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

        10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공단지역과 지리산지역에서 소나무림의 강우로부터 산림내 유입되는 수간류, 수관통과우, 임외우의 이온성분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울산공단지역에서는 pH가 지리산지역에 비해 수간류, 수관 통과우, 임외우 모두 낮아 대기오염의 영향으로 추측할 수 있었다. EC는 수간류, 수관통과우, 임외우 모 두 울산공단지역이 높았으며, 수간류와 수관통과우에서는 양지역이 2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이온성분은 울산공단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수간류에서 지역차가 2배 이상 나타났으며, 특히 Ca2+, Mg2+ 이 온의 농도가 지역간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음이온 성분은 두 지역 모두 SO4 2->NO3 ->Cl- 순으로 나타났 으며, 지역간 차이가 가장 큰 이온은 SO4 2-으로써 수간류에서 토양으로 유입되어 토양의 산성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산림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000원
        102.
        201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연안 해역은 빈번한 선박조우로 인하여 해양사고 발생 잠재 위험이 높은 해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해상교통의 정량적인 평가의 미흡으로 맞춤형 안전대책이 제대로 수립되고 있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을 평가 대상으로 한 해상교통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실제 사고 통계 자료와 비교 하고자 한다.
        3,000원
        103.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04.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울산항 인근해역에 대한 자연환경, 해양사고, 해상교통량 및 해상교통흐름 관측, 어업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고, 전문가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가 및 사용자의 설문조사 실행을 통한 항해위험 필수요소, 개선계획 및 충돌위험 필수요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보다 효율적인 항로를 도출하였다.
        4,000원
        105.
        201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목장성(牧場城) 관련 유적 중 전국에서 가장 먼저 문화재(울산광역시 기념물 제18호)로 지정된 남목마성의 입지와 공간구성, 체성의 축성법 등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결과 남목마성은 방어진반도를 동-서로 가로질러 축조된 차단성 즉 장성(長城)이며, 내외협축의 석축성(石築城)으로 축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목장 내부는 크게 2개로 구획하였는데 외성은 석축으로 쌓은 반면 내성은 목책으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체성의 축조수법을 보면 자연 할석(割石)을 사용하여 외벽과 내벽 모두 막쌓기한 곳도 있고, 내벽의 하단부에 판석으로 비교적 정연하게 허튼층쌓기 한 곳도 있다. 잔존 높이는 외벽의 경우 120~260cm 정도이며 평균 폭은 180~200cm 가량이다. 이 연구는 그간 목장성에 대한 연구나 조사가 매우 미흡한 상황에서 남목마성이 지닌 축조방식과 구조를 밝힘으로서 조선시대 지방의 마정사 및 목장성의 성격 이해에 작은 도움이 되고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6,100원
        106.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산만의 육상기인 오염부하에 대한 해역수질의 응답특성을 조사하고 만내 수질관리에 활용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모델링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태계모텔에 의해 계산된 울산만의 수질은 만 내측에서 COD 농도 2.8mg/L로 해양수질 III등급 수준으로 나타났다. 계산결과 울산만 전체 해역의 수질을 II등급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육상부하를 약 30% 이상 삭감해야 하며, COD 농도 1.0mg/L이하의 수질이 되기 위해서는 전체 육상부하의 70% 이상을 삭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역수질 II등급을 유지하기 위하여 삭감해야 할 오염부하량은 약 3,083kgCOD/day, 이 때의 환경용량은 약 7,193kgCOD/day로 계산되었다. 태화강 하구역은 식물플랑크톤 대증식(Bloom)이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해역이므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자생유기물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유가물 삭감 이외에도 영양염의 제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08.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해양사고가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자연환경, 지형 여건, 해양사고, 해상교통 및 해상교통류 등을 조사 분석하고, 전문가조사 및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박지인 E-1, 2, 3 정박지에서 정박 중인 선박이 주묘가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둘째, 정박지가 부족하며, 부두가 항로의 지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항로 폭이 협소하고, 원유선 계류부이가 항로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어 여러 수역에서 해상교통흐름이 교차하고 있다. 셋째, 해양사고는 제1항로와 소형선박 정박지(M1-M7) 및 돌핀부두 인접수역, 간절곶 인접수역, E 정박지, 항로 진출입 인접수역에서 발생하고 있다. 넷째, 해상교통흐름은 항내 이동선박이 많고, 위험화물 운송선박의 비율이 높다. 그리고 예부선 등 소형선이 무질서하게 항내를 이동하고, 항로가 서로 교차하고 있다. 다섯째, 이용자 및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는 항로 진입부를 식별할 수 있는 대형등부표가 필요하다.
        4,000원
        10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000원
        11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11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000원
        113.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assessed how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affected customer’s awareness/association, emotional-relationship and image,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brand loyalty. As well, the influence of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to brand loyalty was assessed. The model was tested in family restaurants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Ulsan and Daegu. Between January 1 and February 28, 200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staurant patrons. A total of 274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Empirical results confirmed that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increased brand awareness/association, brand emotional?relationship and brand image, and that these attributes increased brand loyalty. Restaurant brand personality affected brand loyalty.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managers of family restaurant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otional reaction of customers to their establishment. This involves employee actions that make dining a pleasurable experience.
        4,300원
        114.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행 「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 상 부두의 접안능력은 하기재화중량톤수를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으나 접안가능 최대 선박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화중량톤수보다는 선박의 질량이나 길이 및 폭 등이다. 따라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만 운영을 위해 현재의 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연구는 합리적인 접안능력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부두의 적정 접안능력을 검토 하기 위하여 울산항의 3개 부두를 선정하고, 통항 및 접안 안전성과 선체동요 및 구조 안정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배수톤수가 일정한 경우 선박의 크기가 다소 증가하더라도 선박조종이나 계류 및 구조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으며, 검토 대상 선박에서는 선박의 크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평가 결과 배수톤수에 차이가 없다면 20,000 DWT급 선박은 부두접안가능능력의 50%, 40,000 DWT급 선박은 25%, 그리고 150,000 DWT급 선박은 13% 정도 선박의 크기를 증가시키더라도 부두 축조시의 설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항로폭, 선회장, 선석 길이 및 계류라인의 배치 등에 문제가 없다면 재화중량톤수 대신에 배수톤수를 적용하여 부두 접안가능 최대 선박을 조정할 수 있다.
        4,000원
        117.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dietary attitude and preference of native local foods for Ulsan citizen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500 citizens living in Ulsan area.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On frequency of eating of local foods, 'one time per year' scored high as 40.8%. 'Labor-intensive' scored high as 35.6% in cooking methods. 'Rarely' scored high as 43.2% in frequency of cooking at home. A criteria of selection of Ulsan local foods was 57.2% in taste. The recognition score of native local foods was 'healthful food' (3.96 points), 'should be handed down to next generation' (3.94 points), and 'a lot of natural food ingredients' (3.88 points) and 'nutritious food' (3.87 points) in the order. The preferred native local foods of Ulsan area was 'Ulsa pear' (3.97 points), 'Eonyang, Bonggye Hanoobulgogi' (3.86 pionts), 'Raw Fish', 'Haemuljeongol', ‘Gangodeungojjim', 'Suknamsa SanchaeBibimbab' 'Gangdon Natural Brown Seaweed' in that other. On the other hand, the preference for 'Myeoljang', 'Whale Meat', 'Oksamju', 'Meonggejeon', 'Jepyipjangajji' and 'Kimchigam' was very low. Males liked 'Whale Meat', 'Raw Fish', Oksamju' and 'Dombaegi(Shark Meat)', while females liked 'Gandong Naural Brown Seaweed'. The most effectual food for developing tourism merchandising of Ulsan local foods was 'Eonyang, Bonggye hanoobulgogi' and the next is 'Eonyang Dropwort', 'Gangdong Natural Brown Seaweed', 'Myeoljang', 'Ulsan Pear', and 'Oksamju' in the order.
        4,000원
        118.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