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1

        12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antidiabetic and lipid metabolism of water extract paecilomyces japonica(PJ) in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Diabetes were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STZ at a dose of 42mg/kg dissolved in citrate buffer. The water extract of paecilomyces japonica were orally administrated once a day for 7 days at a dose of 500mg/kg or 1,000mg/kg. The content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TG),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J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 content of hepatic glycogen and activities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H), glucokinase(GK)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activity of glucose-6-phoshatase(G-6-P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J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those of STZ-contro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extract of paecilomyces japonica would have antidiabetic and lipid metabolism effect in STZ-induced diabetic rats.
        4,000원
        12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마늘 (FGP), 홍마늘 (RGP) 및 흑마늘 (BGP)의 동결건조 분말을 각각 3%씩 비만 유도된 흰쥐에 4 주간 혼합 급이한 후 혈청, 간 및 분변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식이효율은 마늘 분말 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낮았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혈청 중 총 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7.0~20.9%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RGP군은 42.1%, BGP군은 40.8%정도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마늘 분말 급이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 준이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마늘 분말 급이시 감소되었으나 대조군과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의 총 지질은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RGP와 BGP 급이군에서 30%이상 감소되 었다. 분변의 지질 함량은 마늘 분말의 급이 기간이 길수록 지질 함량이 높았으며, RGP군에서 총 콜레 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배출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혈청과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 여 RGP군과 BGP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항산화능은 혈청에서 RGP군이 68.1%로 대조군에 비하 여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지방식이로 인해 비만이 유도된 흰쥐에게 홍마늘 및 흑마늘 분말을 급이는 체지방 증가 억제, 체내 지질 배출 증가 등에 의한 체내 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 료된다.
        4,300원
        12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ioa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E) on reduction of plasma lipids levels in rats fed high-fat diets (Expt. Ⅰ), and on liver function recovery of hepatotoxicity rats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arbon tetrachloride (CCl4) or by orally administration of alcohol (Expt. II) were investigated. In expt. I, twenty seven, male rat SDS(sprague dawley strai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treated groups, including normal control group,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and HFE (HF plus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extract at 5.0 mg/100g of body weight). In expt. II, forty five, male rats (SD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of the five groups: T1 (control), T2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T3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Cl4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ME), T4 (orally administered with combination of ME and alcohol), T5 (orally administration of ME after orally administered with alcohol).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plasma (TAG), (TC), (LDL-C) in the HFE group with orally administered doses of ME at 5.0 mg/100g of body weight, respectively, however, the (HD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HFE group as compared to HF group with high fat diets which have no extracts (p〈0.05). The levels of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γ-glutamyl transferse(γ-GTP) and bilirubin were highest in T2 or T3, and high in order T4 or T5, and lowest in T1 except for bilirubin which has same with T4, T5 (p〈0.05). The high recovery of liver damage by CCl4 from the light microscopic appearance was observed in rats (T3) with extracts, and also high in T4 than T5 by orally administrated with alcohol. In conclusion, the ethanol extracts from fly maggot may have a bioactive effects to prevent for human lipids disorder and alcoholic disease.
        4,000원
        12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elucidate the effects of an obesity control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serum lipid levels, 31 obese elementary students (male: 25, female: 6) residing in the Gyeonggi area were evaluated and their body composition,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triglyceride) were analyz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body mass index) were 11.52±1.00 yrs, 151.96±8.04 cm, 68.21±9.03 kg and 29.40±1.79 kg/m2 for the males, respectively, and 11.17±1.17 yrs, 147.83±5.15 cm, 65.05±10.86 kg and 29.62±3.24 kg/m2 for the females,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MI for males (p〈0.001) and females (p〈0.05).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hanges in all of the biochemical level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Specifically, the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level decreased after the obesity control program, while the HDL-cholesterol level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besity control programs do change the BMI, serum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G levels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Thus, obesity control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to prevent degenerative disease and decrease obesity among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4,000원
        13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ied powder of chestnut on lipid metabolism, anti-thrombotic effect in rats. Thirty 5-week-old male Sprague Dawley (SD) ra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ive groups and used for experiment. We examined the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of SD rats administered for 5 weeks with 0.16 g/kg, 0.5 g/kg chestnut flesh powder and 0.16 g/kg, 0.5 g/kg chestnut inner shell and flesh powder mixture, respectively. Foo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were also checked.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e antithrombotic capacity and total lipid levels of the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negativ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chestnut on diet lower the total lipid level in SD rats.
        4,000원
        134.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장뇌삼 엽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장뇌삼 잎의 성분분석 및 장뇌삼 엽차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장뇌산삼 엽차를 7주간 공급한 후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장뇌삼 잎의 수분은 19.14%, 조회분은 6.64%, 조지방은 0.82%, 조단백질은 11.03%, 조섬유는 11.47%, 탄수화물은 62.37%를 나타내었고, 무기질 중에서는 칼륨이 2,111.38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장뇌삼 잎에서는 카페인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170.48 mg/100 g의 탄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렉틴 함량은 5,540 mg/100 g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공여능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장뇌삼 엽차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장뇌삼 엽차를 500 ppm로 처리 하였을 때에는 45%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으로 측정한 항산화활성은 pH 3.0 보다 pH 6.0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pH 6.0에서 250, 500, 1,000 ppm 농도로 처리했을 때 각각 23.47, 32.84, 51.41%를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를 7주간 급여하며 장뇌삼 엽차를 병행 투여하였을 때 식이섭취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과 장뇌삼 엽차를 병행 투여한 실험군 모두가 정상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장뇌삼 엽차 급여군은 약 6.4% 감소하였다. 체중 100 g당 간의 무게는 3.11±0.29 g인 정상군에 비해 4.82±0.08 g인 고지방 급여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병행급여군도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혈액 중 총 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66.2%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급여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8.0%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혈액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66.6% 증가하였으며, 장뇌삼 엽차 공급 시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액 중 중성지질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서 172.5% 증가를 나타내었고, 장뇌삼 엽차 공급군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7.3% 감소하였다. 혈액 중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식이 급여로 36.4%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장뇌삼 엽차를 병행급여하였을 경우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장뇌삼엽차의 항산화활성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 등을 통해 장뇌삼엽차의 개발 및 산업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었으며 추가 실험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3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항암, 항균, 항산화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식물성 플라보노이드인 naringin이 암컷 SD rat의 지질대사와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5주령의 암컷 SD rat를 대상으로 일주일에 3번, 총 5주 동안 naringin을 경구투여하여 지질대사와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은 대조군(non naringin group), 저용량 naringin 투여군(0.2 g/kg), 고용량 naringin 투여군(0.5 g/kg)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랫드의 체중증가량과 상대장기중량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증가량에서 3주차 이후에 용량에 비례하지는 않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naringin 투여군의 체중 증가율이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을 이용하여 각 군의 5주간 식이효율을 구해보았을 때,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장기와 조직의 상대장기중량은 간을 비롯하여 신장, 비장 모두 naringin 투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glucose의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naringin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의 수치를 이용한 Atherogenic index 즉,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고용량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혈전능 실험결과에서는 고용량 naringin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암컷 SD rat에서 naringin은 체중감소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지질저하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면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천연물 소재에 널리 분포된 naringin은 고혈압과 당뇨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동맥경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이라 판단된다.
        4,000원
        138.
        200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2% Lycii fructus powder (LFP)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1% cholesterol and 0.25% sodium cholate to induce hypercholesterolemia. Then, 40 rats were divided into four diet groups: a normal diet group (NC), high cholesterol diet group (HC), normal diet plus 2% Lycii fructus powder (NC-LFP) group, and high cholesterol diet plus 2% Lycii fructus powder (HC-LFP) group. The HC group presented higher growth rates and liver weights than NC and NC-LFP however, growth rates and liver weights in the 2% LFP administered groups gradually decreased. HC also showed increas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nd decreased atherogenic index values, HDL-cholesterol, and phospholipid levels, whereas LFP group showed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as compared to HC.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rum triglyceride, phospholipid,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free cholesterol concentrations between the normal diet groups (NC and NC-LFP).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HC and HC-LFP)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sparate aminotransferase (AS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ase) activities. And the 2% LFP administered groups had lower hepatic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than the HC groups. Overall, the results suggest that Lycii fructus powder has hypochloesterolemic effects by reducing serum and liver cholesterol contents.
        4,000원
        139.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식의 해외 현지화를 목표로 take-out형 franchise system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국적인 특성을 나타내면서 미국인들에게 선호도가 높았던 4 개의 품목을 선정하여 한국식단의 영양적인 우수성을 확인 하고자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총 9주로서 전반기 5주(실험 1期)는 모두 고지방식을 급여하였고, 후반기 4주(실험 2 期)는 동결건조된 한식(제육볶음, 김치볶음, 두부조림, 나물 무침)을 첨가한 실험식이를 급여하였다. 대조군은 실험 전 기간 동안 고지방식만 급여하였다. 실험종료시 체중은 실험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실험기간 동안 일당 증체 량과 식이효율도 차이가 없었다. 장기무게는 대조군(A)이 한식식이군(B~E)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 체지방의 축적 지표로서 내장지방량(RFP, EFP)은 대조군(A)보다 김치볶음군(C)과 두부조림군(D)이 20% 감소하였다. 고지방식을 급여한 후 한식첨가식이를 4주 동안 급여후 혈청 지질 중 TC농도는 나물무침군이 94.13 mg/dL로 실험군중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TG농도는 실험군간에 통계 적인 차이가 없었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농 도는 제육볶음군(20.38 mg/dL)이 두부조림군(17.25 mg/ dL)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김치볶음군과 나물무침군은 차이가 없었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농도는 두부조림군이 가장 높았던 반면 나물무침군이 통계적으로 가장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김치볶음과 두부조림 및 나물무침은 한국적인 특성과 건강기능성을 갖는 한식품목으로서 향후 이들 품목과 제육볶음을 적정하게 응용하여 미국인의 입맛에 맞는 take-out형 음식이 개발된다면 미국인들에게 한식의 영양적인 우수성과 인지도를 높여 널리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4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emella fuciformis were collected from dead Quercus limbs at Haenam, Jeonnam province in 2003 and cultured in artificial media with Hypoxylon sp., a symbiotic fungi. Various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is cultured mushroom according to three experimental settings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were examine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remella fuciformis was evaluated by scavenging activity of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ABTS+),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y. Among the extracts, the chloroform extract from in experimental setting I showed the most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each assay, showing 56%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0 ppm and 35.7% of ABTS+ scavenging activity at 1,000 ppm. Total phenolic content were estimated in various extract by using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and ferulic acid as standards. Correlations of phenolic content in each extracts with antioxidant activity will be discuss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