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0

        81.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JpL species is one of the 31 species belonging to the Bemisia tabaci complex and is distributed in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To clarify genetic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populations of the JpL species in Korea, 83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sequences generated from 83 individuals collected from eight Korean province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published 16 Korean COI sequences. A total of eight haplotypes were detected from the 99 COI sequences, and 82 COI sequences shared one haplotype, hap-2. The remaining 17 COI sequences were assigned to seven haplotypes, hap-1, 3, 4, 5, 6, 7, and 8. The median-joining networks of the eight haplotypes revealed that the Korean JpL species has undergone genetic variations separately according to two groups,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In addition, the phylogenetic trees constructed based on the 99 COI sequences and published seven Japanese COI sequences were divided into two clades: clade(A) consisted of 97 COI sequences from the Korean Peninsula group, and clade(B) consisted of 19 COI sequences from the Jeju Island and Japan group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populations of the JpL species might have spread and be undergoing genetic variations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wo groups,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8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enty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primers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64 Agaricus strainsincluding 45 A. bisporus strains and other 19 Agaricus spp. ISSR primers, (GA)T, (AG)YC, (GA)C and (CTC) amplified PCRpolymorphic bands between the Agaricus species or within A. bisporus strains. PCR polymorphic bands were inputted forUPGMA cluster analysis. The varieties, Saea, Saedo, Saejeong and Saeyeon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Korea wereinvolved in the same group with closely genetic relationship of coefficient similarity over 0.92, whereas, other Korean strains weregenetically related to A. bisporus strains that were introduced from USA, Eroupe and Chinese. Furthermore, ISSR-PCRpolymorphism could potentially be used to identify homokaryon isolates.
        4,000원
        8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mpact damages induced by a low-velocity impact load o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composite plates fabricated with various stacking sequences were studied experimentally. The impact responses of the CFRP composite plat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aminate stacking sequences. Three types of specimens, specifically quasi-isotropic, unidirectional, and cross-ply, were tested by a constant impact carrying the same impact energy level. An impact load of 3.44 kg, corresponding to 23.62 J, was applied to the center of each plate supported at the boundaries. The unidirectional composite plate showed the worst impact resistance and broke completely into two parts; this was followed by the quasi-isotropic lay-up plate that was perforated by the impact. The cross-ply composite plate exhibited the best resistance to the low-velocity impact load; in this case, the impactor bounced back. Impact parameters such as the peak impact force and absorbed energy were evaluated and compared for the impact resistant characterization of the composites made by different stacking sequences.
        4,000원
        8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삼차신경통은 심한 전기적 통증, 전 격통이 삼차신경 분지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 걸쳐 나타나는 안면통증 증후군이다. 삼차신경통의 발생기전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원인을 찾을 수 없는 특발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삼차신경통 환자의 진단에 있어 중요한 Protocol인 3D VISTA와 3D SPACE를 비교하여 진단적 가치에 도움이 되는 Sequence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10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본원에서 검사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남성9명, 여성 11명 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2세였다. 검사에 사용된 장비는 3.0T 자기공명 영상 장비(Siemens skyra, Phillips Ingenia)를 이용하여 cranial nerve를 검사하였다. 사용된 Siemens skyra 3D SPACE 매개변수로는 TR/TE:1190/203ms, matrix: 320×320, Slice thickness: 0.5mm, Flip angle: 135, slice/slab: 112, voxel size: 0.28×0.28×0.5를 이용하였다. Phillips Ingenia 3D VISTA 매개변수로는 TR/TE: 2000/200ms, matrix: 320×320, Slice thickness: 0.6mm, Flip angle:90°, slice/slab: 100, voxel size:0.6×0.6×0.6 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평가방법은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통해 영상을 분석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은 trigeminal nerve와 Cerebellum에 ROI를 신호 대 잡음비(SNR)와 대조도 대 잡음비(CNR)를 측정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3D VISTA와 3D SPACE의 영상으로 해부학적 구조의 명확도와 전반적인 영상의 평가를 방사선사 3명 전문의2명에게 의뢰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정략적 분석한 결과 3D VISTA 와 3D SPACE 평균 신호대 잡음비는 trigeminal nerve right/left 173.01/213.47평균 신호대 잡음비는193.24로 측정되었고, 3D SPACE의 trigeminal nerve right/left 99.61/130.83 평균 신호대 잡음비는115.22로 측정되었고, Cerebellum 137.32/58.06으로 측정되었다. 3D VISTA 와 3D SPACE sequence의 trigeminal nerve와 Cerebellum의 평균 대조도 대 잡음비는 114.74/120.18로 측정 되었다(p<0.05). 정성적 분석으로는 trigeminal nerve와 Cerebellum의 영상을 영상의학과 판독의 1명, 신경과 전문의 1명 방사선사 3명에게 의뢰하여 인공물 발생 정도, 해부학적 구조의 명확도, 영상선명도 및 전체적인 영상의 질을 평가한 결과 3D VISTA와 3D SPACE 영상이 4.3/4.1로 측정되었다(p<0.05). 결 론 : 고자장의 MRI 장비의 개발과 보급, 새로운 검사기법의 개발로 인해 현재 측두골과 같은 미세한 구조물이 주를 이루는 부위의 검사에서 MRI검사의 진단적 가치와 효용성은 다른 검사에 비해 탁월하여 질병의 확진과 치료 과정에서의 예후 등을 평가할 수 있기에 임상적 가치가 매우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3TMR 장비에서 사용하는 sequence 중 T2 강조영상을 대표하는 3D VISTA와 3D SPACE를 비교해본 결과 3D VISTA sequence가 SNR이 높게 측정이 되었으나 CNR을 비교해 보면 SPACE sequence가 높게 측정 되었다. 두 가지 매개변수에서 정량, 정성 평가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판독을 위하여 DWI, Post 3D FLAIR 을 추가하여 사용한다면 진단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8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Constructive interference in the steady state(CISS) sequence는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으로 감마나이프(Gamma Knife)수술 환자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T2 강조 영상기법의 하나인 CISS에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영상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2월까지 Gamma knife 시술환자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장비는 Siemens Magnetom Avanto 1.5Tesla MRI System이며, transmit/receive (T/R) head coil 이용하였다.사용된 protocol은 T2 axial, T1 axial, MPRAGE, CISS영상을 획득하였으며, CISS영상은 조영제 전, 후 영상을 획득하였다. 조영제는 meglumine gadoterate을 0.2mL/Kg을 정맥투여 하였다. CISS영상의 조영제 사용 전ㆍ후의 영상과 조영제 사용 후 MPRAGE영상의 신호강도를 image j로 측정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SNR과 CNR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 연구결과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영상의 병변부위 조영제 사용 전, 조영제 사용 후 평균 SNR은 65.62±7.19, 170.80±39.51, 정상부위의 평균 SNR은42.34±24.67, 66.78±5.94로 측정되었다. 정상조직과 병변의 CNR은 조영제 사용 전 7.87±6.29에서 조영제 사용 후 64.93±22.87로 측정되었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영상의 평균 SNR은 병변부위 52.70 ±24, 정상부위 35.91±14.03으로 측정되었고, 정상 조직과 병변의 CNR은 16.79±12.22로 측정되었다. CISS영상에서의 정상조직 조영제 사용 전, 후 병변부위와 정상조직의 SNR과 CNR에서 모두 유의수준 P=0.000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증가하였다. 조영제를 사용한 MPRAGE와 CISS에서의 SNR 측정결과 병변부위에서는 p=0.002로 유의하였으나 정상조직에서는 p=0.240으로 유의하지 않게 분석되었다. 결 론 : 감마나이프수술은 기존의 머리를 절개하는 뇌수술과는 달리 파장이 짧은 감마선을 병변 부위에 조사함으로써 종양이나 혈관기형 등을 제거하는 방사선 수술법으로 MR검사는 병변 확인 및 좌표 확인에 이용되고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T1조영제를 사용하면 조영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CISS sequence의 구성은 True and reversed fast imaging in steady state precession(FISP)가 혼합된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조영 효과를 영상에서 확인 할 수 있다. Strong T2 강조 영상기법인 CISS의 경우 조영제 전 영상보다는 조영제를 사용한 영상에서 병변 및 정상부위의 SNR과 CNR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감마나이프 MR검사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8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초급성기 뇌경색의 진단과 뇌종양의 진단 및 치료의 과정를 평가하는데 유용한 확산강조 자기공명 영상은 인체 내 세포의 미시적인 확산운동의 차이를 영상의 대조도 나타내기 위해서 초고속 영상 기법인 EPI sequence를 사용한다. 하지만 인체의 해부학적 자화감수성 차이는 고속영상기법에서 영상의 왜곡과 artifact를 발생시켜 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에 본 논문은 자체 제작한 phantom을 이용하여 EPI 기법에 기인한 확산강조영상의 영상왜곡과 artifact의 특성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알아보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Brain DWI 검사 시 artifact가 자주 발생하는 부위인 sphenoid sinus와 brain stem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phantom을 제작하였다. Single shot SE EPI sequence를 이용하여 phantom 영상을 획득하였다. 영상획득 시 phase encoding 방향과 fat shift 방향을 변경하여 영상 내의 artifact의 발생 양상과 그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SENSE factor 1에서 5까지 변경하고, RFOV를 100%에서 60%까지 10%씩 줄여가면서 artifact의 발생기전과 감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용된 장비는 Philips medical system의 Achieva TX 3.0T를 사용하였고, 신호수집 코일은 8 channel sense head coil을 사용하였다. Scan parameter는 FOV 256mm, measurement matrix 128×128, slice thickness 2mm, gap, 0mm 총 74개의 단면 영상을 획득하였다. 결 과 : EPI 기법으로 기인한 자화감수성 artifact와 영상왜곡은 영상단면의 phase encoding 방향을 따르고, 하나의 단면 내에서는 낮은 주파수쪽으로 이동하였으며, 또한 slice selection gradient에 따라서도 변화하였다. 확산운동의 민감성에 관여하는 확산경사자장의 세기는 artifact의 발생과 크기에 관계하지 않고 영상의 SNR과 관계하였다. 자화감수성 artifact의 감소방안은 sensitivity encoding, RFOV 기법과 같은 수집하는 영상 신호의 숫자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통해서 구현할 수 있었지만, 이에 따른 SNR의 저하와 추가적인 artifact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EPI sequence에 기인한 artifact의 감소를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artifact 발생을 고려해 선택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최근 확산강조영상은 뇌 질환에서 뿐만 아니라 인체의 다른 장기의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발생하는 artifact의 발생기전 알아보고 그 감소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를 활용하여 임상에서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을 획득한다면, 보다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8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소아 척추 MRI 검사 시 빠른 심박동수와 호흡으로 인해 위상부호화 방향으로 인공물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조영증강 후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VIBE(volumetric interpolated breath-hold examination) 기법을 기존의 T1 weighted TSE(turbo spin echo) 기법과 비교함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 MRI 검사를 시행한 소아환자 30명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9세에서 18세까지이며, 평균 연령 13.4세였다. 사용 장비로는 3.0T MRI(magnetom skyra, SIEMENS, Germany)로 하였고, 32ch spine coil과 20ch head & neck coil을 사용하였다. TSE 기법과 VIBE 기법으로 얻어진 각각의 흉추 MRI 영상을 영상의학과 소아판독 전문의 2명과 방사선사 3명이 영상의 질을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항목(1: bone cortex & marrow의 선예도, 2: 뇌척수액과 척수의 묘사, 3: 움직임과 호흡에 의한 인공물 감소, 4: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 5: 조영 증강의 효과)에 대해 리커트(Likert) 5point scale로 정성적 분석을 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는 척추신경에 대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SPSS 22.0 사용한 paired t-test로 통계적 유의성(p<0.05)을 검증하였다. 결 과 : 5명의 평가자가 TSE 기법과 VIBE 기법을 평가한 결과 영상평가 1번 항목에서 평균값이 각각 3.10(±0.12)점, 3.80(±0.31)점, 2번 항목에서 3.03(±0.56)점, 4.25(±0.35)점, 3번 항목에서 3.20(±0.62)점, 3.75(± 0.51)점, 4번 항목에서 3.13(±0.58)점, 3.88(±0.68)점, 5번 항목에서 3.68(±0.43)점, 3.35(±0.47)점으로 나타났다. 척수와 척수액의 평균 CNR은 TSE 기법이 3.91, VIBE 기법 5.71으로 1.02~2.29배(평균:1.46배) 높게 측정되어 VIBE 기법이 TSE 기법보다 CNR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paired t-test 통계분석 결과 각각의 평가항목에서 모두 p<0.05로 유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척추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있어서 TSE 기법과 VIBE 기법의 영상을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VIBE 기법에서 움직임 및 혈류에 의한 인공물 감소가 우수하였으며, 척수와 척수액의 CNR이 평균 1.46배 차이를 보임으로써 VIBE 기법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었다. 소아 환자는 성인에 비하여 뇌신경계 병변을 초기에 발견하여 진단적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VIBE 기법이 척추 질환 진단의 목적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 앞으로 소아 척추 질환 진단 시 VIBE 기법이 진단적 가치를 높이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8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집된 주름버섯류의 233점의 phylogenic relationship 을 분류하고 자실체형태를 조사하였다. 리보좀 DNA의 ITS 부분의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해 38점이 다르게 동정 되었다. 수집된 주름버섯의 계통수에서는 양송이와 여름 양송이가 group A 내에서 주름버섯은 group B에서 가까 운 유연관계를 보였다. 또한 수집된 국가별 및 양송이내 갓색에 따른 유연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았으나, 그 차이 는 없었다. 수집된 주름버섯류의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1차, 2차 두 번 재배를 하였다. 이 결과로 주름버섯 류 수집균주의 재배의 유무를 알 수 있었고, 버섯 종류와 시기에 따른 수확량 및 자실체의 특성을 비교를 통해 주 름버섯이 2차 재배시 수확량 및 경도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이며, 양송이 중에는 비백색양송이가 단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름양송이의 초발이 소요일수와 갈 색양송이의 갓 색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4,000원
        90.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enty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and 30 SSR primers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64 Agaricus strains including 45 A. bisporus strains and other 19 Agaricus spp. Of them, four ISSR primers, (GA)₈T, (AG)₈YC, (GA)₈C and (CTC)₆and seven SSR markers produced PCR polymorphic bands between the Agaricus species or within A. bisporus strains. PCR polymorphic bands were inputted for UPGMA cluster analysis. Forty five strains of A. bisporus are genetically clustered into 6 groups, showing coefficient similarity from 0.75 to 0.9 among them. The varieties, Saea, saedo, Saejeong and Saeyeon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Korea were involved in the same group with closely genetic relationship of coefficient similarity over 0.96, whereas, other strains were genetically related to A. bisporus strains that were introduced from USA, Eroupe and Chinese.
        9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was originally observed in a few Asian countries, but is now found even in North America and Europe. Genetic information on geographic variation and relationship may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origin and migration. As a first step, in this study, a portion of mitochondrial COI gene was sequenced to understand genetic relationship and diversity in Korea. Sequencing of 104 individuals provided 57 haplotypes, with the maximum sequence divergence of 1.5%, suggesting high haplotype diversity and moderate sequence divergence. Comparison to GenBankregistered D. suzukii haplotypes (possibly from Spain, Portugal, USA) has shown 100% sequence identity to most of the haplotypes found in this study, but two USA sequence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 haplotypes, with the sequence divergence ranging from 0.5% ~ 1.4% from our samples in the 553-bp comparison. Phylogenetically, no separable group was found, but, population genetically, the only Chinese population, Sando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p < 0.05) from all Korean populations, without sharing any haplotype. Among 28 pairwise comparisons of Korean populations only two comparisons showed a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indicating that no population in Korea is completely isolated. Geographically, one haplotype (SWDBA06) was relatively widespread (five among nine localities) and a few haplotypes were found in more than one locality, but most haplotypes were restricted in a locality as a single individual. Overall, high rate of per generation female migration (Nm = 0.75 ~ infinite) and low level of geographic separation (FST=0~0.40) among localities were characteristic. Current data is limited mainly to Korean localities, thus, an expanded study may provide further scrutinized analysis for the fly.
        93.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ospholipase A2 (PLA2) catalyzes an ester hydrolysis at sn-2 position of phospholipids. Various PLA2 genes are classified into at least 15 groups. However,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functions, PLA2 genes are classified into calcium dependent cellular PLA2 (cPLA2), calcium independent cellular PLA2 (iPLA2) and secretary PLA2 (sPLA2). In insects, several sPLA2 gene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venom or immune functions. However, no known cellular PLA2 genes are identified. This study reports an iPLA2 (SeiPLA2) encoded in Spodoptera exigua. SeiPLA2 has an open reading frame of 2448 bp encoding a sequence of 816 amino acid residues. Its predicted protein is 89.55 KDa and 6.15 pI. SeiPLA2 is expressed in egg, larva, pupa and adult stages. In larval stage, SeiPLA2 is expressed in hemocytes, fat body, epidermis, gut, malpighian tubules and salivary gland. To understand its physiological function, its RNA interference is under investigation.
        9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ame of Go is an oriental strategic board game originated from China at least more than 2,500 years ago. The Monte-Carlo Tree Search (MCTS) algorithm in Go is a method that uses a large number of simulations to approximately estimate the winning rate of candidate moves by sampling the game. The two computer Go programs called Crazy Stone and Mogo defeated human Go professionals on the 9⨯9 board in 2006. Prior to our implementing MCTS into computer Go, we tried to find out the best move sequence in playing Tic-Tac-Toe game as a test bed. The experimental results revealed that the first player should play the center to ensure the highest winning rate, and the game result becomes a draw if two players do their best.
        4,000원
        9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zero inventory and mixed assembly production, JIT (Just In Time) production system in Toyota and JIS (Just-In-Sequence) production system in Hyundai motor co. have been proposed in automobile production areas. Even though the production systems are popular in the areas, many subcontract companies producing part-modules for final production at a parent company suffers from excessive or shortage amount of inventory due to the time gap of production and delivery to the parent compan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icient real-time assembly sequence system applying a well-known Pareto method using Paint-In information in painting process and daily production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is system, a production line can estimate the shortage amount of UPH (Units Per Hour) at production line and recovers the amount before operating assembly production in the line.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efficiency on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previous system.
        4,000원
        9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옥수수 포장에서 발생하는 Trichogramma속 조명나방 알기생벌의 종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채집된 알기생벌로부터 핵내 ITS2 DNA 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해독하였다. 그리고 종 구별을 위한 참고정보로 NCBI GenBank에 등록된 Trichogramma속 60종의 ITS2 전체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비교하였다. 국내 채집 알기생벌은 ITS2 DNA 길이와 3′ 말단 염기서열 패턴에 따라 3개 그룹(K-1, -2, -3)으로 구분되었다. 국내 채집 그룹 내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Evolutionary distance, d)은 0.005 이하로 그룹 간 비교 시 d 값(≥0.080)보다 낮았다. 그룹 및 GenBank 등록 종 간 비교 시 K-1은 T. ostriniae, K-2는 T. dendrolimi, K-3은 T. confusum과 d 값이 각각 0.016, 0.001, 0.002로 가장 작았다. 추론된 분자계통수에서 K-1은T. ostriniae, K-2는 T. dendrolimi와 각각 분지되었으나 K-3는 T. confusum, T. chilonis, T. bilingensis와 함께 분지되었다. NCBI BLAST 결과에서도 K-1은 T. ostriniae와 K-2는 T. dendrolimi와 99% identity를 보였다. 그러나 K-3의 홍천 채집 기생벌들은 T. confusum, T. chilonis와 99-100% identity를 보였지만, 고창 채집 기생벌은 T. bilingensis, T. confusum, T. chilonis와 98% identity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채집된 알기생벌 K-1과 K-2는 각각 T. ostriniae와 T. dendrolimi, 단일한 종으로 추정되었으나 K-3는 ITS2 정보만으로 종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4,600원
        97.
        2014.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zero inventory and mixed assembly production, JIT (Just In Time) production system in Toyota and JIS (Just-In-Sequence) production system in Hyundai motor co. have been proposed. Even though the production systems are popular in automobile production area, many subcontract companies producing part-modules for final production at a parent company suffers from excessive or shortage amount of inventory due to the time gap of production and delivery to the parent compan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fficient real-time assembly sequence system applying a well-known Pareto method using Paint-In information in painting process and daily production planning information. Based on this system, a production line can estimate the shortage amount of UPH (Units Per Hour) at production line and recovers the amount before operating assembly production in the line. The proposed system provides efficiency on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previous system.
        4,000원
        98.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acking sequence on the flexural and fracture properties of carbon/basalt/epoxy hybrid composites was investigated. Two types of carbon/basalt/epoxy hybrid composites with a sandwich form were fabricated: basalt skin-carbon core (BSCC) composites and carbon skin-basalt core (CSBC) composites. Fracture tests were conducted and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carbon/basalt/epoxy hybrid composites were then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exural strength and flexural modulus of the CSBC specimen respectively were ~32% and ~245% greater than those of the BSCC specimen. However, the interlaminar fracture toughness of the CSBC specimen was ~10% smaller than that of the BSCC specimen. SEM results on the fracture surface showed that matrix cracking is a dominant fracture mechanism for the CSBC specimen while interfacial debonding between fibers and epoxy resin is a dominant fracture process for the BSCC specimen.
        3,000원
        9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ansies butterflies belong to the genus Junonia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Myanmar and 6 species of Junonia have been reported in Myanmar. Molecular comparison of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nucleotide sequences among the species of Junonia was conducted. The nucleotides divergence of COI sequences between species were 2.9 to 7.9% and sequences identity was 92.5-97.7%. The phylogenetic trees were constructed by using Neighbour-joining (NJ) and Maximum likelihood (ML) methods. In both methods, phylogentic trees were showed identical and were revealed that all sequences of Junonia species from Myanmar were in the same cluster with those of the same species from other countries.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