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융합, 팬데믹, 혐중국이라는 단어는 우리 사회 뿐 아니라 대학교육 현장에서 쉽게 만나는 단어이다. 4차 산업혁명의 대두와 함께 부각된 융합이라는 개념은 기존 인문 학이 지닌 틀의 변화를 요구한다. 게다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은 대학 내에 서 학문과 교육의 상호작용을 원활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같은 팬데믹 상황 이 중국으로부터 전파된 코로나 바이러스에 기인한다는 사회적 인식은 혐중국 정서 를 확산시켰고 이는 대학의 중어중문학 교육 및 전공 선호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 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 논문에서는 2021년도 2학기 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전 공수업인 중국어문 캡스톤디자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 전공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과 그 예시에 대해 고찰한다. 또한 캡스톤디자인의 교육운영과 산출물에 대한 분석 을 통해 융합교육의 실례를 제시하고 나아가 이 수업이 팬데믹 시대 교육소통의 통 로이며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혐중국 정서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서술한다.
        5,200원
        2.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debate and decision-making on Literary Sinitic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after modern times.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s in space and time background, South Korea and China have very similar development process and outcome in many aspects, such as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debate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language policy. The dual structure of this study, which has both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s different from that before modern times. And this kind of difference is also the present appearance of Sino-sphere.
        6,300원
        3.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yohaerok was written by the order of King Sŏngjong in June 1488.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drifting records to China in the Ming era, which was published in six different printed versions in the Chosŏn period. There are two sets of versions, each of which is comprised of three. One is in Toyo Bunko, Yomei Bunko, and Kanazawa Bunko, all of which had been printed before Hideyoshi’s Invasion of Chosŏn in 1592. The other printed and published as a part of Kŭmnamjip after the Invasion has been available in South Korea. P’yohaerok is really an excellent work. For not only does it possess an important historical value of the Ming Dynasty but also allows us to discover a variety of linguistic data and phenomena such as nonstandard forms of characters, vocabulary, grammar and phonemes of native languages in the Ming era, etc.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 discourse, the author makes a detailed analysis of the Modern Chinese Linguistics of the work.
        5,800원
        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점시험 7급에 배정된 한자 150자를 漢字構形學 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50자 안에는 層次조합의 글자가 14자가 포함되어 있고, 6개 構形모델이 존재한다. 이 構形모델 안에는 構形理據가 희박한 3, 4등급의 記號字가 23자 포함되어 있다. 이는 난이도가 높은 한자가 초급단계에 배정되어 초급자의 한자학습을 어렵게 한다는 의미이다. 150자를 直接構件과 基礎構件으로 귀납하면 直接構件 총 수량은 149개이고, 基礎構件의 총수량은 141개이다. 이외에 基礎構件에는 12개의 變體構件이 존재하는데 이를 합치면 153개의 構件이 150자를 구성하고 있는 셈이다. 모든 한자의 基礎構件이 400여 개임을 감안하면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150자의 基礎構件 141개는 상대적으로 그 비중이 너무 높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41개의 基礎構件 안에는 構件 하나로 글자를 만들 수 없는 非字構件이 28개이다. 이는 한국어문회 한자능력검정시험 7급 한자의 배정이 자형 난이도에 따른 과학적인 분석에 근거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이러한 배정은 초급자의 한자학습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4,500원
        5.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어문과목의 출제문항을 분석하여 2016년 중국 대학입시 의 특징과 변화, 그리고 어문 과목의 출제형식과 중점을 검토했다. 2013년 중국공산당 18대 3 중전회 이후 중국의 대학입시는 중앙정부의 정치적 방향성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구체적으 로는 일점사면(입덕수인을 핵심으로 하고 사회주의 핵심가치, 전통문화, 의법치국, 창신정신 을 심화)”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출제원칙들이 2016년 입시 어문 문항에 서 인물전기 중심의 문언문 독해 지문, 전통문화 요소에 대한 강조, 창신정신과 현실성을 반 영한 작문 문항 등의 특징으로 구체화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근 고위공직자 사정, 중국몽 과 소프트파워에 대한 추구 등 현대 중국의 시대적 과제를 반영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5,200원
        6.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고대 한자교육인 “識寫分流, 先認後寫”의 전통에 따라 “三, 百, 千”등 중 국 전통 교재의 편찬 경험을 흡수하고 중국 현대 어문교육 연구의 성과를 병합하 여 소학 1, 2학년 어문 교재는 아래와 같은 이념을 가지고 있다. (1)많이 알고 적 게 씀으로써 아동들이 조기에 독립적으로 독해를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식 하고, 쓰고, 말하는 분별화된 교육이 하나로 합일되게 함으로써 서로 간섭되고 영 향을 미치는 관계를 통해 최대한 상호 작용을 하도록 한다. (2)한자교육 교재는 최대한 아동들의 일상 언어 생활의 실제에 부합하도록 하여 아동들의 인지 발달 에 가장 가깝도록 함으로써, 아동들의 언어 발전을 돕도록 한다. (3)일정한 양의 기본 한자를 인식한 후 병음을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한자에 대한 흥미를 만족 시키고 조절함으로써 한자 병음의 어려움을 경감시키도록 한다. (4)여러 한자 학 습 방법을 채용한다. 각 한자교수학습 방법은 각기 그 응용의 장점과 한계가 있으므로, 서로 보충함을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한자교육의 이념을 사용하여, 교육 중에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 반응을 살핌으로써 (1)아동의 한자 교육에 대한 흥미를 배가 시키고, (2)아동이 독립적으로 한자를 습득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식자량을 증대시키고, (3)아동이 여 러 한자 교육 방법을 습득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문은 이와 관련된 여러 연구 성과들을보고 하고 더 나아가 중국 소학 어문 교재의 “識字寫字”의 개선점과 관련된 여러 생각과 전략을 구성해 보았다.
        4,900원
        7.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漢字是漢字文化圈中中日韓越四國語文的表述文字,歐西語文則主要由拉丁字母組合而成。 由於種種原因,過往以拉丁字母表述漢字的情況並非罕見。然而在東西文化交流與全球一體化的過程中,亦曾出現過一些以漢字或漢字元素表述西方語文的理論和著作。本文選取了其中部分著作,按其內容分成「語音譯寫」與「同源再生」兩個類別, 並藉此分別探討其在語言文化及教育學術上的功能,特別是漢字化西方語文在漢字研究、漢字教育及提升語文互懂性方面所帶來的啟示。 本文寫作過程中,筆者有幸訪問了「漢字化德文」(2013) 作者, 德國漢字工作者——藍霄漢(Sky Darmos) 先生,謹此致謝。
        8.
        2013.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는 세계에서 가장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핵 심에 한자가 있다. 한자교육은 줄곧 중국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 되어 왔으며, 얼마 전까지 “어문일체(語文一體)”가 주요 교육 모델로, 종합적이면 서도 기능적인 교육을 결합하여 실시함으로써 교육 중에 한자의 특성이나 말하기 중국어와 쓰기 중국어를 구분하지 않았다. 이러한 교육법의 폐단은 초기 학습단게 에서 한자학습과 말하기 듣기 교육을 함께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은 한자를 배우는 데 힘을 쏟아 말하기 듣기 교육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다. 동시에 읽고 쓰기 교육을 하는 것은 한자의 특성이나 규칙에 따라 진행되기 어렵다. 학생들의 한자습득량은 부족하여 이후에 있을 대량의 독서를 위한 기초를 쌓는 것은 불가능하다. 학생들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장애가 되며, 그 교육 효과도 높지 않다. 본문은 초급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는 중국어와 한자의 특징을 살려, 말하기, 듣기 교육과 읽기, 쓰기 교육을 분리시켜, 말하기 듣기 교육은 그 규칙성에 따라 교육함 으로써 그 언어 상호 교제로서의 기능을 배양함을 목적으로 두고, 한자와 어휘, 구와 편을 분리하지 않고 서로 밀접하게 연관시켜 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배양함을 목표로 삼아, 결국 두 영역이 상호 간의 학습에 영향을 주도록 하자는 것이다.
        4,600원
        9.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교육과 독해의 결합은 전통적인 중국의 어문 한자교육에서 중시받고 귀감 으로 삼아야 할 귀중한 경험 중 하나이다. 이 경험은 한자의 특성과 규칙과 부합 할 뿐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형음의를 통일하여 연결하여 학습하게 하 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해 줌으로서 한자교육의 범위를 넓혀 준다. 또 한 측면에서 한자교육의 효과는 언어를 운용하는 범주에까지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훌륭한 언어 감각을 배양하게 하여 언어 운용의 훌륭한 기초를 쌓도록 하여준다.
        4,300원
        10.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中國의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고찰과 그것에 대한 비판 및 활용을 통해, 우리나라 한자교육에의 새로운 방법론 탐색에 일조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중국 한자교육의 현황과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중국의 『語文』교육과정인 語文課程標準 및 字根을 이용한 한자교육방법에 대한 검토를 위주로 하였다.현재 중국에서는 기존의 어문교학대강을 대체하고 이를 수정발전시킨 어문과정표준을 2001년부터 시행하여, 『어문』및 한자교육의 기준으로 삼고 있다. 어문과정표준은 2001년 6월 7일에 발표된 基礎敎育課程改革綱要(試行)에 의거하여 새롭게 마련한 교육과정으로, 현재 중국 『어문』과정의 성질, 목표, 내용, 방법을 담고 있으며, 『어문』과정에 대한 관리, 교재의 편찬, 교육의 실시와 평가 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중국의 한자교육방법으로는 현재까지 약 20여종이 보고되어 있는데, 이는 교과서 및 각종 보조 교재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방법 가운데 ‘字根을 이용한 방법’으로는 字根識字法, 成群分級識字法, 基本字帶字, 字族文識字法 등이 있다. 이것은 각각 사용하는 개념과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자근을 이용한 방법이라는 점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이 방법은 한자를 字根과 그 외의 부분으로 분석하고, 가장 기본적인 자근에 대한 학습을 통해 자근으로 이루어진 여러 한자를 학습하는 것이다. 이는 한자의 구조를 이해하고 특히 한자의 形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6,700원
        11.
        200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글사랑 나라사랑" 이 말은 한글만 쓰자는 이들이 만들어낸 구호로서 語文政策의 本質을 巧妙하게 덮어 가리고, 語文政策의 實狀을 모르는 젊은이들을 誤導하는데 오렛동안 이용되어 왔다. `한글사랑`이라는 말 속에는 `한글專用(hagul-only ism)만이 至善`이라는 뜻이 교묘히 숨겨져 있어 이를 반대하는(國漢混用을 주장하는) 사람은 곧 `나라를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라는 等式을 젊은이들에게 强要하고 注入해 온 것이다. 정책 문제에 있어서 言衆은 대개 國家 將來나 公共의 利益보다는 表皮的이고 달콤한 甘言과 눈앞의 이익에 더 많이 기울어지게 마련이다. `한글사랑`이라는 그럴듯한 甘言도 多衆의 국민에게 국어에 대한 그릇된 인식을 심어주며 한글전용론자들의 교묘한 二重的 行態를 덮어 가리는 역할을 해 왔다. 심지어 漢字敎育의 當爲性을 주장하는 분들조차도 `점진적 한글전용`이라는 異狀한 논리에 쉽게 同化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단순 농경시대로 돌아가거나 얼마의 시간을 두고 영어를 公用語로 쓸 생각이 아니라면 한글전용은 불가능 한 것이다. `한글사랑`이라는 그럴듯한 巧言으로 덮어 가린 僞善은 국어를 망쳤을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意識을 荒廢化시켜 국가와 민족의 正體性마저 低落시켜 왔다. 本稿에서는 한글전용 주장의 虛構性을 다시 한 번 분석하고 國漢混用 語文運動의 反省을 통해 우리 語文運動이 指向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8,700원
        1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has passed 10 years since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Corporation Aggregate had offered Nation-wide Test Of Hanja-capability Certificate. Year by year the number applicants grow almost as much as that of College Learning Capability Test. The Test, now become a national license, has great social influence. If not long after, the advantage of this license holder is guaranteed for evaluations of national officers and for employing of teachers, its influence will be more enlarged. Upon this point of time, 10 years from the start of The Test, it will be very meaningful to view in retrospect the footsteps and building environment and to self-evaluate the acting result of,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nd Korean Hanja Proficiency Test Institute that have lead Co-Using OF Hangul & Hanja Movement. At this paper, we will inspect the language policy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at Korea at the epoch of liberation from Japan, and the Korean language policy at 1968 and 1969, that become the motive of founding Research Societ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nd also view the meaning of Nation-wide Test Of Hanja-capability Certificate, and the influential role of that for our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and future prospect.
        6,000원
        1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
        14.
        200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or long times I, the author, wanted to find the materials of language and literal policy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ve era, but it would not go easy. Then in 1999 Mr. Son, WonIl, my acquaintance found and send me 『Report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al Mission to Japans』. This working is written for analyzing our country`s language policy right after Liberation, and its background, focusing on 『Report of the United States Educational Mission to Japan』, and for trying to find out alternative policy. Now over half a century have passed since the Liberation, but where we stand on the great wave of world history? Our language & literal policy have repeated twisted walking tending to the emotional surroundings that based on Hangul-only ism since the enactment of Hangul-only-law in October, 9, 1948. Language & literal policy does not, reveal visible result to our eyes immediately as industrial one. But the result of language policy make enormous influence enough to tremble the identity of a nation. Nevertheless I could not find any traces of policy authorities that took attention on this problem, at any successive governments. The two voices that proclaim Hanja-education and Hangul-only-education have too acutely confronted, so each have run parallel way with no yielding. The scholars and policy authorities that do not join any of the two sides have disregarded the two voices as obstinate egoistic quarrel of some scholars that have nothing to do with them. The proclamations of scholars whether in Hanja-education or Hangul-only-education also in fact flowed mainly as a matter of course that `must educate Hanja` or `must use Hangul-only`, not by rational analyzing of the cause and proposal of logical alternatives. But the causeless and emotional matter of course will not be persuasive. There were exceptional excellent work such as quot;Collection of Lectures on National Language and National Alphabetsquot; of Dr. Nam, GwangWoo and quot;The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about National Languagequot; of Mr. O, JiHo. But the works that mainly on analyzing and alternatives are very uneasy to find out. During last several years I, the author, writing works concerning language & literal police become to observe Korean language at linguistic side. The more I investigate Korean language, the more I perceive that Hangul and Hanja are undividable linguistic features. Of course since I am not a linguistics specialist I feel sorry for the specialized scholars. But the books of Mizura Sdomu, who not a scholar of linguistics, that studied linguistic features of Japanese language more deeply than any other and left distinct footsteps on that field, gave me many stimuli. The keen analyze of Mr. Park KyungBeom, a natural scientist graduated th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statistic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lso be a great help to compare and analyzing the linguist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Recently many people says quot;The crisis of human sciencesquot;, but few accurately point the cause of that. Boldly I think the cause is at the wrong Hangul-only language & literal policy. Although language & literal policy is a significant and great affair that holds the destiny of national people, it have been disregarded as out of consideration. Hangul-only policy of the character media such as newspapers and editions have made the thinking of readers dull, voluntarily result in shackle themselves in competition with television media. This rough work is not a pure academic one that comments the linguistic feature of Korean language. Only I will be satisfied if throughout this work, we can reflect the problems of our history of language and literal policy and can find out even a small motive for studying linguistics of Korean language.
        7,8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