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7

        123.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6년 8월 경북 연안의 우렁쉥이 앙식장에서 대량폐사가 발생하였다. 폐사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폐사 직후 폐사가 발생한 양식장을 대상으로 수질환경 조사와 병리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폐사가 발생하기 직전 동해에 영향을 미친 10호 태풍 '우쿵'이 우렁쉥이 폐사에 영항을 미쳤을 것으로 가정하고 태풍 '우쿵' 통과 전후의 해황 자료를 분석하였다. 태풍 우쿵의 영향을 받기 전인 8월 초 중순 동해 연안은 전반적으로 저층 냉수의 용승으로 인하여 수심 10m 이심에서는 15℃ 이하의 찬물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 후 매풍 '우쿵'의 영향으로 인한 북풍이 약 5일간 지속되면서 수온이 높은 외측의 표층수가 연안으로 밀려와 침강하는 현상(에크만 효과)이 발생하여 우렁쉥이가 매달려 있는 수심 10~20m의 수은이 일시에 10℃ 이상 상승하여 약 5일간 지속되었다. 2006년 경북 연안의 양식 우렁쉥이는 장기간 냉수에 적응되어 있다가 태풍 '우쿵'의 영향으로 수온이 급상승함에 따른 수온 스트레스로 인하여 대량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4,000원
        124.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71년부터 2001년까지 해양 및 기상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서해에서 기상인자(기온, 바람, 강수량)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수온-기온, 수온-강수량, 염분-풍속은 정상관(+)을, 수온-풍속, 염분-기온, 염분-강수량은 역상관(-)의 관계를 보였다. 기상인자와 해양인자간의 시간지연(time lag)은 표층에서 0~4개월, 저층까지 기상의 영향이 도달하는 데에는 표층보다 0~4개월의 시간지연이 더 있었다. 수온은 같은 해의 기온 변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반면, 염분은 그 직전해의 강수량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풍속의 강약에 따라 수온, 염분의 변동 폭 또한 함께 변하였다.
        4,000원
        126.
        2005.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발전소 내 방사화 부식생성물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니켈 페라이트계 부식생성물을 모사 발생시키기 위한 고온 고압용 장치를 제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배관형 포집기를 이용한 부식생성물 발생장치로부터 방사화 부식생성물과 가장 유사한 부식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발전소에서 입자성 부식생성물이 발생되는 원리인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270C에서 부식반응이 일어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가진 포집용 장치에 부식생성물이 포집되도록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 발생된 부식생성물은 주사전자현미경 관찰과 EDAX를 통한 조성분석으로 그 특성을 관찰하였다. 부식생성물은 포집 된 위치 에 따라서 침상 형태의 산화물과 결정 형태의 산화물로 나뉘었으며, 조성 분석 결과 결정 형태의 부식생성물이 니켈 페라이트로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입자성 부식생성물과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27.
        200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는 1993년에 99,000톤에서 1994년 56,600톤으로 감소하고 1996년에는 78,600톤에서 1997년 130,300톤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어획량의 급감 및 급증한 1993~1994년과 1996~1997년의 성어기인 3~5월의 풍도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수온 변동에 따른 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호황을 보였던 해인 1993년과 1997년은 성어기에 주로 50˚~51˚S간 해역에서 주어장이 형성되었고, 불황을 보였던 1994년과 1996년에는 50˚S이북에서 성어기 어장이 형성되었으며 포클랜드 어장의 평균수온은 3월 10~11˚C, 4~5월은 9˚C로 평균 등온선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어황이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높은 단위노력 당어획량(kg/line) 및 어획량은 어장이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지 않은 1993년 및 1997년은 호황을 보였고, 북상하는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은 1994년 및 1996년에는 급격히 감소되어 불황을 보였다.
        4,500원
        128.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여름철 고수온기와 집중강우로 인하여 염분의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에 바지락의 일간먹이밀도 감소량, 여수율, 소화율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바지락은 수온과 염분에 의하여 일간먹이밀도 감소량, 여수율, 소화율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온의 경우 소형그룹의 27℃에서 각각 5.8× 104 cells ml-1, 16.96 liter hr-1 g-1, 12.04× 107 cel
        4,000원
        129.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장기간 관측한 정선해양관측자료와 연안정지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역의 수온과 염분의 장기변화경향과 수층별 상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장기변화의 분석결과 한국연안수온은 하계냉수역이 발생하는 한국남서연안을 제외하고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수온은 동해의 경우 표층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와 l00m 수층은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남해의 경우 전 수층에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상승하나 50m 수층은 하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해염분은 동해의 경우 표층에서 하강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5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100ml 수층 하강정도가 미미하게 나타났다. 남해의 경우 표층에서는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m 와 l00m 수층에서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모두 하강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층별 상관성을 보면 수온의 경우 동해와 남해에서 50m 수층과 10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으나 서해의 경우 표층과 50m 수층 사이에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의 경우 동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남해에서는 50m 와 l00m 수층이, 서해에서는 표층과 50m 수층이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4,000원
        130.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물바구미의 생식과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2에서 3사이의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20, 25, 3에서 산란전기간은 5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3월에 채집한 충에서 길었다. 그러나 같은 온도조건에서 산란기간은 3월에 채집한 월동성충보다 5월에 채집된 충이 길었다. (16.9일, 22.0일).산란기간이 긴 5월 채집충이 산란수도 많은 결과를 가져왔다. 난기간은 15.1일(2)에서 4.5일(3)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고, 그리고 부화율은 27에서(100%) 가장 높았다. 난부터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았다, 2에서 77.9일, 3에서 38.3일이었다. 난 발육영점온도(T)와 유효적산온도(K)는 각각 16.3와 62.1일도이었다. 난에서 성충우화까지는 각각 13.9와 577.6일도이었다. 제1세대 성충은 2에서 산란하지 못하였고, 와 3에서는 산란하였다. 내적자연증가율(r )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되었다. 1세대당 순증식율(Ro)은 에서 가장 높았다(75.3).
        4,000원
        132.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겨울철 시설오이의 관수온도는 일반적으로 12~14℃로서 토양의 깊이 약 15cm의 평균온도 14~16℃보다 낮아 관수로 인하여 작물의 근권온도로 일시적으로 2~4℃ 강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저온관수의 공급은 생육에 장애를 주어 생산수량과 품질에 영향을 주게된다. 따라서 근계 주변의 토양의 온도는 보통 재배작목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20~22℃가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근계가 비교적 작은 생육초기에 가온관수의 효과가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하여 무가온관수와 20℃, 25℃의 가온관수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무가온(13℃)관수를 할 경우 지온의 변화는 지중 10cm까지 약 5~7℃ 낮아졌으며지중 20cm부터는 영향이 2~3℃로 비교적 적었다. 20℃의 기온관수의 경우 지온변화는 지증 5cm가 관수온도와 유사한 20℃정도를 유지하였으며, 지중 10cm에서는 약 2℃정도 내려갔다. 25℃가온관수의 경우 지온변화는 지중 5cm가 약 0.5℃정도 떨어져 지온변화에 영향이 거의 없었으며, 지중 10cm 깊이에서는 약 1.5℃정도 하강하였다. 무가온구에 비하여 가온구(20℃, 25℃)가 초장, 잎수 그리고 마디수에서 5~10% 초기생육이 우수하였으며, 20℃와 25℃의 가온관수구 간의 차이는 미세하였다. 줄기와 뿌리의 생체중과 건물중의 비교하면 25℃의 가온관수구가 20℃의 관수구보다 우수하였으며 무가온구에 비하면 가온관수가 (20℃, 25℃) 약 10~30% 정도 우수하였다. 과수와 평균과중, 생산량에서 무가온구를 기준으로 할 때 20℃ 가온구는 105%, 109%, 115%로 나타났으며, 25℃가온구에서는 각각 109%, 112%, 121%정도로 나타났다.
        4,000원
        133.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저온기 시설참외 재배시에 적정 토양수분 관리방법을 확립하고자 플라스틱 하우스내에서 착과 10일전부터 수확 1주일 전까지 관수개시점을 10, 20, 30, 50 kPa로 각각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체 관수량은 관수개시점 10kPa구에서는 92.5mm 관수한 반면에 50kPa 관수구는 관수개시점에 도달되지 않아 관수하지 않았다. 참외의 발육에 있어서는 수분이 많을수록 과실비대가 잘 되어 과중은 관수개시점이 50kPa인 구에서 324g인데 비해 10kPa구에서는 456g으로 컸으며, 반면에 수분이 많을수록 발효과의 발생이 많아 상품수량은 오히려 관수개시점 10kPa에서 가장 적었다. 과실의 당도는 30kPa구와 50kPa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10kPa구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당도와 상품수량성 면에서, 토양수분장력이 30kPa 도달시에 관수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13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수난방시스템 온실의 디지털 온도제어 수식모형을 수립하고, 이 수식모형을 이용하여 제어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최적의 온도제어 방법을 구명하였다. 이용된 제어기법은 종래의 온수온도 일정 공급ON-OFF 제어, 비례제어, PI 제어, PID 제어기법이었으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제어기법별 제어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유리온실의 실내온도( Ti )에 관한 디지털 제어수식모형은 공급온수온도( Tw )와 외기온도( To )가 관련된 Ti(textsck+1)= 0.851.Ti(textsck)+0.055.Tw(textsck)+0.094.To (textsck)로 나타났다. 온실의 실내온도제어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종래의 온수온도 일정공급 ON-OFF 제어, P 제어, PI 제어,PID 제어의 정정시간, 오버슛트, 정상오차는 각각 무한, 3.50℃, 3.50℃ / 30분, 2.37℃, 0.51℃ / 21분, 0.00℃, 0.23℃ / 18분, 0.00℃, 0.23℃로 나타났으며, 온수난방시스템 온실의 온도제어에 가장 적합한 제어기법은 PI와 PID제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분이득은 온실의 난방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적분이득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타났다.
        4,300원
        136.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natural water during storage. The water samples were taken at the time of purchase and the opened bottles and the unopened bottles stored at the temperature of 4, 18, and 30. The bacterial content normally rose to 2.06 × 10² CFU/ml for the unopened bottles and 2.91 × 10² CFU/ml for the opened bottles after 2 weeks of storage, and 1.21 × 10^7 CFU/×ml and 2.64 × 10^7, respectively, after 24 weeks of storage.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bacteria peaked more rapidly at the storage temperature of 30℃ than 18℃. But the total samples were found to be negative for coliforms test during the study period. The average range of pH value was from 7.39 to 7.7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itrates and chlorides satisfied the Korea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during the storage period of 24 weeks. However, the undesirable changes of the taste and odor were detected within 2 weeks and 3 weeks, respectively.
        4,000원
        137.
        199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horizontal water temperature variations in the sea such as thermal fronts is analyzed by the ray theory. Two models for the temperature anomaly layer are chosen. One is a plane type and the other is a cylindrical type. In the plane type, the temperature increases linearly from a isothermal region to 5km with the gradient of about 2℃./km, and decreases with the same gradient in next 5km. In the cylindrical type, water temperature increases only with the same gradient from a half cylindrical thermal boundary surfa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gradient of acoustic rays decreases in the temperature increasing region and vice versa in temperature decreasing region. And, the transmission loss due to the temperature variation was less than O.2dB in the plane type model as well as in the cylindrical one.
        4,000원
        138.
        199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aury stick - held dip net fishery of Korea in the Northwest Pacific Ocean began in 1985 with 3 vessels. Since then the fishery has grown so rapidly year by year that the number of vessels increased to 34 and the catch to 40 thousands Mff in 1993. In the present study, the monthly situ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fishing ground for the pacific saury in the Northwest Pacific were investigated and the monthly optimum fIshing tempertures were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tch and the sea surface temperature. In the beginning of the fishing season, June to August, the fIshing ground is formed in the very wide range, mainly in the northward area of the front meandering, as the parcific saury migrate northward. In the main season, September to November, the ground is formed in the southward area of the front, off the east coast of Japan. Andd then, the fishing season ends in December with the ground coming near to the east coast of Japan. The monthly optimum fishing tempertures showed 11~13℃. in June to July, 13-17℃. in August to November, and 15~ 17℃. in December in general. The profIles of water temperature were much different in accordance by net casting position in the fishing ground, regardless of season. So, the MLD and CPUE was analyzed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catch. Then, it is found that the CPUE shows over 0.7Mtr/haul as the MLD 40~70m.40~70m.
        4,000원
        139.
        199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the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s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osu, oceanographic observations on the fishing grounds were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ofYosu Fisheries University from January, 1990 to September, 1992, and the data obtained were compared with the catch data from the joint market ofYosu fisheries cooperative society from 1984 to 1993. The resuItes obtained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7.0 to 27℃.and 26.6 to 33.2‰, and water temperature increased from March to August and decreased from September to February of following year. 2.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s was relatively high without significant changes from November to June of the following year. From July, however, the salinity decreased to continue a low value till September and then increased. The salinity in the fishing ground was dominated mainly by the precipitation and its variation was large at the north entrance of set net fishing ground, influenced greatly by the land waters from the river of Somjin, but small in the offshore of the fishing grounds.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s were arranged in order of catch as follows; Spanish mackerel〉 Horse mackerel 〉 Sardine 〉 Anchovy 〉 Hair tail.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in June to July, but Spanish mackerel and Horse mackerel were caught for whole period of fishing. Spanish mackerel was caught most in September and least in April and their means were largest in August and smallest in June. 4. The ranges of optimum water temperature for fishing by the set nets was 13.5 to 25℃., and in the ranges the catch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 ranges of optimum salinity for fishing varied between 25.0 and 32.0‰.
        4,000원
        140.
        199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d on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of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egion in the Pacific Ocean. The data of catches and water temperature used in this paper were based log book which # 27 CHENG RONG(Gross tonnage : 399 ton) had been worked eastern fishing ground(Lat : 09˚N- 14˚S, Long : 115˚- 149˚W)from January to October, 1991.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N, Long 135˚- 139˚W area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7.5℃ to 27.9℃,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 9˚S, Long 145˚- 149˚W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8.0℃ to 28.4℃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10˚- 14˚S, Long 120˚- 124˚W area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temperature was range of 26.5℃ to 26.9℃ 2. On the relation between catches and distribution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0℃ to 12℃ on depth layer between 300m and 360m,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5℃ to 19℃ on depth layer between 180m and 280m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2℃ to 14℃ on depth layer between 280m and 310m. Above the result, it seemed that bigeye tuna distributed deeper layer than yellowfin and albacore tuna.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