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82.
        202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중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의 매개효과 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운동선수 221명(남자=155명, 여자=66명)으로 평균 15.94세였다. 측정 도구로는 케어링 분위기 척도(CCS), 라이프스킬 전이 척도(KLSTS), 그리고 삶의 만족도 척도(SWLS)가 사용되었 으며, 수집된 자료는 Stata 9.2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첫째, 케어링 분 위기는 라이프스킬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이프스킬 전이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케어링 분위기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케어링 분위기와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라이프스킬 전이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도자를 포 함한 팀의 구성원들이 서로를 존중하고 격려하는 분위기는 스포츠에서 개발된 라이프스킬을 다양한 환경으로 전 이하는 데 보탬이 된다. 나아가 전이된 라이프스킬은 삶에 대한 선수들의 전반적인 만족감을 높이므로 지도자는 스포츠 환경 내에서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83.
        202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tes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tourist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and tourist loyalty in an Indonesian tourist adventure destination. The respondents were recruited from Bromo Mountain, East-Java Province, Indonesia. For this stud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40 could be used for analysis, yielding a response rate of 96%. Data was analyz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with smartPLS 3 software. Both outer model and inner model evaluation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robustness of the proposed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perceived value does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 loyalty. However, touris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ourist loyalty. The mediating effect test indicated that tourist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tourist loyalty. The multi-group analysis test found that the demographic factor does not have any influence. By accomplishing its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From a theoretical standpoint, this study provides a comprehensive conceptual model in explaining Indonesia adventure tourist loyalty.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study offers recommendations to adventure tourism management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tourism destination, especially the adventure tourism destination.
        84.
        201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influential fact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hysically challenged laborers preparing for support plans for their future. This is to enjoy a better life and have social opportunities and to review institutional support or plans for implementation to be applied for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4,161 disabl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mong 2,124 physically challenged people, 957 wage workers (45%) were primarily extracted in this study, and a total of 581 (27%) with sufficient responses on the questionnaires were finally selected. Results - First,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tired life satisfaction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People showed higher retired life satisfaction. Secondly, physic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over relationship after retirement among retirement satisfaction. Conclusions - In this study, , it was found that job satisfaction was the variable with the highest influential power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oceed a research as to which factor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in the medium of job satisfaction and also about pla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n experts or the disabled.
        8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교생활 만족도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G시 자율체육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4개 학교의 4개의 자율체육 체험교실 5,6학년 학생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자율체육 체험교실에 참여하는 학생 65명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2.0을 사용, 집단 간 및 집단 내의 차이 및 동질성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했다. 이러한 연구 방법 및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체육활동 체험교실 참여 전후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하위 요인인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의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여부에 따른 학교 생활 만족도를 분석해 보면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 났다. 셋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자율체육 체험교실 참여 학생의 주변 환경에 따른 학교생활 만족도를 분석하면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86.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은퇴자의 생활체육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은퇴자의 심리적 적응, 구체적으로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제 5차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 자료 중 인구사회학적 변인,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을 측정하는 문항에 대한 응답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은퇴 후 2년이 경과되지 않은 신규 은퇴자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라서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이 유의한 차이를 갖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 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은퇴자의 경우,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하고도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은퇴 만족도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과 비참여인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은퇴 전부터 생활체육에 참여했던 은퇴자는 은퇴 후에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시작한 은퇴자보다 은퇴 만족도가 높았으며, 1회 참여시간이 길수록 은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 만족도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이 비참여인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지만,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삶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은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기능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이 비참여인보다 유의하게 더 좋았다. 또한 은퇴 전부터 생활체육에 참여한 은퇴자가 은퇴 후에 생활체육에 참여하기 시작한 은퇴자보다 인지기능이 더 좋았다. 넷째, 우울의 경우, 규칙적 생활체육 참여인과 비참여인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1회 생활체육 참여시간이 길수록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은퇴자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은퇴 만족도, 삶 만족도, 인지기능,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87.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finance stress within relation structure between income inequality recognized by the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recognition of income inequality of the elderly, financ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examination data aimed at 541 elderly people whose age is over 65 living in Chungcheongbuk-do. We conducted reliability,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_(tolerance limit and variance inflation factor) by using SPSS ver. 18.0. Results – From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proved that there are mediation effects of finance stress within the relation between income inequality recognized by the elderly and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practical and political proposal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nclusion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finance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recognized by the elderly. From the result of research, first, a direct effect was discovered that as income inequality becomes high, life satisfaction will be decreased. Second, partial mediation effect of finance stress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88.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of Cheongwon Organic Festival, a local festival held in Cheongju, affects visitor satisfaction, and to also revitalize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through this study. 344 visitors of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were recruited to become participants of this study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t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depending on the visitors’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cquisition of information, purpose of visit, considerations of the purchase of festival goods, purchase of a pre-sales ticket, and residence.Different factors such as the visitors’ gender, age, education, household income, acquisition of information, purpose of visit, considerations while purchasing festival goods, and residence impacted the visitors’ satisfaction of their visit to the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t Cheongwon Organic Life Festival and the visitors’ satisfaction. The operating system quality as a whole and the event programming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visitors’ satisfaction.
        89.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using 1~4th KReI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to investigate whether to affect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industry of householder. and to examine various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The summary of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economic value. Also it is examined that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have a significant effect for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it i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mental health is larger than one of physical health for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investigated that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higher than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households in life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life satisfaction of agricultural households is higher than non-agricultural one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industrial characteristic and mental health rather than another determinants.
        90.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의 지표인 참여여부,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 정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설문조사에 참여한 만 65세 이상 남녀 노인 16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고, 생활체육 참여여부에 따른 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 검증을 수행하는 한편,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다고 응답한 109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생활체육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이 세 심리적 변인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경로분석을 수행하여 연구모형과 두 가지 대안모형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여 연구모형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가정한 변인 간관계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을 수행하여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매개효과와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 사이에서의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주관적 건강 수준은 생활체육 참여 노인이 생활체육 비참여 노인보다 더 좋았지만, 노화태도와 삶 만족은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경우, 생활체육에 참여한 기간이 길수록 주관적 건강 수준이 더 좋고, 노화태도가 더 긍정적이고, 전반적인 삶 만족도가 더 높았지만, 생활체육 참여빈도와 참여시간은 세 종속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둘째, 가정한 연구모형이 대안모형에 비해 더 적절하였으며, 각 변인의 관계는 가정과 일치하였다. 셋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노화태도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참여기간과 삶 만족의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과 노화태도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생활체육 참여기간, 주관적 건강, 노화태도, 삶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91.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small business members' cognition of happiness in accordance with changes of employment environment at the nation's industrialization. The study verified effects of labor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conditions up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ects of job burden and family burden of employment instabi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bjects were small business worker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author collected 150 copies of effective questionnaires.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and 3-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as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s alleviated job burden and family burden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life. Employment instability moderated between job burden and satisfaction with life, job burden between environmental control and satisfaction with life, and family burden between goal and satisfaction of life. Members needed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especially reflection for self-acceptance. Conclusions - This study inspected effects of small business workers'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life satisfaction at changes of management environment as well as labor environment to verify effects of job burden, family burden and employment instability and to find out conditions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from point of view of small business and workers.
        92.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elderly do not want to know what they want and what happiness is, and have no interest in their society. Thus, many studies have been made to investigate real-life situations and to find a solu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lderly's dating upon happines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elderly's dating upon life satisfa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fter coding, SPSS Win18.0 was used. The study was investigated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530 elderly of 3 cities in Chungnam who live without children. A total of 512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after we excluded 18 questionnaire because of incomplete responses. Results - The elderly's date value accounted for 3.22 of 5 in full. In this study, the interviewees (82.3%) said normal or higher level to be satisfied with the date. Conclusions – With the extended life span of the elderly, their chances to retain or make new partners have increased. Considering this trend, social workers and others in senior centers should give health services to the elderly to consult and give educational programs to be free from prejudice and conservative attitudes. Most of the elderly had desire to date but thought that with prejudice and bias.
        93.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간의 간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 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남지역 교사 346명을 대상으로 소명의 식척도, 자아존중감척도, 직업적 정체감척도와 삶의 만족척도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 다. 소명의식,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고,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검 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소명의식과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성, 삶의 만족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은 직업적 정체성과 삶의 만족, 직업적 정체성 은 삶의 만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교사의 소명의식이 자아존중감, 직업적 정체감, 삶 의 만족에 이르는 경로, 자아존중감이 직업적 정체감, 삶의 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사이에서 자아존중감과 직업적 정체감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