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6

        142.
        201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복하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유역수문모델 SWAT-K를 적용하여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실제증발산량을 모의하여 연별, 월별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유역물수지법으로 증발산량을 산정할 때 유역의 저류변화량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유역의 연도별 실제증발산량은 최소 401mm에서 최대 494mm까지 발생하였고 평균적으로 강수량 대비 약 31%인 436mm 발생하였다. 월단위 실제증발산량은 모의기간동안 평균적으로 12월에 최소값 10mm, 7월에 최대값 84mm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료기간에 따른 연평균 저류변화량의 크기를 평가한 결과 강수량과 유츨량 자료만을 이용하여 유역물수지법으로 연평균 실제증발산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약 4~5년의 자료를 이용해야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유역에 대해 저류변화량을 고려하여 유역물수지법으로 연단위, 월단위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할 수 있도록 강수량에서 유출량을 감한 값과 저류변화량간의 선형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143.
        2014.06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리】한자어 교육은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 한자 관련 한국어 교재들은 한자 학습에 초점을 두고 한자의 형태를 익히는 것을 중시하여 어휘력 확장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한국어 학습자에게 있어 한자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조어력 을 활용한 어휘력 신장에 있다. 이에 한자를 통해 어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습 목표가 한자 학습이 아닌 어휘력 신장에 있으므로 비한자권 학습자뿐만 아니라 한자권 학습자들도 그 대 상으로 삼았다. 교재는 사전과 학습서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사전에는 최대한 다양한 어휘를 수록하고자 하였고, 학습서에는 이렇게 제시된 한 자의 수준별 주제별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어휘 제시나 학습 방법 은 조어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 습자에게 어휘를 교육함에 있어 한자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법 을 보여 주었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144.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estimation methods for actual evapotranspiration have been studied using the concept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transpiration. Among the diverse estimation methods, SWAT-K application is chosen for hydrological modeling. For Jeju island we have characterized annual and monthly evapotranspiration using SWAT-K. In the results, simulat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reached to the 91% of small pan evaporation.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lapse rate(-6 ℃/km) depending on the altitude of Halla mountain, evapotranspiration rate decreased by 7.5% compared to the status when the temperature data from the Jeju weather station were applied to the watershed. As the average of annual rainfall increase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as increased, actual evapotranspiration was, however, decreased.
        145.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요한수난곡》의 고찰을 통해서 교회음악 작곡가 발다사레 갈루피의 한 면모를 들여다 보고자 하는 본 논문은 이 전례음악 작품에 16세기 후반기 및 17세기 초의 이탈리아 수난곡 전통이 스며있음을 확인한다. 하지만 그 전통은 작곡가의 고유 양식을 통해 현실화된 것이 다. 다채롭고 긴장감을 잃지 않는 작곡기법, 오페라에서 유래하는 요소들, 가사의 외적 · 내 적 의미 및 내용에 상응할 뿐 아니라 그 의미와 내용을 섬세하게 돋아주는 음악적 효과 등이 갈루피의 고유 양식으로 드러난다. 결론적으로 갈루피에게 전통은 과거의 유산에 그치는 것 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새로워져야하는 생동하는 음악적 실제의 일부였다. 즉, 갈루피가 보여 주는 ‘새로운 것들’은 이미 존재하는 음악적 수단들의 섬세한 변화와 개성적 취급을 통해 전 통으로부터 생겨난 것이다.
        146.
        201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농구심판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 전략과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숙련자, 비숙련자 각각 6명씩 총 12명의 연구대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스크린에 제시되는 농구경기 영상을 보고 반칙상황이라고 간주될 때 컴퓨터 버튼을 눌러 반칙의 종류를 맞추는 과제이다. 반칙거리(원거리와 근거리)와 반칙유형(공관련 반칙과 공관련 없는 반칙)에 따라 동영상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으며 매 시행이 종료되면 연구대상자는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을 구두로 표현하였다. 숙련성(2수준), 반칙거리(2수준), 반칙유형(2수준)은 독립변인이며, 종속변인은 판단정확성, 동작시간, 시선고정빈도, 시선고정시간비율, 평균시선고정시간, 시각초점영역, 지각된 시각초점 영역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판단 정확성 및 동작시간은 숙련자이며 공과 관련 있는 반칙 상황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선고정빈도는 근거리의 반칙상황보다 원거리의 반칙상 황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선고정시간비율은 숙련자일수록, 원거리의 반칙상황일수록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균시선고정시간은 숙련자일수록, 원거리의 반칙상황일수록, 그리고 공과 관련 없는 반칙 상황일 때 짧게 나타났다. 다섯째, 경기 상황에 대한 전반적인 시각초점 영역과 실제 지각된 시각초점영역을 분석한 결과, 숙련자는 공격자에 대한 시각초점 영역이 많은 경향이 있었으며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은 주로 수비수와 공격수 모두를 주시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비숙련자는 공격자에 대한 시각초점 영역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은 공격수를 주시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반칙 순간에는 시각초점 영역과 실제 지각된 시각 초점영역이 비숙련자에 비해 숙련자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147.
        2012.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수관망의 노후화에 따라 관파괴와 같은 상수관망의 용수공급 성능을 저하시키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때 파괴부분의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해서 물의 흐름을 차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제수밸브를 차폐하게 된다. 제수밸브는 상수관망 전체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설치개수도 관망의 크기에 따라 만개 이상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제수밸브의 유지보수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제한된 인력과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제수밸브의 중요도를 평가, 등급화 한 후 중요한 제수밸브들을 우선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수밸브의 중요도 등급을 결정하는 기법을 다수의 실제 상수관망에 적용하여 제수밸브별 상대적 중요도를 산정하고 산정된 결과를 분석하여 실제 상수관망에서 제수밸브 중요도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상수관의 관파괴에 의한 단수의 피해는 단수인구로 정량화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segment 및 unintended isolation을 전체 상수관망을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수밸브의 중요도는 VII(Valve Importance Index)로 정량화 되었다. 적용된 실제 상수관망은 국내 10개 중블록, 국외 3개 관망이다. 제수밸브의 중요도 특성 파악결과, 배수지에 가까운 제수밸브와 같이 명백하게 중요한 밸브 이외에도 관망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제수밸브도 중요한 경우가 많았으며 관망의 구조적인 연결성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4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댐유역의 연 실제증발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수문기후요소를 파악하고 유역으로부터의 연 실제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다변량회귀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5개 댐유역(괴산댐, 섬진강댐, 소양강댐, 안동댐, 합천댐)에서연 물수지분석을실시하여 연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수문기후자료를 이용한 다변량회귀식으로부터 산정된 증발산량과 비교 검토함으로서 다변량회귀식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잠재증발산식들을 이용한 실제증발산량 산정
        149.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한국어교육은 언어 사용 능력 향상과 함께 문화능력 향상도 중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문화능력이란 폭넓은 영역을 포함하는 것으로, 문화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화 영역 중에서 문학 영역, 그리고 그 안에서 고전문학을 교수학습하고자 한다. 학습 대상은 부산외국어대학교 학부생으로 학부 전공필수 과목인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수업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한 부분으로 설정하여 내용을 선정하고 그 실제를 진행해 보았다. 본 수업을 통해 들은 한국 고전문학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활동을 통하여 문화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언어능력의 향상도 이룰 수 있었다. 앞으로 더욱 다양한 한국 고전문학의 교수학습을 위하여 유에게 교수학습 가능한 수업 내용이 제시되고, 이를 통한 그들의 문화능력과 언어능력이 함께 신장되기를 기대한다.
        150.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를 통해 선정된 최적 입력 자료 조합을 이용하여 한강수계의 왕숙천과 금강유역의 갑천에 대한 Takagi-Sugeno 퍼지기법과 신경망을 연계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뉴로-퍼지 홍수예측 모형을 한강수계의 왕숙천과 금강유역의 갑천에 적용하여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의 선행시간에 대해 각각 홍수예측을 수행하였다. 선행시간별 예측수위를 관측수위와 비교한 결과 안정되고 정확도 높은
        151.
        2011.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점차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유창성(fluency)’을 길러 줄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현 언어교육현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교수행위와 학습 행위의 역할 분담을 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주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이런 교실 수업의 한계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하나의 학습 방법이 바로 ‘Tandem 언어 학습법(Tandem Language Learning)’이다. 본고에서는 Tandem 언어 학습법을 바탕으로 실제 한국어 교육 환경에 맞게 적용해 본 후 이 수업을 통해서 의사소통 능력 및 문화 이해 능력 향상, 수업에 관한 전반적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Tandem 언어 학습법을 한국어 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앞으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 맞는 Tandem 언어 학습법의 다양한 유형 및 Tandem 언어 학습법을 기본으로한 교육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152.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1961∼2010년 사이의 서울 지점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들을 대상으로 실제 호우사상에서 나타난 강우 시간분포의 특성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각각의 호우사상들에 대한 시간분포 특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베타분포(beta distribution)를 이용하여 강우의 시간적인 변동 특성을 이론적으로 모형화하였다. 또한 이론적으로 모형화된 호우사상의 특성들로부터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들의 대표 호우사상을 결정하고, 강우 시간분포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베타분포를 이용한 강우 시간분포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153.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impact of orographic and thermal forcing on the atmospheric flow field over the urban metropolitan areas on urban artificial buildings and future development plan. Several numerical experiments have been undertaken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s of the future development plan on urban area by analyzing practical urban ground conditions, we revealed that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in the meteorological differences in each case. The prognostic meteorological fields over complex areas of Seoul, Korea are generated by the PSU/NCAR mesoscale model(MM5). we carried out a comparative examination on the meteorological fields of topography and land-use that had building information and future development plan. A higher wind speed at daytimes tends to be forecasted when using new topography and land use data that have a high resolution with an appropriate limitation to the mixing height and the nocturnal boundary layer(NCB). During nighttime periods, since radiation cooling development is stronger after development plan, the decreased wind speed is often generated.
        154.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의 목적은 쓰기 이론의 동향과 쓰기 교육의 실제를 점검해 보는 것이다. 이는 쓰기 교육이 나아갈 바를 탐색하려면 이러한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쓰기 이론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폈으며, 다음으로 이런 이론이 국어과 쓰기 교육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런 검토의 결과를 참조하여 모국어의 쓰기 교육은 사고 훈련에 초점을 두어야 하고, 학생들의 실제 삶이 쓰기의 맥락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쓰기 교육의 방법이나 내용은 학생의 수준이나 과제의 성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155.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전시의 다문화 가정은 다른 지역과 다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농어촌 지역의 다문화 가정과 크게 다른 것은 물론이고, 다른 도시 지역과도 구별되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대전시만의 특수한 환경으로 고학력의 이주민이나 거주민들이 상당히 많으며, 장기 해외 거주 귀국 자녀 및 일시적 거주 외국인 가정들도 많고 새터민들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전시의 다문화 교육은 이와 같은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대전시만의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대전시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의 특성을 분석, 파악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과 초등 교사들이 요구하는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대전광역시 서부다문화 교육센터에서 개발, 시행하고 있는 실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156.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중국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토대로 중국이 가지는 다문화적 특징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민족 국가는 고유의 문화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이는 국가적 문화의 철학적 구조를 형성하고, 사람들의 지식과 믿음, 가치판단에 깊은 영향을 끼친다. 중국 문명화의 오랜 혁명적 발전 과정에서 이들 문화가 사회에 적응되고 발전되기 위해서는, 봉건사회의 다원적 구성체로 된 자유로운 독립체에서 현대사회의 자의식적 단체인 다원적 독립체로 다른 집단의 문화는 서로 소통되고 동화되고 통합되어 왔다. 그 결과 중국과 같이 다민족 사회의 형태를 가진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었다. 즉 다원성의 단일한 이론인, 다문화의 과학적 개념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다문화 교육 이론은 다원론을 하나로 묶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성된다. 첫째, 무엇보다 각각의 민족 그룹은 그들 고유의 연관적인 독립성을 가진다. 둘째, 그 문화가 무엇에 기반을 두고 있고 무엇을 추구하던 각각의 문화는 공통적 특성을 지닌다. 더욱이 시간과 인간의 소통이 발전되면서, 각 문화의 차이는 더 공통적 특성을 띠게 된다. 그러므로 중국의 다문화주의는 개별 문화의 차이성을 염두에 두면서, 완벽하고 동일한 권리를 바탕으로 각 문화의 개별성과 함께 공통적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157.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hich aims to estimate the volume of greenhouse gas emitted by road transportation vehicles in Changwon City, the emission rate wa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traffic volume measured at major crossroads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ethodology used to estim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of road transportation provided in the IPCC 2006 GL guidelines (Tier 1, Tier 3).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Tier 1 methodology, which was applied in the estimation of the rate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rries a high probability of underestimation, while the Tier 3 methodology carries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overestimation.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assignment of permissible rates of emission to local governments,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i.e. whether one uses Tier 1 or Tier 3, may result in a large difference in the rate of allowable emissions. It is suggested that a method based on the actual volume of traffic would be the most reasonable one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a realistic plan.
        158.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ne of the main problems of topological localization in a real indoor environment is variations in the environment caused by dynamic objects and changes in illumination. Another problem arises from the sense of topological localization itself. Thus, a robot must be able to recognize observations at slightly different positions and angles within a certain topological location as identical in terms of topological localization. In this paper, a possible solution to these problems is addressed in the domain of global topological localization for mobile robots, in which environments are represented by their visual appearance. Our approach is formulated on the basis of a probabilistic model called the Bayes filter. Here, marginalization of dynamics in the environment, marginalization of viewpoint changes in a topological location, and fusion of multiple visual features are employed to measure observations reliably, and action-based view transition model and action-associated topological map are used to predict the next state. We performed experiments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our proposed approach among several standard approaches in the field of topological localization. The results clearly demonstrated the value of our approach.
        159.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실감형 게임 (augmented game) 이라는 새로운 게임 장르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으며 실감형 게임이란 사용자가 실제 환경을 돌아다니며 컴퓨터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적 또는 물체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게임이다. 실감형 게임은 게이머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지만 비싼 가격의 'backpack'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게이머에게 저렴한 가격에 게임을 제공하치가 어렵다. 이를 위해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를 이용한 실감형 게임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지만, 가상의 적을 실제 공간에 접목하기 위해 대부분 색상 마커나 패턴 마커를 이용하기 때문에 마커가 미리 설치 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게임이 가능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흥미도가 높고 가격 부담없는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갤러그를 실감형 게임에 접목한 모바일 기기에서의 실감형 갤러그를 소개한다. 실감형 갤러그는 모바일 화면상에서 실제 환경에 가상의 적을 접목하기 위해 실제 환경에 있는 물체를 그대로 이용하여, 크기분변의 특징변환(SIFT)와 유클리디언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이용하여 물체를 인식한다. 가상의 적은 이식된 특정 물체의 주위에 임의로 출현하며, 게임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개의 특정 물체를 이용하고, 게이머는 가상의 적이 출현하는 특정 물체에 모바일 기기를 직접 움직여 공격한다. 결론적으로 실감형 갤러그는 모바일 카메라에 의해 입력받은 실제 환경 과 모바일 기기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원 가상의 적 사이의 상호작용 (interaction) 을 제공하는 새로운 게임 패러다임(paradigm) 을 통하여 게이머에게 가격 부담없는 새로운 즐거움을 제공할 것이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