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2

        121.
        2009.1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tanium alloys have been attractive due to a high ratio of strength to weight as well as good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strengthening causes a decrease in ductility in Ti alloys, as is usual in other alloys. For enhanced strength without ductility reduction, grain refinement and tensil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thickness reduction of cold rolling and annealing condition in Ti-15V-3Cr-3Sn-3Al alloy with a β single phase.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specimen, which was cold-rolled by 90% and annealed at 700˚C for 5 min, was decreased to approximately 19 μm. The grain refinement of 63 μm to 19 μm increased yield stress by 90 MPa without a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elongation. The Ti-15-3 alloy exhibited very low work hardening during tensile test at a crosshead speed of 2 mm/min. This result was discussed based on dynamic recovery associated with dislocation annihilation in grain boundaries.
        4,000원
        122.
        2009.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hermoluminescent phosphors of LiYSiO4 containing rare earth metal(La) dopants of 1 wt.%5 wt.% were prepared, and their TL characteristic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function of parameters such as the doping level and the heating rate. The grain size and cooling temperature of the highly sensitive LiYSiO4: La phosphors have been investigated. The glow curve of LiYSiO4: La has two peaks (P1, P2), and the peak height ratio of the two peaks is called P2/P1; here, the main peak is P2.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eak height ratios of the glow curve for LiYSiO4: La are clearly correlated with the grain size and cooling temperature. The maximum P2/P1 ratio 3.25, the maximum sensitivity was observed for a grain size between 100-150 μm. The intensity of the TL peak of the phosphors was linearly proportion to the dose of X-rays.
        4,000원
        124.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effects of seeding rate and N fertilizer on leaf area index, dry matter accumulation,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in oats were studied using split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t seeding rate and N fertilizer ㏊d significant influence on leaf area index, dry matter accumulation and grain yield. With the increasing seeding and fertilizer rates, leaf area index, aboveground dry matter increased significantly. Oat reached the highest grain yield under 112.5㎏/h㎡ seeding rate, N2 was the best N fertilizer treatment for oat.
        13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캘러스, 반수체, picloram, 전처리양식을 규명할 목적으로 배양효율에 미치는 화분발육 단계와 온도전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Dreamland’의 감수분열중인 약을 현 미경적방법으로 검경하여 본 결과 화뢰의 길이가 23.0-24.9mm는 tetrad 단계이었고 25.0-26.9mm는 uninucleate 단계, 27.0-28.9mm에서는 binucleate 단계 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온 및 고온 온도처리 결 과는 전체적으로 캘러스 및 배 발생율은 저조하였고 특 이한 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Microgametogenesis 단 계별로 약배양 효율을 조사한 결과, late uninucleateearly binucleate 단계인 23.0-28.0mm에서 17.8% callus가 유도되었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6.7%로 나타 나 적정 배양 stag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된 캘 루스를 picloram과 zeatin을 혼용한 MS 배지에 이식 하여 25oC에서 배양하여 식물체를 얻었다.
        4,000원
        132.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해에서 자연 상태의 해빈(낙산-오산 해빈)과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해빈(안목-염전 해빈)의 퇴적물을 조사하고 두 해빈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4년 홍수기와과 2005년 갈수기에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 대해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낙산-오산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서는 해빈 남측으로 가면서 평균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는 등 퇴적상과 조직변수가 일정하게 변화하였으며 계절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안목-염전 해빈은 낙산-오산 해빈에 비해 후안 및 전안의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양의 왜도 값이 많았고 연근해를 포함하여 조직변수의 전체적인 변화 경향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두 해빈의 특징은 해안을 따라 흐르는 연안류가 해안선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고 이로 인해 퇴적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안목-염전 해빈은 인공구조물(안목항)이 연안류의 흐름을 막아 자연 상태와는 다른 퇴적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목-염전지역은 항만의 공사가 추가로 계획되어 있어 향후 지속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4,200원
        13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기존 비닐하우스 아연도 강관을 사용한 하우스 폭 3.6m와 5m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하우스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고, 인장강도 400N·mm-2(SGH400 등) 이상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하우스 폭 5m인 천창개폐형 대립계 포도 비가림하우스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한 최적 파이프 규격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주기둥 3m×서까래 60cm인 천창개폐형 3.6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 적설심 35cm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측면 및 전후면 풍속 35m·s-1에서는 불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 간격을 갖는 천창개폐형 5m 비가림하우스의 경우에는 적설심 35와 풍속 35m·s-1에서 모두 불안전하여 구조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동일 주기둥과 서까래간격을 가지나 인장강도 400N·mm-2 이상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천창개폐형 5m 비가림하우스의 최적 파이프 규격은 지붕높이 1.6m(아치형)와 지붕높이 1.8m(복숭아형)에 대하여 동일하게 두 경우로 규격화 할 수 있었다. 즉, 안전풍속 35m·s-1와 안전적설심 40cm에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서까래 규격은 Φ31.8×1.5t@600이었으며, 안전풍속 35m·s-1와ss 안전적설심 35cm에서는 서까래 Φ25.4×1.5t@600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덕면으로부터 곡부보까지의 높이는 안전적설심보다는 안전풍속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처마를 높임에 따라 측면풍속에 대해서는 방풍벽파이프(측벽서까래)를, 전후면 풍속에 대해서는 마구리기둥의 규격을 강화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135.
        200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ere studied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and compared them with commercially sold dasik. Among the samples with the same number of grinding times, the sample groups with the higher amount of green tea showed significantly the less mosture content(p<0.05).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higher amount of green tea among the ones with the same grain size (p<0.05). The M13G0.5 was evaluated to have the highest savory aroma with significance (p<0.05), and C1 to have the highest sweetness by sensory analysis. The developed dasik samples with lower rice grain particle size had significantly lower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In sensory tests, the compa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savory aroma and flavor and very lower hardness when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With the results above, dasik with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were developed with improved qualitie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ly sold dasik.
        4,000원
        138.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번데기동충하초를 곡물배지를 이용하여 자실체를 형성하는 실험으로 액체종균제조에 적합한 조건은 맥아추출배지를 농도 0.7%, pH 5∼5.5,으로 조정하였을 때 균사의 건중량은 3.9∼4.1㎎/㎖로 양호 하였다. 자실체발생 최적 환경조건은 습도 95%, 온도 17℃, 조도 600 lx, 이산화탄소농도 500ppm하였을 때, 곡물배지 일반현미와 흑미에서 24.3g/병, 20.5g/병의 자실체가 형성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