수량구성형 질은 18×18 cm 이식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건피수량, 건수 수량에서도 18×18 cm 이식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6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에 따른 지황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지황 1호를 시험재료로 흑색 비닐피복과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 시험을 수행하였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출현율은 무피복 78.0%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에서 3.1%더 높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생육은 흑색 비닐피복과 소식에서 생육이 왕성하였으나, 단위 면적 당 엽 중, 근경 수는 밀식 할수록 무겁거나 많았다. 건근경중은 무피복 402 kg/10a에 비하여 흑색 비닐피복재배에서 28% 증수되었으며, 개체 당 건근경중은 소식할수록, 단위면적 당 수량은 밀식 할수록 증가하였다.
        66.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 f ect of nitrogen level and planting density on panicle traits and to exam -ine the desirable panicle structure for better ripening and high yielding in rice. Four dif f erent panicle types of rice varietie
        6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국내 재래종 정선시호와 일본에서 도입된 삼도시호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 및 재식밀도의 구명과 saikosaponin 생산에 기여하는 요인들을 구명하여 시호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와 재식거리에 따른 시호품종간에서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분지수는 적었고 초장은 길었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삼도시호보다 지상부중은 적었고 생근중과 건근중은 높았으며, 2년생에서는 정선시호와 삼도시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Saikosapon함량은 1년생 또는 2년생의 정선시호가 삼도시호보다 saikosaponin a 및 total saikosaponln함량이 높았다. 2.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성은 1년생이나 2년생의 시호 모두 4월 30일 파종구에서 경태와 분지수가 가장 굵고 많았으며, 1년생 시호에 있어서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saikosaponin c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3. 1년생 시호는 소식일수록 초장, 경태, 분지수, 지상부중, 그리고 근경, 생근중, 건근중, 지근수 등의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2년생 시호는 소식에서 주근장만 길었다. 4. 품종, 파종시기 및 재식거리에 있어서 상호작용은 1년생 시호만이 지상부중, 주근장, 근경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1년생의 정선시호는 4월10일에 파종하면서 재식밀도를 30×15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 근경 및 TSS 함량이 가장 증가되었으며, 1년생 삼도시호는 3월20일에 재식밀도를 30×10 cm로 재배한 것에서 지상부중과 근경이 가장 높았다.
        6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백하수오 근수량 증대를 위한 밀식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직파와 육묘 이식으로 구분하여 파종하고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만장과 분지수는 길거나 많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개체당 엽수는 22주/m2 에서 가장 많았다. 2. 지하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재식밀도 간에는 주당 지근수, 근장 및 근태는 소식할수록 많거나 길거나 굵었으나, 단위 면적당 지근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3. 생근수량은 직파 재배보다 육묘 이식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많아 육묘 이식 17주/m2 (1,680 kkg/10a)에 비하여 27주/m2 (2,567 kg/10a)에서 53%증수되었다.
        70.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known to produce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mutrients (TDN) yield among summer grain legumes in Jeju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A determinate soybean cv. Baegunkong was planted on 5 June, 20 June, and 3 July and grown at four plant densities (30, 50, 70 and 90 plants m-2 in 1998 in Jeju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Days to flowering decreased from 47 to 38 days, average plant height from 61 to 51cm and main stem diameter from 6.31 to 5.00mm as planting was delayed from 5 June to 3 July. Average plant height quadratically increased from 45 to 62cm as plant density increased from 30 to 90 plants m-2 . Planting date did not affect the ave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The average dry matter and TDN yields display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and the optimum plant density for both dry matter and TDN yields was estimated about 60 plants m-2 . Plant density had no effect on crude protein yield. Planting da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orage qualit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lant density. Increasing plant density slightly increase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ut slightly decreased TDN content.
        71.
        2001.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wth and yield of licorice were investigated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of ridge height, planting density, and irrigation in order to establish its cultural practices for the domestic production with the aim to substitute the import. Seedlings were grown under low ridge(20cm) and high ridge(40cm) in low density plot(60×30cm) and high density plot(40×30cm), respectively. The low ridge cultivation of large seedlings increased plant height and root length under low density, and stem and root diameter under high density compared to the high ridge cultivation. In the high ridge cultivation, high density plot was 1.1 to 1.3 times in plant height, root length, stem and root diameter as high as low density one.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in high ridge were 1.3 to 1.5 times as high as those in low one. The growth of small seedlings(4~10g) were generally poor compared to that of large seedlings. High density plot in low ridge showed the good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root length, stem and root diameter, and number of branch. High density plot was 1.4 to 1.6 times in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and root as high as low density plot. In the seasonal changes of growth under various irrigation regimes, the twice irrigation a day produced the more number of leaf than the other regimes since around 46 days after transplanting. The former irrigation resulted in 1.2 to 1.4 times in plant height as long as the other irrigations around 26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then the difference was increased to 1.6 to 2.0 times around 64 days after transplanting. Under the twice irrigation a day, plant height, root length, stem diameter, root diameter, number of leaf, fresh plant weight, dry plant weight, fresh root weight, dry root weight were 1.6 to 2.0, 1.1, 1.2 to 1.6, 1.3 to 1.8, 1.9 to 2.7, 1.7 to 8.0, 1.6 to 2.8,2.0 to 3.0, 1.6 to 2.7 times as high as those under the other irrigation regimes, respectively.
        72.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궁(川芎)의 재배조건별 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천궁(土川芎)과 일천궁(日川芎) 각각에 대하여 재식거리별, 근중별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식밀도에 따른 토천궁(土川芎) (Ligusticum chuanxiong)의 지하부 생육특성으로서 건물중은 50×15cm에서 32.9 g으로 가장 작았고, 50×20cm에서 34.4 g, 50×25cm에서 36.5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경의 무게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특성으로는 생체중이 10g 이하(以下)에서 35.7 g으로 가장 작게 나타났고 , 25 g 이하(以下)에서 45.9 g으로 가 장 높게 나타났다. 일천궁의 재식밀도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 특성은 근수량에 있어서 50×15cm의 처리구 에서 18.7 g(건물중) 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50×25cm의 처리구에서 24 g(건물중) 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처리 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일천궁(日川芎)의 근경중에 따른 지하부의 생육특성을 보면 개체당 근경의 생근중은 10 g이하 에서 27 g으로 가장 낮았고, 25 g에서 43.4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전체 생근중에 있어서는 10 g이하가 43.9 g로 가장 낮고 , 25 g 이상이 94.6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7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구마의 품종육성 및 재배법개선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Source와 sink의 차이가 있는 율미, 신율미, 건미, 홍미 및 선미의 고구마 5품종을 공시하여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재배하고, 괴근중 증가 전기에 경엽을 절제하였을 때의 source와 sink의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품종들의 재식밀도와 경엽 절제비율에 의한 경엽중과 괴근중의 반응이 동일 하지 않았다. 2. 단위 면적당 경엽중은 밀식할 수록 많았으며, 품종별로는 신율미〉선미〉홍미〉건미〉율미 순서였다. 단위 면적당 괴근 수량은 75×20cm재식밀도에서 가장 많았으며, 선미가 가장 많았고, 건미는 가장 적었다. 3.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 수록 경엽과 괴근수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75×10cm와 75×20cm재식밀도의 50%절제까지는 경엽중이 많을 수록 괴근중이 증가되었으며,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경엽과 괴근 수량의 차이가 적었고, 75×20cm재식밀도에서 괴근과 총건물 수량이 많았다. 4. 75×10cm와 75×20cm재식밀도에서는 source와 sink의 증감은 상보적이었으나, 75×30cm에서는 그 정도가 적었다.
        74.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on growth and yield potential of newly bred heavy panicle japonica rice with large grain (Iksan 435 and Iksan 438) or many spikelets per panicle(HR14022-21-8-4 and HR14022-21-8-6), four heavy panicle type rices and two many panicle type rices(Dongjinbyeo and Donganbyeo) as the checks were planted under standard planting density (30~times 15 cm) and dense planting density (15~times 15 cm) with two nitrogen levels of standard nitrogen level(110 kg h a-1 ) and heavy nitrogen level(165 kg h a-1 ). Effective tiller rate de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when compared to standard nitrogen and planting, while leaf area index and to dry weight increased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Tiller numbers and panicle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dense planting than heavy nitrogen, whereas spikelet numbers were more increased by heavy nitrogen than dense planting. Ripened grain ratio was slightly lower only in dense planting. 1,000 grain weight in brown r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dense planting or heavy nitrogen. Milled rice yield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standard planting for heavy panicle type rice, while yield for many panicle type rice was highest in heavy nitrogen with dense planting, suggesting that many panicle type rice possesses higher adapt-ability for dense planting than heavy panicle type rice. Path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top dry weight, spikelet number and grain weight were the greatest positive contributors to yield, whereas tiller number was negative to yield.d.
        75.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기자의 비닐 하우스 재배에서 재배방법에 따른 생육, 수량성 및 병해충 발생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충남 청양군 청양농공업고등학교 실습 포장의 비닐 하우스에서 1997년 2월 20일부터 98년 10월5일까지 ‘청양 재래’ 품종을 재식거리, 적심시기 및 적심횟수를 달리하여 재배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수가 적어졌고,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증가하였으며, 개화기 차이는 없었다. 2. 재식거리가 멀수록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전과중은 증가하였으나, 총 수량은 단위면적당 총 주수가 많은 재식거리 60 × 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적심시기가 5월5일에서 6월5일로 늦어질수록 생육형질인 경장, 경직성, 분지수,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은 낮았고, 분지당 화수, 착과수, 생과중, 건과중도 모두 낮았다. 4.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수는 많아졌지만, 경장, 경직경, 분지당 엽수, 엽장, 엽폭 모두 감소하였다. 5. 적심횟수가 증가할수록 분지당 개화수, 과립수, 착과율은 감소하였지만, 주당 생과중, 건과중은 증가하였다.
        76.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ine wheat geno-types to choose the wheat which has excellent early vigour. 'Vigour 18' and 'ZL 59A' are excelle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type, while 'Amery' and 'Janz' are excellent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the growth stage and nitrogen level, Vigour 18 is predominant in the long coleoptile genogype, while Janz in the short coleoptile genotype. Responding to sowing density and nitrogen level,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horter the leaf area of Vigour 18 and Janz. Also the leaf area turned out to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high nitrogen than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This is true of leaf weight and root weight. Concerning specific leaf area (SLA) and leaf area ratio (LAR), the higher the sowing density was, the SLA tended to grow larger, while the SLA grew larger in the plot fertilized with low nitrogen, as were found in Vigour 18 and Janz. The roots of long coleoptile genotype, Vigour 18, turned out to gro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3 seeds. While the roots of short coleoptile genotype, Janz, grew longest on the plot sown with 2 seeds. The relative growth rate (RGR) was the same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RGR was 0.071 and 0.072 g g-1d-1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The partitioning of RGR into net assimilation rate (NAR) and LAR showed that the average LAR at low N rates was similar to the LAR at high N rates. Variation within each cultivar in the LAR and NAR was small relativ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Above ground mass was 8.2 mg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whereas leaf area was 0.05 ~textrmm2 kg-l greater at high N rates than low N rates. The NAR was similar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whereas LAR was greater at high N rates (0.05 ~textrmm2 kg-l ); variation in SLA was responsible for the variation in NAR and LAR both at low N rates and high N rates. NAR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reciprocal of SLA.
        77.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쇠무릎의 적정(適正) 재식밀도(栽植密度)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나주(羅州) 자생수집종(自生蒐集種)을 공시하여 90cm 두둑에 재식밀도(栽植密度)를 조간(條間) 20cm, 25cm, 30cm의 3수준(水準)과 주간(株間) 5cm 7cm, 9cm의, 3수준(水準)으로 처리(處理)하고 시비량(施肥量)을 10a당(當) 실소(室素) 6kg, 인산(燐酸)14kg, 가리(加里)8kg 및 퇴비(堆肥) 1,500kg을 시용(施用) 후(後) 4월(月) 15일(日)에 4~5입(粒)씩 점파(点播)하여 양질(良質)의 생약(生藥) 생산(生産) 및 안정적(安定的)인 재배법(栽培法) 확립(確立)하고자 시험(試驗)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의 화학성(化學性)은 시험후 토양이 시험전 토양에 비해 유기물(有機物), 유효인산(有效燐酸), 칼리, 칼슘, 마그네슘, C. E. 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2. 30×9cm의 소식(疎植) 재배구(栽培區)에서 경태(莖太)가 굵고 주당(株當) 분지수(分枝數) 및 지근수(枝根數)는 많았으나 25×5cm(57, 140주(株)/10a) 구(區)에서 면적당 입모수(立毛數)가 많아 경장(莖長)이 길어지고 세근(細根)이 적어진 반면에 주근장(主根長)과 주근경(主根徑)이 커져 단위(單位) 면적당(面積當) 근수량(根收量)은 증가되었다. 3. 건근수량(乾根數量)은 25×5cm 구(區)에서 25×5cm (306kg/10a)의 밀식구(密植區)에 비하여 상근중(上根重) 비율(比率)이 71%로 높아지고 잔뿌리가 적어져 품질이 향상되어 71% 증수(增收)를 보였다. 4. 25×5cm 밀식재배(密植栽培)에서 건근수량(乾根收量)은 경태(莖太), 주당(株當) 분지양(分枝數) 생경엽중(生莖葉重) 및 근수(根數)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경태(莖太), 절수(節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및 북근중(北根重) 북(比) 율(率) 등(等)과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되었다.
        78.
        199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Baegunkong' and 'Namhaekong', were planted on 8 Jone, 23 June, and 8 July 1996 at Cheju at planting densities of 33, 43, 53, 63 plants per m2 to determine the optimum planting density of double crop soybean for recently recommended cultivars in Cheju area at various planting dates. The plant height, and the diameter and node number of main stems decreased as planting was delayed. The plant height increased but the stem diameter and node number decreased with increasing planting density. Pod number per plant was greater for Namhaekong than for Baegunkong and was not affected by planting date. Pod number per plant decreased but pod numbers per ~textrmm2 increased with increasing planting density. The number of seeds per pod was greater at the two later plantings and fewer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100-seed weight decreased with delaying planting. The seed weight was lighter at the highest planting density for Baegunkong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r Namhaekong among the planting densities. The seed yield of Baegunkong was greater for 23 June and 8 July plantings (2,280 and 2,420 kg/ha) than for 8 June planting (1,450 kg/ha) while that of Namhaekong was greatest at 23 June planting (2,690 kg/ha) compared with 8 June and 8 July plantings (1,890 and 2,080 kg/ha). Across the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seed yield increased from 1,860 to 2,290kg/ha as the planting density increased from 33 to 53 plants/~textrmm2 and then leveled off with a further increase in planting density.
        79.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근 건강 및 저공해 식품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주요 산채류인 곰취의 품질 및 수량 제고와 연중 생산을 위한 양액재배 기술을 개발하고자 이에 알맞는 배지종류, 배지량, 재식밀도 둥을 구명 하는 일련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곰취의 양액재배시 펄라이트, 모래, 팽연화(膨軟化)왕겨 등 공시한 3종의 배지 중 팽연화(膨軟化) 왕겨가 가장 생육이 양호하고 수량도 높아 적정배지로 인정 되었는데 이에 대한 특성은 기존 배지인 펄라이트에 비해 진비중(眞比重), 공극율(孔隙率)의 차이가 없으면서 액상(液相) 비율(比率)이 44.3%로 높은 등 물리성이 양호하였으며 생왕겨에 비해서는 수분흡수율이 1.5배나 높아 왕겨를 배지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이었던 수분 흡수 능력도 양호하였다. 곰취의 생육단계별 체내 질소함량은 생육초기인 정식후 20일경에는 1.42%로 공시 배지중 가장 낮았으나 생육후기로 갈수록 점차 높아져 정식후 60일경에는 생육초기에 비해 2.4배나 증가되었고 3종의 배지 중 가장 높았다. 곰취의 엽진(葉辰), 엽폭(葉幅), 엽수(葉數) 등 생육은 팽연화 왕겨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다음으로 펄라이트, 모래 순이었다. 수량은 하계 및 동계재배 공히 팽연화(膨軟化) 왕겨에서 초기 수량은 다소 낮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높아져 기존배지인 펄라이트에 비해 각각 15~29%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2. 배지량에 따른 생육 및 수량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아 경제성 및 재배의 안정성을 고려할 경우 105 l/m3가 적정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3. 재식밀도별 수량은 밀식일수록 증수되는 경향으로 50주/m3에서 가장 높아 적정재식 밀도로 판단되었는데 더 이상의 밀식은 정식작업이 불가능하였다.
        80.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천궁의 정식기와 재식거리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울릉 일천궁을 공식하여 정식기를 3월 5일부터 4월 20일까지 15일 간격으로 4회 정식하고 재식거리를 휴폭은 35, 45, 55cm로 하고 주간거리를 15, 25, 35cm로 하여 경상북도 울릉도에서 1991년부터 1992년까지 2개년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기가 늦어질수록 지상부 생육이 떨어졌고 병해(엽고병, 위황병)는 7정도, 충해(천궁 바구미)는 5정도로 정식기간에 모두 다소 높게 발생하였다. 2. 엑스함량은 조식할수록 많았으며 회분과 산불용성 회분함량에서는 대한약전외 한약(생약) 규격치 이하여서 생약으로 이용시 안전성과 유효성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건근수량은 3월 30일 정식(2,880kg/ha)이 가장 많았고 이후의 만식에서는 58~70%감수되어 일천궁의 정식기는 3월20일경이었다. 4.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은 소식일수록 좋았고 수량평가의 요소인 주당 노두수는 밀식일수록 증가하였다. 5. 엑스함량은 재식거리간 모두 4.3~4.6%였고 회분과 산불용성 회분함량은 생약 이용 규격 이하여서 양징근이었다. 6. 건근수량은 45×25cm(2,000kg/ha)에 비해 35×15cm에서 33% 증수되어 적정 재색거리로 판단되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