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4

        121.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home range size of the Common Kestrel (Falco tinnunculus) by observation using the natural markings in the suburban area of Busan from December 2009 to May 2010. In all, 26 individual kestrels were observed in the study area, of which 14 individual kestrels were frequently observed (more than five times) and 12 were observed less frequently (less than five times). Mean home range sizes of the 14 frequently observed kestrels were estimate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minimum convex polygon (MCP) method and fixed kernel (FK) method): 34.49 ㏊(2.74–163.96 ㏊) by 100% MCP, 41.35 ㏊(3.54– 99.02 ㏊) by the 95% FK, 14.33 ㏊(0.20-31.57 ㏊) by the 75% FK and 5.75 ㏊(0.52–14.74 ㏊) by the 50% FK. The mean home range size was larg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estimated at 51.50 ㏊(15.04–163.96 ㏊) and 11.80㏊(2.74–24.48 ㏊), respectively, by the 100 % MCP method and 8.02 ㏊(2.38–14.74 ㏊) and 2.72 ㏊ (0.52–4.28 ㏊), respectively, by the 50 % Fixed Kernel method. The home range sizes by sexes in breeding pairs differed during the wintering and breeding seasons; the sizes decreased among females but increased among males during the breeding season. Such differences of home range sizes between sexes could be attributed to parental role division during the breeding season. Females stay in the nest or next to it during laying, incubating, and feeding activities, and males go far away from their nest sites to forage areas for their fledglings for most of the breeding period.
        4,300원
        12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승우 소설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탈향 모티프의 양상과 그 내면에 자리한 죄의식의 상관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한국 문단의 중견작 가로 그 위상을 굳건히 하고 있는 이승우는 비교적 초기부터 고향을 서사의 중 심에 둔 창작을 이어오고 있다. 다만 그의 소설에 표상된 고향이 그리움의 대상 이라든가, 회귀의 대상으로 그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특이성을 지닌다. 오히려 고향으로부터 의도적으로 벗어나려는 탈주의 본능, 더 나아가 고향 자체를 부정 하려는 의도적이며 과장된 행위의 표출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여타의 작가들 과 구별된다. 아울러 이토록 고향을 불편하게 인식하면서도 긴 작가 생활 내내 고향에 대해 이야기하기를 멈추지 않고 있다는 점도 관심의 대상이다. 이런 까 닭에 이승우의 문학에 있어서 고향이 갖는 의미를 규명하는 일은 그의 소설을 이해하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또한 이승우 소설에서 문제 삼고 있 는 탈향의 이면에는 주인공 개개인의 잠재된 죄의식이 중요하다. 이승우 문학의 원형질이라 해도 무방한 죄의식, 혹은 자책감이 탈향 모티프를 표상하고 있는 그의 작품들에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를, 그리고 이러한 죄의식이 그의 기독교적 세계관과는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5,700원
        1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청둥오리는 대표적인 한국내 월동 수조류로 넓은 농경지를 월동지로 이용한다. 한국의 중부지역에 위치한 만경강 하류지역에서 청둥오리 월동 행동권 및 월동지에서 이동거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1-2013년 월동기에 Cannon-net을 이용하여 포획된 청둥오리 7개체에 GPS-이동통신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를 부착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 분석은 GIS용 SHP 파일과 ArcGIS 9.0 Animal Movement Extension을 이용하였으며, 커널밀도측정법(Kernel Density Estimation : KDE)과 최소볼록다각형법(Minimum Convex Polygon Method : MCP)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둥오리 행동권은 최소볼록다각형법(MCP)에 의해서 118.8km2(SD=70.1, n=7) 이었으며, 커널밀도측정법(KDE)으로는 60.0km2(KDE 90%), 23.0km2(KDE 70%) and 11.6km2(KDE 50%)이었다. 야생동물위치추적장치(WT-200) 부착지점으로부터 이동거리는 평균 19.4km이었으며, 최대이동거리는 33.2km, 최소이동거리는 9.4km이었다. GPS좌표가 획득된 정점간 거리는 평균 0.8km이었으며, 정점간 이동거리는 최소 6.5km에서 최대 19.7km이었다. 청둥오리는 월동기 동안 매우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월동지에서 수계 의존성이 매우 높은 경향을 보였다.
        4,000원
        124.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 목적 : 감각방어가 있는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에게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5세의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 1명이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자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한 회당 30분씩 하루 3회의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총 8주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실험 연구방법(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인 ABA로 설계되었다. 대상자의 사회성을 저하시키는 주요 문제였던 귀막는 횟수와 시간은 총 14회(기초선 기간 3회기, 중재 기간 8회기, 재기초선 기간 3회기) 측정하였으며,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과 후에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ASP)과 사회성숙도검사(Social Maturity Scale)를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귀막는 횟수와 시간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AASP 검사의 low registration은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sensory seeking,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의 점수가 각각 정상범주에 가깝게 변화하였고 사회성숙도 검사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 및 감정의 조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500원
        125.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MR is a home-style food product designed for convenience and cooked outside the home leaving out cumbersome cooking process and consumed at home. The present paper aims to find out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HMR by analyzing data on food consumption during the 3 years between December 2010 and November 2013.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Costa et al. (2001), this study categorized HMR products as 3 types as follows: C1 (ready to eat), C2 (ready to heat) and C3 (ready to cook), and examined factors affecting purchase rate and per capita purchase price for each type of HMR product.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how that only the purchase rate of C3 products was influenced by whether the purchaser was housewife with job or not. For those who do not live together with parents, per capita purchase price for HMR was high; and the more they ate out, the higher the purchase rate of HMR was.
        4,300원
        126.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너구리는 대표적인 식육목 개과 동물로서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종이다. 너구리의 경우 광견병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으며, 광견병은 한강이북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 근 인구 밀집지역인 화성시, 수원시에서 발생함에 따라 사 육 개를 비롯한 야생동물에 대한 백신 투여 등 막대한 경제 적 손실을 유발하였다.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발생한 인 근 지역으로 방역범위 설정 및 매개체에 대한 지속적인 예 찰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해서 는 너구리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연구가 서식환경에 따른 행동권 파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견병 발생지역에 대한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너구리의 행동권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2014 년 10월까지 수원, 화성, 안산, 안양 지역에서 너구리를 포 획,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하였으며, 야행성인 너구리의 서식특성을 감안하여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추정 되는 시간인 매일 밤 8:00와 새벽4:00에 GPS 좌표를 취득 하였으며, 일주일에 3번(월, 수, 금) 관련 좌표를 송신 받았 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농촌지역(화 성, 안산, 평택-초지대, 농경지인접지역)과 도심지역(안양, 수원-도심생태하천, 도심공원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 석하였으며, 기온에 따른 행동권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 절기(11월-2월)와 비동절기(3월-10월)로 구분하여 너구리 의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행동권이 없이 비정상적인 패턴(분산, 일정한 행동권이 없는 경우)을 보이는 너구리는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행동권의 분석은 ArcGIS 9.X 버전을 이용하여 최소블록 다각형(Minimum Convex Polygon)으로 분석하였으며, 돌 출된 비정상적 좌표(5km이상 이동)는 결과에서 제외하였 다. 분석된 자료는 비모수 검증(Mann-Whitney test)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지역(n=7)은 평균행동권이 0.61±0.50㎢ (Mean±SD)였으며, 도심지역(n=4)은 0.61±0.44㎢으로 확 인되었으며, 비모수검증 결과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Z= -0.189, P>0.05). 따라서 농촌지역과 도심지역의 행동권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촌지역의 너구리는 산림지대가 주변에 있을 경우 산림 지역과 접해 있는 임연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하천 변의 너구리는 주변 농경지와 하천을 번갈아 가며 서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심지역 너구리는 도심생태하천의 경우 하천수계를 따 라 행동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간혹 아파트 단지까지 행동 영역으로 하고 있었다. 수원시 서호일대에 동일 지점에서 포획한 2개체의 경우 한 개체는 공원위주로 서식하였으며, 한 개체는 고립된 산림지역 위주로 서식하여 행동권이 겹쳐 지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동절기와 비동절기의 행동권의 차이는 동절기(n=7)의 경 우 0.55±0.47㎢이었으며, 비동절기(n=9)의 경우 0.40±0.38 ㎢로 수치상으로는 비동절기에 다소 좁은 행동권을 보였으 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너구리는 서식환경(기온, 서식지역)에 따른 행동권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집약 적으로 활동하는 너구리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문헌(최와 박 2006; 김 등 2008) 과의 비교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다만 농촌지역의 경 우 산림지역과 초지대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 며, 도심지역의 경우 하천수변 지역, 공원지역 등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간혹 민가 인근(아파트, 건물)으로 유입되는 경 향이 있었으나, 주 활동지역은 사람과의 접촉이 드문 지역 이었다.
        12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me physical therapy on patients who left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ed to the Daily living group, when it was applied to them,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s research subjects, 20 patients that were scheduled to leave the hospital after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chosen,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home physical therapy group(10 patients) and an Daily living group(10 patients)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During the 4-week research, home physical therapy was offered for 40 mins once for 5 days a week, and muscular strength, gait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strength,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and as gait components, endurance, speed, step time, single-limb support were analysed. For this experiment, pre- and post-measurement were perform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Daily living group's. In relation to gait components, gait endurance, gait speed, step tim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hereas home physical therapy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ingle-limp suppor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gait speed, single-limp support and step tim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home physical therapy group than in the Daily living group. In conclusion, positive results were revealed in both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ith regard to muscular recovery of lower limbs of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lking, but 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wo groups, it seems that applying home physical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maintaining a daily life.
        4,000원
        128.
        2014.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내 안전성 평가도구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에게 적용해봄으로써 노인의 가정환경 평가를 소개하고, 향후 국내에서의 적극적인 사용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정 내 안정성 평가도구 중 Safety Assessment Scale(SAS)는 다른 평가도구에 비해 비교적 문항수가 적고, 실시 방법이 간단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원주시에 거주하는 노인 두 명의 가정을 방문하여 SAS 평가를 하였다. 두 대상자 모두 독거노인으로 연령, 인지기능,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 Korea; MMSE-K)점수는 유사하였다. SAS 평가결과는 비슷한 인지 수준 의 대상자라고 하더라도, SAS의 점수에는 10점의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1의 경우 대상자 2에 비해 점수가 더 높았고, 즉 이것은 위험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특히 낙상 및 안전사고, 영양 상태의 위험이 컸고 이러한 항목의 중재 및 교육이 필요하였다. 앞으로 작업치료 영역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가정 내 환경에서의 안전성 평가의 중요성은 점점 더 부각될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의 안전한 가정 내 생활을 위한 중재 수립, 대상자 교육, 나아가 대상자의 가정환경 수정을 하기 위한 평가도구의 하나로서 SAS의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2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Bibimbap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blanching (BASB) or without blanching (ASB) pretreatment. BASB samples at 5.0 g showed higher moisture,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than the control (p<0.05). Color L, a, b-values of sample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content of Aster scaber powder (p<0.05). BASB samples showed lower hardness than ASB samples. BASB samples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SB samples. BASB samples showed higher sensory values for color, savory aroma, savory flavor, and aftertaste than ASB samples. Except for glossiness, BASB samples showed higher sensory acceptance scores than ASB samples.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 scores for ‘usually like’, re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Bibimbap as a home meal replacement, especially that containing blanching pre-treated Aster scaber powder.
        4,000원
        13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본 연구는 노인의 가정환경에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수준을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 평가도구(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 AHA)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연구방법:AHA의 개발을 위해 활동목록수집, 활동목록선별, 최종 활동목록선정, 척도수준 및 채점방법결정의 단계를 진행하였다. 최초 수집된 활동은 38개였고, 3차례의 선별을 통해 26개의 활동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별과정에 참여한 대상자는 전문가 10명과 일반 노인 145명으로 이들에게 설문조사와 패널회의를 실시하여 얻은 각 활동의 적합성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활동을 선별하였다. 측정 영역은 독립성, 어려움, 안전성으로 정의하였고, 영역별 척도수준은 독립성을 3점, 어려움과 안전성에서 각 4점으로 구성하였다. 채점방법은 리커드 단순합계 척도법으로 결정하였다.결과:AHA는 3개의 측정 영역과 각 영역마다 선정된 26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활동목록에는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14개,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11개, 여가활동 1개가 포함되었다.결론:AHA는 노인의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의 수행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도구로, 향후 재활분야에서 노인을 위한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개선 등의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31.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search on country-of-origin (COO) effects, or the impact that stereotyped perceptions about nations have on product evalua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Nebenzahl, Jaffe, and Lampert 1997), has been heralded as one of the most widely researched topics in international marketing. Whereas the vast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the general image of a country that triggers the COO effect (Roth and Diamantopoulos 2009; Usunier and Cestre 2007), in light of recent criticisms (e.g., Samiee 2010; 2011; Usunier 2006; 2011), latest literature takes on a narrower perspective by arguing that a company can primarily benefit from the COO effect if consumers believe that the country is a prototypical origin of products in that category (e.g., Switzerland for watches, France for fashion, Germany for engineering). This concept is also referred to as product ethnicity, or the extent of product-country matches (Roth and Romeo 1992; Tseng and Balabanis 2011; Usunier and Cestre 2007). Apart from country characteristics, recent research suggests to consider consumer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Josiassen 2011; Riefler, Diamantopoulos, and Siguaw 2012). Indeed, some scholars even argue that COO only matters for certain consumer segments such as ethnocentric consumers (Samiee 2010; 2011). For ethnocentric consumers, knowing the origin of the products they purchase is important because not buying domestic is considered as inappropriate because it causes harm to the domestic economy (Shimp and Sharma 1987).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how product ethnicity as a form of typicality influences and interacts with consumer ethnocentrism on preferences for domestic products. A controlled experiment with data drawn from a representative US household panel indicates that COO does matter, but, as expected, is contingent on both product typicality and consumer ethnocentrism. Based on realistic choices among several rental car options with varying degrees of typicality, we find that product typicality moderates the impact of consumer ethnocentrism on preferences towards domestic such that domestic country bias will be particularly strong when foreign products have a higher typicality. Furthermore, consumers prefer foreign products with a high typicality over foreign products with a low typicality if they are not ethnocentric. While such behaviour is rational, consumer ethnocentrism eventually neutralizes and even reverses the influence of foreign typicality on consumers’ preferences in that highly ethnocentric consumers rather choose foreign products of lower typicality than foreign products of higher typicality. The main contribution of our paper is three-fold. On the theoretical front, our paper extends research on home country bias and product ethnicity by offering insights related to the boundary conditions of COO effects, in light of special consumer segments such as ethnocentric consumers. On the methodological front, we offer an innovative way of analyzing COO effects that can overcome many criticisms raised on extant COO research. We thus offer a solution to Samiee’s (2009) call for more research using ecologically appropriate designs when analyzing COO effects. Finally, our paper has clear managerial implications. More concretely, our findings imply that also firms originating from countries with a favorable origin have to be careful when actively marketing their origin abroad, as they might be rejected by certain consumer segments.
        3,000원
        132.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cooking condition of rice for the cold chain as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Two types of rice varieties were cooked either on an electric rice cooker (ERC) or a super-heated steamer (SH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beef bone broth added before cooking. Cooked rice wasstored at 5oC for 3 days and the quality was analyzed by moisture content, color, reducing sugar content, textureprofile, and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trogradation of cooked rice prepared using SHS can bereduced during cold storage by the addition of beef bone broth. Also, the addition of more than 40% of beef bonebroth caused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cooked rice, and it appears that the addition of 10-20% of bonebroth is optimal for the overall quality of the cooked rice during cold storage.
        4,000원
        133.
        2014.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의 2012년도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수입 시장 규모는 1억호 이상의 가정 중 1%에도 못 미치는 보급률에도 불구하고 약 2400만 달러로, 현재까지는 가정용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제가 없으며 정부의 수거 및 재활용 계획이 일부 시범지역에 국한되어 있었으나 점차 확대될 전망으로 향후 큰 시장잠재력을 가지고 있음. 선호 가격대와 타겟에 대한 분석 이후, 분리수거가 활성화된 지역 중심으로 중국 하수관거의 특징 등을 고려한 기술을 채택한 제품을 개발하여 진출하는 것이 바람직함
        4,000원
        134.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s a home meal replacement with Angelica keiskei powder pre-treated by far-infrared radiation or freeze-drying methods.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P) showed significantly lighter, weaker green, and stronger yellow color values than powder subjected to freezedrying (FAP) (p<0.001). F-IAP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an that of the FAP.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IAP was 50.31%,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AP, at 43.51% (p<0.05). Color values of gruel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ed addition of Angelica keiskei powder (p<0.05). Gruels containing far-infrared treated Angelica keiskei powder (F-IAG) showed higher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well as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the gruels containing freeze-dried Angelica keiskei powder (FAG). Gruels containing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showed 2.0 to 2.5 times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containing powder alone due to the presence of other ingredient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black soybean or sweet pumpki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IAG containing more than 5 g of Angelica keiskei powder had higher sweetness and roasted grain flavor, as well as lower bitterness and astringency compared to FAG. Sensory acceptance tests of all samples showed higher scores than 5.0 representing possibilities of successful development of gruels as a home meal replacement containing Angelica keiskei powder.
        4,000원
        135.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달 서식지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이 수달의 서식지 선택 요인 중의 하나인지를 구명하고자 연구하였다. 강원도 화천군의 북한강 본류와 지류 지천에서 수달흔적 발견지와 미발견지를 조사하였다. 수계의 식생형은 세 유형(단경초지형, 장경초지형, 관목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단경초지는 연수위변동이 큰 파로호와 북한강 상류에 분포하며,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하늘지기 (Fimbristylis dichotoma), 좀명아주 (Chenopodium ficifolium) 같은 일년생식물이 매우 우점한다. 관목지는 지촌천의 하류와 파로호 하부의 북한강 본류에 분포하며, 버드나무 (Salix koreensis)가 절대 우점하였다. 장경초지는 지류 하천에서 흔하며 거의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순군락이다. 세 유형의 식생에서 수달의 흔적은 모두 발견되었으나 수달 미발견지는 모두 장경초지이었으며, 수달 발견지와 미발견지 간에 장경초지 식생의 상관이나 종조성은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수달이 서식지 선택 시 특정한 식생형을 선호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수달 흔적이 발견되지 않은 장경초지는 지류의 상류로써 어류풍부도가 낮은 점이 공통적이다. 수달의 서식지 선택에 먹이인 어류의 풍부성이 가장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어류 풍부도가 높고 사람의 영향이 적은 평화의 댐 지역이 화천군의 수달분포에 최적지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36.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ice type and cook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cooked rice during cold storage wereinvestigated to develop home meal replacement (HMR) products. Th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quality of rice were studied by rice type (Oh-dae-mi, Baek-jin-ju S., and Indica) and cooking methods (electric ricecooker and super heated steamer). Cooked rice was stored at 5oC for 3 days and the moisture content, color, reduc-ing sugar content, texture profile, and sensory evalu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rice type Baek-jin-ju S. has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and that color and textural properties are maintained during storage. Ricecooked with an electric rice cooker has higher moisture content and better color properties; however, rice cookedwith a super heated steamer shows higher reduced sugar content with a softer texture. The selection of Baek-jin-juS. and cooking with a super heated steame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rice during cold storage.
        4,000원
        137.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멸종위기종인 한국산 산양(n=3)의 생태 및 행동학적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2010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이루어졌다. 구조된 산양은 GPS Collar 발신기를 부착하여 구조된 원서식지에 재 방사 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수집된 4,752개의 위치 좌표를 이용하여 연간 행동권, 계절별 행동권, 월별 이용 고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설악산 산양의 연간 행동권은 MCP 95% 0.88㎢, MCP 50% 0.27㎢, FK 95% 0.43㎢, FK 50% 0.09㎢로 계절별 행동권은 MCP 95%에서 봄 0.47㎢, 여름 0.45㎢, 가을 0.63㎢, 겨울 0.50㎢로, 가을 행동권이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K 95% 분석을 통해서도 봄 0.23㎢, 여름 0.19㎢, 가을 0.33㎢, 겨울 0.22㎢로 가을철 행동권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암·수 연간행동권은 MCP 95% 수준에서 암컷 1.03㎢, 수컷은 0.58㎢로 분석되었다. 월별 이용 고도는 6, 7, 8월이 가장 높았으며 12, 1, 2월에 가장 낮은 고도를 이용했다. 본 연구는 산양의 서식지 관리 정책 및 복원과 보전을 위한 객관적 자료 확보 및 국내에서 수행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의 성공적인 복원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4,000원
        138.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운영현황, 문제점 및 제도개선에 대한 인식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장 실무자와 학계 전문가들로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심층면접을 하고 이를 통해 작성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2013년 현재 경기도 내 30인 미만 요양시설과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739개소, 주야간보호시설 168개소, 총 907개소였으며, 이중 344개소의 요양시설과 445명의 입소노인 보호자가 응답하였다. 조사결과, 시설운영상 어려움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낮은 요양보험수가를 가장 많이 지적했고, 여러 종류의 과다한 업무, 입소자 모집의 어려움 등이 뒤를 이었다. 입소노인의 만족도를 좌우하는 요인으로 10인 이상 30인 미만 요양시설에서는 요양시설의 역량을,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서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직원과 입소자 간 유대관계를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경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험 수가인상과 요양시설 운영에 대한 각종 규제완화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현 제도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주요행위자가 누구인가에 대한 인식조사에는 모든 시설 유형에서 보건복지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개별시설, 관할 시․군, 경기도순으로 응답하여 중앙정부의 개선의지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발전을 위해 소규모의 시설임을 고려한 개선방안,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에 대한 별도의 정책, 국가차원의 장기요양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6,100원
        13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P(Knowledge, Attitude, Practice)이론은 노작활동 중심의 실과 교육에 적합한 교육이론이다. 본 연구는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통해 일과 노작활동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길러주고 실천지향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목적이 있다. 학생들의 노작활동이 주를 이루는 실과 교육은 학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을 먼저 알아야 하고(Knowledge), 알고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진 다음(Attitude), 행동으로 옮겨 직접 실천해 보는(Practice) 과정을 거쳐야 학습의 성과가 높아진다. KAP이론을 적용한 실과 교육을 위해 5학년 실과 학습내용을 K(Knowledge)영역, A(Attitude)영역, P(Practice) 영역으로 나누어 연간 지도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KAP 실과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2시간 단위의 블록타임제 운영, 실과실 정비, 학습준비물 예산 확보 등의 선행 작업을 거쳐 총 68차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KAP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실습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필요한 지식의 습득에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또한 노작활동에 대한 참여율, 작업수행 능력 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에 대한 태도, 성별에 따른 직업관 등에서 모두 바람직한 태도 변화를 보였다.
        7,000원
        140.
        2013.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노인이 독립적으로 쉽고 안전하게 일상생활을 수행할 수 있도록 주거환경을 수정하고, 노인 스스로 일상생활 활동에 대한 지각수준의 변화를 클라이언트의 특정 일상생활활동의 수행에 대한 독립성, 어려움과 안전성에 대해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그 변화 및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고산리에서 실시한 가정환경수정 대상 10가구였다. 연구 기간은 2012년 9월부터 동년 12월까지 3개월간 이었다. 평가도구는 주거 환경 내 노인의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독립성, 어려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Assessment of Home Based Activities를 사용하였다. 평가는 가정환경수정 전과 후 2차례 이루어졌다. 결과 : 독립성에 대한 평과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독립성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반하여(p>0.05), 어려움에 대한 평가 결과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어려움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또한, 안전성에 대한 평가 결과에서는 가정환경수정이 거주자의 안전성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p<0.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가정환경수정이 농촌지역 거주 노인에게 있어 거주지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제거와 함께 일상생활활동 증진에 의의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