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6

        12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온실을 이용한 상온 저장시설의 실용화 가능성을 예측해보고 '창녕대고'와 '터보' 양파의 저장성을 비교해 보고자 3개월간 저온과 상온조건에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중량 감소율은 저장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온저장시 3개월 후 약 2% 정도 감소하였고 상온저장의 경우 약 4% 감소를 나타내었다. 저장 전후의 경도를 비교한 결과 저장 조건 및 품종 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수확직후의 경도에 비해 3개월 저장 후 경도가 두 품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파 외피의 착색정도를 나타내는 Hunter a 값은 두 품종 모두 상온저장한 양파가 저온저장 처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상온저장한 양파의 외피가 건조되면서 착색된 것으로 사료된다. Hunter L 값은 저장조건에 관계없이 저장일수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패율은 상온저장시 창녕대고에 비해 터보 품종이 7.8%로 현저히 낮았으며, 저온 저장시 두 품종 모두 2% 미만의 부패율을 나타났다. 따라서 온실을 이용하여 상온저장 할 경우 저장 가능기간으로는 3개월 이내가 적당할 것으로 예측되며 저장성이 강한 품종을 이용할 경우 저장기간을 더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22.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단적 초음파가 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연구결과,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장시간의 과도한 조사는 초음파가 인체조직에 온도 상승이나 물리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초음파 검사시간에 따라 허벅지의 온도 변화를 조사하여 태아 초음파 검사 시 영향이 없는 시간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초음파 검사 전보다 40분 안에는 온도가 떨어졌고 50분에는 허벅지의 온도가 검사 전보다 1℃이상 올라가는 것을 확인하였다.그러므로 40분 안에 초음파 검사를 한다면 안전한 것으로 추론해 본다.
        12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changes on the oxygen consumption rhythm in Japanese eels, Anguilla japonica, using an automatic intermittent flow respirometer (AIFR). The endogenous rhythm of the oxygen consumption rate (OCR) in the eels (n = 18; 44-74 cm, 145-690 g), freshly collected by bag net from estuaries, was nearly synchronous with the tidal pattern of the estuarine collection site. The magnitude of mean OCR (mOCR) of eels showed variable range of 82.2 - 116.5 ml O2 kg-1 ww h-1 under constant conditions. In case of increasing temperature from 25 to 38℃, the OCR of eels exhibited a gradually increasing trend with a rhythmic pattern until 36℃. Above 36℃, the rhythms of the OCR dampened and the OCR decreased rapidly at around 36 - 37℃. The OCR of the eels exhibited the maximum value at 38℃, and then it sharply decreas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critical thermal maximum (CTM) regarding the endogenous rhythms of the eels was at around 36 - 37℃ when water temperature increased at 0.5℃/14 h following the acclimation at 25℃. In case of decreasing temperature (0.5℃/14 h) from 25 to 0℃, the OCR of the eels displayed a abrupt decrease up to 23℃, and between at 23 and 20℃, there was an agitation which showed a slight increase in the OCR with a duration of 1-2 days. Below 9℃, the OCR rhythm of the eels showed a constant state regardless of temperature decreas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Japanese eel has an upper incipient lethal temperature at 36℃, with a lower thermal limit at 9℃. The biochemical aspects of the eels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need to be further studied.
        124.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사미소중력, 진동 그리고 저온과 같은 물리적 스트래스하에서 4일간 자란 약용식물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대조구에 비해 3.6%, 21% 그리고 8.7%의 생체 중량의 감소를 보였다. 합성 항산화물질인 AA(ascorbic acid)와 BHA(beta-hydroxyacetic acid)는 비교적 약한 22%와 27%의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스테비아의 DPPH(2,2-diphenyl-1-picryl hydrazal)의 음이온 소거효과는 대조구보다 지속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진동과 저온처리의 처리효과는 급히 증가했다가 진동의 경우는 6시간 후에 감소되고 저온처리의 경우는 24시간 후에 대조구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유사미소중력하에서 SOD활성은 대조구에 비해 147%, 진동과 저온처리는 각각 121%와 125%로 증가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사미소중력스트레스는 다른 스트레스보다 스테비아의 항산화 활성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분명해졌다.
        125.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주요 세 도시(서울, 대구, 부산)의 온도와 상대습도에 나타난 변화를 조사하였다. 기후 변화점 분석 결과, 세 지역 모두 거의 모든 경우에서 온도의 변화가 상대습도의 변화보다 더 선행하여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온도의 변화가 상대습도의 변화를 야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장 뚜렷한 변화점이 나타나는 4월의 기후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다습-한랭 기간(1909~1962)과 건조-온난기간(1974~2008)의 기후 특징을 비교하였다. 세 도시에서 상대습도의 감소와 온도의 증가가 뚜렷하였으며,이러한 특징은 동아시아 영역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이원분산분석법을 바탕으로 상대습도 변화에 대한 온도와 수증기 효과를 평가하였다. 다습-한랭 기간에는 온도 효과보다 수증기 효과가 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상대습도의 변화에 대한 수증기 효과의 영향이 더 큼을 의미한다. 반면, 건조-온난 기간에는 수증기 효과뿐만 아니라 온도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상대습도의 변화에 온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온도와 수증기의 상호작용 효과는 두 기간 모두에서 유의하였다.
        126.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백련 연근 저장에 있어서 세척과 절단의 연근 조건과 저장 온도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저장 후 90일까지의 연근의 질량은 조금씩 감소하였는데, 0℃와 5℃에 비하여 15℃에서 저장한 처리는 질량의 감소가 많았다. 연근의 경도는 저장 온도에 상관없이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전반적으로 0℃에서 저장하였을 때 경도의 변화가 적었다. 색도 L 값은 세척하지 않고 절단된 연근에서 저장온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낮아졌고, 갈변현상이 나타났다. 미생물 발생은 저장 온도가 높은 10℃와 15℃ 처리는 저장 40일 후부터 나타나 0℃ 저장에 비해 빨리 발생했으며, 저장 90일 후에 18.2~49.2%의 연근에서 미생물이 발생하여 품질이 크게 떨어졌다. 따라서 백련 연근은 세척한 후 0℃에서 저장하는 것이 장기 저장에 효과적이었다.
        127.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total of 40 Korean rice cultivars we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stage in the greenhouse condition and changes in head rice ratio of brown rice, whiteness of milled rice, amylose and protein contents were investigated in comparison with field-grown plants. Testing cultiva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maturation period and accumulated temperature was 1216.4~1775.8oC in the field condition and 1275.8~ 1893.7oC in the greenhouse condition during grain filling stage. Reduction ratio of head rice and whiteness under high temperature in the four groups were 23.6, 17.7, 13.0, 8.7% and 12.7, 12.3, 9.5, 6.0%, respectively, in which early-maturing group showed more severe deterioration due to the early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Rice cultivar Dongan and Daeya were the most tolerant to high temperature among the tested cultivars showing 0.5 and 6.6% of the head rice reduction ratio and 0 and 1.2% of whiteness reduction ratio under high temperature, respectively. Amylose contents of the four groups were reduced by 11.7, 11.3, 8.8, 8.5% under high temperature in group Ⅰ, Ⅱ, Ⅲ, Ⅳ, respectively, whereas protein contents were increased by 14.2, 6.3, 4.4, 4.4% in the four groups, respectively.
        128.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temperatures and the fraction of urban areas (FUA) and their linear regression equation were estimated using land-use data provided by the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nd air temperatures by the Korea Meteorology Administration (KM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during 1975 through 2000. The future FUA in the SMA (from 2000 to 2030) was also predicted by the urban growth model (i.e., SLEUTH) in conjunction with several dataset (e.g., urban, roads, etc.) in the WAMIS. The estimated future FUA was then used as input data for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o estimate an annual mean minimum air temperature in the future (e.g., 2025 and 2030). The FUA in the SMA in 2000 simulated by the SLEUTH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s (a high accuracy (73%) between them). The urban growth in the SMA was predicted to increase by 16% of the total areas in 2025 and by 24% in 2030. From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the annual mean minimum air temperature in the SMA increased about 0.02℃/yr and it was expected to increase up to 8.3℃ in 2025 and 8.7℃ in 2030.
        129.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Quality changes in fresh-cut potatoes during storage at after treatment with low-temperature blanching and antibrowning agents were studied. Fresh-cut potatoes were treated by dipping for 1.5 min in a browning inhibitor solution containing 0.5% (w/v) ascorbic acid, 0.5% (w/v) citric acid, 0.5% (w/v) sodium chloride, 0.1% (w/v) trehalose, and 0.005% (w/v) biotin, at , with subsequent cooling for 1.5 min and storage at . The browning properties of fresh-cut potatoes were examined by measurement of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Changes in quality attributes over a 14-day period were assessed in terms of titratable acidity, pH, water-soluble solid level, and gas analysis at . During storage, PPO activity increased, with the lowest activity seen after about 7 days of storage. Treatment with antibrowning solution at increased visual sensory attributes during storage. Low-temperature blanching in distilled water more effectively inhibited browning compared with exposure to browning inhibitor solution, as assessed after 7 days of storage. Fresh-cut potatoes respired aerobically after different treatments during storage at .
        130.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 is considered as a good management practice by increasing soil organic matter and fertility level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soil environment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at paddy soil (fine loam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eric Fluventic Haplaquepts) in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Korea in 2006 to 2007. The variation of soil temperature in green manure plots was lower than without green manure (control) during spring season (April to May). The temperature variation of no tillage plot (broadcast before rice harvest) was the lowest among treatments. After green manure cropping, the soil bulk density and porosity ratio were improved at the top soil. The production of green manure was the highest athairy vetch and barley mixture plot by partial tillage. However, mixture treatment had no improvement on soil organic matter. After rice cropping with green manure application, soil quality was improved such as soil physical properties except mixture treat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soil quality should be improved by green manure cultivation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131.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려인삼은 예로부터 명약으로 중요한 약재로 사용해 왔으며 현대 약품에서도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어지고 있다. 특히, 인삼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에선 Ginsenoside 추출방법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추출 시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라 기능적 차이가 있는 Ginsenoside의 추출속도와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동일 재배지에서 수확한 인삼을 백삼과 홍삼으로 가공한 후, 1.2cm간격으로 절단하여 각각 60g을 물 1800cc에 넣고 교반기(MSH-200-Set)에서 50℃, 80℃, 100℃로 각각 3, 6, 12, 24, 48, 60, 72시간 가열하였다. 온도별 가열시간에 따라 추출한 물 30㎖를 분리, 정제한 후 HPLC(Perkin Elmer Series 200)를 이용하여 Ginsenoside를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갈변도는 백삼, 홍삼 모두에서 고온일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화 반응이 현저하게 진행되었으며 특히,홍삼의 경우100℃에서 갈변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Crude Saponin변화는 백삼의 경우 50℃, 72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80℃에서는 24시간조건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100℃에서는 48시간이 높았다. 총 Ginsenoside 함량은 50℃의 24시간조건에서 80℃의 48시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100℃에서는 6시간 조건이 높았다. 홍삼의 경우, 추출물의 Crude Saponin변화는 50℃의 60시간 조건이 높았고 80℃의 조건에서는 24시간이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100℃에서는 24시간 조건이 높았다. Ginsenoside 함량은 50℃의 60시간 조건과 80℃의 6시간, 100℃의 6시간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백삼과 홍삼의 가열온도와 시간에 따른 성분변화를 검토한 결과, 대체로 PT계에 비하여 PD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Rb2, Rb3가 80℃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특히, Rg1은 온도가 높을수록 함량이 감소 경향이 나타났으며 모든 온도에서 총 Ginsenside 함량은 80℃가 가장 높았다.
        132.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복숭아의 보존기한 연장을 위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적숙기의 복숭아에 1 kGy의 감마선 조사를 실시한 다음, 와 의 저장조건에서 복숭아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 및 관능학적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과실류에 대한 Codex 권장선량인 1 kGy 선량의 감마선 조사에서 복숭아의 품질변화는 나타나지지 않았으며 초기 오염미생물의 균수를 약 2 log 단위() 정도 감소시키는 제어 효과가 확인되었다. 감마선 조사 복숭아의 보존 실험에서,
        134.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30% 알코올을 이용하여 5개월 동안 에서 담금한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산도는 숙성 2개월까지 온도에 관계없이 증가하였으나. pH는 2개월 이후 를 제외한 숙성온도에서는 뚜렷한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리큐르의 색도(420nm에서 흡광도)는 침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전 담금 기간 동안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매실리큐르의 알코올 농도는 숙성 2개월 이후부터 와 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매실 리큐르의 환원당과
        135.
        2007.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의 생육과정과 수확 후에 온도처리에 따른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한라봉은 12월 초순까지 지속적으로 당도()가 증가하였다. 한라봉 변이품종인 M16A에서는 10월 이후에 산 함량이 감소가 두드러져 1% 수준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라봉에서는 산 함량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일어나, 1월 중순 이후에도 산 함량이 높아 후숙처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과일의 경도는 11월까지 서서히 감소하여 1,000 g-force 수준을 유지하였다. 가용성고
        137.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understand the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5-day-old sprouts were harvested, packed in PE film, and stored at 4, 12, and 20~circC for up to 4 days. In addition, the sprout respiration rate was measured after storage at 4, 8, 12, 16, 20, and 24~circC for up to 20h. During the first day of storage at 20~circC , the sprouts maintained temperature-dependent longitudinal growth, especially of hypocotyl length; hypocotyl and root grew 0.8cm and 0.2cm, respectively. The hypocotyl thickness decreased by 11, 13, and 18~% after 4 days of storage at 4, 12, and 20~circC , respectively. No temperature-dependent differences in fresh weight, dry weight, or water content were found, despite decreases of 3~% over the 4 days of storage. A significant postharvest decrease of 50~% in vitamin C content was observed in the sprouts stored at 20~circC for 3days. Based on the CO2 production rate, the soybean sprouts exhibited an increase in respiration in proportion to the storage temperature; sprouts stored at 8, 12, 16, 20 and 24~circC showed approximately 2, 5, 6, 11, and 17 times, respectively, than the respiration rate of sprouts stored at 4~circC .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low temperature storage during market circulation for minimizing the postharvest morphological and nutritional degradation of soybean sprouts.
        138.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0월 초에 채굴한 6년근 수삼을 41, RH 87∼92%에 10주간 저장하면서 1주 간격으로 시료 채취하여 홍삼을 제조하여 당과 색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은 저장기간의경과에 따라 저장전의 62.71%에서 저장 10주째는 54.58%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은 저장전 11.69%에서 약간 감소하여 7주째는 9.92%로 조사되었다. 유리당은 fructose는 저장전 0.47%에서 점차 증가하여 10주째는 4.70%로, glucose와 suc
        139.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반적으로 실제 저장 유통되는 조건 하에서 생선의 품질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대표적 생선인 고등어, 조기, 꽁치를 대상으로 미생물과 pH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고둥어의 저장조건으로는 실제 유통되고 있는 조건인 실온 얼음상과 에 저장하면서 그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조기와 꽁치는 와 4에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온도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고등어의 초기 총균수는 3.2CFU/g 이었으며 실온 얼음상에서는 저장 6일 후 8.4까지 증가하였다. 반면,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