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8

        85.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8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업 R&D 투자의 연구생산성 변화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 하기 위해 비모수적 방법인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하고 기술 효율성 변화와 기술수준 변화를 계측해 생산성 변화요인을 확 인하는 맘퀴스트 생산성지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개년간 국립원예특작 과학원에서 수행한 연구과제의 연구비와 그 연구의 결과로 생 성된 논문 (SCI, 비SCI), 산업재산권 출원, 영농활용, 정책제안, 품종육성 등 6개의 성과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투입요소는 국 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수행한 연구비 총액이고, 산출요소는 6 개의 성과물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불변규모(CRS)를 가정한 후에 자료포락분석법을 이용해 거 리함수를 계산한 결과 영농활용이 1.000으로 가장 효율적인 성과로 분석되었고, 비SCI논문이 0.671, SCI논문이 0.343, 품 종육성이 0.301, 정책제안이 0.288, 산업재산권이 0.251 순으 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해 볼 때 연구성과 효율성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구과제 특성에 따른 목표설정 및 재원배분, 인력, 시설, 장비 등의 추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거리함수를 이용해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도출한 결과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개년간 원예특용작물분야 농업 R&D 투자로 인한 연구성과의 생산성은 연평균 17.5%가 향상되었 다. SCI논문이 39.4%로 가장 높은 생산성 증가율을 나타냈으 며, 산업재산권 출원이 27.8%, 정책제안이 17.4%, 영농활용이 16.8%, 품종육성이 6.3%, 비SCI논문이 1.1%의 성장률을 나타 냈다. 표본기간 동안의 기술효율성의 연평균 변화율은 0.6%로 나타났고, 기술수준의 변화는 16.8% 향상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기술효율성 변화의 두 요소인 순수효율성과 규모 효율성 변화는 불변규모를 가정한 관계로 규모효율성의 변화 가 없어 기술효율성의 변화는 순수효율성 변화와 동일한 값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5개년간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투자한 농업 R&D는 17.5%의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고, 연평균 성장률에 대한 기여가 0.6%인 기술효율성 변화보다는 16.8%인 기술수 준의 변화가 더 큰 기여를 하였다. 이는 원예특용작물분야 농 업 R&D 투자로 인한 성과의 생산성 향상에 기술효율성의 개 선보다는 기술진보가 훨씬 큰 기여를 하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개별 연구성과의 효율성 개선보다는 연구능력 향상, 우수인력 유치, 시설 확대 등 기술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요 소에 대한 투자가 우선되어야 하며, 생산성 향상을 유도하는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R&D 투자 시점부터 연구성과가 발생하기까지의 시차와 개별 연구성과에 대한 투자규모가 다른 점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밝 혀둔다.
        4,000원
        88.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품종 백아는 갈색계통간 교잡에 의하여 우리 고유의 백색계통을 최초로 개발하여 이 계통을 이용하여 육성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일본 유래의 백색계통에서 벗어난 한국형 백색 품종이라 할 수 있다. ‘백아’의 주요특성으로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30oC이며,버섯발생온도는 12~13oC, 자실체 생육온도는 67oC이다. 자실체의 갓 색깔은 백색으로 다발성이며 품질이 우수하고, 자실체 대가 단단하고 곧으며 굵고 길며 식미감이 좋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균긁기후 발이까지 7일정도 소요 되며 병당(850ml) 수량은 111 34g로 전형적인 병재배용 백색 팽이 품종이라고할 수 있다. 재배상 유의할 점은 환기량이 많으면 대가 짧아지고 갓이 커져 품질이 저하되므로 CO2 농도를 4,000ppm까지 높여 주는 것이 좋다.
        4,000원
        89.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gress that becomes a basis for measuring the outcome of project is a core of project control. Follow-up corrective actions ar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their differences. The methods of measuring the project progress have been developed though a variety of research and many were verified through the cases. Among such methods, this study selected Start/Finish method and Fixed Formula method. In order to check the limitations of the progress utilized in the two methods, the study compared their progresses to the progress of Percentage Complete metho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shown in their actual applications. Through this, it suggested the forms and scale of the projects appropriate to the application of Fixed Formula method. As for the research progress method, the study first generated a number of virtual project schedule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nalysis model. These project schedules were varied in a way that they had different project periods and the number of different activities. The study also generated numerous project schedules for difference test. After establishing a virtual schedule plan by the scale of projects, it measured their progresses by period,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repeated this procedure to obtain the results.
        4,000원
        92.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John Bunyan’s The Pilgrim’s Progress, first published in 1678,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ristian mission work and is remembered as one of the first modern novels. In 1830 the book was entitled the ‘English Literature Cannon,’ and has been translated into many languages, second only to the Bible. This honor and popularity is due mainly to Bunyan's fine writing style and fertile literary imagination; however, the illustrations added to each version and print - that is, the visualizations of the content - were crucial to maintaining popular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the book. Illustrations can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reputation and authority of a book. However, researches on book illustrations are rarely found in Korean scholarly works. As a foundational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explores the illustrations of various prints of The Pilgrim’s Progress by six artists and role and development of the illustrations, consulting works of Gerda S. Norvig on the subject. Illustrations first appeared in the fourth edition of the book in 1680, two years after the first edition. Although the book had only two drawings, the event became the critical moment for the gradual emergence of book illustrations which also influenced and changed the constitution of the book itself. Of the illustrations in the book’s early days, it was the fourteen drawings in the fifth edition (1682) that first covered and visualized the general content of the book. But because adding book illustrations was a new development, the illustrations were far from eloquent and skillful in their design and carving technique. Three years later, a Flemish-French translation of the book appeared with nine illustrations by a Dutch poet and engraver Jan Luiken. These illustrations, engraved out of copper plates, show an advancement in the expression and technology of craftsmanship. In the eighteenth century, John Sturt’s fourteen illustrations were included in the 22nd edition, so-called the Queen Caroline edition (1728). The illustrations are praised for their unique aesthetical elements while maintaining the tradition of former editions. In 1788 eight drawings by Thomas Stothard were issued separately from the 1788 edition. Compared with the craftwork on the former illustrations, the painter prettified the design, which still remained in the tradition of genre-painting. Stothard's illustrations became popular, deeply influencing illustrations in the coming age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number of illustrations in The Pilgrim’s Progress increased while qualitative changes also appeared. In 1824 painter William Blake produced 28 mysterious watercolor illustrations based on his meditation and imagination. Henry Courtney Selous' 58 illustrations were placed in the 1844 Rev. Maguire annotated edition. Despite the busy composition, his works are acclaimed as expressing the theme of the book in distinct and dynamic ways. Throughout the three centuries of the book’s history, it was the famous artists of the age that improved the quality and creativity of the illustrations of The Pilgrim’s Progress. The illustrations in the book had been drawing the attention of readers to the text and leading them to understand briefly the pilgrimage to the Celestial City, regardless of readers’ literacy. Particularl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illustrations themselves were recognized and developed as an independent field, not as a part of the book. The drawings now spoke for themselves apart from the text, and people could comprehend the whole story only by appreciating the images. Surely, the story of the book in visualized illustrations imprinted smoothly in the reader’s memories. This article also briefly deals with the American illustrations of The Pilgrim's Progress.
        7,000원
        9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SW is the key industry which leads the HW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but market size of SW is only 0.9% of GDP. It is necessary systematic and strategic support to create new SW market through SW convergence and to secure the global competitiveness. This paper deals with some strategic suggestions for progress of SW industry in company with regional economy. We survey and analyze the many SW support projects by government and take professional advice from some specialists of regional information industry promotion agency. We draw 10 strategic suggestions for support of SW industry. Also we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10 strategic suggestions by AHP analysis.
        4,000원
        94.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n serves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multipotent stem cells with potential for cellular therapies. In pigs, stem cells from skin tissues of fetal and adult origins have been demonstrated as either floating spheres (cell aggregates) or adherent spindle-shaped mesenchymal stem cell (MSC)-like cells depending on culture conditions. The cells isolated from the epidermis and dermis of porcine skin showed plastic adherent growth in the presence of serum and positively expressed a range of surface and intracellular markers that are considered to be specific for MSCs. The properties of primitive stem cells have been observed with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nd markers related to pluripotency. Further, studies have shown the ability of skin-derived MSCs to differentiate in vitro along mesodermal, neuronal and germ-line lineages. Moreover, preclinical studies have also been performed to assess their in vivo potential, and the findings appear to be effective in tissue regeneration at the defected site after transplantation. The present review describes the recent progress on the biological features of porcine skin-derived MSCs as adherent cells, and summarizes their potential in advancing stem cell based therapies.
        4,000원
        95.
        2012.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SW산업육성을 위해 SW융합을 통한 신시장 창출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지원의 필요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SW산업 육성을 위한 성장유도 방향과 지원 사업분야를 도출하여 SW산업 지역동반 성장을 위 한 신규 정책과제 도출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SW분야 지원 정책과 사업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지원사업의 취 약점을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을 통해 SW산업 육성을 위한 네 가지 측면의 성장 유도 방향과 10가지 지원 사업 분야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성장 유도방향 등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AHP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SW정책의 상대적 중요 도 평가 결과에서는 ‘지속적 추진체계확보’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10가지 사업분야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결과에서는 ‘제품, 기술 개발 지원사업’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네 가지 성장유도방향의 중요도 평가결과에서는 ‘기술경쟁력 확 보’ 측면의 유도 방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평가 되었다
        4,000원
        9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지습지는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 급인 끈끈이주걱과 지표종인 이삭귀개, 잠자리난초, 물매화, 진퍼리새 등이 분포하여 중요성은 높으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과정에 의해 건조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시급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확한 자연생태계 현황 및 건조화 진행 실태를 파악하여 습지생태계 보존대책과 건조화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화엄늪은 경사도 10˚ 미만(86.1%), 해발 750~810m(87.4%)로 산지습지의 적지라고 할 수 있으나 하부에 깊이 1.6m, 폭 0.8m인 수로가 형성되어 이탄층 유실, 수위저하 등으로 인한 건조화 진행이 우려되었다. 습지보호지역 내 식생은 진퍼리새 등 습윤지성 식생이 분포하는 면적이 6.7%로 협소한 반면, 참억새, 미역줄나무 등 산림성 목본 및 건조지성 초본이 우점하여 방치시 숲생태계로의 천이가 예상된다. 건조화를 예방하고 양호한 생태계의 지속적인 보존을 위해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보존 및 관리지역 설정, 습지보호를 위해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연부 식생 관리, 핵심지역 보호를 위한 완충지역 설정을 제안하였다. 관리에 있어서는 습지훼손 요인관리를 위하여 수계로의 과도한 지하수 유출 억제를 통한 물고임 습지 안정화와 산지습지 지표종에 대한 보호 및 관리식물 지정, 습지의 산림화를 유발 촉진할 수 있는 건조지성 수목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4,600원
        9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 국내에서 EM-120에 의해 검측된 틀림 데이터는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를 나타내며 데이터 분석 시 다양한 문제점 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궤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검측된 틀림데이터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처리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정제된 데이터의 ARIMA 분석을 통해 검측데이터와 계절 변화의 상 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회귀모형, 지수평활법, ARIMA 모형 등 다양한 예측 모델의 적용을 통해 검측 데이터의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고, 궤도 틀림 데이터의 예측 모델에 적합한 최적 모델 선정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000원
        99.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SI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has developed an SLR (Satellite Laser Ranging) system since 2008. The name of the development program is ARGO (Accurate Ranging system for Geodetic Observation). ARGO has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 the satellite precise orbit determination and space geodesy research using SLR with mm-level accuracy. ARGO-M (Mobile, bistatic 10 cm transmitting/40 cm receiving telescopes) and ARGO-F (Fixed stationary, about 1 m transmitting/receiving integrated telescope) SLR systems development will be completed by 2014. In 2011, ARGO-M system integration was completed. At present ARGO-M is in the course of system calibration, functionality, and performance tests. It consists of six subsystems, OPS (Optics System), TMS (Tracking Mount System), OES (Opto-Electronic System), CDS (Container-Dome System), LAS (Laser System) and AOS (ARGO Operation System). In this paper, ARGO-M system structure and integration status are introduced and described.
        4,200원
        100.
        2011.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성 음악에서 악곡의 화성 구조는 I-V-I의 작은 단위가 반복되어 나타나고, 거시적으로는 하나의 화성적 틀 I-V-I을 형성한다. 하지만 낭만시대의 음악에서는 거시적 화성 관계에서 딸림화음의 영역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I-V-I의 조성 틀이 와해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조성의 틀은 각각 새로운 영역을 하부 계층에 부분적으로 만들기도 하고, 선적인 화음들로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낭만시대에는 틀을 채우는 화음들이 반음계적으로 확장되기도 한다.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인 쇼팽의 음악 표면층에는 다양한 반음계적 화음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반음계들이 어떠한 구조 속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본 논문에서는 링크(J. Rink)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온음계의 틀을 역동적 조성 구조(dynamic tonal structure)와 대칭적 조성 구조(symmetric tonal structure)로 구분하고, 이러한 내용이 음악적 맥락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쇼팽 가곡들(Op.74)의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거시적 조성구조의 틀 속에서 반음계적 화음들이 어떤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어 쇼팽 음악의 어휘를 확장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6,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