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5

        8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17~19세기 명․청대 박고문자기의 제작배경, 유형과 시기별 특징, 그리고 조 선과 일본도자에 미친 영향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삼았다. 박고문자기는 고동기에 대한 완상 및 애호가 일종의 문인취미로서 확산되었던 명․청대 사회상을 반영한 대표적인 시각작품이다. 그 제작배경과 관련하여 당대 문헌사료들을 통해 박고취미가 성행했던 시대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7~19세기 자기 박고문에서 보이 는 고기물 도상, 문방청완, 팔보 등 기타 길상소재 등의 구성요소로 유형 분류를 시도하고, 유형별 자기 박고문의 편년자료와 양식을 통해 17~19세기 박고문자기의 시기별 특징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17~19세기 자기 박고문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가 가능했으며, 이는 곧 시기별 박고문자기의 변천과 특징으로 이어졌다. 17세기 중후반, 경덕진 민요에서 문인취 향이 적극 반영되어 나타난 박고문자기는 18세기 이후에는 官樣의 내수뿐 아니라 다양한 품종으로 유럽 수출자기로도 크게 성행하였다. 19세기에는 전반적으로 자기의 질이 쇠퇴되며, 민간 잡보를 비롯한 여러 길상적 문양요소로 이전보다 더욱 번잡해지는 구성으로 변모되었다. 한편 박고문자기는 같은 한자 문화권이었던 조선과 일본도자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현전 하는 작품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그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조선의 경우, 조선 후기 골동애 완풍조 등 중국의 복고적 취향을 잇는 주요 매개체로 작용하였으며,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19세기 민화적 요소와 결합되어 자기의 문양으로 변용되었다. 일본은 조선과는 달리 17~18세기 유럽시장을 배경으로 한 수출자기에서의 수용과 변용이 이뤄졌으며, 일본식 미 감이 가미된 일본 수출자기의 특색으로 자리하였다. 이처럼 조선과 일본 각국에서 중국 박고 문자기를 수용하는 시기와 경로, 모방과 변용양상이 다르게 나타난 점을 통해 동아시아 도자 문화에서 갖는 박고문자기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7,700원
        87.
        2022.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ginsenosides content according to additional UV-A, and UV-B LED irradiation before harvesting the ginseng sprouts. One-year-old ginseng seedlings (n=100) were transplanted in a tray containing a ginseng medium. The ginseng sprouts were grown for 37 days at a temperature of 20°C (24h), a humidity of 70%, and an average light intensity of 80 μmol·m-2·s-1 (photoperiod; 24h) in a container-type plant factory. Ginseng sprouts were then transferred to a custom chamber equipped with UV-A (370 nm; 12.90 W·m-2) and UV-B (300 nm; 0.31 W·m-2) LEDs and treated for 3 days. Growth parameters and ginsenoside contents in shoot and root were conducted by harvesting on days 0 (control), 1, 2, and 3 of UV treatments, respectively. The growth parameters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he UV treatments (wavelengths or the number of days). Ginsenoside contents of the shoot was highly improved by 186% in UV-A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in 3 days of the treatment time. The ginsenoside contents of the roots was more improved in UV-A 1-day treatment and UV-B 3-day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by 171% and 160%,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is thought that UV LED irradiation before harvesting can produce sprout ginseng with high ginsenoside contents in a plant factory.
        4,000원
        8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ogenous succinic acid (SCA) on Brucella (B.) abortus infection in macrophage RAW 264.7 cells and ICR mice. Firstly, the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by MTT cytotoxicity and bacterial internalization assay to evaluate the uptake of B. abortus into macrophage cells. Two non-cytotoxic concentrations of SCA demonstrated attenuated invasion of Brucella into macrophages at 30 and 45 min post- infection (pi). Secondly, ICR mice were treated with SCA and infected with B. abortus. On day-14 pi, spleen and blood serum were collected to evaluate the bacterial burden and total spleen weight as well as the production of cytokine/chemokin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SCA treatment promoted bacterial growth and reduced the total spleen weight in mice. Furthermore, SCA treatment increased the level of IL-10 cytokine in the sera, while dampening the production of MCP-1 chemokine compared to the control. The results of bacterial load in spleen and spleen weight together with cytokine/chemokine production profile in the sera indicated that SCA induced the host anti-inflammatory response which is beneficial for the survival of Brucella.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CA contributed to host immunity against Brucella infection and the emerging potential topic-immunometabolism should be invested for further investigations.
        4,000원
        8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몰개성은 경험의 진실을 가져오기 위해 예술가의 입장에서 행하는 실천 이다. 그러한 진실한 경험은 현실과 아름다움을 모두 포함한다. ‘실재적’인 능력 안에 서 우리는 몰개성의 경험이 충만함과 전체성을 가져온다면 몰개성의 미적 상태가 더 큰 이해를 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 S. 엘리엇, W. B. 예이츠와 존 키츠는 인 간 삶의 모든 의미를 ‘결집’하여 예술로 만듦으로써 ‘감수성의 메커니즘’을 고안하여 예술을 창조했다. 이 위대한 시인들에게 몰개성화의 과정은 궁극적으로 현상과 현실이 구별되는 방식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엘리엇은 일상의 경험을 단편, 무정부 상태 및 불규칙성과 동일시하지만 예이츠는 일상의 수준에서 나타나는 동일한 경험을 대립적 으로 본다. 한편 키츠는 탐닉이 최대 상태의 일상의 사건들과 상황들로 일상을 위치시 킨다. 전체성의 출현이 연기되는 분명한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 엘리엇, 예이츠, 키츠 는 경험의 진리를 실현하기 위한 확실한 조치인 ‘몰개성,’ ‘존재의 통일,’ ‘부정적 능 력’을 제시한다.
        8,700원
        9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 시에서의 현실 인식은 약간 우의적이며 아일랜드 민중들에 대한 애증과 속물성에 대한 비웃음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것은 1926 부활절을 계기로 해서 민중에 대한 존경심으로 바뀌지만 이어지는 내전기의 폭력과 광기를 보면서 다시 증 오로 바뀌고 있다. 백석은 일제하의 엄혹한 시기를 살면서 그 어려움 속에 조선 민중 들이 서로 보듬고 지켜나가던 따뜻한 풍습과 공동체 정신을 시화하고 있다. 그의 시에 서 특히 돋보이는 것은 따뜻한 친족 관계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시인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 뒤에 흐르는 인간애를 분석하려 시도한다.
        6,100원
        9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면화는 중요한 섬유 작물로 종자는 가축의 사료로 사용 된다. 작물 생명공학은 농업 분야에서 농업적 형질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어져 왔다. 국내 식품, 사료, 가 공 제품에 유전자변형 (LM) 면화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환경으로의 LM 면화의 비의도적 유출 또한 증가하고 있다. LMO 모니터링 사업에서 수집된 LM 면화를 검정하기 위하여 국내 수입 승인된 LM 면화의 검출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LM 면화 MON757, MON88792, COT67B, GHB811 4종을 대상으로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다. 이벤트에 대한 유전 정보는 유럽 JRC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보하였다. LM 면화의 동시검출법 개발을 위해 이벤트 특 이적인 프라이머를 설계하였으며 특이적인 증폭을 확인하였다. 특이도 검정, 무작위 표준물질 혼합물 분석, 검출한계 분석을 통하여 동시검출법의 정확도와 특이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본 동시검출법은 각각의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으며 LM 표준물질을 활용하여 특이도를 검정하였다. 또한 무작위 표준물질 조합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검출한 계 분석에서는 25 ng의 미량의 주형 DNA로 단회 분석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결론적으로 4종의 LM 면화 동시검출법을 개발하였으며 LM 면화 자생체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9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흑타리 UV-B조사시간에 따른 저장특성과 에르고스테 롤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중량감모율은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중량의 감소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O2/O2 조성의 경우 UV-B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ΔE는 Lightness와 Redness에서 30분처리와 무처리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Yellowness에서 무처리가 15분처리보다 2.7, 30분처리보다 1.6 높은 값이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도에서도 마찬가지로 UV-B 조사시간이 길어지면 빠르게 물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에르고스테롤의 함량변화의 경우 30분처리가 무처리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값이 나온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UV-B조사시 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세포벽이 부서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30분처리에 비해서 15분처리의 세포벽이 좀 더 양호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체적인 결과로 보았을 때 UV-B 조사시간이 길어지면 저장특성이 나빠지며, 세포벽이 파괴되지만, 에르고스테롤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30분처리의 저장특성에 비해 15분처리의 저장특성이 높았으며, 에르고스테롤의 함량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UV-B 30분처리를 하게 되면 에르고스테롤의 함량은 증가하지만, 중량의 감소율이 증가하며, 색차값이 달라지며, 세포벽이 많이 부서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후 UV-B의 적정조사시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94.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giant jellyfish analyzed echo counting method and such survey methods as sighting and trawl were used to compare its density estimates. In May and July 2021,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East China Sea and the coastal waters of Korea. As a result, Nemopilema nomurai were evenly distributed in all water layers in East China Sea in May and July. When considered the correlation by each survey methods, it is possible to identify jellyfish in the surface area by sighting method and using sampling net; however, it has a low correlation with acoustic estimates due to marine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weather condition, wind and atmospheric pressure. Therefore, the result can be utilized by basic data when estimating jellyfish’s distribution patterns and density estimates from each survey methods hereafter.
        4,600원
        100.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phene-based materials show excellent properties in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electrical properties, large surface areas, and high tolerance for chemical modification. The use of wet-process is a promising way for their mass production. Heteroatom doping is one of the common methods to improve their electrical, phys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In this work, we develop a new route for the production B-doped graphene-based materials using low-temperature wet-process, which is the reaction between graphene oxide suspensions and a BH3 adduct in tetrahydrofuran under reflux. Elemental mapping images show well-dispersed B atoms along the materials. Various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s confirm the reduction of the graphene oxide and incorporation of B atoms into the carbon network as high as ~ 2 at%. The materials showed electrocatalytic activity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