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38

        62.
        202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weak or dysfunctional gluteus medius (Gmed) is related to several pathologies, and individuals with hip abductor weakness have Gmed weakness.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anatomy and function of the Gmed, and the prevalence, pathology, and exercise of Gmed weakness. Paper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20 were retrieved from MEDLINE, Google Academic Search, and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The database search used the following terms: (glut* OR medius OR hip abduct*) AND weak*. The Gme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veral functional activities as a primary hip abductor by providing pelvic stabilization and controlling hip adduction and internal rotation. Weakness of the Gmed is associated with many disorders including balance deficit, gait and running disorders,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snapping hip, gluteal tendinopathy,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osteoarthritis, iliotibial band syndrom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nkle joint injuries, low back pain, stroke, and nocturia. Overuse of the tensor fasciae latae (TFL) as a hip abductor due to Gmed weakness can also cause several pathologies such as pain in the lower back and hip and degenerative hip joint pathology, which are associated with dominant TFL. Similarly, lateral instability and impaired movements such as lumbar spine lateral flexion or lateral tilt of the pelvis can occur due to compensatory activation of the quadratus lumborum for a weakened Gmed while exercising. Therefore, the related activation of synergistic muscles or compensatory movement should be considered when prescribing Gmed strengthening exercises.
        4,000원
        63.
        202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SLR) are very important to track the extent to which studies related to the formulation of Halal Catering on board have been previously studied by previous scholars. Therefore, the SLR study requires a clear and detailed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study direction for each selected article by analyzing the scope of the study and its dimensions as the main emphasis whether it has been discussed by any previous scholar or otherwise. Through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literature reviews will enable the specific detection of the title of the study. Even SLR analysis is also able to compare in terms of the year the article was publish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scope and dimensions of each article by selected scholars referred to 16 scholars from the year 2012 until 2017. Regards to methodology, SLR emphasised into five stages such as i) Time Frame, ii) Selection of a database, iii) Journal selection, iv) Article selection and v) Literature review analysis. Analysis, discussion, and findings will be focusing on the scope, dimensions, and years of studies by using figures, tables as facilitators of analysis and findings. Hence, the role of Halal institutions will be able to assess its ability to form halal rules with th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and the scope that has been affected in detail.
        4,000원
        64.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food intake is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We searched English databases namely MEDLINE, PubMed and ScienceDirect from 2000 to May 2020, and Korean databases namely RISS, KISS, and DBPIA from 1990 to May 2020. We divided the data into 15 groups using the food group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The effect size (Cohen’s d) was estimated using a random-effect model,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was calculated for each study. We included 17 cross-sectional studies and 7 cohort studies which involved 45,115 particip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groups in the Asian population of both sexes, it was observed that grain intak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For females, pulses and fish also have a protective role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ase of seaweed,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with a moderate protective effect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Cohen’s d:-0.533, 95% CI: -0.939, -0.126; p=0.010) in Korean studies. Dairy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population but drinking alcohol is associated with a lower impairment risk.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formulating the dietary guidelines for preventing dementia for each country.
        4,900원
        6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30 representative Korean dishes by a systematic review of preferences and recognition of Korean foods. The papers for the review were located using the keywords ‘hansik’, ‘hanguk eumsik’ from DBpia, KISS, NDSL and RISS, and 18 relevant papers were finally short-list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Koreans and foreigners for Korean dishes, respondents were chosen from various regions such as Asia, Europe, South Pacific, Africa, and North/South America. A total of 4,053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elected papers and Korean dish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based on books pu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mong the main dishes, two kinds of cooked rice were selected, bibimbap and kimbap. Also, noodles, dumplings, and sliced rice cake soup varieties mul-naengmyeon, guksujangguk, mandu, and tteokguk were selected as main dishes. The side dishes selected included 6 kinds of soup, miyeokguk, yukgaejang, samgyetang, gomtang, seolleongtang, and galbi-tang. Other side dishes selected were six types of stews namely doenjang-jjigae, kimchi-jjigae, sundubu-jjigae, haemultang, maeuntang, and dakbokkeum- tang. Three kinds of grilled side dishes selected were bulgogi, galbi-gui, and samgyeopsal-gui. Galbi-jjim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raised or steamed foods. Tteokbokki and japchae were the stir-fried food selected. Pan-fried foods and fried foods selected included a kind of haemul-pajeon and dak-gangjeong respectively. Seasoned vegetables selected were samsaek-namul including gosari-namul, sigeumchi-namul and doraji-namul. Two kinds of baechukimchi and kkakdugi were selected as kimchies, and sikhye was selected in the category of beverages and tea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selection criteria in developing recipes for representative Korean menus.
        5,700원
        66.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행동관찰중재의 특성, 평가도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Pubmed, CINAHL을 사용하여 2020년 5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Cerebral palsy’, ‘Action observation’, ‘Motion observation’을 사용하였고 총 10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했다. 결과 : 연구에서 실험군의 연령은 5세-10세까지 전 학령기부터 초기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행동관찰중재 적용 방법이 다양하였다. 사용된 평가도구는 수행기반 평가도구가 많았으며 Assisting Hand Assessment(AHA), 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MUUL)과 a measure of manual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ABILHAND-Kids)의 사용빈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행동관찰중재방식의 다양성을 확인하였으나 프로그램의 일관성을 위해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Action Observation Therapy(AOT) 임상증거 마련 및 추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67.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영역에서의 원격건강관리 서비스의 유형과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문헌을 고찰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0년부터 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PubMed, Embase, NDSL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작업치료 영역의 원격건강관리 중재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254편의 논문 중 선정기 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2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2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Ⅲ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6편(50.0%)으로 가장 많았고, 뇌손상 환자 대상이 3편(25.0%), 아동 대상이 3편(25.0%), 노인 대상이 2편(16.7%)이었 다. 총 12편의 연구에서 적용한 원격 작업치료 서비스의 유형은 연구에 따라 작업참여 증진, 인지기능 훈련, 운동, 언어기능향상, 휠체어 기술 훈련, 가정환경수정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 중재 서비 스를 통해 일상생활 수행 및 참여도, 삶의 질, 주의력 및 시각-운동 기능의 향상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 되었다. 반면 양손 운동 능력, 휠체어 사용기술, 움직임 및 보행 등과 같은 기능은 원격중재로 인한 효과 는 확인되지 않았다. 결론 : 작업치료 원격건강관리 서비스는 현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미래의 작업치료 영 역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의 경우 다양한 원격중재 서비스가 시도되고 있으며 일상생활 수행 및 참여 도, 삶의 질과 같은 영역에서 긍정적인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국내 작업치료에 서도 다양한 원격중재 서비스의 개발과 시도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4,600원
        70.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is systematic review sought to examine existing studies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and children’s sleep quality. Methods: An exhaustive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guidelines. Records were identified through PubMed, CINAHL, Scopus, and Ovid. Results: Fourteen studies were reviewed showing moderate evidence suppo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Es and sleep problems. Child sexual abuse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form of maltreatment and was significantly linked to sleep problems. Common sleep problems included difficulty falling asleep, nocturnal awakening, nightmares, daytime sleepiness, and poor quality of sleep. Discussi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tioners are encouraged to include evaluation and interventions for sleep disturbances in children who have known or suspected traumatic experiences. More specific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ages and sexes and whether type of abuse makes a difference in this relationship.
        5,500원
        7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d the associa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s (AAI) with quality of life (QoL) for pediatric oncology patients, for potential use i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Methods: Article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between 2002-2019 from PubMed, MEDLINE, CINAHL,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AJOT), Journal of Oncology, SCOPUS, and OTSeeker were selected for AAI with therapy dogs specific to the target population of pediatric oncology patients undergoing treatment in clinical settings. Results: Moderate evidence was found for AAI and mood improvement, pain reduction, and stress relief; and low-level evidence supported AAI for decreasing anxiety. The most significant AAI improvements were seen in perceptions of pain, stress levels, and mood. Discussion: Evidence suggests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may want to consider incorporating AAI into therapy sessions as it serves as a distraction and short-term coping strategy for children undergoing oncological treatment.
        5,100원
        7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대면 방식(offline)의 라이프스타일 중재 및 모바일 앱을 통한 라 이프스타일 중재(online 또는 mobile health)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데이터베이스 PubMed, Cochrane, Embase, NDSL에 게재 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적으로 오프라인 중재 연구 6편과 온라인 중재 연구 4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개 논문의 평균 PEDro scale은 6.3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했다. 10편의 연구 중 프 로그램 구성을 주로 신체활동 및 식이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8편, 작업에 기반한 연구가 2편이었다. 메 타분석 결과, 오프라인 중재 방식과 온라인 중재(모바일 헬스) 방식의 효과 크기가 각각 0.13(p=0.035), 0.27(p=0.001)로 모두 작은 효과 크기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오프라인 및 온라인(모바일 헬스) 방식의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가 고령자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중재 방식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지역사회 상황과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관련 중재 기법을 선정할 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5,400원
        7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환경 평가도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각 평가도구의 특성 및 평가항목의 세부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0년부터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Embase, NDSL, PubMed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가정환경 평가도구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1차 검색된 394편의 논문 중 선정기준 및 배제기준에 따라 11편의 논문을 최종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1편의 선정된 연구 중 근거수준 Ⅲ에 해당하는 단일 그룹 사전-사후 연구가 7편(63.6%)으로 가장 많았다. 총 11편의 연구에서 사용된 가정환경 평가도구는 10개로 분석되었고, The Safety Assessment of Function and the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SAFER-HOME)이 3편(23.1%)으로 가장 많았다. 가정환경 평가를 실시한 전문가는 작업치료사가 9편(81.8%)으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대부분 의 가정환경 평가도구는 가정의 실외 및 실내 낙상위험환경, 안전 및 재난 대피환경, 약물관리환경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을 평가하며, 일부 평가도구에서는 환경 내에서 수행하는 작업수행도가 포함되었다. 결론 : 총 11편에서 분석한 10개 가정환경개선 평가도구는 대부분 가정 내외의 낙상, 안전 및 재난 대피 환경, 약물관리 환경 등을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작업치료사에 의해 개발된 평가도구의 경우 환경요소 뿐만 아니라 환경 내 작업수행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평가도구의 평가항목은 서양식 주거생활양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형 주거생활양식을 반영하는 평가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600원
        74.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lacto-oligosaccharides (GOS) are prebiotics that have a beneficial effect on human health by promoting the growth of probiotic bacteria in the gut, in addition to having various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GOS are generally produced from lactose in a reaction catalyzed by ß-galactosidase. Synthesis of GOS from whey permeate (WP) (ultrafiltration of whey, concentrated then spray dried) using surface engineered β-galactosidase in Pichia pastoris (P. pastoris) is a novel method to convert waste into a valuable product. Cell-surface display is the expression of peptides and proteins on the surface of living cells by fusing them to functional components of cells. Surface engineered cells have many potential uses. The Flo1p flocculation functional domain, thought to be located near the N terminus, recognizes and adheres non-covalently to cell-wall components such as α-mannan carbohydrates, causing reversible aggregation of cells into flocs.
        4,000원
        75.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effect of mobilization on lumbar back pain has been fully described in several clinical aspects, but evidence for muscle strength would be still less clear. Objective: To assess the effect of lumbar mobilization on lower limb strength in healthy individuals. Methods and Analysis: Healthy people aged 18-65 will be included regardless of race or sex. Original peer-reviewed primary repor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ill be included. Electronic databases, such as MEDLINE, EMBAS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Web of Science, Pedro, CINAHL, ClinicalTrials.gov will be searched from inception until July 30. Only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will be included in this review. Two reviewers will complete the screening for eligibility independently, and the other two reviewers will also complete the risks of data extraction and bias assessment independently. Lower Limb strength will be assessed as primary outcome, and particular intervention o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will be assessed as the secondary outcomes. Meta-analysis will be conducted using Review Manager 5.3.3, and evidence level will be assessed using the method for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Outcomes will be presented as the weighted mean difference or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with 95% CI. If I2 ≤ 50%, P>.1, the fixed effect model will be used, otherwise, random-effects model will be used. Ethics and dissemination: This review might not be necessary ethical approval because it does not require individual patient’s data; these findings will be published in conference presentations or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ROSPERO registration number: CRD42020150144.
        4,000원
        76.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geism is recognized as a concern in the context of a rapidly aging population. Current literature acknowledges the outcomes of ageism toward older adult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focus on the reciprocal effect toward young people. Programs geared at reducing ageism toward older adults show positive outcomes for both generations. This review explored the importanc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s and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decreas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Method: A comprehensive database 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eligible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9 and 2019. To be considered for final inclusion, studies had to implement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with outcome measures specifically addressing older adults’ attitudes toward young people. Results: Of the 4,661 articles retrieved, 12 studies were included with 1,570 participants. The specific intergenerational interventions differed, but commonalities included extended contact, community-based activities, and mentorship. Eleven of the twelve articles yiel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reduc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s resulted in four themes. Conclusion: Moderate evidence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intergenerational programs on reducing ageism toward young people. These results describe the literature and support the reciprocal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Occupational therapists can be instrumental in promoting reduced ageism across the lifespan.
        4,800원
        77.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직업재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단군 및 중재의 유형과 효과에 대하여 국외 연구들을 중심으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2019년까지 자료 검색을 위해 PubMed, EMBASE, OTseeker 둥 총 12개의 데이터베 이스에서 Mental disorder, Mental illness, Psychiatric disorder, Psychotic disorders, Bipolar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Schizophrenia, Schizoaffective disorder, Employment, Job, Work, Vocational, Occupational therapy를 검색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총 29편이었다. 결과 : 연구에 포함된 진단군은 조현병이 가장 많았다. 직업재활을 중재 유형별로 살펴보면 지원고용이 16 편로 가장 많았고,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지원고용 10편,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 기타 직업적 접근법, 사회기술 및 인지재활 훈련+기타 직업적 접근법은 각각 1편이었다. 고용 유형에 따른 중재 유형별 고용률에서 효과를 나타낸 연구를 살펴보면, 경쟁고용에서는 지원고용이 13편, 비경쟁 고용에서는 기타 직업적 접근법이 1편, 유급고용에서는 지원고용이 3편으로 각각 가장 많았다. 결론 : 추후 국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정책과 평가체계 도입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4,900원
        78.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작업치료가 지적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ADL과 참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와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Pubmed, Medline, KISS, RISS 등을 사용하여 2008년부터 2019년 사이에 출판된 논문을 검 색했다. 주요 검색어로 ‘intellectual disability’, ‘intervention’, ‘activity of daily living’을 사용하였고, 총 9편의 국내외 논문을 선정했다. 결과 : 연구에는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 전산화 인지 프로그램, Co-PID와 같은 다양한 방법의 중재가 사용되었으며, 모든 중재는 ADL 또는 참여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ADL 영역에서는 의사소통 기술, 작업수행기술, 식사 기술, 시지각 기술, 사회행동기술, 시간관리 기술 등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 다. 참여 영역에서는 의사소통, 선택하기, 학교관련 참여기술을 증진시켰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일상생활활동과 참여 수준을 향상시킨 작업치료 분야의 유의미한 중재들을 제시했다. 향후 연구의 질적 수준과 변수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지적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재활 중재를 위한 깊이 있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800원
        79.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보건의료 분야의 다직종연계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고, 작업치료학과가 참여한 일본의 군마대학 교육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및 결과 : 2019년 12월에 전자데이터 베이스인 KMBASE, Google Scholar, KISTI, RISS와 KoreaMed에서 InterProfessional Education 주제어로 검색하여 국내 학술지에 보고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리뷰에 포함된 16편의 논문 유형은 원저 8편, 종설 8편을 차지하였다. 연구 분야는 의학 7편, 간호학 4편, 약학 2편, 보건의료 공동연구가 3편이였다. IPE에 대한 용어 및 개념, 교육이론 및 방법은 국내외 문헌분석과 사례를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2010년부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와 IPE 교육모델과 학습 효과를 공유하고, 2013년부터는 WHO 협력센터로 지정된 군마대학 의학부 보건학과의 팀 의료 교육에 대하여 실습교과목 중심으로 교육 목적 및 학습성과 검증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에 처음 소개된 IPE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작업치료 교육과 임상에서도 참여와 협업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물론, 도입을 고려한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논의되었으면 한다.
        4,200원
        80.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조현병 환자가 겪고있는 내재적 낙인과 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정신의학적 요인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그 중 어떠한 요인이 내재적 낙인에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199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출판된 문헌 중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낙인과 다른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포함되었다. 해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CINAHL(EBSCOhost), PSYCINFO를 사용하였고, 국내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였다. 해외 검색어는 “schizophrenia” AND “stigma” AND “correlation analysis”, 국내 검색어는 “조현병 또는 정신분열증” 그리고 “낙인 또는 오명” 그리고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사회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재정수준, 교육이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내재적 낙인과 가장 많은 요인과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높은 상관관계는 자기효능감, 우울, 손상회피, 레저활동, 심리적 건강, 삶의 질, 자기지향성, 사회적 관계, 자살로 나타났다. 정신의학적 요인은 심각도와 음성증상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그 외에 전반적 자각, 통찰력, 치료기간, 지각된 낙인이 일관된 결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내재적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변수(사회인구통계학적, 심리사회적, 정신의학적)에 대해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개인의 특성과 경험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였고, 그에 따라 각 요인의 성격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5,2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