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121.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년 포도재배 농가에서 순따주기로 생산되나 버려지는 포도 잎의 이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조건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포도 잎의 건조에 따른 중량 감소율은 방법에 따른 차이 없이 76~80%로 나타났다. 색도는 진공 동결건조방법으로 건조한 포도 잎 분말이 열풍건조 시료보다 포도 고유의 색을 더 유지되었다. 포도의 기능성 성분인 레스베라트롤, 쿼세틴, 카테킨, 에피카테킨은 모든 품종의 잎에서 검출되었으며, 열풍건조에 비하여
        122.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ioactive compounds in grape juice prepared from different grape varieties grown in Korea, such as Campbell Early, Steuben, and Muscat Bailey A (MBA), with respect to heating time (30, 45, or 60 min) and temperature (60 ℃, 70 ℃, 80 ℃, or 90 ℃). We found that long heating time and high temperature, especially treatment at for 60 min, significantly affec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active compound levels of grape juice. Among the grape juice varieties, Campbell Early juice had the highest level of bioactive compounds. Sensory evaluation scores showed that heating of musts at 80 ℃ for 30 min was associated with the most preferred sensory attributes for Campbell Early grape juice, whereas the most preferred juices from Steuben and MBA grapes were from musts heated at 70 ℃ for 60 min and at 70 ℃ for 30 min, respectively. The bioactive compounds of juice from the three grape varieties were optimal using the above-mentioned processing times and temperatures.
        123.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의 품종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은 vanillin 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 중에서 자옥 품종이 가장 높은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자옥
        124.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의 총 카테킨 함량과 추출물의 항산화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microwave power , 에탄올 농도 , 추출시간 )을 설계하고, 종속변수로서 추출물의 수율, 카테킨 함량 및 전자공여능을 회귀 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모든 회귀식의 는 0.9 이상으로 1%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총 카테킨 함량의 최대 추출 값은 434.16 mg%로 예측되었으
        125.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자가 제조하여 포도의 저장 중 병해발생 방지에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sulfite 화합물의 아황산가스 발생 정도와 지속 기간을 측정하고 아황산가스 발생 조절 및 간이 검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도의 저장 중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 cinerea의 포자 발아와 균사생장은 각각 400 ppm과 3200 ppm의 아황산가스 농도 조건에서 억제되었다. 5종류의 sulfite 및 bisulfite 화합물 중 sodium
        126.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과일 가공제품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포도는 페놀화합물의 주요 급원의 하나로 포도주스는 항산화, 항염증, 항혈소판 작용 등의 기능을 가지는 다수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캠벨 포도는 농가에서 주스나 와인으로 가장 널리 가공되고 있으나 다양한 포도 품종을 이용하여 브렌딩한 포도주스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캠벨과 타품종 포도주스를 종류 및 비율을 달리하여 브렌딩 한
        127.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석산은 포도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포도 주스 또는 포도주의 저장 및 유통 기간 중에 침전물을 형성하여 품질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주석산의 분해에 사용될 수 있는 효소 자원의 개발을 목적으로 주석산 분해 세균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주석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국산 캠벨얼리 포도주의 주박으로부터 주석산 분해세균을 집식배양한 후 주석산을 탄소원으로 함유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주석산을 분해할 수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
        128.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제조 및 시판되고 있는 사과를 비롯한 과일 주스 5종, 포도 주스 10종의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DPPH 방법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판 과일 주스 중 오렌지의 총 페놀 함량이 114.09 nl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주스 10종은 의 함량으로 제품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과일 주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자몽이 가장 높았으며 사과, 파인애플이 낮았다. 포도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제품에 따라 다
        129.
        2008.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향후 국산 포도를 이용한 고품질의 국산 백포도주를 개발하여 국내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백포도주 제조 및 백포도주 양조 기술의 발전을 위해 생식용 수입 포도인 Red globe과 Thomson Seedless를 이용하여 발효특성과 포도주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H변화는 1차 발효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두 품종을 1:1비율로 혼합한 백포도주는 레드글로브와 탐슨시들리스의 중간 값의 pH를 보여주었다. 산도의 변화는 1차 발효기간 동안
        130.
        2007.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주스는 건강에 유익한 phenolic compounds의 함량이 풍부하여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Campbell 포도주스는 Sample A(씨와 줄기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Sample B(씨만 첨가한 경우), Sample C(씨와 줄기를 첨가한 경우)의 세 가지로 제조하여 포도 씨와 줄기의 첨가 가 포도주스의 성분, 관능적 특성, 기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였다. 포도주스 제조 시 포도 씨와 줄기의 첨가는
        131.
        2006.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고자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허용된 용매들(물, 에탄올, 아세톤)의 가열 특성을 확인하고 몇 가지 기능성분의 추출특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추출조건의 설정을 위하여 microwave power(0, 50, 100, 150 W), 추출시간(1, 3, 5, 7, 9 min), 시료와 용매비(1:20, 1:10, 1:5, 1:2.5), 시료 입자크기(whole, 20, 40, 60 mesh) 별로 구분하여 추출하였으
        132.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포도씨유 제조기술 개발 및 시제품을 생산하기위해 먼저 일반 재배 및 유기농 재배 포도로부터 각각 수거된 포도씨의 수율, 및 기능성성분(지방산, 피토스테롤, 토코페롤, 총카테킨 및 4가지 카테킨 조성)의 차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다음, 용매추출법과 화학적 정제방법에의한 포도씨로부터 고품질의 포도씨유의 제조기술을 개발하고 시제품을 생산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 재배 및 유기농 재배 포도로부터 얻어진 포도씨유 및
        13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일원에서 수집된 왕머루 (GW-22, GW-45, GW-56, GW-200, GW-202, GW-300)의 화형에 따른 화분 특성 및 포도와 교배친화성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각각의 꽃 구조와 화분발아능력, 화분 형태, 화분크기 및 포도와 교배화합성을 조사하였다. GW-22와 GW-56의 꽃은 암술이 퇴화하고, 5개의 수술대가 곧은 직선이었다. 이들 각각의 계통은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27.6~29.8%였다. GW-45, GW-200, GW-202, GW-300의 꽃은 잘 발달된 암술과 5개의 수술대가 바깥쪽으로 말린 형태였다. 이들 계통은 모두 인공배지에서 화분발아율은 0%였다. 이들 계통은 자가수분된 머루에서는 과립과 종자를 얻을 수 없었다. 머루간의 상호교배에서는 착과율이 14.1~45.4%였다. 따라서 왕머루의 꽃 형태는 Vitis종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암머루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 종자를 형성하였고, 포도와 수머루의 교배시 정상적인종자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암머루와 암머루의 교배시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머루는 포도와 상호교배친화성이 있으며, 왕머루계통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134.
        2004.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추출용매 및 주정에 의한 탈지 및 비탈지 포도종자 추출물의 수율,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pH에서 처리된 추출물의 저장시 항산화력 변화를 살펴보았다. 추출수율은 탈지 및 비탈지 처리한 포도종자 분말 모두 에탄올로 에서 6시간 추출하였을 때 각각 로 다른 유기용매에 비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ethanol, acetone-acetic acid 및 acetone 순으로 나타났으며 ethanol 탈지추
        135.
        2004.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포도주스의 가공 공정중 열처리 조건이 anthocyanin색소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함으로서 anthocyanin 색소의 파괴가 최소화 되는 열처리 조건을 결정하는 기초자료를얻고자 실시하였다 Anthocyanin 색소 동정을 위한 분석결과 딸기의 주요 적색소는 pelargonidin-3-glucoside이며, 미국산 포도의 과피 및 주스의 주요 적색소는 delphinidin-3-glucoside와 cyanidin-3-glucosid
        136.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포도 거봉종의 종자와 과피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암세포들에 대한 세포 독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온도를 달리하여 추출한 종자와 과피의 에탄올 추출물과 추출물에 대한 분획물들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의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종자 및 과피 에탄올 추출물 모두 온도변화에 따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지질과산화물의 감소효과가 증가하였다. 종자 추출물의 경우, 3에서 추출한 에탄올추출물이 20 /
        137.
        2002.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품부산물인 포도과피에 함유된 수용성 색소인 anthocyanin을 새로운 천연식용색소로 개발하고자 pH, 당, 유기산 및 빛 등의 영향에 대한 색소안정성을 조사하였다. 포도과피의 anthocyanin 색소는 pH가 낮을수록 색깔의 강도가 높고 안정하였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하는 bathochromic shift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영향은 pH가 낮을수록 안정하였고 pH 가 증가할수록 색소파괴가
        13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microbial and glucosyltransferase(GTase) inhibition activity were searched for 30 species of various folk drugs and by products of food industry. Among them, two species, gallnut and red grape husk water extracts, were selected for the powerful antimicrobial and GTase inhibition activity. The polyphenol fractions of gallnut and red grape husk were showed very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on both Gram(+) and (-), B. subtilis and E. coli. The minimum antimicrobial activity of gallnut polyphenol fraction were 1.0mg for B. subtilis and 3,0mg for E. coli. Red grape husk was 2.0mg for B. subtilis and 3.0mg for E coli. The polyphenol fractions of gall nut and red grape husk were showed powerful GTase inhibition activity. The concentrations of these fractions for 80% inhibition of GTase activity were 1.0810-3/mg/㎖ and 1.0810-2/mg/㎖,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compound in these fraction seems to be polyphenol derivatives. From these results, we think that the gallnut and the red grape husk polyphenol fraction had more antimicrobial and anti-plaque activities than artificial synthetic preservatives as an economic point of view.
        140.
        200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DE 방법으로 추출한 블랙올림피아, 캠벨, 델라웨어의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각각 77종, 72종, 74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동정하였다. 블랙올림피아의 주요향기성분으로 (E)-2-hexenal(20.36%), diethylacetal(18.03%), hexanal, ethyl acetate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캠벨에서는 에스터류로써 30.81%를 나타낸 eth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ethyl (E,E)-2,4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