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3

        83.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지관리용 2종 복합비료를 개발토자 시제품(N-P2O5-K2O-MgO-B2O3: 14-10-12-3-0.2)을 일반단비와 공시하여 비효를 비교검토하였다. 대상초지로는 새로 조성된 겉뿌림 혼파초지(orchardgras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 및 기존의 겉뿌림 단파초지(orchardgrass 우점초지)를 공시장소로하여 2년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1보에서는 토양
        4,000원
        84.
        1991.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MOS소자의 p+게이트 전극으로 다결정실리콘과 비정질실리콘을 사용하여 고온의 열처리 공정에 따른 붕소이온의 침투현상을 high frequency C-V plot, Constant Current Stress Test(CCST),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SIMS) 및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C-V plot분석 결과 비정질실리콘 게이트가 다결정실리콘 게이트에 비해 flatband전압의 변화가 작게 나타났으며, 게이트 산화막의 절연파괴 전하밀도에서는 60~80% 정도 향상된 값을 나타내었다. 비정질실리콘 게이트는 증착시 비정질로 형성되는 구조로 인한 얇은 이온주입 깊이와 열처리 공정시 다결정실리콘에 비교하여 크게 성장하는 입자 크기 때문에 붕소이온의 침투 경로가 되는 grain boundary를 감소시켜 붕소이온 확산을 억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Electron trapping rate와 flatband 전압 변화와의 관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4,000원
        85.
        198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지조성용 2종복합비료를 개발코자 시제품(N-P2O5-K2O-MgO-B2O3 : 8-25-7-3-0.2)을 일반단비와 공시하여 비효를 비교검사하였다. 겉뿌림 배양초지(orchardgrass,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ladino clover)에서 2년간 수행하였으며 1보에서는 토양의 화학성 및 목장의 초기생육상, 본고에서는 수량성, 식생구성비율 및 목장의 영양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000원
        86.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시험은 붕소시용이 잎담배의 생리적특성과 입고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황색종인 NC2326, Coker 86을 공시하여 입고병포장에서 실시한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지상부의 생장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낮아졌으나 붕우시용구에서 세근발달이 억제되고 뿌리의 부패율과 입고병이병율이 크게 감소 되여 입고병발생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2. 수량은 10a당 붕소 또는 붕산 시용구에서 높았고 붕소시용에 따른 증수경향은 NC2326에서 컸다. 3. 건엽중의 Phenol 화합물은 붕소시용구에서 증가하였고 입고병저항성이 큰 Coker 86에서 더 많았으며 니코친합량은 붕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4,000원
        87.
        202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treatment efficiency of livestock wastewater by altering the current density using boron-doped diamond (BDD) electrodes. As the current density was adjusted from 10 to 35 mA/cm2, the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creased from 22.2 to 71.5%. Similar to that of organic matter, the removal efficiency of color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rent density up to 85.7%, indicating a higher removal efficiency for color than that of organic matter. The removal efficiency of ammonia nitrogen increased from 14.6 to 53.3% as the current density increased,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organic matter. In addition, the removal of organic matter, color, and ammonia nitrogen followed first-order reactions, according to the reaction rate analysis. The energy consumption ranged from 4.87 to 8.33 kWh/kg COD, and it was found that the organic matter removal efficiency was more efficient at high current densities. Based on various analyses, the optimal current density was 20 mA/cm2, and the corresponding energy consumption was 6.824 kWh/kg COD.
        88.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Ginseng is a perennial crop grown for more than four years in the same place. Therefore, it is highly affected by the soil environment, especially nutrients in the soil.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 the influence of boron and iron concentrations on the physiological status, growth, and mineral uptake of ginseng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for diagnosing a physiological disorder in ginseng plants. Methods and Results: The boron and iron concentrations were controlled at 3, 30, 150, 300 and 2, 20, 100, 200㎎/ℓ,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150㎎/ℓ of boron, the ginseng plants showed yellowing or necrosis symptoms at the edge or end of their leaves. Compared with the 3㎎/ℓ treatment, the root weight decreased by 13 and 24% in the 150 and 300㎎/ℓ treatments,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20㎎/ℓ of iron, the ginseng plants showed yellowing between the veins of the leaves followed by the formation of brown spots. The root weight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iron concentration. Approximately 55% decrease in root weight was observed upon treatment with 200㎎/ℓ of iron. Conclusions: The boron toxicity occurs in the leaves of ginseng at the boron concentration of approximately 1,900㎎/㎏ or more. The iron toxicity occurs at the iron concentration of approximately 120㎎/㎏ for leaves and 270㎎/㎏ for roots.
        89.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제3기 마이오세(Miocene)의 플라야호(playa lake) 환경에서 형성된 증발형 붕소 광상인 터키 의 비가디치(Bigadiç) 광상과 크르카(Kırka) 광상에서 산출되는 점토에서 각각 LiO2가 0.02-0.21%, 0.16-0.30% 함유되어 있다. 이는 점토에 리튬을 함유한 헥토라이트(hectorite)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으 로 확인되었으며 붕소 광석을 처리하고 남은 광미도 LiO2 0.04-0.26%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다. 약 0.18%의 리튬 함량을 보이는 비가디치 및 크르카 광상 점토 시료 각 1개에 대하여 추출 가능 한 리튬의 양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XRD 분석 결과 크르카 광상의 시료에는 25.7%, 비가디치 시 료에는 79.7%의 헥토라이트가 함유되어 있었다. 이들 점토가 리튬 광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 기 위해 (1) 산 처리 용출 및 (2) 열처리 침출 방법으로 리튬을 추출하였다. 두 광상 시료 모두 0.25 M 염산과의 반응시간에 따라 용출되는 리튬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10시간 이상 반응시켰을 때는 용출되 는 리튬의 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10시간 이상 반응시켰을 때, 크르카 광상 점토 시료에서 89%의 리튬이 용출되었으며 비가디치 광상 점토 시료에서 71%의 리튬이 용출되었다. CaCO3 및 CaSO4와 함께 1,100°C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크르카 광상 시료에서 87%, 비가디치 광상 시료에서 82%의 리튬을 추출하였다. 크르카 광상의 점토 시료는 산 처리로 더 많은 양의 리튬을 추출할 수 있 었으며 비가디치 광상의 시료는 열처리 방법으로 리튬을 더 많이 추출할 수 있었다.
        90.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신제3기 마이오세(Miocene)의 플라야호(playa lake) 환경에서 형성된 증발형 붕소 광상인 터키 의 비가디치(Bigadiç) 광상과 크르카(Kırka) 광상에서 산출되는 점토에서 각각 LiO2가 0.02-0.21%, 0.16-0.30% 함유되어 있다. 이는 점토에 리튬을 함유한 헥토라이트(hectorite)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으 로 확인되었으며 붕소 광석을 처리하고 남은 광미도 LiO2 0.04-0.26%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다. 약 0.18%의 리튬 함량을 보이는 비가디치 및 크르카 광상 점토 시료 각 1개에 대하여 추출 가능 한 리튬의 양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XRD 분석 결과 크르카 광상의 시료에는 25.7%, 비가디치 시 료에는 79.7%의 헥토라이트가 함유되어 있었다. 이들 점토가 리튬 광석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 기 위해 (1) 산 처리 용출 및 (2) 열처리 침출 방법으로 리튬을 추출하였다. 두 광상 시료 모두 0.25 M 염산과의 반응시간에 따라 용출되는 리튬의 양이 증가하였으나 10시간 이상 반응시켰을 때는 용출되 는 리튬의 양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10시간 이상 반응시켰을 때, 크르카 광상 점토 시료에서 89%의 리튬이 용출되었으며 비가디치 광상 점토 시료에서 71%의 리튬이 용출되었다. CaCO3 및 CaSO4와 함께 1,100°C에서 2시간 열처리하여 크르카 광상 시료에서 87%, 비가디치 광상 시료에서 82%의 리튬을 추출하였다. 크르카 광상의 점토 시료는 산 처리로 더 많은 양의 리튬을 추출할 수 있 었으며 비가디치 광상의 시료는 열처리 방법으로 리튬을 더 많이 추출할 수 있었다.
        91.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붕소가 포함된 다성분계 규산염 용융체의 원자 구조를 규명하는 것은 화산의 분화 양상을 포함 한 다양한 지구화학적 과정의 원자 단위 기작을 밝히는데 중요하다. 붕소를 포함한 소듐 알루미노규 산염 용융체의 붕소 및 알루미늄 주위의 원자 환경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수용액과 핵폐기물 유리 (nuclear waste glasses)의 반응도(reactivity)에 대한 미시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붕소가 포함된 비정질 물질의 원자 구조 규명에 가장 적합한 고상 핵자기 공명 분광분석(solid-state nuclear magnetic resonance, solid-state NMR)을 이용하여 붕소의 함량이 비정질 소듐 보레이트(Na2O-B2O3)와 붕소를 포함한 다성분계 규산염 용융체[말린코아이트(malinkoite, NaBSiO4)와 네펠린(nepheline, NaAlSiO4)의 유사 이원계]의 원자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비정질 소듐 보레이트의 11B MAS NMR 스펙트럼을 통해 붕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배위수가 3인 붕소([3]B)가 증가한다는 것 이 확인되었다. 비정질 말린코아이트와 네펠린의 유사 이원계의 11B MAS NMR 스펙트럼을 통해 XMa [= NaBSiO4/(NaBSiO4 + NaAlSiO4)]가 증가함에 따라 배위수가 4인 붕소([4]B)는 증가하는 반면 [3]B는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다성분계 용융체의 27Al MAS NMR 실험 결과, 모든 조성의 용융체에서 배위수가 4인 알루미늄([4]Al) 피크가 지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펠린 용융체에 붕소가 첨가되었을 때 [4]Al 피크의 폭이 크게 감소하였고, 이는 붕소의 첨가가 네펠린 용융체 내의 알루미늄 주위의 구조 적⋅위상학적 무질서도를 감소시킨다는 것을 지시한다. 붕소를 포함한 이원계 및 다성분계 비정질 물 질의 11B MAS NMR 스펙트럼으로부터 시뮬레이션을 하여 붕소의 함량에 따른 붕소 원자 환경의 상 대적인 존재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이 결과는 붕소가 포함된 비정질 물질의 거시적 성질 변화 에 대한 미시적 기작의 근원을 제시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92.
        2016.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i을 포함하는 삼팔면체 스멕타이트 계열의 헥토라이트가 터키 서부 퇴적 기원의 붕소광상에서 다량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Li을 포함하는 헥토라이트는 리튬 자원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 기 때문에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헥토라이트의 열적 변화와 산에 대한 특성은 산업적인 적용 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성질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완전하게 이해된 것이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터키 붕소광상 중 Li2O 함량이 가장 높은 비가디치 광상에서 채취된 점토광석을 이용하였다. 채취한 점토 광석 내에 존재하는 헥토라이트를 Stoke’s Law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열 및 산 처리 실험을 실시하여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헥토라이트는 84℃ 부근에서 흡착수 및 층간수의 탈수에 의한 강한 흡열반 응이 일어나며, 600℃ 이후 결정수의 탈수에 의한 흡열반응이 일어난다. 저온의 흡열반응은 약 6%의 많은 중량 감소를 동반한다. 762℃ 부근에서 헥토라이트가 완화휘석, 크리스토발라이트 및 비정질 산 화철 광물로 분해되는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0.1 M 농도의 무기산으로 1시간 헥토라이트를 반응시킨 결과 황산 ≥ 염산 > 질산 순으로 용해 정도가 높았다.
        9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Boron (B) is an essential element required for the growth of plant. It has a narrow range of optimal concentration from minimum to maximum thresholds than other micro-elem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o the influence of B excess concentrations on physiological disorder of leaf, growth and mineral concentration of ginseng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physiological disorder diagnose.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cultivar ‘Gumpoong’ was cultivated by hydroponic system for 2 months. The toxicity symptoms which ginseng leaves were curved downwardly and induced to chlorosis after beginning to dry the edge appeared on leaves more than 30 ppm compared to the control(3 ppm). The growth of ginseng was more decreased with higher B concentration. Mn uptake was also decreased as B concentration increased. It was found that B excess hindered the growth of ginseng and was reversely related to Mn uptake. Conclusions : More than B 30 ppm can negatively affect growth and mineral uptake. Consequently, B excess can occur physiological disorder of ginseng.
        9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붕소함유 인공염수(간수)를 수산화칼슘으로 포화시켜 calcium borate를 합성하는 반응에서, 첨가하는 황산이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양한 조건(반응온도, 반응시간, 가열반응 후 방랭온도)에서 calcium borate 합성을 시도하였고, 각 조건에서 황산 첨 가유무에 따른 calcium borate의 회수율과 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XRD 분석을 통해 황산의 첨가유무에 상관없이 calcium borate(Ca2B2O5·H2O)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고, 황산을 첨가하면 부산물로 황산칼슘(CaSO4·0.5H2O)이 생성되었다. 황산을 첨가하지 않았 을 때, 실험한 모든 반응온도와 반응시간 조건에서 calcium borate의 회수율과 순도가 황산을 첨가했을 때보다 더 높았다. 황산을 첨가하면 수산화칼슘의 용해도는 높아지지만, 부산물로 생성되는 황산칼슘이 calcium borate의 생성을 방해하여 그 회수율과 순도가 낮아진다고 판단 된다. 본 연구에서는 붕소함유(500 mg-B/L) 인공염수(간수)에 황산을 첨가하지 않고 수산화칼슘으로 포화시켜서 80-105 ℃에서 10분 이내로 가열하여 calcium borate를 합성하였고, 그 회수율과 순도는 각각 최대 80 %, 96 %로 매우 높았다.
        96.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certain the effects of boron and molybdenum with recommended N P K S Zn fertilizers (RFD) for sustained sugarcane yield in the sandy acidic soil in Old Himalayan Piedmont Plain of Bangladesh. Result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T7 having recommended fertilizers of N 120, P 35, K 100, S 25 and Zn 2kg ha-1 + B 2kg ha-1 + Mo 2 kg ha-1 produced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millable cane (126.96~times103~;ha-1) except in T9 with RFD + B 2 kg ha-1 + Mo 4kg ha-1 , and higher cane yield (92.83 Mg ha-1 ) among all except in T3 with RFD + B2 kg ha-1 , T5 with RFD + Mo 2kg ha-1 and T9 where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identical. The increase in cane yield by T7 was 164.6~% over control. The treatment T7 having RFD + B 2kg ha-1 + Mo 2kg ha-1 further gave the highest additional net economic benefit of Taka 16, 500.00 for added Band Mo at 2kg ha-1 among all the treatments in the study.
        97.
        200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boron and aluminum on the development of adventitious roots was studied in sunflower cuttings. Three-day-old seedlings were de-rooted and grown in nutrient solutions with or without boron and supplemen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from 50 to 700 μM) of aluminum. The number and length of the adventitious roots and proline content in adventitious roots in response to insufficient boron and aluminum stress were determined periodically. The micronutrient boron caused the development of numerous roots in the lower parts of the hypocotyl. A dose-response of boron-induced rooting yielded an optimum concentration of 0.1 mM boron. In the absence of boron, in the majority of the adventitious roots, a significant inhibition was observed with or without aluminum, indicating that the most apparent symptom of boron deficiency is the cessation of root grow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luminum caused progressive inhibition of growth and rooting of the hypocotyls, and a parallel increase in proline levels of adventitious roots. Supplemental boron amelior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aluminum, suggesting that aluminum could inhibit root growth by inducing boron deficiency. Ascorbate added to medium in the absence of boron improved root growth and indu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roline leve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dventitious root growth inhibition resulting from either boron deficiency or aluminum toxicity may be a result of impaired ascorbate metabolism.
        100.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moval effectiveness of various heavy metal ions in boron-rich containing plants has been studied by means of spectroscopic and pH methods. Treatment of the boron-rich containing sample which was collected from cherry and root of cabbage to heavy metal ions is resulted in that an excellent removal effect shows in the case of large ionic size of heavy metal. Stability constants are depended on the variation of pH.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