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81.
        199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and the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487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students got 6.66/10 points in the knowledg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The girl and the student from nuclear familie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boy and the student from extended families respectively. Most of the students(95%) responded that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n succession and be developed because it suits Korean tradition of our own and our tastes. However, Korean traditional food must be improved in cooking process to more convenient way and in tastes. Especially students in urban area emphasized cooking process, and students in rural area emphasized tastes. Many students(80%) answered that the households may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succeeding and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food. Most of students(82.5%) thought that the Korean traditional food needs to be made fast food because they need to take it more easily. However, hygiene, taste and nutrition have to be considered. Pulgogi, Mandoo, Rice, Ddeokgook, Chabchae are highly preferred foods while Torantang, Mookuen-Namool, Jutgal, Jeonyoouh are poorly preferred. Some students had never tasted Shinseonro, Goocheolpan, Torantang, Chokpyun and Pyunyook.
        4,000원
        82.
        199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492 house-wiv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concerning satisfaction of buying precooked convenience foods, frequency of using them, preferred Korean dishes, and willingness to buy the convenience foods if they are developed.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AS package program. The satisfaction mean score of the marketed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as 2.73 out of 5 and the housewives were least satisfied with feed additives and sanitation factors.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in purchasing were sanitation, taste, variety of type, nutrition, price, and food additives for side-dishes sold refrigerated or at room temperature, and taste, sanitation, variety of type, price, nutrition, and food additives for frozen prepared foods in order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using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as generally low but that of using the pickled dishes, Jokbal Soondae, and frozen prepared foods was relatively high. The answer of 'the thought that meals should be prepared in households' was the primary reason for avoiding using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and 'no time to cook'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among the reasons for using them. Currently, the precooked convenience foods were used for snacks mainly, but the usages to be expected to increase were for lunchbox, main dishes, snacks, side dishes, special occasions foods, and leisure foods in order. Based on preference and buying priority, the dishes needed to be developed as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among Korean dishes were identified. The result showed that 'preference' was not consistent with buying priority and the housewives perceived the factor of 'convenience' more importantly than 'preference' in purchasing the convenience foods.
        4,000원
        83.
        199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during November in 1994. 493 students in Taejon area were asked to fill out the questio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package.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73.04 cm, 64.46 kg for male and 161.73 cm, 49.33 kg for female. Students living their own home were 48.8% and self-lodging students were 30.2%. Male have a meal for hunger and female for pleasure (p<0.002). They choose their foods based on the taste (84.6%) and nutrition (8.2%). 85.5% of students prefer Korean traditional foods. Most students think that the Korean traditional foods should be succeeded and developed. However, they want the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to be changed for their preference. Kimch'i is the most favorate fermented foods. The fermented fish products and jang-atchi are the most unfavorate ones. They don't like too salty taste and strong smell of the Korean fermented foods.
        4,000원
        84.
        198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nsumption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was creased in Korean recently. Morever the demand of tasted meat processing products being gradual increase in general tendency, and so we expect that in the continuing of westernizing for food life and universalizing of urvanism, the demand of meat processing products. In order to improve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eat processing industries, consummeris particular behaviors were analyzed as for consummer's recognition, recognition of problem, the evaluation of substitutional proposal, the decision of purchasing intention an purchasing behavior and the evaluation of post-purchasing to the meat processing products.
        4,200원
        85.
        2023.07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학부 교양 초급 한국 어 수업에서 강의식 수업과 플립 러닝식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 방 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수업 효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OOM에서 8주간 각 수업 방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 러닝식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강의식 수 업에서는 ‘어휘 및 문법’ 영역, 플립 러닝식 수업에서는 ‘듣기, 읽기, 쓰 기, 말하기’ 영역의 수업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실시간 온라인 으로 진행되는 초급 한국어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 환 경과 언어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혼합된 수업 방식이 필요할 것이다.
        8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대한장로교회 신경의 변천과정과 장로교회 각 교단의 헌법에 수록되어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한국장로교회의 신앙고백에 대한 인식을 연구한 것이다. 1907년에 제정된 대한장로교회 신경은 1922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신경, 1934년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신조로 이름이 변경되고, 1934년 수정과정에서 문구의 수정 및 단어의 추가나 삭제 등의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해방 후 장로교회 각 교단은 대부분 1934년의 조선 예수교장로회 신조를 저본으로 해서 현대철자법에 맞게 수정한 후 헌법에 수록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다만 예장 고신 교단은 2011년 개정, 공포된 헌법에서 대한장로교회 신경을 삭제했으며, 예장 통합 교단은 1971년 헌법 개정 과정에서 서언을 축소하고, 승인식을 삭제했으며, 제12조의 내용 중 불신자가 최후 심판 때에 형벌을 받는다는 문구를 삭제했다. 현재 대한장로교회 신경은 역사적인 기원과 개정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이 헌법에 수록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첨부하여 이해를 돕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신앙고백을 제정한 후에는 그것을 보편적으로 사용 하기 위한 구체적인 노력도 필요하다.
        8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유학 온 외국인유학생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의 공통점과 특징을 도출해내어 유형화 하는데 있다.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은 유학 동기, 문화 감수성, 간문화적 역량, 적응의 관점에서 도출해 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연구 방법으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Q표본은 외국인유학생들 심층면담, 기사, 관련 문헌을 통해서 최종 33개의 진술문을 완성하였다. P샘플은 24명의 외국인유학생들로 구성되었고 QUANL PC 프로그램으로 주요인을 분석해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들의 인식유형은 6가지로 나타났다. 유형1은 경제적 어려움이 있으나 적극적인 한국 문화에 적응하면서 미래에 한국에 정착하고 싶어하는 ‘적극적 적응형’, 유형2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으로 유학 와서 적극적으로 친구를 사귀는 일을 최우선으로 두는 ‘문화 적응형’ 이다. 유형3은 공부에 대한 욕구는 많으나 한국어 능력 부족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힘들어하는 ‘학습 부적응 인식형’이었으며, 유형4는 한국에서 취업하고 정착하고자 하나 인간관계에는 미숙한 ‘한국정착 목적형’으로 조사되었다. 유형5는 학교생활, 인간관계, 학업 모두에 적응을 힘들어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총체적 불만족형’이며, 유형6은 인간관계가 대학 생활의 목적인데 한국의 대학 문화에는 적응을 힘들어하는 친밀관계를 추구하는 ‘대학문화 부적응형‘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대학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새롭게 제기된 이론적 가설은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8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well Google Voice Actions, an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recognizes Korean young English learners’ pronunciation of English words. To achieve this aim, the current study arranged for 18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onounce 219 English words and recorded their pronunciation. Then, the intelligibility of their pronunciation was measured using Google Voice Actions.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measured intelligibility of Google Voice Actions in terms of the phonemic difficulty and familiarity the learners have with the words. The phonemic difficulty of each word was labelled as Group 1 to 5, depending on the number of difficult phonemic elements it contains. The familiarity of each word was also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ccuracy in Google Voice Actions’ recogni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the phonemic difficulties and familiarity of the words. Interestingly, the pronunciation of words in Group 5 gained the highest recognition scores and that of Group 1 the second highest scores. Those of Group 2, 3, and 4 recorded lower recognition scores tha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phonemic information the pronunciation of a word provides, the more relevant clues would be available for Google Voice Actions. This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search from the speech database.
        89.
        2018.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 교육은 국내와 국외, 한국어 원어민 교사와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국외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고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가 증가하면서 이들에 대한 전문성 강화와 양성 및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국내에서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는 2005년 시행된 이래 한국어 원어민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양성 하는 기준이 되었다.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교육 및 양성에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를 활용한다면 국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비원어민 교사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9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무인화 선박과 관련하여 해양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적인 응용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기술, 안전 및 보안 문제와 관련하여 무인 선박의 운영 가능성을 시험하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많은 연구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처럼 선박은 매우 빠르 게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결국에 선원이 승선하지 않아도 되는 무인화 및 지능형 선박의 개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까 지 선원들의 관점에서 선박의 기술적 변화와 앞으로 도입될 무인화 선박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4차 산업 혁신 중에 하나 일 선박의 자율운항기술은 선원의 일자리, 선원의 노동과 윤리적 분야, 교육과 훈련 등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는 선원의 선상 근무가 필요 없 는 무인 선박의 개발에 앞서서 논의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논의의 시작으로 본 연구는 무인화 선박에 대한 선원의 지식과 인식이 어떠한 지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사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변수들 간의 상관 관계를 테스트하는 데 피어슨 상관 계수를 사용하였다.
        91.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사는 한국 다문화정책 10년의 행적과 그 궤도를 같이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의 기조 아래 건강가정지원센터와 기관 통합이 추진되고 있다. 다문화정책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 온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이대로 포괄적인 가족지원 전달체계로서 통합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통해 본 연구는 기획되 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장전문가의 인식을 통해서 현재 진행 되고 있는 다 문화가족통합정책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제적인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로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현장전문가를 심층면접한 후, Colaizzi 의 6단계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코딩하여 인식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가족지 원센터의 불안정한 행정 체계, 통합시범센터의 운영결과 공유 및 논의 필요, 향후 도래할 이민사회를 생각할 때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서 이민자 통합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비롯한 1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현장전문가들의 제언이 정책에 반영되어 성숙한 한국적 다문화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92.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30년대에 접어들어 일본기독교계엔 바르트에 대한 열풍에 가까운 관 심으로 다수의 바르트 신학 관련 번역서들이 출판되었다. 그와 비교할 때, 한국의 기독교 출판계는 선교사들의 통제 하에 기초적인 단계의 신학 및 신앙서적들의 번역소개에만 머물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 비해 당시의 최 근 신학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 신학 서적들의 번역 소개는 충실히 이 루어지지 못했다. 한국교회에 본격적으로 칼 바르트에 대한 사상이 소개되는 것은 1930년대 초반부터이며, 주로 신문과 잡지에 바르트 신학의 기초 적 내용들이 소개되고 있다. 해방 전후 한국교회에서 활동한 대부분의 신 학자들은 ‘바르티안’(Barthian)들이었으며, 대부분 1930-40년대에 유학한 일본의 여러 신학교 출신들이었다. 해방 직후 신진 학자들의 칼 바르트 대 표 저작의 번역출판 시도가 있었지만, 6.25전쟁의 발발로 지체되었고, 이후 1950년대까지는 바르트 등의 최근 신학 저술들이 번역 소개되어도 대부분 이미 출판된 일본어 번역서를 모본으로 삼아 한글 번역을 시도한 결과였 다. 그러나 1960년 전후부터는 일본어 번역문의 피동적 수용 자세를 탈피 하기 위해 독일어 원문과 영문 텍스트를 직접 한글로 옮기는 등의 주체적 수용 노력을 보인다. 비록 일제강점기의 한국교회와 기독교 출판은 일본의 신학계와 기독교 출판계의 성과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지만, 해방 이후부터는 구미의 신학을 직접 배우고 익혀, 한국인의 정신사와 종교문화에 걸 맞는 번역과 연구 성과들을 출판물로 산출하기 시작했다.
        9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은 19세기 말엽, 동해라는 바다 명칭이 일본해 또는 다른 명칭으로 분지되는 과정과 관련된 한ㆍ일 양국 간의 인식을 통해 식민주의적 권력과 지식체계가 어떻게 상호구성적으로 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실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연구자는 외교문서ㆍ신문기사ㆍ고지도ㆍ어업협정문서ㆍ연설문 등에 나타나는 식민주의적 담론의 구성과 그 전략의 실천, 영토 및 해양경계에 관한 지역지식 및 가치체계의 전도양상, 명칭의 역사적 근원에 대한 해석방식 등에 대해 포괄적 접근을 하였다. 19세기 말엽은 한ㆍ일 양국에 있어서 해양공간과 관련된 영토성과 역사성이 변화하는 변곡점에 위치한다. 이 시기에 유럽의 식민지 세력이 아프리카에 확대되기도 하지만 동아시아에서도 서구의 문명개념이 식민정책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 아시아 사회가 식민지상품경제체계로 들어가면서 국가경계를 넘은 식민주의적 상업공간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서구의 문명개념은 식민주의적 영토성에 영향을 주었다. 일본의 경우, 서구의 진화론적 지식을 수용하면서 이에 기반을 둔 문명관념을 통해 기존의 아시아적 가치체계의 전도와 ‘군국’(軍國)의 새로운 영토적 범주의 창출, 영토화된 공간에 대한 개념화 등을 정립하였다. 이 시기 일본식 식민주의를 창출한 사상가들은 식민지배 이데올로기를 정당화하면서 기존의 동아시아 사상에 내재하던 ‘동문(同文)’, ‘일의대수(一衣帶水)’의 개념을 일본중심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동해보다 과거 서구의 탐험가들이나 외교관들이 제작한 고지도 속에 기록된 일본해라는 바다 명칭을 새롭게 정립하는 과정,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이익선과 주권선의 설정을 통한 영토성 구축, 후쿠자와 유기치의 문명과 반개(半開)라는 일본식 진화론적 사상의 정립, 참모본부ㆍ흑룡회ㆍ수산업자 등이 일본해 명칭을 사용한 사례들은 바다 이름이 문화 정치적ㆍ군사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면서 만들어졌음을 보여준다. 19세기 한국인들의 바다 개념은 연해ㆍ내양ㆍ외양ㆍ원양 등의 범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개념들은 오늘날 국제해양법에서 정한 영해와 인접수역을 포괄하는 해역과 어느 정도 유사한 범위를 나타내주었다. 그리고 당시에 동해라는 바다 명칭은 동아시아인들이 하늘과 땅, 해, 달, 별자리, 산악, 바다, 강 등을 분류하고 위계질서를 정하며 그 방위를 주재하는 신을 위치시키는 공간인식방식에서 형성된 개념이었다. 동해란 동ㆍ서ㆍ남ㆍ북의 바다 명칭 가운데 하나이다. 그리고 조선왕조에서는 각 바다마다 신이 있다고 믿어 양양에 동해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기 위해 동해신묘를 두었다. 이 점은 동해에 대해 조선왕조의 왕권이 행해졌음을 시사한다. 당시에 한국에서는 동해ㆍ조선해ㆍ한국해로, 일부 일본인들 중에는 일본 서해로, 중국의 왕지춘(王之春)은 고려해협 등으로 불렀다. 그러던 것이 19세기 말엽 일본의 명치 정부에서는 동해 대신에 일본해로 표기하거나 불렀다. 영토확장을 지향하는 식민주의자들은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확산하는 과정에서 동해를 일본해로 공칭화하고자 하였다. 19세기 말엽, 식민주의적 영토지식과 담론은 일본이 동아시아의 바다공간을 군사적 지배영역으로 전환하면서 동해를 일본화된 해양공간으로 범주화하는 과정과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이 시기 해양공간에 대해 영토성을 부여하는 데에는 명치 정부의 관료ㆍ군부ㆍ지식인ㆍ사상가ㆍ소기업가 등의 식민 이데올로기를 근간으로 한 영토적 장소만들기와 그 지배권의 제도적 실천 등이 원동력이 되었다. 19세기 말엽, 일본해가 동해 대신에 바다 이름으로 부각되는 과정에는 일본과 한국의 지배와 피지배의 정치구조 속에서 동아시아의 전통적 바다 분류체계의 해체, 일본의 식민주의 확대를 통한 동해 지배권 확대, 일본해 명칭사용을 정당화하기 위한 전략 등이 상호영향을 주었다. 특히 동해를 일본해로 명명함으로써 일본의 영토가 영해로 둘러싸여 있다는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문화 정치적 전략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94.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거의 하지 않았던, 한국어를 실제 학습하고 있는 전국차원의 다문화가족 460여 명을 대상으로 실제 분석한 결과, 다문화가족들의 기초 학습 변인, 다문화가족들이 느끼는 한국어교육에 있어 다문화교육의 성격에 대한 인식, 다문화가족들의 한국어 능력과 그 중요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변인들에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실증적인 조사 분석 결과 좀 더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수요자인 다문화가족들의 학력 등의 기초 학습배경과 다문화와 한국어 능력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변인들에 따라 한국어 각 영역에서의 교재수준을 조절하여야 하며, 한국어의 다문화교육 차원의 인식과 한국어 학습영역의 난이도 등에 따라서 알맞은 한국어 강의 교재 선택, 수업시간 조정, 수강 반 편성 등을 효율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96.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적어도 2,500년 전에 기원된 바둑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보드 게임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 포석 바둑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는 특정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훈련용 포석으로부터 얻어낸 클래스로의 인식을 위해 전통적인 선형판별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상위 10위권 한국 프로기사의 포석을 갖고 클래스-독립 선형판별분석과 클래스-종속 선형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클래스-독립 LDA는 평균 14%의 인식률을, 클래스-종속 LDA는 평균 12%의 인식률을 각각 보였다. 또한 연구 결과 일반적인 상식과 달리 PCA가 LDA보다 더 우월하고, 유클리디언 거리 측정 방식이 결코 LDA보다 뒤지지 않는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97.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 문제는 동아시아의 미래 등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럼으로 앞으로는 독도 문제 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현실주의적인 해법을 찾아야만 할 것이다. 독도 문제에서 1905년 1월 일본의 독도 점유는 조선 침략을 시작하면서 5년 뒤의 강압적인 한국 병합을 위한 전조로 행해졌다는 점에 시초가 있다. 일본으로서는 이 주장을 논박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이렇듯 독도 문제는 일본군 강제위안부 등 여전히 미해결 상태인 다른 과거사 문제 청산작업과 동시에 진행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젠 이런 문제를 인정한 뒤 대화와 협상에 나서지 않으면 쌍방 모두 심대한 손실을 입게 될 상황에 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중대한 의미를 갖는 독도 문제에 대해 한국 국민들의 현재 상황을 파악해 보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특히 우리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 현황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사회경제학적 입장에 따른 한국 국민의 독도 영유권 인식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 으로는 독도 영유권과 관련 있다고 판단하는 다른 항목들에 대한 인식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관련 항목과 독도 영유권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았다.
        98.
        201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로서의 유교적 가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교적 가치를 반영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연구 대상은 J시와 D시에 소재하고 있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재학생 409명이었다. 강혜원(2012)이 사용한 한국인의 유교적 가치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전통적 가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한국의 전통적 가치인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덕함양과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었던 반면 사회질서와 관련된 유교적 가치에 대해서는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도덕함양 관련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인식차이를 살펴보면 예비유아교사의 학년이 높고, 대인관계가 좋고, 그리고 학과만족도가 높을수록 유교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99.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할 때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가 어떠하며, 어떤 지원 방안들이 요구되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였다. 조사는 3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최종 3단계의 결과에서 인적, 물적, 심리적, 행·재정적 지원의 실태와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으로는 한국어교육 자격 연수를 통한 전문가 양성, 한국어교육 전문가 및 다문화 전문가 활용, 멘토링 제도 운영, 한국어 학습 도우미 제도 운영 등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물적 지원으로는 교재/자료 개발 및 보급, 다문화(한국어) 교육 센터 등이 요구되었다. 그러나 물적 지원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현장에서 실천되고 있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연구 결과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프로그램 제작 보급보다는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KSL 강의실에 치중되어 있어, 내용보다는 형식적인 지원이 앞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심리적 지원으로는 다문화 인식에 대한 제고와 다문화 가정 학생을 일반학생과 동일하게 취급하고 그들의 자신감, 정체성 의식 향상과 공동체 의식 향상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모두 매우 미흡한 수준이지만 비슷한 순위로 실천되고 있었다. 끝으로, 행·재정적 지원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은 교사(한국어/이중언어)의 대우, 저소득층 자녀 대상 교육비 지원,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비로 나타났으나, 이 역시 현장에서는 매우 미흡한 수준으로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KSL 교사의 지위 보장과 교재 및 교수·학습자료비 지원은 요구에 비해 행·재정적 지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