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4

        16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arly growth, the rate of yolk sac absorption, and nucleus size in liver parenchymal cells were correlated with the nutritional status of first feeding larval haddock, Melanogrammus aeglefinus. Larvae that successfully began exogenous feeding maintained high growth rates, delayed yolk sac resorption, and had larger hepatocyte nuclear sizes than starved larvae. At 10 days post hatch (DPH) the cumulative mortality in the starved larval haddock group was 100%. The area of the hepatocyte nuclei in starved larvae gradually decreased, reaching its lowest value by 9 DPH. Our results support the current practice of providing the first food supply at 3 DPH. Hepatocyte nuclear size can be used to assess larval haddock nutrition status, and may be a good criterion for assessing the success of transition from endogenous to exogenous feeding.
        162.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내의 공극률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적인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시공시 가수된 물은 콘크리트의 비빔과 작업성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되지만, 이러한 가수는 콘크리트의 공극을 증가하게 하며, 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적인 성능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시멘트비 0.45의 시멘트 모르타르에 대하여, 단위수량을 증가시켜 물멘트비를 0.45에서 0.60으로 증가시키면서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즉, 각 물시멘트별로 소정의 재령까지 양생한 시험체에 대하여 강도, 염화물 확산, 투기성, 포화도 및 수분 확산계수 등의 다양한 내구성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변화하는 공극률과 함께 분석되었다. 또한 내구성능의 변화 비율 및 그 패턴은 공극분포, 공극률, 그리고 단위수량을 고려하여 정량적으로 평가되었다.
        16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수염을 일반분쇄기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얻은 5단계의 다른 입자 크기의 옥수수수염 분말을 각각의 입자 크기별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고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여 최적의 입자크기를 찾고 우수한 가공법을 확립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된 옥수수수염을 일반적 분쇄 방법과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5단계의 입자크기는 각각 199.17um , 178.27um , 85.48um , 27.04um 및 20.97um 로 가장 큰 입자 크기와 가장 작은 입자 크기와는 약 10배 가량 입자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2.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색차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와 황색도의 수치가 커졌다. 3. 또한 입자크기별 옥수수 수염 분말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300배 확대하여 관찰한 결과 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확대한 입자의 크기가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모양은 다각형의 모양을 보였다. 4.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조단백질 함량과 유리당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섬유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줄어들었고, 조지방 함량과 조단백질 함량, 유리당 함량은 입자크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입자크기별 옥수수수염 분말의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컬 소거능 모두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6.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른 ascorbic acid equivalents는 입자크기간의 수치적으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서로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EAC 실험과 FRAP 실험에서는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그 수치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7. 옥수수수염 분말의 입자크기, 색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로 유의적 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명도, 적색도, 황색도, 총 페놀 함량, ascorbic acid equivalents, TEAC에서 고도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164.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diments of Little Scioto (LS) River in Ohio was contaminated by poor disposal of creosote from Baker Wood Creosoting Facility. Among the primary compounds of creosot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re the most common ingredient. PAHs are known for toxic, carcinogenic and mutagenic compound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to remove the PAHs in nature environment because their characteristics are having a less water-solubility, volatile and low mobility properties as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The generation of hydroxyl radicals (ㆍOH) and hydrogen peroxide (H2O2) forms as well as high temperature (5000 K) and pressure (1000 atm) by a physico-chemical effects of ultrasound during a cavitation collapse can promote the degradation and desorption of PAHs in sediment And it can also produces shock wave and microjets which are able to change the size and surface of particle in solid-liquid system as one of physical effects. Therefore, we explored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cle size, the effect of elimination for PAHs concentration by ultrasound and optimize the conditions for ultrasonic treatment. The condition of various size of particles ( > 150㎛, < 150㎛) and solid-liquid ratio (12.5g/L, 25g/L) for the treatment was considered and ultrasonic power (430 W/L) with liquid – hexane extraction and microwave extraction method were applied after ultrasound treatment.
        165.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단옥수수로부터 찰옥수수로 변한 소비자들의 기호성과 홍수출하를 피하고 생산자의 소득을 높이기 위한 주년공급에 대응하기 위해서 조생종과 만생종 찰옥수수의 육묘와 이식재배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2007년에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풋옥수수의 안정성 높은 이식재배법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파종 후의 출사일수가 길어지는 반면, 이식후의 출사일수는 짧았는데, 출사일수는 찰옥 1호가 찰옥 4호에 비하여 9~12일, 그리고 2기작이 1기작에 비하여 12~15일 정도 짧았다. 2. 육묘 이식재배한 찰옥수수의 간장은 육묘일수가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직파재배에서 간장은 2기작재배에서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17%, 그리고 찰옥 4호는 24% 감소하였다. 3. 이삭길이는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다소 감소하였는데, 찰옥 1호는 1기작재배에 비하여 2기작재배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4. 상품 이삭수는 직파재배에서 2기작재배가 1기작재배에 비하여 찰옥 1호는 64% 감수하였고, 찰옥 4호는 12%로 감소하여 그 정도가 적었다. 5. 상품 이삭수로 보아 찰옥수수의 적정육묘일수는 찰옥1호는 1기작재배 15일 육묘, 2기작재배는 이식재배 보다 직파재배가 적당하고, 찰옥4호는 모든 작기에서 20일 육묘로 판단되었다.
        166.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죽식의 가장 기본 형태인 쌀죽을 모델로 하여 단백질첨가 생선죽을 제조하고 입자크기(통쌀죽 >2.5 mm ; 반쌀죽 0.7-2.5 mm ; 쌀가루죽
        16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7년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찰옥수수의 조생종 품종 찰옥 1호와 만생종 품종 찰옥 4호를 재료로 하여, 적정육묘 일수, 충실한 묘를 육성하기 위한 플러그셀 크기에 대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한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찰옥수수 묘의 묘장, 엽수 및 건물중은 파종기와 플러그셀 크기에 따라서 고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찰옥수수의 묘는 3월 파종 보다 5월과 7월 파종에서 생장속도가 빨랐다. 2. 찰옥수수 묘의 묘장과 엽수는 육묘일수가 길수록 증가하였는데, 3월 14일 파종에서는 30일 묘(21.6 cm), 5월 8일 파종에서는 15일 묘(25.5~26.9 cm), 그리고 7월 3일 파종에서는 10일 묘(21.6~24.0 cm)에서 이식에 적합한 묘장이 되었으며, 엽수는 3월 14일 파종에서는 파종 후 15~20일, 그리고 5월 8일과 7월 3일 파종에서는 파종 후 10일에 이식에 적합한 2~3매가 되었다. 3. 건물중도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는데, 3월 14일 파종에서는 육묘 30일에 0.43g, 5월 8일 파종은 20일에 0.57~0.67g, 7월 3일 파종은 15일에 0.53g이었고, 또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건물중 증가속도가 2~3배 빨라졌다. 4. 묘장과 엽수로 보아 찰옥수수의 적정육묘일수는 모든 플러그셀 크기에서 3월14일 파종에서는 20일, 그리고 5월과 7월 파종에서는 10~15일이었다. 5. 찰옥수수 플러그묘의 묘장, 엽수, 엽면적 및 건물중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엽색도는 대부분의 형질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168.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some conditions for optimum cultivation of Angelica gigas Nakai by theinvestigation of root yield and decursin content from different seeding sizes and accumulative temperature. Accumulativetemperature from April to October was 4,309℃ on altitude 100m , 4,242℃ on 250m, 3,662℃ on 530m, 3,435℃ on 730m,and altitude 530~730m was less 650~870℃ than altitude 100m cultivation areas of A. gigas. Seedling stand rate wasincreased from 86.4% to more than 90% as accumulative temperature decreases, and was increased in above 7㎜ of seed-ling size, and 10% in non-mulching more than PE film mulching. Yield was increased as accumulative temperaturedecreases and in PE film mulching as 310.2㎏/10a. Also, Yield was increased in 7~9㎜ than seedling diameter 5~7㎜ as313.0㎏/10a. Decursin content of primary roots was increased as altitude rises, ie, as 2.55% on altitude 100m, 3.33% on250m, 5.51% on 530m, and 6.24% on 730m. Decursinol angelate content appeared little than decursin content as 1.08%on altitude 100m, 1.37% on 250m, 1.99% on 530m, 2.38% on 730m, and as altitude was heightened, content was increased.
        169.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비정질 규산염 나노입자는 지각에 풍부한 규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비다공성 나노입자로서 광물학을 포함한 지구환경과학과 산업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1H과 29Si MAS NMR분광분석을 통해 7 nm와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의 규소와 수소 원자 환경을 측정하고, 입자 크기에 따른 규산염 나노입자 원자 환경 변화를 규명하였다. NMR 스펙트럼의 화학적 이동 값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양자화학계간을 통해 Si3O6H6, Si4O5H10, Si5O4H12 분자계간모델의 화학 차폐를 계산하였다. 29Si MAS NMR의 결과, 이중 실라놀(geminal silanol)과 단일 실라놀(single silanol), 실록산(siloxane) 구조의 Si 원자 환경에 해당하는 Q2, Q3, O4가 구분되어 나타나며 입자 크기에 따라 Q2, Q3, O4가 7 nm규산염 나노입자에는 7±1%, 27±2%, 66±2%,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에는 6±1%, 21±2%, 73±2%의 분포를 갖는다. Q2, Q3 구조는 나노 입자의 표면적에 대부분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두 규산염 나노입자의 표면적 차이에 비해 Q2, Q3 양의 차이가 적으며, 이는 입자 표면 뿐 아니라 입자 내부에도 Q2, Q3 구조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1H MAS NMR 스펙트럼은 물리흡착 된 물(physisorbed water), 수소결합 된 수산기(hydrogen bended silanol), 비 수소결합 된 수산기(non-hydrogen bonded silanol)를 구분하여 나타낸다. 14 nm 비정질 규산염 나노입자에 비해 7nm 나노입자에 약 3.4 배의 수소 원자가 존재하며, 더 강한 수소결합 세기를 갖는다. 전체 수산기 중에서 비 수소결합 된 수산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7 nm 규산염 나노입자 보다 14 nm 규산염 나노입자에서 더 높으며, 이는 수소 원자간의 상대적 거리(proximity)가 14 nm 임자에서 더 긴 것을 지시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은 규산염 나노입자의 입자의기에 의한 다양한 원자 구조의 변화를 규명하였다.
        170.
        2007.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가공이나 저장 중 쉽게 산화되는 특성을 갖는 비타민 C의 안정성과 가공적성을 향상시키고자 Zein-DP와 HPMC-FCC를 코팅제로 한 유동층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한 비타민 C 분말의 품질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유동층 코팅은 비타민 C의 입자크기()와 코팅액의 혼합비(1:1.6, 1:2.5, 1:3(w/w))를 달리하여 실시하였다. 코팅효율은 의 경우가 보다 높았고 코팅액의 혼합량이 많을수록 감소함을 보였다. 코팅된 필름의 두께는 의 경
        171.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분할마를 심은지 30일 후에 3, 5, 7, 9, 12g씩 분할한 절편의 발아율은 60.3, 80.5, 85.3, 98.6 및 99.3%를 나타냈다. (2) 하우스재배에서 분할 절편에 따른 괴경 비대는 3, 5, 7, 9, 12g에서 66, 87, 98, 120, 140g을 나타냈다. (3) 노지재배에서 분할 절편에 따른 괴경 비대는 3, 7, 12, 18, 23g에서 35.2, 124.7, 142.7, 174.8, 200,7g을 나타냈다.
        172.
        200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us vide 방법에 의하여 가공된 시금치 식자재 제품에 대해서 포장단위 및 저온살균 조건이 살균치와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장단위로 500g, 1kg 및 2kg에 대하여 차단성 플라스틱 포장필름에 데친 시금치를 진공포장하고 저온 살균한 후에 3의 물에서 급냉 하는 조건에 대하여 공정조건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선 각 포장단위 제품의 열침투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중심부를 가열단계에서 L. monocytogenes
        173.
        200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의 개시 후에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목표크기나 목표위치의 변화가 계획된 주동근과 길항근의 활동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운동명령의 동작중 조절과정에서 시각정보가 이용되는 방식을 검토하는 것이다. 남자대학생 20명이 목표의 크기나 위치가 예기치 않게 변화되는 상황에서 시각적으로 명시된 공간적 목표지점을 향하여 팔꿈치 신전운동을 수행하였으며, 각 동작시 팔꿈치 관절의 이동각도와 주동근 및 길항근의 근전도 활동을 측정하였다. 목표위치조건에서의 최종팔꿈치각도는 목표위치가 멀어진 경우에는 커졌으며 가까워진 경우에는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표크기조건에서는 과제제약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동작의 가속국면동안 측정된 주동근 활동의 강도는 목표위치가 멀어질 경우에만 증가되었으며 목표크기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았다. 동작의 감속기동안 측정된 근육활동 역시 목표크기의 변화에는 민감하지 않았으나 목표위치의 변화에 부응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목표위치가 증가될 경우 주동근 활동은 증가한 반면 길항근 활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목표위치가 가까워질 경우에는 반대로 주동근 활동은 감소하였으나 길항근 활동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작의 개시 후에 과제상황의 얘기치 않은 변화가 발생할 경우 시각체계는 변화된 과제제약의 특성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변화된 과제제약의 특성이 제어전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택된 제어전략은 운동명령의 동작중 조절과정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변화된 과제제약이 부과하는 운동학적 요구에 부응하는 근육활동유형을 생성할 수 있다.
        174.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tato (Solanum tuberosum L.) tubers of 10, 20, 30, 40, and 50 g were planted in plug trays with vermiculite-based root medium on 10 August 2000 and grown for 15 days in a glasshous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ni-tuber size on plug seedling growth and field performance of plug seedlings. For a control, common potato tubers weighing 50 g were also planted. As size of seed tubers planted increased from 10 to 50 g, seedling height decreased from 24.6 to 20.0cm while shoot number per seedling increased from 2.0 to 3.5, main stem diameter from 4.3 to 6.1mm, and fresh weight of root + top from 9.3 to 19.4 g/seedling. At 90 days after transplanting plug seedlings, the total number of tubers per plant increased from 3.62 to 4.72, average tuber weight from 62.9 to 72.8g, and total tuber yield 20.5 to 23.6 t/ha with increase in seed tuber size. Plug seedlings raised from 50g tubers produced 22% more tubers per plant and had 21 % higher>80g tuber yield than the directly planted potatoes.
        175.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소양댐의 수질을 조사, 분석하여 일본 주산지인 정강(靜岡)과 비교한 결과 pH는 비슷하고, 전기 전도도는 0.03~0.2mmho/cm 안에 들어 재배에 적당한 조건이었다. 2. 소양댐 용수의 용존성분중 질소, 인산은 일본보다 약간 높고, K는 낮았다. 황은 높은 수준이었고, Mg는 매우 낮았다. 3. 분주묘의 초장 변화는 대묘에서는 이중 sigmoid, 중묘, 소묘는 S형 생장을 하였다. 4. 분주묘의 근경중 분포에서 40g이상의 개체는 대묘는 87%, 중묘는 80%, 소묘는 54%의 분포를 보였고, 상품 근경중은 대묘 723kg/10a, 중묘 639kg/10a 이었다. 5. 실생묘의 묘 크기별 초장 변화 곡선은 묘 크기에 상관없이 S형 생장을 나타냈다. 6. 실생묘의 묘 크기별 상품율은 대묘 60%, 중묘 13%, 소묘 20%, 상품근경중은 대묘 395kg/10a, 중묘 102kg, 소묘 160kg 이었다. 7. 고추냉이 주요 형질간 상관관계에서 초장은 엽병장, 엽장, 엽폭, 엽병중과 엽폭은 엽중, 엽병중과 정의 상관관계를, 근경중은 주경엽수, 근경장, 근경폭, 엽중, 총중량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엽병중, 총근경중과도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다.
        176.
        199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묘크기와 저온처리가 추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며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기간에 따른 추대율은 30일, 60일과 90일 처리에서는 각각 69.4%, 69.3%과 75.2%로 처리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추대율이 높았으며, 무처리에서는 29.6%로 낮았다. 2. 묘크기별 저온처리에 따른 추대율은 소묘일수록 낮고, 대묘일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정식후 추대까지의 기간은 저온처리 기간이 길수록, 대묘일수록 추대가 빨라지는 경향이었다. 3. 추대시 생육은 저온처리 기간이 길어지고 대묘일수록 초장이 짧고 추대엽위가 낮으며 진전엽수가 적어지는 경향이었다. 추대율은 추대시 생육과는 부의 상관을 보이고, 후기생육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178.
        199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ncooked rice Tackju was prepared from the groud rice with different particle size such as 12, 20, 35 and 50 mesh,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during the brewing. Reducing sugar and ethanol contents as well as yeast cell counts were the highest in main mash and Tackju prepared from 20 mesh fraction. Especially, reducing sugar content was about. 1.5-2.5 times as much as that obtained from 35 or 50 mesh fraction. The final concentration of ethanol in main mash prepared from 20 mesh fraction was 14.8%(v/v). It was about 1.5%(v/v) higher than the lowest one [13.35%(v/v)] which was prepared from 12 mesh fr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acidity was observed. Sensory evaluation revealed 20 or 35 mesh Tackju to be the best in overall preference, especially in sweet and refreshing tastes.
        179.
        199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생약의 수요 및 재배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약초의 재배기술 확립이 요청 되고 있는바 추대로 인한 수량감소와 품질저하가 크다고 알려진 강활에 대하여 파종방법별로 육묘기 생육과 묘크기에 따른 추대 및 수량성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파종방법별 출아율은 파종량이 적고 산파했을 경우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묘크기에 있어서는 파종량간에 대차 없었으나 파종방법간에는 조파구에서 생장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2. 묘 분포비율은 중묘〉소묘〉대묘의 순으로 많았는데 소묘생산을 위해서는 산파로서 밀파(8l /33m2) 하는 것이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묘크기에 따른 정식후 생육은 묘의 근경이 굵을수록 개화가 빨라지는 경향이었고 지상부 생육은 조파 소묘 정식이 좋은 경향이었다. 4. 묘크기에 따른 추대율은 대묘 89.6%, 중묘 64.4%, 소묘 36.9% 로 묘가 클수록 높았다. 5. 묘크기에 따른 근비대는 미추대근이 추대근에 비하여 많았고 조파묘보다 산파 묘가 좋았다. 6. 생근수량은 산파 소묘 정식구에서 853kg/10a 으로 가장 증수하였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