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2

        8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에서 무가온 하우스 재배에 적합한 아티초크 품종을 선발코자 'Purple Romagna', 'Imperial Star', 'Green Globe', 'Emerald', 'Italian', 'Carciofo Di Romagna' 품종을 시험재료로 이용하였다. 2004년 10월 5일에 본엽 4매 정도 자란 묘를 무가온 하우스내에 정식하였다. 첫 수확은 이듬해 봄 4월 하순경부터 시작되었는데 첫 수확일은 'Emerald'와 'Imperial Star'가 4월 26일과 27일로 빨랐으며, 대체로 수확은 5월 상순경부터 시작되어 6월 하순까지 가능하였다. 주당 수확 화뢰수는 'Green Globe'가 5.4개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Italian께서 1.3개 정도로 가장 적었다. 평균 화뢰무게는 'Imperial Star', 'Green Globe', 'Purple Romagna'에서 228~288g 정도로 비슷하였다. 10a당 수량은 'Green Globe께서 2,172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Imperial Star'에서 1,947kg이었다. 따라서 난지지역인 제주도에서 아티초크의 무가온 하우스재배에는 수량면에서 'Green Globe'및 'Imperial Star'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10월에 정식하여 재배할 경우 이듬해 4월 하순부터 6월까지 수확할 수 있다.
        3,000원
        8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여 청보리를 대체할 수 있는 사료작물을 탐색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동계사료작물 선발을 목적으로 제주시 난지농업연구소 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의 내한성은 모두 우수하였다. 출수 기는 밀('금강' 및 '우리')이 4월 5일로 가장 빨랐으며 '삼한' 귀리가 4월 28일로 가장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숙기는 '금강'과 '우리'
        4,000원
        8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atisfaction of foodservice managers at schools in Jeju, Korea,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mmitment of the school foodservice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s. The subjects included 144 (98.6%) dieticians from Jeju school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the dieticians perceived the 'human relations model' and 'internal process model' as the strongest types for the school foodservice departments and administrative departments, respectively. However, for both types, a gap existed betwee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was perceived and that which was expected. In particular, the subjects expected that the 'human relations model' and 'open systems model' were the most important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 terms of the subj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loyalty and pride scored highest whereas unity scored lowest. Fo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 performed work itself scored highest and was deemed most important.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ul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surveyed managers had high demands for a human relations-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o enhance job satisfaction.
        4,200원
        8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로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인간 활동의 지표이며 흔히 서식지 단편화, 서식지 축소, 서식지 고립을 유발한다. 제주도의 한라산국립공원(면적=153.4km2)은 지형, 지질, 생물상의 특이성이 높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MAB)의 핵심지역으로도 중복 지정되어 있다. 공원의 이러한 높은 보전가치가 많은 탐방객과 도로건설을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로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한라산국립공원의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 양상을 공원 용도지구, 해발고도, 식생에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포장도로와 법정 비법정탐방로에 각각 112m, 60m 버퍼를 적용시킨 결과 한라산국립공원은 총 100개의 단편으로 나뉘었다. 포장도로와 법정탐방로만을 고려했을 때 드러난 10단편의 면적은 0.002km2-38.2km2(평균면적=14.2 km2)에 이르렀고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 지구 모두에서 각기 약 7%가 가장자리로 판정되었다. 이들 단편의 형태지수 평균은 5.19(100단편 중), 7.22(10단편 중)이었지만 공원의 동서 양단과 정상부근에 있는 단편들의 형태지수가 보다 높았다. 5개의 법정탐방로가 모두 분화구까지 연결되어 있고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엽수림, 침엽수림, 초지로 식생이 전환되기 때문에 높은 고도, 특히 고유식물과 고산식물이 많은 고도 1,400m이상의 초지에서 서식지 면적이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런 결과는 한라산국립 공원도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를 겪고 있으며, 단편화로 인한 서식지 악화와 서식지 소실의 위험이 공원의 자연환경 지구보다 한라산 정상의 백록담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보존지구에서 더 높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라산국립공원의 현 도로망은 생태계 보전과 보호라는 국립공원의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한라산국립공원 전체가 또한 MAB 핵심지역임을 고려한다면, 공원 용도지구의 재설정과 단편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공원 내 도로관리에 보전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4,200원
        8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제주지역 차밭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해충 종류와 피해가 심한 해충의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발생한 해충의 종류는 응애류 2종을 포함하여 총 16종의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 피해가 큰 해충으로는 볼록총채벌레, 오누키애매미충, 차잎말이나방, 동백가는나방이었다. 차나무에서 채집된 총채벌레는 볼록총채벌레와 하와이총채벌레, 아까시총채벌레 등 총13종이었으나 볼록총채벌레만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었으며, 다른 종들의 발생은 주변 잡초와 차나무의 개화시기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시기는 첫물차 수확기인 4~5월에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를 제외하고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6월 하순 이후에는 볼록총채벌레와 오누키애매미충, 차잎말이나방, 동백가는나방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였다. 특히 오누키애매미충은 6월 하순부터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여 방제를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그 이후 수확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차잎말이나방은 가을철(9~10월)에 발생이 많았는데 피해가 심하면 겨울철 동안 나무가 고사하기도 하였다.
        87.
        200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 compounds in scoria as distributed in the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ay diffractometry, and 57Fe Mössbauer spectroscopy. The sampleswere prepared from four parasite volcanoes. It was found that these samples are typical basalt comprised ofSiO2, Al2O3, Fe, and silicate minerals. The Mössbauer spectra showed doublets for olivine, pyroxene, andilmenite as well as sextets for hematite and magnetite. The valence state of Fe is chiefly a 3+ charge statewith a slight 2+ charge state.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ill add to the body of information related tothe formation mechanisms of Jeju Island.
        4,000원
        89.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슨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 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 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4,000원
        91.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지역 98 목장에서 187 토양시료(농암갈색 76, 흑색 111) 및 말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 건초, 혼합목초 건초, 수입 알팔파 건초 각 60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했다. 토양시료는 화학특성(pH,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미량광물질(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총 함량 및 가용성 함량이
        4,000원
        9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 초 • 중 · 고생 1383명을 대상으로 하여 안경 장용율, 시력검사 장소, 안경 교체시기 · 비용 · 이유, 안경장용과 거주지역간의 상관성 등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 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 대상자의 573 명 (41 .43%) 에 해당하는 학생이 시력교정을 위해서 안경을 장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안경장용 학생의 학년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안경장용율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초등학생 21.40%, 중학생 45.33%, 고등학생 50.73%). 2. 안경교체시기에 대해 초 · 중 · 고생 공통적으로 6개월 이상 -1 년 미만이 가장 많 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초등학생 43.83%, 중학생 52.02%, 고등학생 59.21%). 3. 안경교체이유는 시력변화가 54.62%, 테 · 렌즈 파손이 28.97%, 안경을 바꾸고 싶 어서가 14.66%, 기타 1.75% 순으로 조사되었다. 4. 안경 교체시 사용비용은 전체 학생의 48.17% 에 해당하는 학생이 30,000원 이상 50,000원 미만의 금액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학생들은 해당 학년에 서, 초등학생은 32.87%, 중학생은 43.50%, 고등학생은 55.96%로 나타났다. 5. 안경 구입시 안경태와 안경렌즈의 상대적인 중요도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둘 다 중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6. 안경을 장용한다고 응답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재 사용중인 안경의 시력검안 장소에 관한 질문에 대해 초등학생은 안과에서, 중 · 고생은 안경원에서 시력검 사를 받는 학생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7. 안경 장용 학생의 지역별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제주시가 45.03%로 가장 많았으 며 서귀포시 (26.35%) , 북제주군 (14.66%) , 남제주군 (13.96%)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93.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 액비의 건물수준을 달리하여 동계작물에 시용 했을시 사초의 생산성과 사료가치 및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려고 수행되었다. 처리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및 귀리에 무비구(TO), 화학비료구(T1) 그리고 2개 건물수준을 가진 돈분 액비구(DM 2.7 %=T2, DM 5.9%=T3)를 분할구배치법으로 하였다. 5.9%의 건물이 함유된 돈분 액비의 시용은 다른 처리에 비하여 세 작물 모두에서 가장 높은 건
        4,300원
        94.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itrus leafminer (CLM),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is an oligophagous pest of Rutaceae family, especially Citrus spp. occurring in most worldwide citrus-growing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 sex pheromone chemical of CLM, (Z,Z)-7,1l-hexadecadienal (7Z,11Z-16:AI) in monitoring CLM by trap types, the diel activity and the influence of some weather factors on trap catch. CLM was well attracted on a trap baited 7Z,11Z-16:AI 1㎎. Sticky wing trap was more effective than bucket trap. Most caught CLM were attracted at 2~6 a.m. regardless of season, and activity time of CLM was affected by sunrise time as well as sunset time. The trap catch of CLM was more influenced by wind velocity than temperature for activity time of CLM. The number of caught CLM was fallen at below 13℃, but there was little effect for trap catch at over that temperature. The average wind velocity at over 2.0 m/sec made the number of caught CLM drop down. The precipitation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caught CLM when the average wind velocity was lower than at 2.0 m/sec.
        4,000원
        95.
        200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24년부터 2004년까지 제주관측지점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의 기온과 강수량의 변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지난 81년 동안 연평균 기온은 0.02˚C/year 정도로 증가하였으며 1980년 이후에는 0.05˚C/year로 이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최저기온의 증가가 최고기온 증가보다 크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최저기온의 상승이 평균기온의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보인다. 기온과 강수의 특이기후 발생빈도 또한 조사하였다. 최고기온 특이값 빈도에 대한 기온편차는 지구온난화경향과 더불어 1980년대에 증가하였으며, 최저기온 특이값은 여름과 겨울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일수는 감소하고 일강수량이 80 mm 이상인 호우일수의 빈도는 증가하여 강수강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9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제주도의 서부지역 돼지사육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는 돈분액비의 비료가치 및 전기전도도나 건물함량과 성분간 상관관계를 구하여 간편한 비료가치 구명방법을 찾고자 수행되었다. 돈분액비의 시료는 118개 농가에서 수집되었고 건물수준을 기준으로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전기전도도 (EC), 건물함량(DM), 암모니아성질소과 여러 가지 무기물을 분석하였고 이들 성분간에 상관성이 조사되었다. 118개 양돈농가 중 92개 농가는 액비의 건물함량이 3% 미만이
        4,000원
        9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길이 40m,폭 5.5m의 단일피복 구조의 8연동 무가온하우스 상단부에 설계적설심 19.1 cm의 눈이 쌓인다는 조건과 시설 측면으로 설계풍속 36.6 m·s-1의 바람이 분다는 조건 그리고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적용한 최대적설심 37.8cm의 눈이 쌓인다는 조건과 순간최대풍속 60.0 m·s-1의 강풍이 분다는 조건에서 유동 및 구조강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적설하중 조건에서는 설계적설심 19.1 cm와 최대적설심 37.8cm에서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이 각각 53.8 N·mm-2과 107 N·mm-2으로 재료의 허용응력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설계풍속 36.6 m·s-1와 순간최대풍속 60.0 m·s-1의 풍하중 조건에서는 파이프에 걸리는 최대응력이 각각 250 N·mm-2과 672 N·mm-2으로 재료의 허용응력을 모두 초과하여 플라스틱하우스가 불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99.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장기간의 이용과 간섭으로 훼손된 선흘곶 방목초지를 원식생인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식생유형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천이경향을 예측하고 적합한 복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총 26개 조사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우점종의 평균상대우점치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교목층 우점종의 경급을 고려하여 6개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 I은 덩굴성관목림, 군집 II는 상록활엽수 관목림, 군집 III은 소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IV, V는 중경목의 상록활엽수림, 군집 Ⅵ은 대경목의 상록활엽수림이었다. 관목림의 출현종은 각각 24, 28종이었고 소경목 상록활엽수림은 16종, 중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9, 30종이었으며 대경목 상록활엽수림은 27종이었다. 전체 종다양도지수는 0.8763∼1.2630이었으며 중경목과 대경목 상록활엽수림간 유사도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군집 I, II, III은 방목초지에서 상록활엽수로 천이가 진행된 유형이었고 군집 IV, V, Ⅵ은 방목지내 잔존림으로서 난대 상록확엽수림과 식생구조가 유사하였다. 선흘곶 방목초지지역을 상록활엽수림으로 복원하기 위해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군집을 목표로 하여 선흘곶 내 상록활엽수림을 모델림으로 제시하였으며 복원모델군집의 생육밀도는 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0주, 아교목층에는 동백나무, 사스레피나무, 종가시나무가 100m2당 14주이었다.
        4,500원
        100.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