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8

        143.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한글 PEDI의 표준화를 위한 예비 연구로써 한글로 번역한 PEDI의 번역 정확도를 검증하고, 한글 PEDI로 국내 아동을 평가하여 동일 연령대의 미국 아동과의 기능수준을 비교하여 문화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한글 PEDI는 미국에서 대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은 2개 국어 사용자 3명에게 의뢰하여 번역 정확도를 검증받았다. 미국아동과의 연령별 기능수준 비교는 어린이 집에 다니는 일반아동 28명을 2~5세까지 6개의 연령군으로 나누어 각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번역 정확도의 검증 결과 기능적 기술 부분의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 영역과 보호자의 도움 및 조정/변경 부분에서 5점 만점에 평균 4.67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두 4개 문항에서 2명 이상의 응답자가 번역 정확도가 나쁨이나 매우 나쁨에 응답하였다. 한국과 미국 아동들의 기능수준을 비교한 결과는 신변처리, 이동, 사회적 기능 영역과 보호자 도움 부분에서 아동들의 기능수준 차이가 나타났다. 규준 표준화 점수에서는 신변처리 영역의 2.5∼2.9세 연령군과 이동 영역의 2.0∼2.4, 2.5∼2.9, 3.0∼3.4세 연령군, 보호자 도움 부분의 2.5∼2.9세 연령군에서 한국 아동들이 미국아동들에 비해 낮은 기능수준을 보였다. 표준 점수에서는 이동 영역의 4.0∼4.4세 군, 사회적 기능 영역의 4.0∼4.4세 군과 보호자 도움 부분의 4.5∼4.9세 군에서 한국 아동들이 낮은 기능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번역 정확도 검증 결과 4개 문항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고, 한국과 미국 아동의 연령군에 따른 기능수준 비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4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가 간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생활습관이나 방식이 많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중에서도 음식은 다른 분야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난다. 특히 음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음식도구 중 디자인요소가 동일하고 유사한 것이 있거나 다른 요소와 기능을 갖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각 국가 간의 음식도구를 유니버설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식에 대한 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여 국가 간 음식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음식도구의 디자인요소를 창의성의 관점에서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내용으로는 첫째, 음식에 대한 소비자행동분석 프로세스의 개발 및 관찰을 통하여 행동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동분석을 접목하여 음식행동분석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둘째로,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 간 음식의 주문부터 평가까지의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나타난 현상에 대한 문제점 파악 및 이에 대한 결과물을 각 국가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식도구에 대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셋째, 국가별 개발된 디자인 안을 대상으로 선호도,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통하여 국가별 선호요소와 창의성평가요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는 개발된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국가별, 음식별, 행동별, 식당형태별로 비교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고 얻어진 결과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음식도구 디자인에 이용할 수 있으며 국가 간 동일 아이템을 디자인 교육시간에 진행시켜 대학의 디자인교육의 비교를 통하여 상호간에 협력과 상호보완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공유, 아이디어 전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4,000원
        14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irections of the road are divided into two, the right-hand side and left-hand side of the road, by the convention and specific native method in the world.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drivers who are accustomed to drivin
        4,000원
        14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4,300원
        15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 the leaf disc of fruit vegetables (cucumber, sweet pepper, tomato, egg plant, oriental melon), it has been evaluated that the capability of four predatory mites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Neoseiulus barkeri (Hughes), N. cucumeris (Oudemans), N. californicus (McGregor)) to prey on the eggs of Bemisia tabaci (Gennadius) and to lay own eggs. The most aggressive mite was A. swirskii which had consumed about 9~12 eggs in a day. The quantity of eggs consumed by N. barkeri, N. cucumeris and N. californicus was about 6~9, 4~6 and 1~4, respectively. The most productive mite was also A. swirskii which had laid about 1.2~1.9 eggs in a day. The others could not lay more than 0.5 eggs in a day.
        4,000원
        151.
        2008.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st methods of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KACA) and Association of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AHAM)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performance of an indoor air cleaner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of the test particle generation, the range of particle measurement and the calculation methods for particle cleaning capacity, and types of the test particles. Th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in a 30 m3 chamber with the same test specimen and the test particles of each test were generated until the number concentration of 0.3 ㎛ particles reached 2.2 × 108 #/m3. The performanc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particles of higher surface area and volume density, regardless of the type of test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those of lower and the capacity from calculation with 0.3~1 ㎛ particles was higher than with 0.3 ㎛ particles. Moreover, the cleaning capacity with the calculation of KACA method was lower than with that of AHAM method in spite of using the same test specimen.
        4,000원
        152.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에서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PASS, TCT)과 균형(BBS, FM-B) 및 일상생활동작(MBI)과의 관련성과 각 변수들과의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은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체간 조절 평가(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 PASS, Trunk Control Test : TCT), 균형 평가(Berg Balance Test : BBS, Fugl-Meyer Assessment - Balance : FM-B), 일상생활동작 평가(Modified Barthel Index : MBI)등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 PASS 자세 유지, 자세 변환, 총합은 TCT와 r=.78~.96(p<.01)으로 체간 조절 평가 도구간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SS, TCT는 BBS, FM-B(r=.65~.82), MBI(r=.75~.79)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1), BBS, FM-B는 MBI(r=.77~.78)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1). FM-B와 BBS는 r=.84(p<.0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I의 보행 항목이 PASS 자세유지, 자세변환, 총합, FM-B(p<.001),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PASS의 지지없이 서기 항목이 MBI, FM-B, TCT, BBS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PASS 총합은 MBI에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PASS 세부 항목 중 개인 위생, 목욕하기, 화장실 사용, 계단 오르기, 보행, 의자․침상 이동은 지지 없이 서기가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식사하기는 누운자세에서 테이블 가장자리에 앉기(p<.001), 옷입기는 환측으로 돌아눕기(p<.01)가 가장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PASS, TCT, BBS, FM-B, MBI간에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변수들과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 가능한 변수들을 제시 하였다. 또한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재활 치료 후 결과를 예측하거나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찾아내어 그에 대한 집중적인 치료의 병행이 환자의 성공적인 재활 치료를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임상적인 평가도구로서 적극적인 활용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600원
        155.
        2008.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fast gas chromatography system was evaluated using VOC standards prepared in both liquid and gaseous phase. When the liquid‐phase VOC standards were analyzed by both direct injection and HS‐SPME method, all the chromatographic separation was completed within 4 minutes. The calibr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further using gaseous standard of BTX. The calibration results derived by direct injection method generally showed good linearities, regardless of phases, while it was not the case for HS‐SPME method. In case of liquid‐phase standard, MDL values for direct injection and HSSPME method were calculated in the range of 0.07~0.19 to 0.63~3.76 ng, respectively. In contrast, MDL values for gaseous standard were 0.27~0.45 and 1.94~6.90, respectively. The reproducibility of our method, when expressed in terms RSE, showed above 5 %. When the sensitivity of different techniques is compared, the calibration slope values of BTX decreased on the order: direct injection of liquid‐phase standard > HSSPME method of liquid‐phase standard > direct injection of gaseous standard > HS‐SPME method of gaseous standard. Although fast GC is very efficient to reduce the total running time significantly, extended studies are desirable to improve its reproducibility.
        5,100원
        157.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검역원의 선행요건 항목을 식약청 및 미국 FSIS의 선행요건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보완되어야 할 검역원 선행요건의 내용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검역원과 식약청 모두 HACCP 고시에서 선행요건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으나 서로 상이한 부분이 많이 발견되므로 관리항목 범위와 내용을 조정할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또한 HACCP 적용업소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 업종별 작업환경조건이 다양해지므로 HACCP 고시에서는 선행요건 관리항목의 기본 틀만 제시하고 세부지침 및 일치 불일치 조건은 별도로 명시하여 관리하는 것이 선행요건의 현장적용 활용성을 높이고 평가업무의 표준화를 이루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4,000원
        158.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감성 의류로 사용되는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 40종의 시료를 이용하여 이들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시료는 1차시료 14개와 2차 시료 26개로 나누어지며 국내와 국외 시료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물성분석은 Blind field test를 이용하여 전문위원단에 의해 주관적인 물성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외 남성용 소모직물의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Blind field test는 촉감(부드러움, 탄력감), 색상(선명도, 심색미), 외관(깨끗함, 자연광택), 비교 선호도 등으로 4개군으로 test는 총 7개의 평가항목으로 나누어 전문평가단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하였다.
        4,000원
        159.
        2008.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ouse dust mite of the indoor environ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allergic asthma and rhinitis. It has been known that more than 70% of Korean children and about 50% of adult with the respiratory allergy are sensitive to house dust mite.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HCHO)/PM10 and the number of house dust mite in the indoor environment. In this study, sampling sites were education, social and dwelling facilities. We inquire the questionnaire of the resident on the indoor air quality in all sampling sites. At the same time,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 yde(HCHO)/PM10 as well as house dust mites. it was complained by 20% respondents that the indoor air quality was bad and by 10% that the atopy symptom was evident. When a certain amount of house dust mites were detected, the contents of PM10 were observed high and that of HCHO low. However when the house dust mites were not detected, the concentration of PM10 was low and that of HCHO high. From our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indoor air quality (i.e. conc. of PM10/HCHO) is quite related to the contents of house dust mites supporting the fact that the symptom of atopy and asthma is due to these small organism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