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1

        142.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금부터 55년 전에 누에의 성페로몬이 보고된 이후 곤충의 신호물질은 합성 살충제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대안으로 주목 받으면서 관련 분야의 눈부신 연구 성과가 도출되었다. 페로몬을 비롯한 곤충 신호물질은 종 특이성이 강하고, 소량으로도 활성이 높으며 사람을 포함한 동물에 해가 없어 다양한 방법으로 농업 해충의 방제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성페로몬을 트랩의 루어로 활용하여 특정 해충의 존재 여부와 시기별 발생밀도를 파악하는데 활용하거나, 성페로몬 성분을 다량으로 투입하여 자연 발생하는 개체군의 교미를 교란하여 다음 세대의 밀도를 점차 감소시키는데 활용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해충의 발생예찰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루어수는 연간 약 1,700만개에 달하며, 교미교란제가 처리되고 있는 농림지 면적은 약 77만 ha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0년대 중반부터 페로몬을 이용한 해충 방제 기술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과수원에 발생하는 해충의 친환경 방제 수단으로 그 가치가 증명됨에 따라 참여 업체와 시장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페로몬을 활용한 해충 방제 기술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나방류 이외의 다른 곤충들의 신호물질을 동정하여 적용할 대상 해충을 확대하고, 방출 소재를 국산화하여 외국산 제품에 대한 가격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14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캄보디아는 전체 인구의 70%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벼농사는 캄보디아 농업에서 식량과 경제에 매우 중요한 작물이며, 몬순 아시아 기후지역으로 우기(5월 ~ 11월)와 건기(12월 ~ 4월)가 뚜렷하게 구분되어 대부분의 경작지에 벼를 재배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1. 캄보디아의 농지면적은 국토면적의 24%이며, 벼를 재배하는 논 면적은 3,007,545 ha (2012)로 전체 경지면적의 77%정도이다. 2. 캄보디아의 벼재배는 전체 논 면적의 94.6%가 메콩강과 톤레삽 호수 주변의 저지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3. 캄보디아는 ha당 벼 생산성은 2001년 2.1톤에서 2012년 3.2톤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4. 캄보디아의 쌀 산업 발전을 위하여 벼의 품종 및 재배법을 개발하고 특히 건조·저장·가공·유통 등의 수확후 관리를 통한 쌀품질의 고급화를 주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5. 캄보디아 정부의 쌀 산업에 대한 육성정책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지원전략도 이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산림생태계의 구조적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산림 면적과 임목축적량의 변화와 조림지에서 임상식생구조를 문헌조사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한국의 삼림은 1950년대에 심하게 훼손되었지만, 1970~1980년대에 활발히 조림하여 임목축적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삼림면적은 5,500 ha 년-1씩 감소하고 있다. 임목축적량 변화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임목축적량을 기준으로 성숙림으로 기대되는 해는 약 2150년으로 예측된다. 현재 일본잎갈나무, 잣나무 및 아까시나무 조림지에는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산벚나무등의 잠재자연식생이 형성되고 있으므로 미래에 이들의 숲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14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we recognize that the interest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disaster increases, and check the status of current research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we obtai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blished researches in the last 11 years about construction safety, and addressed annual trends and research topics for a lot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And the future prospects of construction safety research were analyzed with the latest news articles.
        4,000원
        146.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48.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업해충 개체군 모형은 대게 해충의 발생 시기에 관련된 생물계절모델과 발생 량과 관련된 밀도변동 모델로 나누어 개발되어 왔다. 그 중 국내 개발 사과해충 모 델은 대부분 생물계절모델을 중심으로 방제적기 구명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모델 개발에 있어 해충 시스템에 대한 분석은 해충과 작물, 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다양 한 변수로 구성된 시스템 분석을 통해 주요인을 찾아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에 도 불구하고, 단순화한 환경변수를 중심으로한 매개변수 추정이 주를 이루었다. 또 한 개발 개체군모형은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함에도 불 구하고 정보전달체계의 미숙과 미완성, 현장요원의 전문성부족 등으로 인해 실재 농업현장에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변화하는 농업환경에서 기후 등 환경자료를 바탕으로 한 해충개체군 모형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미래 예측을 가능케 함은 물론 다양한 미래 환경에 대한 모의을 가능케 함으로 써 해충 개체군 밀도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간 개발된 다양한 모형의 사례를 통해, 앞으로 추가 개발 및 보완 분야를 찾아내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진다.
        149.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캐드헤린 (cadherin)은 캴슘 의존성 막관통 단백질로써 세포질영역, 막관통영역, 세포외영역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드헤린은 세포외세포와 세포간 또는 세포와 조직간 밀착연접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생체내에서 주로 세포와 세 포 또는 기질간 정보 교환과 조직의 항상성을 유지한다. 최근 곤충에서 캐드헤린은 나비목과 파리목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비티독소 (Cry toxin)의 중요한 작용점으 로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비티독소에 대한 곤충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친다. 옥수수의 뿌리를 가해하여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는 딱정벌레목의 western corn rootworm (WCR, Diabrotica virgifera virgifera)에서 얻어진 캐드헤린 유전자를 토대로 캐드헤린 반복서열의 일부를 대장균을 통하여 재조합단백질 (DvCad1 CR8-10)로 만들 수 있었다. 딱정벌레목에 속하는 일부 해충들을 대상으로 DvCad1 CR8-10은 Cry toxin과의 혼합처리에서 일부 Cry toxin의 반수치사농도 감소를 나 타내었다. 또한 Cry toxin과 캐드헤린 단백질간의 결합력 조사와, 캐드헤린 유전자 에 대한 RNA interference 연구를 통해서 캐드헤린이 Cry toxin의 중요한 수용체라 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티독소를 이용한 농업해충과 위생해충의 방제는 지금까지 성공한 생물적방 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재에는 다양한 중요작물에 비티독소가 도입되어 발현되 는 형질전환 비티작물로 까지 비티공학기술이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야외에서 배 추좀나방에 대한 비티독소의 저항성 문제가 처음으로 출현하며, 딱정벌레목까지 다양한 해충들이 비티에 대한 저항성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해충들에 대한 비티의 효과적인 이용과 저항성 개체의 출현을 조절하기 위해서 곤충유래의 캐드 헤린 단백질을 이용한 생물공학적 해충관리가 도입 될 것으로 전망된다.
        15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님노린재는 11,000종으로 이루어진 가장 큰 규모의 곤충 과(family) 중의 하나로서 먹는 습성이 식식성, 육식성, 잡식성으로 다양하다. 식물체를 먹고 사는 장님노린재들은 다양한 농작물의 잎과 과실에서 즙액을 빨아먹기 때문에 중요한 농업 해충으로 간주되고 있다. 장님노린재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농작물 재배지에서 이 해충의 발생여부와 발생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예찰수단이 필요한데, 성페로몬 트랩은 가장 편리하고 효율적인 예찰수단으로 활용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적으로 15종의 장님노린재들로부터 성페로몬들이 동정되었는데, 그 성분들의 화학적 범주는 acetate esters, carboxylic esters, ketoaldehyde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장님노린재의 성페로몬은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작고 휘발 속도가 빠른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야외에서 이 성분들을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출 장치가 개발되지 않아 발생예찰에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최근 일본과 영국에서는 야외에서 적어도 1개월 정도 장님노린재의 성페로몬 성분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소재(폴리에틸렌 튜브 등)를 개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농작물에 발생하는 노린재류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량의 고휘발성 페로몬 성분이 담긴 폴리에틸렌 병을 페로몬 트랩의 루어로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농작물을 가해하는 주요 장님노린재들의 성페로몬 성분을 동정하고, 외국에서 개발된 방출소재를 활용한다면 페로몬 소요량을 대폭 줄이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효과적인 발생예찰과 대량유살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15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South Korea, the total root production volume of Platycodon grandiflorum was 5,255ton in 1991 but it rapidly decreased to about 50% (2,697 ton) in 2002. From 2006, however, it has been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to 6,759 ton in 2011. Meantime, the imported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for the pharmaceutical purpose was 429 ton in 2001 but it has been dramatically decreased to 36ton in 2011. Instead, the imported volume of dried or fresh one for food was 11,652 ton in 2008 andremained at similar level up to now. Although the volume was very little (less than 23 ton), Platycodongrandiflorum's root cultivated in South Korea has also been exported to China, Japan and several coun-tries. Gyeongnam province in South Korea produced 1,100 ton of Platycodon grandiflorum's root in 2010and Geochang gun produced the largest volume (743 ton). Recently, the cultivation area is continuallyincreased in Hapcheon and Sancheong-Gun. We predict that the total production volume of Platycodongrandiflorum's root in South Korea will be continually increased in future due to consumer's continuousdemands and a rising unit price.
        4,000원
        152.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 (Tea)는 네팔을 포함한 남아시아의 주요 농산물 수출품목 중에 하나이다. 네팔의 차 생산은 150년 전에 시작되었지만, 상업적인 생산 규모는 발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초창기 모습 그대로이다. 차 생산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와 같이 네팔은 좋은 품질의 차를생산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현재 차 산업의 선도자로 남아시아 국가의 잠재력을 강화하기 위해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 (South Asian Association for the RegionalCooperation, SAARC)은 각 회원국의 National Tea board가차 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차 위원회를 설립할 예정이다. 이러한 남아시아지역협력연합의 차 위원회 설립에 맞추어 본 연구는 남아시아 차 산업에서 부각되고 있는네팔의 차 생산과 소비, 그리고 수출 경향을 다른 남아시아국가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남아시아는 전세계 차 생산량의약 1/3를 생산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차 생산국가는 인도,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네팔이다. 남아시아 중에서 네팔은 연간약 1만8천톤의 차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20여년간(1994~2012) 차 생산량이 약 100배(196톤→18,309톤) 가까이 급증하고 있다. 네팔의 차 산업은 수출증대를 통해 외화획득과 경제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차 생산과 가공산업에참여하는 농가와 농촌여성의 고용창출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4,000원
        15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n the seamen’s demand - supply has been focused on early 1990s, and never studied yet since 2007. Becaus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eamen are very different in conditions the environments around the fishery recently. It is serious problem that the number of domestic semen are decreasing continually. To depend on foreign seamen because of lacking of domestic seamen should be linked closely with the fishing industry environment in our country. Therefore, this study is limited to domestic seamen. Lacking recent domestic seamen, it is the most likely to rise imbalance between demand - supply in the future. Through medium and long term its analysis based on data, we are willing to discover various political subjects for seamen’s welfare, the training of manpower, education, etc. To solve these issues, it can be made institutional changes as follows ; First, it is necessary policy-making related the deteriorating employment situation based on its analysis of medium and long term for seamen. Second, it is necessary to overcome a dual system for its management for seamen.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blems of statistics data for fishery and build a statistical system for seamen. Also, it will be improved a insurance system under 5 ton and strengthen the function for Korean seamen welfare and employment center and must be urgently countermeasures for the minimal unemployment rate through a cont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home page. Finally, it will be supplied reliably seamen to improve a practice system for apprentic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STCW-F) for fishery students.
        4,600원
        15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ise of Central China Plan(RCCP) is a policy adopted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its central regions in 2006. The development of the central region is of strategic importance in China's regional development layout. This paper tri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ix provinces in the period of 2005—2012 under the RCCP. In result, the effects of the RCCP are clearly visible. All the economic indices including GDP in all six provinces have been rising considerably since the implementation in 2006, and continues to do so. Central China is poised to be the country’s next source of high economic growth. Compared with the growing costs of raw materials, labor and land in the coastal areas, Central China, which boasts a strategic location, cheap labor force, and a rising consumer market, is well on its way to become the economic growth engine of the country.
        5,800원
        15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고무의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생산량도 증가하 고 있다. 캄보디아는 고무나무재배에 유리한 환경조건으로 신 흥고무 생산국이 되었고 외국자본이 유입되면서 그 규모가 커 지고 있다. 그러나 주변국보다 생산성이 낮고 유통과정이나 제 도적 측면에서 미비하다. 캄보디아 천연고무산업의 현황과 저 해요인을 짚어보고 개선방안과 발전전망에 대하여 살펴본 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배현황-국가적 혼란(크메르루주 치하) 이후 저조하던 고 무산업은 2005년부터 재배면적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1년 에는 213,104 ha를 기록했다. 2011년 주별 총재배면적은 Kampong Cham 주가 가장 넓었고 생산자별로는 소규모 자작 농 고무 플랜테이션이 전체의 45%를 차지했다. 2010년에는 천연고무 생산국 중 총생산량이 17위, 수량은 7위였다. 2. 유통 및 가공-농업인이 라텍스를 추출하면 수집상이나 도 매상이 사들여 고무 공정공장으로 보내거나 곧장 외국무역상 에 판매한다. 대규모 회사의 경우 자체공정공장에서 직접 가 공한다. 건조 고무가 2010년 캄보디아 주요 수출품목 3위를 차지했고 8천만 달러 이상의 외화를 벌어들였다. 압도적으로 수출액 1위를 달성하며 수익성과 캄보디아 경제에 미치는 영 향력이 입증되었다. 3. 발전저해요인-재배적 관점에서 질 낮은 품종의 불가피한 선택, 초기투자비용 부담, 재배지식 부족 그리고 수요에 맞지 못하는 고무의 생산 등이다. 유통의 관점에서는 인프라부족, 수출경험부족과 열악한 수출 여건 등이었고 제도적 관점에서 는 품질인증제도 운영부실, 토지보유권 보호 미흡, 수출비용 과다부과 등으로 나타났다. 4. 금후 발전과제-세계수요에 대응할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 다. 국제기구의 협력을 얻어 수출국을 확대하고 유통과정을 간 소화하여 비용을 낮춰야 한다. GDR(General Directorate of Rubber)은 고무연구 및 개발에 힘쓰고, 농민들을 위한 무상교 육을 해야 한다. 허울뿐인 고무품질인증제도를 개선하고 토지 침범에 대한 즉각적이고 엄중한 조치가 요구된다. 고무나무 부 산물을 이용해 부가적인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고무 자작농의 확대는 가계수입을 창출하고 고용을 증대함 으로써 농촌경제에 이바지하고, 국내외기업의 투자는 국가 경 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환경조건과 노동력을 갖춘 캄보디아의 고무 플랜테이션에는 기술과 자본의 투입이 절실 하다. 투자자 입장에서 저비용으로 장기소득을 낼 수 있는 친 환경적인 농업이다.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삶의 질 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천연제품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천연고무는 합성고무로 대체 할 수 없는 본연의 이점을 지니기 때문에 더욱이 천연고무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고 볼 수 있다.
        4,000원
        15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캄보디아의 카사바는 최근 벼 다음으로 매우 중요한 작물로 부상하고 있다. 국내 소비와 수출이 증대됨에 따라 지난 10년 동안 급성장을 하고 있다. 최근의 재배면적 변화를 보면 2000 년 16,279 ha에서 2012년 361,854 ha로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생산량도 2000년 147,763톤에서 2012년 7,613,698톤으로 약 52배 늘었다. 단위면적당 수확량을 보면 ha당 2000년 10톤 내 외에서 최근 우기재배의 경우 21톤, 건기의 경우 약 29톤에 이르고 있다. Battambang, Kampong Cham 및 Banteay Mean Chey 등이 주산지이며, 이들 지역의 생산량은 전체의 48%를 차지하고 있다. 수량 감소 주요인은 토양 양분결핍, 재배기간의 단축, 잡초 피해 등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생산성이 저조한 지역에서도 수량 감소 요인을 개선하게 되면 금후 수량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캄보디아의 카사바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는 수량성 증대와 생산비 절감이 절실하다. 영양적 측면에서 전분함량 증대, 전분의 기능성 확대, 영양가치의 향상 등도 요 구된다. 가공면에서는 가공공장의 확대, 가공효율 개선, 새로 운 가공기술과 상품 개발 등도 개선되어야 한다. 특히 새로운 시장 개척과 생산, 가공 및 유통 등의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 밖에도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건 비, 농산물 및 서비스가격의 상승 등도 해결되어야 한다. 또한 다수확 품종의 지속적인 공급과 농가의 기술 평준화가 선행되 어야 한다. 지역 및 국제시장에서의 카사바 가격에 대한 정보 도 충분하지 않다. 그리고 농가의 관개시설 미비에 따른 천연 강수량 의존성과 설비 보완업체 부족 등도 문제다. 이러한 점 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카사바에 대한 명확한 정책 및 관련기 관의 설립 기반이 마련되어야 하고 기관과 재정의 강화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마케팅 체계를 다양화하고 카사바 부가가치 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본다.
        4,000원
        159.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국산재 공급 확대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제시된 정책의 실현가능한 미래를 전망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산재 관련 연구경험이 있는 연구자, 국산재 관련 행정부서 근무자 및 교육 분야 전문가 15명을 선정하여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국산재 공급의 문제점과공급 확대를 위한 세부적인 정책을 도출하기 위하여 생산, 유통 및 소비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문하였으며, 도출된 정책은‘목재생산을 위한 인프라 구축’,‘수요예측에 따른 적정 조림정책’,‘권역별 목재 수집 단지 조성’및‘공공 건축물 등의 국산재 의무사용 등의 국산재 소비촉진 정책’등 이며, 제시된 정책의 실현 가능한 미래예측은 대부분의 정책이 2021년까지 실현 가능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예측하였다.
        4,200원
        160.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낭림산, 두류산, 금강 산, 설악산, 속리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반도의 가장 큰 산줄기이다. 조선시대의 수계와 산계가 결합한 대간 및 정간은 분수령에 의해 유역을 구분하며 그 중 백두대간은 우리나라의 주요 생태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백두 대간의 마루금 및 유역 생태의 특성 연구는 무분별한 개발 에 의해 백두대간의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된 1990년 후반 이후 집중되었으며 관리범위 설정, 식생특성 파악, 훼손지 복원방안 등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토 전체 에 걸친 넓은 면적으로 식생특성 등 기초자료가 구축되지 않은 구간이 많아 지속적인 식생구조 특성 연구가 필요하였 다. 본 연구 대상지인 질뫼늪~동해전망대 구간은 오대산국 립공원 지역으로 대관령삼양목장에 인접하여 관리된 초지 식생이 바로 접하고 있으며 하층식생이 일부 훼손되어 향후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두대간 질뫼늪~동해전망대 구간에 대한 식생구조를 밝혀 향후 관 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구는 12개소(20m×20m)를 마루금의 평지에서 사 면의 급경사에 걸쳐 설치하였으며 남동향과 북동, 북서향이 대부분이었다. 식생군집은 상대우점치를 고려한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과 DCA에 의한 ordination을 분석하였으며 소나무군집(Ⅰ), 신갈나무군집 (Ⅱ), 신갈나무-피나무군집(Ⅲ)으로 구분되었다. 상대우점 치 분석결과, 소나무군집(Ⅰ)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우점 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소나무와 물푸레나무가 우점하며 신갈나무와 경쟁하였다. 관목층에서는 철쭉, 신갈나무 등이 분포하였다. 신갈나무군집(Ⅱ)은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우점하였고 소나무, 팥배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아교목층에 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며 당단풍, 피나무 등이 경쟁하였으 며 관목층에서는 철쭉, 노린재나무, 털진달래 등이 분포하 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Ⅲ)은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피나무가 경쟁하였고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 신갈나무 등 이 우점하며 피나무와 경쟁하였다. 관목층에서는 철쭉이 넓 게 분포하며 노린재나무, 국수나무 등이 분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포분석결과, 소나무군집(Ⅰ)의 소나무 흉고직경 7~52cm에 걸쳐 고르게 분포하였고, 특히, 흉고직 경 32cm 이상의 대경목이 17주 분포하였다. 신갈나무는 흉 고직경 2~27cm에서 주로 분포하였으며 물푸레나무가 흉고 직경 2~12cm에서 출현빈도가 집중하고 있어 소나무는 도 태하고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 경쟁할 것으로 예측되었 다. 신갈나무군집(Ⅱ)의 경우, 신갈나무가 흉고직경 2~37cm 에 걸쳐 집중 분포하였고 마가목, 당단풍나무, 피나무 등이 흉고직경 2~27cm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 소교목 신갈나무의 출현빈도가 높아 신갈나무 군집이 한동 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으로는 피나무 등 낙엽활 엽수 등이 세력을 확장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신갈나무-피 나무군집(Ⅲ)은 신갈나무가 흉고직경 2~27cm에서 넓게 분 포하였으며 흉고직경 7~22cm에서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32cm이상의 대경목도 3주 분포하였다. 피나무 역시 2~27cm에 고루 분포하였으며 특히, 2~7cm에 출현하는 빈 도가 신갈나무에 비해 높아 현재는 신갈나무와 피나무가 교·아교목에서 경쟁하고 있으나 향후 피나무의 우점할 것으 로 예측되었다. 종수 및 개체수는 소나무군집(Ⅰ)의 경우, 16~25종 277~367개체가 출현하였고 신갈나무군집(Ⅱ)는 15~28종 250~482개체가 출현하였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Ⅲ)은 11~19종 214~319개체가 출현하여 신갈나무군집의 종수 및 개체수가 다소 높게 분석되었다. 400㎡ 당 조사구별 Shannon의 종다양도(H')는 소나무군 집(Ⅰ)이 0.9578∼1.1862였는데, 정선군과 동해시에 접해 있는 백두대간 백봉령~댓재 구간 내 소나무군집의 종다양도 0.9990과 유사하였다. 신갈나무군집(Ⅱ)의 종다양도는 0.7904~1.2286이었으며 백봉령~댓재 구간 내 신갈나무군 집의 종다양도 0.8046과 비교하면 다소 높은 수치이었다. 신갈나무-피나무군집(Ⅲ)은 0.8701~1.0323이었으며 백봉 령~댓재 구간의 동일 군집의 종다양도 1.1090에 비해 다소 낮은 수치이었다. 백두대간 질뫼늪에서 동해전망대까지의 식생은 소나무에 서 신갈나무를 거쳐 피나무 등 낙엽활엽수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종다양도는 단일군집 의 영향보다는 대부분 목장영향으로 인한 관목종수가 많고 균재도(evenness)가 높은 조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