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2

        16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mparative effect of oyster mushrooms on plasma, fecal lipid profiles, liver and kidney functions were evaluated in hyper and normocholesterolemic rats. The feeding of hypercholesterolemic rats with 5% powder of fruiting bodies of oyster mushrooms i.e., Pleurotus ostreatus, P. sajor-caju and P. florida reduced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level by 37%, 21% and 16%, respectively and triglyceride level by 45%, 24% and 14%, respectively. LDL/HDL ratio decreased by 64%, 45% and 41% for P. sajor-caju, P. ostreatus and P. florida fed rats, respectively. Mushroom feeding also reduced body weight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However, it had no adverse effect on plasma bilirubin, creatinin and urea nitrogen level. Mushroom feeding also increased the total lipid and cholesterol excretion through the feces.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feeding of 5% oyster mushroom powder do not have detrimental effects on the liver and kidneys rather may provide health benefits for the cardiovascular-related complication by decreasing the atherogenic lipid profiles.
        162.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oplar or pine sawdust is used to main substrates for oyste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However, sawdusts are containing a lot of lignin that is insoluble and non digestible component. Therefore, spent substrates which are produced by oyster mushroom harvest are difficult to use as ruminant feed.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o find sawdust substitute on the oyster mushroom for ruminant feed. As results of chemical analysis of cotton seed pellet, corn stem pellet, and corncob was revealed that concorb showed low crude ash(2.4%) and lignin(13.1%) contents. Mushroom yield and biological efficiency in concorb substrates is similar to and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refore we estimated that corncob could be substituted for sawdust.
        167.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ongi-1ho’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fitting for the bottle culture, was bred and by mating between monokaryons isolated from Kimjae-7ho and Samgu01. I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the pilei were thick and dark-gray and the stipes were thick and long with softness. It was great in elasticity and cohesivness of tissue as compare to chunchu-2h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round 26~29℃ and that for the pinheading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round 14~18℃. In the bottle culture, it was required around 33 days in incubation period and 5 days in primordia formation. The fruit body was grew vital and uniform. The yield were shown by 140.6g/850cc bottle.
        168.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연안 양식장의 지속적인 생산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어장환경용량 산정 및 활용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 왔다. 그러나, 생태학적 부하를 고려한 지속적 적정 생산을 위해서는 4가지 계층구조(물리적 수용능력, 생산 수용능력, 생태학적 수용능력 및 사회적 수용능력)에 의한 어장환경용량 산정 개념을 활용할 수 있다. 생태학적 수용 능력 산정의 경우, 환경과 패류 양식의 상호작용에 관한 좀 더 전체적인 접근이 필요하여 아직까지 모델 개발은 초기 단계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접근으로 패류양식장이 해양생태계의 가능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패류양식장의 생태적 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생태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현재 거제한산만 굴양식장의 정화율 생태지표는 0.331, 여과압 생태지표는 0.203으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연안 생태계에 부하를 주지 않는 생태학적 수용 능력인 0.05를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수용 능력의 개념에 근거한 생태지표를 거제한산만에 적용하여, 현재의 굴 양식장의 개발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를 평가하여 지속적인 생산과 효과적인 양식어장 관리 지침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4,000원
        169.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굴 양식 산업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양식수산업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지만, 최근에는 수출 감소, 국내 내수시장 소비의 한계, 양식 환경 악화와 같은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있다. 적정하고 지속적인 굴 생산은 어장환경의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적지 선정을 통하여 달성 가능하고, 양식장의 적지 선정은 양식장의 성공적 개발에 중요한 열쇠이며, 지속가능한 개발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GIS 기반의 다중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수하식 굴 양식장의 적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인자들은 GIS에서 보간법에 의해 추출되었고, 여덟 개의 환경 인자들이 두 가지 기본 서브모델로 그룹화 되었다. 이는 굴 성장에 관련된 인자(수온, 염분, 해수유동, 클로로필 a)와 양식장 주변 환경에 관련된 인자(저층 DO, 총유기탄소, 퇴적물 산휘발성 황화물, 저서군집 다양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합 점수는 가장 적지인 8점에서부터 가장 적합하지 못한 1 점까지의 규모로 가점되었으며, 총 80.1%의 잠재 지역이 가장 높은 점수 5점과 6점으로 채점되었다. 이 지역들이 거제한산만에서 굴 양식을 위한 가장 최적의 조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GIS 기반의 적지 선정 기법은 공간적인 의사 결정을 지원함으로서 어장관리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170.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품질이 우수한 굴 보일드통조림을 제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목적으로, 원료 굴을 자숙한 후 301-3관에 충전, 밀봉하여 115℃에서 Fo값이 5~20분 되도록 가열살균처리를 하였다. 굴 보일드통조림의 수율은 79.2~83.7% 정도로 Fo값이 증가할수록 약간씩 감소하였다. 가열처리 중 시료 굴 보일드통조림의 pH는 별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휘발성 염기질소 (VBN) 함량은 열처리 정도에 따라 상당량 증가하였다. 구성지방산은 열처리를 많이 받을수록 포화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는 약간씩 증가한 반면 폴리엔산은 약간씩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류는 자숙시 수분이 유출됨에 따라 원료 굴의 1,533.5 mg%에서 1,140.8 mg%으로 상당량 감소하였으나, 이후 열처리가 진행될수록 약간씩 증가한 반면, Tau의 경우는 Fo값이 증가할수록 계속 감소하였다. Betaine은 생굴에 400.6 mg%으로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고온가열처리 중 상당량 감소하였다. 주요 무기이온성분은 고온가열처리 중 Fo값이 증가할수록 상당량 감소하여 Fo 20 시료의 경우 대부분 무기이온성분들이 생굴에 비해 1/3 정도 감소하였다. 조직감에서는 고온에서의 열처리로 인한 가압 및 수분의 유출로 인해 조직이 단단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처리에 따른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 맛과 관능적 조직감은 가열처리 정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종합평가면에서도 Fo 5~15 시료간에 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4,000원
        17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mkang’ a new variety of oyster mushroom, fitting for the bottle culture, was bred and by mating between monokaryons isolated from MT05433 and AE1-1. I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the pilei were thick and dark-gray and the pileistripes were thick and long with softness. It was great in elasticity and cohesivness of tissue as compare to chunchu-1ho.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mycelial growth was around 26~28℃ and that for the pinheading and growth of fruitbody was around 14~16℃. In the bottle culture, it was required around 26 days in incubation period and 4 days in primordia formation. The fruit body was grew vital and uniform. The yield were shown by 136.5g/bottle.
        17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NaCl 농도가 느타리버섯 균사생장 및 자실체 발생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PDA배지에서의 NaCl 농도에 따른 균사생장은 0.5%처리까지는 버섯균사 생장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1.0% 처리에서는 생장하는 속도가 무처리에 대비하여 감소되기 시작되어 5.0%에서는 균사생장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톱밥배지에서는 PDA배지에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균사생장의 감소속도는 완만하였다. 톱밥 병재배시 NaCl 농도별 시기별로 관수 처리한 결과에서는 균긁기 직후 처리에서는 버섯 품질과 수확량에서 3.0%처리부터 떨어지기 시작하여 10.0% 처리에서는 무처리의 47%정도 밖에 수확할 수 없었다.버섯 발이 직후 처리에서는 균굵기 직후의 처리와 유사한 경향이나 발이전 침수보다는 상태가 양호하였으며, 10.0% 처리에서도 무처리의 90%정도로 그 피해가 적었다.버섯생육도중 관수처리시는 10.0% 처리 이외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처리도 발이전 처리 및 발이후 처리보다는 생육특성이 양호하였다.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에 있어서는 처리시기별, 처리농도 별로 커다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느타리버섯에 사용되고 있는 지하수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일부의 농가에서 부분적으로 먹는 물의 기준치에 초과하는 농도를 보이고 있으나 이것이 직접적으로 버섯재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4,000원
        17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understand food sources-metabolism for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stable isotope ratios of carbon (δ13C) and nitrogen (δ15N) of its gut, gill, and muscle as well as potential food sources (particulate o
        4,000원
        175.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춘추느타리 2호의 최적 환기횟수는 발이유도기 1/10h-1, 생육초기 1/6h-1, 생육중기와 생육후기 1/4h-1에서 자실체의 생육이 양호하였고, 수한느타리 2호는 발이유도기 1/6h-1, 생육초기 1/6h-1, 생육중기 1/4h-1, 생육후기 1/20h-1에서 자실체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춘추느타리 2호 및 수한느타리 2호 원기형성기에는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실체 생육시 1,500ppm 이상일 경우 갓의 끝부분이 위로 말려 올라가는 등 환기장해 현상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춘추느타리 2호에 비해 수한느타리 2호의 경우 호흡량이 높아져서 환기요구도가 높았으며, 환기 횟수가 클 경우 생육이 양호하였다.
        4,000원
        17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느타리버섯 재배에 있어서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는 단독으로 배지재료로 쓰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면실피를 주재료로 하고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를 첨가재료로 사용할 경우 부레옥잠을 20% 혼합하였을 때 115mm로 대조구와 같은 균사생장속도를 나타냈고 50%를 혼합하였을 때 103mm로 균사생장속도는 약간 느리지만 균사밀도가 높아 50%까지 대체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나나는 20%를 혼합하였을 때 106mm의 생장속도를 보였고 그 이상의 혼합비에서는 균사생장속도가 늦어지고 균사밀도가 약해졌다. 이는 부레옥잠에서는 주재료의 대체 비율이 20%이상 50%미만 이었고, 바나나 잎, 줄기에서는 20%미만 이었다. 부레옥잠과 바나나 잎, 줄기는 대체배지로 그 생산량이 많고 저가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실증재배를 해 볼 필요가 있다.
        3,000원
        177.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0년 12월에서 2007년 5월 사이 태안조간대에서 참굴(Crassostrea gigas)과 바지락 (Ruditapes phillippinarum)의 먹이원을 평가하기 위해서 굴과 바지락의 소화기관 내용물 속의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더블어 수증과 퇴적물의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조성을 격월로 조사했다. 조사기간 동안 수온은 7℃에서 23℃로, 염분은 34PSU에서 35PSU로, 각각 관찰되었다. 수중의
        4,600원
        179.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t up proper moisture content of substrate and relative humidity during fruit-body induction and growing period in oyster mushroom. The proper moisture content for mycelium incubation of Suhanneutari1ho was 65∼ 70% and that of Chunchu neutari2ho was 70%. at that condition, it took 13 days to finish spawn running and the yield of Suhanneutari1ho and Chunchuneutari2 ho were 2.36kg/0.2㎡, 2.44kg/0.2㎡ respectively. The higher relative humidity in growing room, the less moisture content in substrate and the higher relative humidity in growing room, the more moisture content in fruit body during the growing period. In Chunchuneutari2 ho, when the volume of 5 per days was put on the bed and relative humidity was keep about 90%, the yield was 2.35kg/0.2㎡. In Suhanneutari1 ho, the water supply on the bed, when relative humidity was keep about 90%, the yield was 2.29kg/0.2㎡
        18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호수는 인이 제한영양염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인의 제거는 하수처리에서 중요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하수처리장은 재래식처리공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인의 제거율이 10~30%로 낮게 나타나 인의 제거공정은 필요하게 되었으며 패각은 수중의 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서 인의 활용이 주목된다. 회분식으로 패각을 이용하여 인의 제거율을 조사한 결과 패각의 크기가 작을수록, pH가 높을수록 제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칼슘의 주입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결과 칼슘의 농도가 높을수록 처리효율이 증가하였으며 칼슘의 농도를 20mg/L로 조절하여 실험한 결과 2시간 내에 9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재순환을을 변화시켜 실험한 결과 재순환율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은 증가하였으며 PH 11에서 재순환율을 300%로 조절한 결과 인의 제거율은 80%가 되었다. 중탄신이온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중탄산이온의 농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 중탄산이온의 증가에 따라 인의 제거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소하는 비율은 지수함수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