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3

        161.
        200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을 위해 발정이 재귀되지않은 무발정 한우의 번식장애 치료효과와 공태기를 감축하기 위한 난소실질내 PGF/sub 2처치효과를 알아보았다. 1. 번식장애의 감별진단 결과는 검사두수 43두중 둔성발정 또는 발정발견의 잘못이 18두 (41.9%)로 가장 많았고, 난소기능정지 14두 (32.6%), 난포낭종 4두(9.3%), 영구황체 3두 (7.0%), 자궁내막염 2두 (4.7%), 자궁축농증과 황체낭종은 각
        4,000원
        162.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trastichus sp.는 미국흰불나방의 번데기 기생벌로서, 1개의 숙주에 여러마리의 자손을 번식하는 집단 기생벌이며, 일년에 여러 세대 발생한다. 작잠, 신생아용 분유, 난황, 로얄젤리 등을 주요성분으로 기생벌의 인공먹이를 조성하였으며, polypropylene필름으로 번데기형태를 만들어 인공숙주로 사용하였다. 인공숙주에서 발육한 기생벌은 자연숙주에서 자란 기생벌보다는 크기가 작았으나, 계대 사육으로 번식 가능한 자손을 생산하였다. 인공숙주에서 발육한 in vitro 2세대의 생물학적 특성은 in vitro 1세대보다 훨씬 개선 었다. 평균 자손 수, 산란기간, 수명 등은 in vitro 에서 45.7,7.8, 13.8일 이었고 암컷 편중의 성비 76.9%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Tetrastichus sp.가 in vitro 대량사육에 적합한 기생벌임을 보여준다.
        4,000원
        164.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kim milk에 매실 착즙액을 수준별로 첨가하고 4종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casei)의 젖산균을 단독균주 또는 혼합균주로 접종하여 매실 착즙액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저장성을 조사하였고, 매실 착즙액으로 사용한 매실의 일반 성분을 분석하였다. 매실의 일반 성분은 조회분 0.4%, 식이섬유 4.1%, 구연산 4.66%, 총당 0.264%, vitamin C 405.34mg%이었고, 매실 착즙액의 첨가는 젖산균의 증식을 촉진시켰으며 산생성도 증가하였다. 실험구 중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와 Lac. casei의 혼합균주에 3%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실험구가 가장 많은 양의 젖산 (1.23%)을 생성하였고, 가장 높은 생균수 (3.6×10^11 cfu/mL)를 나타내었다. 매실 착즙액 3% 첨가 호상 요구르트를 대조구와 함께 4℃와 20℃에서 30일 동안 저장한 결과, 세 개의 혼합균주 (Str. thermophilus, Lac. acidophilus, Lac. casei)를 사용한 호상 요구르트가 4℃에서 pH는 4.25, 생균수는 4.1×10^9 cfu/mL이었고, 20℃에서 pH는 3.76, 생균수는 8.7×10^8 cfu/mL으로 대조구인 매실 무첨가 호상 요구르트에 비하여 높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매실 착즙액을 첨가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6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과 이를 극성이 다른 용매로 더욱 분리한 용매별 획분들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spore rec assay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의 증식에 대한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spore rec assay에서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의 돌연변이성을 61% 정도 억제하였으며,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효과가 있었던 활성물질을 정제하기 위하여 다시 극성이 다른 용매들로 각각 추출하여 얻은 획분 중에서는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획분이 강한 돌연변이 유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키는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는데 사람의 결장암 세포인 HT-29와 사람의 위암 세포인 AZ-521에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50㎍/ML와 100㎍/ml 첨가시 이들 암세포의 증식 억제율이 100%에 달하였고 감잎의 에틸아세테이트 획분도 사람의 결장암 세포 (HT-29)와 사람의 위암세포 (AZ-521)에 대해 클로로포름 획분 다음으로 강한 항발암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헥산 획분도 이들 두 획분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보다는 낮았으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관찰되어 항돌연변이 실험에서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4,000원
        16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콘태트렌즈 다목적 용액 내에는 보존제, 소독제, 세척제, 윤활제 둥이 포함되어 있 으며 콘택트렌즈 표면에 침착하는 단백질올 제거하기 위해 물질의 계변에 홉착되어 그 표면 장력을 현저하게 저하샤키고 수액 내에 열정 농도이상으로 폰재할 때 미젤 구조를 형성하여 정상적으로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미첼구조내에서 용해시키는 특성 올 갖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연구논 계면활성제의 세척 효과와 세포독성 판계를 연구하고자 소프트 콘택트렌즈 의 세척용으로 사용되는 여러 가지 계변활성제 (Tyloxapol, Tromethamine, Poloxamine, Poloxamer40η) 가 생쥐의 섬유모세포인 L• 929 cell line에 미 치찬 저해 효과를 알아보 았다. 계면활성제를 농도별 <0,001-10%, w/w) 토 처리한 후 시간별 (24h, 48h)로 MTT 와 LDH 분석 방법올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단백칠 제거효과는 친수성 콘택트 렌즈 FDA공인 W 그룹의 렌즈 etafilcon A (함수융 58%) 를 인공누액에 65시간 담근 후 꺼내어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처리시간이2, 24h) 에 따라 단백절 제거효과를 조사하였 는데 단백질이 침착된 친수성 콘택트렌즈가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의해 제거된 단백질 량의 정량은 Bradford 정량 방법올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증식 저해효과는 24시간 처리결과 Poloxamine의 ;성우 0.1%이하에서. Poloxamer407은 5% 이하에서. Tyloxapol 은 0.1%이하에서, Tromethamine은 1%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윷 나타내지 않았 으나, Poloxamine의 경우 1% 에서, poloxamer407은 7% 에서, Tyloxapol은 1% 에서, Tromethamine은 1.5%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세포소지판을 중심으로 평가된 MTT 분석 방법은 LDH 유리 분석 방법보다 민감하게 나타났다. 계면활성제의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단백질 제거효과눈 Tylox따Xll > Poloxamer-때7> Tromethamine > Poloxamine 순으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량이 높았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파똘 통해 미래의 계면활 성제는 세포독성이 낮고 세척효과가 뛰어나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200원
        170.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채벌레류의 토착천적인 Orius strigicollis Poppius의 사육에 영향을 주는 부화율, 산란수 및 산란시기,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을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10%, 온도 의 사육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부화율과 알기간은 각각 88.5%, 5.7일이었다. 사육용기 당 산란수는 50-100개일 때에 우화율이 50.8%로 가장 좋았고, 새로 얻은 성충의 회수시기는 산란 후 17일이 적당하였다.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새로 얻은 성충의 수와의 관계는 Y= -10.7971n(X)+44.659(=0.7619)와 같았다. 사육실에서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일세대 평균기간(T), 순번식율( )과 내적자연증가율( )은 각각 26.5일, 6.18과 0.0687이었다.
        4,000원
        171.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material having antibacterial activity. The effects of preservatives, antibiotics and oriental medicines on growth of tested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of all tested bacteria was inhibited by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Antibacterial activity on the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tested. The growth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xtraordinarily inhibited by more than 0.2%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under control condition had mean values of 0.514(hr-), 0.381(hr-) and 0.489(hr-), respectively. When 0.2%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added, specific growth rates of Escherichia coli W3110, Enterobacter cloacae MG82 and Salmonella typhimurium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1.26, 2.23 and 1.50 fold,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was 0.25% on the tested microorganisms. The growth of Enterobacter cloacae MG82 was more inhibited by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than other tested microorganisms.
        4,000원
        173.
        200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s of these study were to diagnose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s by using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The measurement of blood progesterone (P) concentration was conducted to diagnose pregnancy and to detect corpus luteum (CL) or evaluate disorder of CLs. As a result, the incidence rates of reproductive disorders were as follows : SH and EED (41.9%), inacitve ovaries (32.6%), follicullar cyst (9.3%), PCL (7.0%), endometritis (4.7%), pyometra (2.3%) and luteal cyst (2.3%). 61 Cows having Pconcentration 1.0 ng/ml(at the insemination) were increased to 1.0 ng/ml 6day after insemination. 50 cows among 6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 cows among 13 HanWoos having P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nl 6 day after insemination had non-ovulatory estrus and the others had P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l 6 day after insemination, which was the error of estrus detection. All 13 cows were diagnosed non-pregnant. 47 cows diagnosed pregnant after insemination of Pconcentration 3.0 ng/ml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t 30 day post-insemination. As a result, 4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7.2%) but 14 cows having Pconcentration 3.0 ng/ml at 21 day after insemination was diagnosed to non-pregnancy. Calving intervals by surveying 100 cows were as follows 11~12 months (20%), 12~13 months (36%), 13~14 months (19%), 14 months (25%), respectively. In conclusion, hormone and ultrasonography help to detect reproductive disorders exactly and diagnose early pregnancy. This study suggest that diagnosis of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 by blood P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improve reproduction management of HanWoo.
        4,000원
        175.
        200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식물조직배양 기법을 통하여 한란과 심비디움의 효율적인 증식을 위한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적정 처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한란의 rhizome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2 ppm NAA, 심비디움의 protocorm 형성은 무처리 및 10 ppm kinetin + 0.05 ppm NAA에서 아주 양호하였다. Callus 유도의 적정 식물 생장조절물질의 농도는 구명하지 못했다. 한란 rhizome으로부터의 shoot 분화에는 10 ppm BA + 2 ppm NAA, 5 ppm BA + 2ppm NAA, 심비디움 protocorm으로부터의 shoot 분화는 10 ppm Kinetin + 0.05 ppm NAA, 1 ppm Kinetin + 2 ppm NAA에서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79.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