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8

        1.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s the use of variations of the response expressions “eung” and “eo” in messenger KakaoTalk. KakaoTalk conversation data are obtained from speakers in their 20s from March 2022 to November 2024 and the variations are reviewed based on gender, follow-up utterances, and pragmatic function v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variations are more diverse in messenger conversations than in actual spoken words and that men are more likely to use {eung}, particularly type “ㅇㅇ”. Additionally, different usage rates of {eung} and {eo} are indicated for different pragmatic functions; in particular, {eung} is more frequently used in reasking and emphasizing self-speech, whereas {eo} is more frequently used in hesitating and withholding answers. Additionally, women use variants more often than men, and in the absence of follow-up utterances, variations are more likely to be used than basic types. This study expands our understanding on how languages differ from spoken languages in digital environments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among variations in response expressions, gender, follow-up utterances, and pragmatic functions in messenger conversations.
        6,400원
        2.
        202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8종에 수록된 굿거리장단의 강세 표기 방식을 분석하 고, 이를 전통 악보 및 명인 연주 음원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하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는 굿거리장단을 A, B, C 유형으로 구 분하며, 각 유형별 강세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교과서의 강세 표기는 전통 악보의 강세 구조를 충 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 악보에서는 '대삼소삼 (大三小三)'의 음양 구조를 반영하여 제1박과 제3박에 서로 다 른 강세를 부여하는데, 교과서에서는 이 강세 구분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학생들이 장단의 리듬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 어 려움을 겪을 수 있다. 또한, 명인들의 연주 분석 결과, 전통적 인 강세 구조가 충실히 반영되어 있으며, ‘대삼’과 ‘소삼’의 강약 구분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음악 교과 서의 강세 표기를 전통적 강세 구조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 으며, 특히 B 유형(다는 장단)과 C 유형(맺는 장단)의 강세 표 기 방식을 조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장단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실기 중심의 교수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장구 연주 및 구음 학습을 포함한 체험적 학습을 활성화하고, 전통 음악 연주 영상 및 음원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연 스럽게 장단의 강세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 전통 장단의 강세를 보다 정확히 지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전통 음악 교육 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6,400원
        3.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50대 중장년 남성 자영업자의 은퇴 인식’에 대한 본질적 의미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고, 50대 중장년 남성 자영업자 6명을 대상으로 2024년 7월 15 일부터 7월 31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로 본질적 주제 4개와 상위 주제 11개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 4개로는 “나이 듦”, “은퇴 인식”, “은퇴 계획”, “은퇴 후 삶”이며, 상위 주제 11개는 “중년에서 노 년으로”, “은퇴라는 단어의 의미”, “내가 생각하는 은퇴”, “생각해 보지 않은 은퇴”, “자영업자의 특권”, “건강”, “경제”, “활동”, “시기”, “기 대”, “걱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영업자의 은퇴에 관한 인식을 이해하고 중장년의 이모작을 위한 정책 및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 에 기초자료로 제공 될것으로 기대된다.
        6,700원
        4.
        202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 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20대 여성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 대 여성 16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은 20대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 속 성차별 경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 대 여성이 일상에서 성차별을 경험할 때 여성주의 정체성의 수준이 높아 질수록 우울이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성차 별과 한국에서 만연한 반페미니즘 정서와 좀처럼 변화하지 않는 사회 모 습에 대한 괴리감이 우울감을 강화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20대 여성의 우울에 여성주의적 실천방법으로서 개입이 필요하며, 여성주의 정체성 수준이 높은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에 대하여 환경적·제도 적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6,600원
        5.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우울증 여성에게 게슈탈트 코칭을 적용하고 코칭 과 정을 분석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병원에서 진단받고 우울 증 약을 6개월째 복용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게슈탈트 코칭은 주 1회 50분씩 총 20회기로 진행되었으며 코칭 과정은 게슈탈 트 코칭의 PRESENT 프로세스 7단계를 적용하여 그 회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는 자신의 우울감 뒤에 숨겨진 분노를 발견하고 스스로 주체가 되어 서 수용해보는 경험을 하였고, 현재 엄마와 갈등을 다루기 위한 힘이 생기면서 주변에 긍정적인 관계를 찾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였으며, 복용 중이던 우울증 약의 용량을 줄이면서 자신의 힘으로 일상생활을 해보고자 시도하고 실 천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게슈탈트 코칭은 고객의 부정적인 정서 를 먼저 다루면서 목표를 위한 행동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둘째, 고객은 게 슈탈트 코칭을 통해 지금-여기에서의 순간을 인식함으로 미래를 위한 변화와 성장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게슈탈트 코칭은 우리나라 20대 여성의 우울감이 감소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6,300원
        6.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previous research (Bae & Kim, 2024) that identified ways to improve the fit of commercially avail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otards for women in their 30–40s through a survey and evaluation of wearing conditions. The previous study revealed that women in this age group struggle to find well-fitting leotards, despite knowing their body measurements. This issue arises because most apparel industries produce garments for women in their 20s, and grading differences do not sufficiently address the increases in bust, waist, and abdominal girth typical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leotard patterns that improve fit and comfort based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30s and 40s. Body surface data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sing 3D body scanning technology, forming the basis for pattern design. Experimental garments were created to evaluate compression and determine the suitable pattern reduction rate based on material elasticity. Thus, a pattern reduction rate that offers suitable wearing comfort was proposed. Leotard patterns were developed from experimental results in the most popular styles: camisole and sleeved types. The final leotard patterns were presented after synthesizing results from wearers’ evaluations, compression assessments, and expert appearance evaluations. The final leotards were deemed appropriate for women in their 30s and 40s, demonstrating improvements in comfort, movement stability, compression, and appearance.
        5,400원
        7.
        2025.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men in their 50s undergo significant changes to their bodies, including weight gain and rapid increases in body mass index (BMI) due to menopau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asic bodice pattern suitable for women with a “square” body type, which is the most common type among Korean women in their 50s. We used a body shape avatar representative of square-body-type women in their 50s, provided by 6th Size Korea (KATS, 2010) as the model. This avatar was loaded into a virtual fitting program to evaluate the fit of the research patter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Using the 3D virtual fitting program, the ideal bodice pattern was found to be close-fitting, based on an analysis of the body surface of women in their 50s with a square body type. This population’s characteristic body features included a rounded back, forward-protruding waist, forward-tilted neck, and shoulder tips angled toward the center-front. Because of the protruding abdomen, the bodice’s waist dart value was lower than average. The base bodice design for this body type was adapted from the research pattern of Jun and Jang (2024). Adjustments for this study included adding 0.5 cm to the center-back length and designing the profile line from the back neckline to the armpit wall. Further, the front bodice waist dart was omitted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abdomen. After two rounds of revisions, evaluations of the virtual fitting significantly improved, with scores increasing from 2.38 out of 5 to 4.82 out of 5.
        4,300원
        8.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30대 성인이 어린 시절 학대를 받았음에도 건강하게 성장한 삶의 이야기를 통해 학대를 회복한 과정, 여기에 영향을 준 맥락,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구성주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이고, 자료수집은 성장기에 학대를 경험한 30대 성인 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면담을 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코딩에서는 54개의 범주와 초점 코딩에서는 21개의 범주가 출현하였다. 이론적 코딩에서는 8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아동학대 이후의 삶을 이론적으로 제시하였 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한 논의로, 첫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스스로 회복 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스스로 삶을 사랑할 것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제언으로는, 첫째, 학대 피해아동들의 회복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자원을 결집, 활용할 것과, 둘째, 세상에 대한 신 뢰회복을 핵심으로 하는 영성기반 치료접근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을 중심 으로 학대 피해아동들의 자기사랑 능력을 강화하는 프로그램 신설 등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8,400원
        9.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Busan’s old downtown. To achieve this, the linguistic landscapes of three major traditional markets—Gukje Market, Bupyeong Kkangtong Market, and Jagalchi Market—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representative commercial spaces of this area.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angeul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cript type across all three markets and appeared in the largest font size, reflecting a general preference for Hangeul and the Korean language regardless of business type. Second, store names consisting of four to five syllables were the most common. Third, Gukje Market displayed varied linguistic landscapes across its streets, with the street adjacent to Gwangbok-dong exhibiting the most linguistic diversity. Fourth, the temporary stall signs in Bupyeong Kkangtong Market’s night market exhibited the greatest linguistic variety, showcasing a broad range of languages. Fifth, in Jagalchi Market, where the proportion of foreign tourists is relatively high, signs were predominantly in Hangeul, but menus were provided in multiple languages to accommodate linguistic diversity among visitors. Finally, the use of regional dialects and various regional names in store signage reflected Busan’s local identity and migration-driven history.
        8,300원
        10.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basic bodice suitable for the body shape of women in their 50s by using the CLO 3D virtual clothing program to create an avatar with the standard body presented in KATS (2022). A pattern was designed and produced using the CLO program, and the virtual fitting was evaluated. First,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lope (profile line) from the front center line to the point in front of the neck, the sagging shape of the breast, and the change in body shape due to the increase in bust circumference using the CLO program. Second, the change in body surface and body surface length according to movement was used to identify the profile line. The bust dart was very large. and the bust circumference showed the largest changes (5.05% in the 90° side and 1.5% of the breast width). Third, the total length reference line of the basic bodice was the back length (actual measurement). The total width reference line was the bust circumference/4+2cm and the breast width+0.5cm. The armhole depth reference line was the bust circumference/4–2. A profile line was created from the front neck circumference to the neck shoulder point to the breast point. Darts were formed on the back shoulder and back armhole lines. The allowances were 8 and 6cm for the bust and waist circumferences, respectively. All virtual fitting evaluation items improved significantly over two rounds (from 3.69/5 to 4.66/5 points).
        4,200원
        1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number of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using wheelchairs is increasing, but research on clothing development for them remain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women in their 20s who have physical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ir wearing condition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ailoring clothing to their needs.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the primary considerations when purchasing clothing were in the order of size, design, ease of putting on and taking off clothes, and fabric. When purchasing clothing offline, they expressed that trying on clothes was uncomfortable, indicating that fitting rooms were often too small to accommodate a wheelchair. Conversely, in online shopping, they mentioned that the images of models typically standing made it difficult to assess the fit while seated. Regarding ready-to-wear for non-disabled individuals, interviewees were generally satisfied but expressed discomfort with the pants length, size, and fasteners. They found it difficult to put on and take off pants in daily life and the restroom. They did not use the front or back pockets of pants, and while Velcro fasteners were convenient, their lack of durability made them stand out from non-disabled individuals. The preferred type of suit pants was black, straight pants made of stretchy, wrinkle-free fabric. Awareness and experience with purchasing ready-to-wea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almost non-exis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various clothing items for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5,100원
        12.
        2024.11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케이팝(K-pop) 시장의 성장과 확산에 따른 20대 청년층의 케이팝 소비 현상을 볼터와 그루신의 ‘재매개’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와 2차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기존 공중파 방송과 유튜브 같은 뉴미디어 플랫폼 간의 상호작용과 재매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케이팝 콘텐츠는 기존 미디어에서 뉴미디어로 재매개되면서 20대 청년층의 소비 패턴에 중 요한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공연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플랫폼으로 이동하면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넘어 더 넓은 접근성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직캠과 같은 개인화된 콘텐츠의 대중화는 팬들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케이팝 콘텐츠 소비를 발전시켰다. 더불어 피지컬 음반에서 플랫폼 음반으로의 전환은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여 전통적 음반 형식을 재구성한 사례로, 20대 청년층의 구매 패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VR, AR/XR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케이팝 콘텐츠 는 팬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새로운 소비 경험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뉴미디어 환경 에서 재매개가 케이팝 콘텐츠 소비를 다각화하고 글로벌 확산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케이팝 산업 관계자들에게 현대의 뉴미디어 환경에서 소비자의 콘텐 츠 접근성 및 활용성을 고려한 전략 수립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4,600원
        14.
        202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20대 건강한 초보운전자를 대상으로 음주운전이 운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보운 전자의 음주운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근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 단면적 연구 수행으로 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음주 운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3가지 음 주 안경(Fatal Vision Gogles, FVG)을 번갈아 착용하고 운전 시뮬레이터(GDS-300, Gridspace, 서울, 한국)를 사용하 였다. (1) 위약 고글, (2) 저용량 알코올 고글, (3) 고용량 알코올 고글의 세 가지 실험 조건에서 UFOV 평가(처리 속도, 분리 집중력, 선택적 집중력), 인지 평가, 점수 차감 및 결격을 사용하여 운전 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과 운전 경력은 각각 21.6±2.3세와 23.6±16.2개월이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처리 속도, 분리 집중력, 선택적 집중력은 세 가지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인지 평가 점수, 운전점수 감 점 및 결격은 세 가지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20대 초보운전자의 음주운전이 인지 기능, 운전점수 감점, 운전 결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처리 속도, 분리 집중력, 선택적 집중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운전 중 음주 운전자에게 예측할 수 없는 돌발 상황이 발생할 때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4,200원
        15.
        202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의 영향으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파사고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방사선비상계획구역(EPZ) 확 대를 권고하였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방사선비상계획구역(EPZ, Emergency Planning Zone)를 기존 반경 8~10km에서 20~30km 로 확대를 하였다. 이에 따라 방사선 비상시 대규모 대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며 원활한 대피를 위한 교통운영관리전략 수립이 필요 한 실정이다. 방사선 비상과 같은 대규모 재난이 발생하면 동시다발적인 대피수요가 발생하고 한정된 도로교통망에 차량이 집중되어 극심한 혼잡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분야에서 활용되는 도로운영관리전략 중 방사선비상시 적용 가능 한 전략 및 적용기준을 수립한다. 또한, 선정된 도로운영관리전략의 효과분석을 위하여 TOVA를 활용하였으며, Sub Network 기능으로 대상지역의 네트워크를 추출 후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사선비상시 도로운영관리전략은 도로용량 증대, 통행속도 향상, 교통수요 관리 및 기타 등 네 가지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다. 이 중 우리나라에 도입되지 않은 역류차로제 전략 도입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 션 대상지는 고리원자력 발전소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며, 대피인원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부산광역시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정 하였다. 효과분석 결과, 시행시 120.6%의 교통량(시간당 7,600대)과 117% 속도(30.21km/h → 65.55km/h)가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6.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is considered that a skincare shop is one of important places for skincare and beauty care. Due to increasing daily stres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cently, healthy skin is getting important and more people are visiting skincare shop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a focus on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and those of reliabi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iming at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active management of skincare shops. For the purposes, this study us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the data and using SPSS 25.0. conducted a frequency tes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reliability test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laporte of skincare shop work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It sugges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skincare shop workers and customers is very important for skincare shop management.
        4,600원
        17.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mpares St. Nicholas' Orthodox Church in Seoul (1968) and St. Dionysios' Orthodox Church in Ulsan (2005), which are Byzantine-style churches under the Korean Orthodox Church, with Hagiya Sophia in Istanbul, a masterpiece of Byzantine architecture.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hape of the dome,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Byzantine architecture, this study compares the architectural background of these three churches, the presence and shape of the dome, the presence of drums, and the number and shape of skyligh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se three churches differ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dome due to differences in different architectural backgrounds and structural methods, and that thes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differences ultimately determine the atmosphere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cathedral. This study examines two representative Byzantine Orthodox churches in Korea, both designed by the same architect, Zho Chang Han (b. 1936), with a time gap of approximately 40 years between them. It holds particular significance in exploring how the Byzantine dome was constructed differently by analyzing the historical context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Orthodox Church.
        4,300원
        18.
        202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virtual models of women aged in their 60s and to implement the virtual clothing with jackets. We referred to 3D images of standard and obese body types from the 8th Size Korea and attempted to create avatars based on their images through the various trials. Final virtual models were made to reflect the appearance of women in their 60s. For the standard body type, a 3D image with average body measurements was selected. Based on numerous trials aimed at turning her image into an avatar, the auto-converted avatar on CLO 3D was slimmer than the woman in the original image, and hence it was not suitable for the virtual model. After blending, we converted the image into an uneditable avatar for which only the joint points could be moved, thereby creating an avatar that was identical to the original image. We also selected an image of an obese woman with a “beer bottle” body shape from the 8th Size Korea. We created an avatar that resembled her shape by also converting it into an uneditable avatar for which only joint points could be moved. To use these avatars in virtual clothing, we removed masks of avatars and made faces, hair styles, and skin tones representing women in their 60s. The moderately-sized classic jackets were smooth on both virtual models and fitted satisfactorily. This study demonstrated the applicability of virtual model production of various body types or ages in special clothing studies.
        4,500원
        19.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제19대 및 제20대 국회 372개의 법안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회에서의 북한 관련 논의를 분석한다. 북한 관련 법안의 가결 여부를 종속변수로, 남북관계 관련 법안, 인권 관련 법안, 북한 도발 관련 법안, 조직 관련 법안 등 법안의 유형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한다. 본 연구는 북한 관련 법안 내에서도 다양한 성격이 존재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어떠한 요인이 법안 가결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인권, 도발, 조직 등과 관련된 법안이 남북관계 관련 법안보다 더 높은 가결률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의원 발의 법안보다 그렇지 않은 법안에서 더 높은 가결률을 확인하였다. 남북관계는 협력과 갈등을 반복하며 이루어져 왔고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문제다. 본 연구는 국회 내 북한 관련 법안의 가결 요인을 분석하며, 남북관계에 관한 국회의 역할을 제언하고 지속가능한 대북정책 이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5,700원
        20.
        202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일본이 동남아시아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하고 지정학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ODA를 활용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논의는 일본이 중국의 부상에 대응하기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지정학적 게임을 벌이고 있다는 관점이 우세하지만, 일 본의 ODA 정책이 실제로는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지경학적 전략 에 더 중점을 두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 원조 정 책의 전략성을 검증하기 위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지 정학적 및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을 유형화했다. 다음으로 아베 정권기(2012-2020) 일본의 ODA 정책을 양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해당 시기에 미얀마에 대한 원조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지정학적 이익보다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한 결과임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미얀마 의 사례를 통해 일본의 원조 정책이 어떻게 지경학적 이익을 추구하는지 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한국 또한 동남아시아에서 원조 영 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관민 협력의 지경학적 이익에 주목해야 함을 지적한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