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02

        121.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용꽃은 일반적으로 개화된 상태에서 수확, 줄기가 없는 상태에서 유통되므로 저장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것 이 단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러 종류의 포장 필름 중식용꽃의 상온유통을 위한 효과적인 포장재를 선발하 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용꽃 재료로는 꾸준한 수요로 연중생산 되고 있는 금어초, 금잔화, 비올라, 패랭이, 팬지, 한련화 등 총 6종으로 실시하였다. 유통 시 적용할 포장 필름을 선 발하기 위하여 0.03mm 두께의 polyethlene (PE) film와 polypropylene (PP) film을 대조구로 하였으며 필름 표면의 미세한 천공을 통해 산소투과도 (OTR-Oxygen Transmission Rate)를 조절할 수 있는 6가지 종류의 필 름인 PE 0.03 mm (LF10, LF20, LF30), PP 0.0 3mm (LF10, LF20, LF30) 등을 이용하였다. 식용꽃의 상온 유통시 금잔화, 한련화는 필름별 차이가 없었으며,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PP (LF10)필름이 효과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올라, 패랭이, 팬지는 꽃잎이 바깥쪽부터 말리기 시작하면서 노화 증상이 나타났고, 한련화는 꽃잎 무름과 변색, 금어초는 갈색 점이 나타 나면서 부패증상이 나타나는 등 식용꽃 종류별로 노화 유형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4,000원
        122.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malt extract on the hardness, moisture, water soluble starch (WSS) contents, and in vitro starch digestibility (IVSD) of Jeungpyun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25±1℃) and refrigeration temperature (4±1℃). Resistant starch (RS) and soluble starch (non-RS) contents were also evaluated.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hardness increased in Jeungpyuns with the malt extract-added Jeungpyun groups (malt-added Jeungpyuns) exhibiting lower hardness than the control. The rate of retrogradation was faster upon storage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Moisture and WSS contents as well as IVSD of Jeungpyuns decreased, whereas these levels were higher in malt-added Jeungpyuns compared to control. Storage increased RS contents in Jeungpyuns stored for up to 4 days, particularly at 4℃, whereas there was a decrease in RS content after 7 days of storage. However, RS content was lower in malt-added Jeungpyuns compared to control. Soluble starch (SS) contents of Jeungpyuns decreased. However, SS content was higher in malt-added Jeungpyuns than that of control. The reduced hardness and RS content as well as the rate of increase in other parameters of malt-added Jeungpyuns were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malt extract. These results reveal that addition of malt extract delayed retrogradation of Jeungpyun, whereas retrogradation possibly increased the content of RS during storage at both temperatures, however, that of RS decreased with increasing level of malt extract, suggesting that the level of malt extract as well as the storage conditions are important for obtaining acceptable texture and retaining the RS content of Jeungpyun, which is known to possess physiological activity.
        4,000원
        123.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캐나다까지 장거리 수출조건은 선적 후 통관까지 20일 동안은 7±1℃와 90% 상대습도가 유지되었고, 이후 저장창고 이송전에 3시간만에 13℃까지 상승한 후 저장창고 이송후 3일간 3~4℃와 90% 상대습도를 나타내었다. 이후 상온조건의 판매소에서는 16℃에 60% 이하의 상대습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유통조건을 기초로 7℃, 90% 상대습도에서 15일간 저장한 후 20℃, 55% 상대습도에서 7일간 저장하는 조건에서 MA저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포장방법에는 무처리와 기존의 유공포장(6mm 직경의 구멍이 18holes/m2) 그리고 레이저로 가공한 3가지 비천공 필름 (산소 투과도 5,000과 20,000 그리고 100,000cc/m2·day·atm)로 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는 3가지에서는 1% 이하였으나, 유공처리과 무처리는 4% 이상으로 품질 저하가 나타났다. 상온으로 이동한 저장 15일 후 포장재내 대기조성이 5,000cc/m2·day·atm비천공필름처리는 산소 5%, 이산화탄소 15%를 나타내었고, 20,000cc/m2·day·atm 비천공필름처리는 산소 16%, 이산화탄소 4~5%를 나타내어, 이들처리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파프리카의 적정 범위를 상회하였다. 포장재내 에틸렌 농도는 처리간 큰차이가 없었다. 저장 중 외관상 품질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었던 100,000cc/m2·day·atm 비천공필름처리에서 가장 높게 유지되었으며, 경도와 당도는 비천공 필름간 차이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20일 이상의 장기 유통 중 판매가 상온에서 이루어질 경우 포장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3% 이하로 유지될 수 있는 100,000cc/m2·day·atm의 통기성을 가장 포장재가 파프리카 MAP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124.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냉장 및 상온 저장 시 일반세균, pH, color, firmness 등의 품질특성에 있 어 염수 세척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료는 세척하지 않은 대조구, 염수세척 시료구,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한 시료구 세 가지 종류로 준비하였다. 일반세균의 경우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한 경우 에 염수세척 시료구와 비세척 대조구에 비해 세균수가 저감화되었으며, 대수증식기가 나타나지 않 았다. pH의 경우, 비세척 대조구와 염수세척 시료구에서는 다소 감소했으나, 염수세척 후 물기를 제거한 시료구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색도는 비세척 대조구와 염수세척 후 물기제거 시료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나, 염수세척 시료구에서는 감소되었다. 경도의 경우 4℃에서 저장했을 때, 저장 간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딸기를 염수세 척하여 물기를 제거할 경우, 저장기간을 크게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25.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져서 가열한 마늘 베이스를 고추장에 0, 10, 20 및 30% 첨가하여 양념고추장을 제조하고 37±1℃에서 저장하면서 0, 20 및 40일에 그 품질특성의 변화를 실험함으로서 양념 고추장 소스의 개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양념고추장의 L값과 b값은 저장 20일에 감소하였다가 40일에는 다시 증가하였으며, a값은 저장 20일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가 40일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pH는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져 양념고추장 제조 직후 30% 첨가구에서 5.22로 유의적으 로 높았고, 산도는 저장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환원당의 함량은 저장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더 낮았다. 아미노태 질소 는 저장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마늘 베이스의 첨가량에 따른 유의차는 없 었다. 양념 고추장 5배 희석 여액을 25, 50 및 100 μL씩 첨가하여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저장 직후에는 100 μL 첨가시 94.36-96.72%의 범위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마늘 베 이스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활성이 더 높았다. 저장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라디칼 소거 활성은 저하 하여 저장 40일에는 50% 미만이었다.
        4,000원
        126.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의 생육단계에서 재배온도 및 상대습도를 조절하여 선도 유지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수행한 결과, 생육온도별 저장기간에 따른 버섯의 수분함량은 상대습도가 낮은 처리에서 다소 낮았다. 생육조건별 중량감모율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으며, 처리간 큰 차이 없었고, 갓신장율은 저온생육시에는 상대습도 95±5% 처리에서 저장 21일에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에서는 상대습도 80±5% 처리에서는 저장 24일에 가장 높았다. 버섯의 물성을 분석한 결과, 경도와 탄성은 저장기간이 길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상대습도 및 생육온도에 의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을 발이유기 후 생육온도 13℃, 상대습도 80%이상으로 조절하여 생육하여 250~300g 랩포장하여 4±1℃에 저장 했을때 24일까지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4,000원
        127.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changes in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of intact and fresh-cut butto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Freshly collected mushroom was cut into approximately 0.5 cm thick slices and washed in tap water or 100 ㎕L-1 chlorine solution (pH 7) for 60 seconds. Intact mushrooms were washed in the same condition as cut samples. Both intact and fresh-cut samples were then dried, packaged in 50㎛ poly ethylene bags, and stored at 5 ℃ for up to 9 days.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parameters such as gas composition, color, off-odor, visual quality, electrical conductivity, E. coli / coliform count, and total aerobic population were evaluated during storage. All sample packages exhibited a rapid depletion of O2 (to ~0 kPa) and accumulation of CO2 (10.3 to 12.6 kPa)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No significant color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ap water and chlorine. However, chlorine treatment was effective in reducing off-odor development of intact and fresh-cut samples at the end of storage. The chlorine application also reduced aerobic bacterial populations. Both Intact and cut mushrooms had ≤ 5 log CFU/g of total aerobic plate counts until the end of storage. Fresh-cut samples regardless of chlorine sanitation had higher overall visual quality score than intact samples. Results indicated that fresh-cut mushrooms treated with chlorine maintained quality and shelf-life throughout the 9 day storage period.
        128.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suitable conditions of Pleurotus eryngii through precooling for the more long-term freshness. The time to be same temperatures between P. eryngii and storage room through precooling at 0℃ and 4℃ were showed 2 hours and 5.5 hours, respectively. P. eryngii was cooled within 6 hours and 18 hours at 0℃ and 4℃ with two type, forced air cooling and pressure cooling. After precooling, P. eryngii was packed 400±10g with anti-fog film, and then stored at 4±1℃. In all treatment of precooling, the weight loss was peaked at 25 days and hardness of P. eryngii were decreased at 10 days during storage. There were no significant freshness differences between precooling type and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optimum stored period of P. eryngii at 4℃ after precooling was estimated to be 30~35day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elucidate efficient and economic precooling conditions.
        129.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애호박은 수확 중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유통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PET(polyethylene terephthalte)와 PE(polyethylene)를 접합시켜 만든 플라스틱 봉지(두께 0.1mm)를 과실에 덮어씌우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스틱 봉지의 피복이 애호박의 품질 향상과 유통기간 연장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애호박의 플라스틱 봉지씌우기가 과실 수량과 과실 길이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무처리에 비해 과실 무게가 가볍고 주당 과실수가 증가하였다. 이는 봉지씌우기를 함으로써 과실 비대가 제한되어 착과 수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플라스틱 봉지씌우기는 애호박의 균일성을 높이고, 저장기간 중 과실의 감모율과 연화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애호박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수단으로 재배 중에 플라스틱 봉지씌우기가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30.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재 최근 막걸리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막걸리의 경우 유통 중 발효현상에 따른 저장 안정성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저장을 위한 안정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장 시료로는 대조구 및 원심분리를 하여 얻은 상층액(SS), 침전물(SD)로 하였다. 저장 실험은 10oC에서 30일 동안 시행하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취한 시료에 대해 이화학 분석 및 미생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군에 대해서 환원당은 10일째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산도 및 색도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침전물 부분은 yellowness value가 저장 초기보다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미생물의 경우 유산균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효모는 저장 15일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유의차는 크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원심분리한 후 저장한 시료군에 대하여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저장 방법이 저장 유통 중 막걸리의 품질변화 개선 효과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막걸리 제품에 대해 분리형 포장 기법이 막걸리 유통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31.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전통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서 우리 나라 고유의 술인 막걸리 소비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량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막걸리의 유통 및 저장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생물 제어 기술로서 냉장 유통과 가온 살균에 제한되어 표준화된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유통기간 연장 방법의 하나로 막걸리를 급속동결(Quick Freezing, QF) 및 완만동결(Slow Freezing, SF)을 하였으며 이에 따른 품질 변화를 실험하였다. 즉, 동결 방법에 따라서 4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10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10oC에서 24시간 해동시킨 후 이화학 분석 및 미생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료군에 대해서 환원당은 저장 10일째 급격히 증가한 후 저장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 증가폭은 크지 않았다. 산도 및 색도 경우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생물의 경우 젖산균 및 효모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경우 초기 젖산균이 4.1×107 CFU/mL에서 저장 20일째 QF는 3.6×106 CFU/mL, SF는1.8×104 CFU/mL로 나타나 QF 경우보다 SF경우 저장 중 젖산균에 대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효모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냉동 방법과 기간에 따라 막걸리 내 미생물의 생육을 제어하는 가능성을 알아볼 수 있었다.
        4,000원
        13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vinegar, alcohol and ascorbic acid on the color, microorganism,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pattern of minced ginger (MG)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for 28 days at 30℃. The values of L (lightness),a (redness) and b (yellowness) of the control (T-0) and all the treatments changed slightly at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however the elapse of time accelerated the changes.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0 showed 5.37 × 107CFU/g at the initial stage, but the MG-treatments decreased the bacteria above 4 log compared to T-0. It was showed that the additives were effective for inhibition of the growth of microorganism. Sensory properties of flavor intensity t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0 and MG-treatments (p < 0.05). The result of volatile flavor contents of electronic nose analyzer (ENZ) showed that MG-treatments (T-I, T-II, T-III) was recognized stronger than non-treatment at the initial stage, but the change of flavor compound were stabilized soon regardless of type or quantity of additives during total storage period at 30℃.
        4,000원
        135.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itrus계 식용 코팅제인 beeswax-hydroxypropyl methylcellulose(BW-HPMC), soybean oil-carboxymethyl cellulose(SBO-CMC), carnaubawax-shellac-locust bean gum(CW-SL-LBG)를 각각 사용하여 레몬에 먼저 1차 코팅하고 항산화제인 비타민 C와 E를 섞어 그 위에 제 2차 코팅하여 이중층의 multilayered 레몬을 제조하였다. 레몬 껍질 위에 형성된 막의 양은 CW-SL-LBG, BW-HPMC, SBOCMC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가속 저장 실험 조건으로 30oC의 항온기에 12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자의 중량감소율, 부패율, 경도,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 갈변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중량감소율, 부패율, 경도, 갈변도는 CW-SL-LBG가 가장 작은 변화를 보였고, pH, 가용성 고형분, 적정산도의 변화는 SBO-CMC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저장성의 관능검사에서는 CW-SL-LBG가 가장 양호하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CW-SL-LBG가 비타민 C와 E를 함유한 multilayer 코팅에 가장 적합한 물질로 평가되었다.
        4,000원
        136.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냉동요구르트 제조 시 trehalose와 sorbitol 첨가가 유산균의 동결변성방지 및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요구르트를 L. bulgaricus와 S. thermophilus 단독균주 및 혼합균주로 발효시켰을 때 처리구 모두 trehalose와 sorbitol 첨가에 의한 발효과정 중 유산균의 증식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요구르트를 6주간 냉동저장하는 동안 trehalose와 sorbitol 첨가에 의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산균수의 차이가 없었으며, MRS 액상배지에 trehalose와 sorbitol을 각각 2%, 5% 첨가하여 6주간 냉동저장하였을 때는 5% trehalose 처리구의 동결변성방지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저장 기간 동안 고형분 함량이 12%인 처리구와 20%인 처리구의 생균수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고형분 함량 차이에 의한 trehalose와 sorbitol 효과에는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요구르트의 동결과 해동을 반복하였을 경우 trehalose와 sorbitol 모두 2% 첨가구보다 5% 첨가구가 우수한 동결변성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Trehalose 첨가구가 sorbitol 첨가구보다 2%, 5% 모두 동결변성방지 효과가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Trehalose와 sorbitol을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였을 때 향미성분의 함량은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며 일반적인 요구르트의 향미를 나타내었다. 냉동저장 중 요구르트 향미성분은 손실되거나, 함량비율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요구르트의 풍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냉동저장에 의한 유산균의 동결변성방지제로서의 trehalose첨가가 냉동요구르트의 유산균 안정화에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4,000원
        138.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mboo leaf powder was added to Chiffon cake to increase its neutraceutical effects and storage periods. Specifically, 0, 7, 10 and 13% leaf powder was added to the cakes. The content of total dietary fiber in the bamboo leaf powder was 65.57%. The moisture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The cake containing 10% bamboo leaf powder had the greatest volume, whereas the control group (0% bamboo leaf powder) had the lowest volume (p〈0.05). The Hunter's L and a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bamboo leaf powder increased. The b value of the control was lowest among the groups (p〈0.05). Evaluation of the consumer acceptance of flavor revealed that the cakes containing the added bamboo leaf had greater consumer acceptance than the control. However, when the color was evaluated, the 13% group showed the lowest acceptance (p〈0.05). Other factors such as texture,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Additionally, the elasticity did not differ among groups, while the air cells were most uniform in the control. The strength of bamboo leaf aroma, bitter taste and aftertaste increased as the amount of bamboo leaf powder added increased. Cakes containing 10% and 13% added powder had the greatest moisture content, while the control had the lowest content (p〈0.05). As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0% bamboo leaf powder was the optimal level for the preparation of Chiffon cake. To evaluate the storage of cakes, the 10% group and the control were inocula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then incubated at 30℃ for 6 days. The microbial colony cou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fter 48 hrs; however, the fungal concentration of the 10% group did not increase for 4 days.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10% bamboo leaf powder to Chiffon cake increased the storage time while maintaining adequate consumer acceptance.
        4,000원
        139.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standardize a preparation method for low-sodium tomato jangachi (traditional Korean pickle) via short-term fermentation with immature green cherry tomatoe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ferred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in different stages of storag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also performed a preference test on sampl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Immature cherry tomatoes were prepared in three different soy sauce concentrations --20, 40, and 60%-- and three different soaking temperatures --60, 80, and 100℃-- and then stored for 28 days at 5℃. As a result, the p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soy in the dipping solution (p〈0.05). The saltiness was maintained at levels of approximately 0.17~0.28% (20% group), 0.32~0.67%% (40%group), 0.48~1.00% (60% group) during storage period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altines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pickle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dipping solution.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the tomato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dditionally,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soy sauce used, the more rapidly the hardness of the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reduced at 100℃. PME activity moved within a narrow range, and then stabiliz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20%-100℃ was the most preferred condition overall, 40%-80℃ was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xture was most preferred, and 40%-80℃ was the condition that yielded the highest color scores.
        4,500원
        140.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차 잎 1.5 g에 증류수 100 mL을 가하여 75℃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녹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A 녹차 음료 (빛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음, 자연 상태의 대기 조건, 비타민 C 무첨가), B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30 mg/100 mL 첨가), C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무첨가)로 구분하여 4℃에서 28일간 저장한 후, 유용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페놀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 비하여 저장 28일 후 A 녹차 음료는 71.50%, B 녹차 음료는 73.88%, C 녹차 음료는 75.07%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A 녹차 음료는 87.87%, B 녹차 음료는 92.93%, C 녹차 음료는 88.39%이었다. 녹차의 유용 카테킨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28일간 저장 후에 A 녹차 음료는 130.61%, B 녹차 음료는 136.47%, C 녹차 음료는 4.34%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녹차의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며, 빛, 질소 치환, 비타민 C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