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기업(MNEs)의 해외직접투자(FDI)를 바탕으로 구축, 운영되는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는 국가 경 제발전에 중대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에 따라 많은 선행연구들이 GVC 참여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로 FDI에 주목하여 FDI와 GVC참여도 간 관계 파악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해왔지만, 아직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이 FDI 자금 유입 통계를 바탕으로 다국적기업이 수행하는 현지 활동을 파 악하려 했다는 점과 연구 별로 다른 GVC참여율 측정방식을 적용하는데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 는 다국적기업의 자회사의 현지 부가가치 창출 활동을 기반으로 개발된 OECD의 Analytical AMNE 통계와 기 존의 FDI 유입액 통계가 각각 생산기준 GVC 참여율과 무역기준 GVC 참여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2005년부터 2016년까지 43개 국가를 대상으로 시행된 고정 효과모형 패널분석 결과, Analytical AMNE가 FDI 유입액보다 GVC 참여율 설명에 더 적합하다는 사실과 생산기준 GVC 참여율이 선 행연구를 통해 알려진 주요 결정 요인들의 영향력 설명에 더 적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우리나라 ODA 중점협력국 중 하나인 가나의 주곡 작물로서 지속적으로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쌀의 가치사슬 단계별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조사함. 2. 식량 안보와 영양개선을 위해 농업 현황과 국제 사회의 지원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중점 지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3.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두 번째 목표인 식량안보 확보를 위한 가나의 국가 정책에 부합하면서, 동시에 우리나라 농업 기술력의 우수 분야인 농작물 품종 R&D, 기술 교육, 농촌지도 등 ODA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농업 관계기관, 연구소, 국제기구, 민간 부문과의 협력이 필요함. 4. FAO, World Bank 등의 국제기구에서 제공하는 문헌 검토 및 농업 통계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현지의 이해관계자 인터뷰를 통해 정성적 데이터를 수집·분석함.
Korean firms have been vigorously searching and exploring overseas market opportunities through export and overseas investment. As of end of 2019, there were more than 80,000 Korean overseas subsidiaries all over the world. With Korean overseas direct investment increasing recently, it became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overseas investors to be successful in the global market. There are a lot of studies 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overseas subsidiaries such as ‘firm’ and ‘country’ factor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subsidiary performance determinants with ‘industry architectures’ by using a sample of 292 overseas Korean firm subsidiaries. Industry architectures are the stable but evolving sets of rules and roles through which labor is divided within a sector. This article considers how industry architectures shape success in international expansion. Industry architectures differ between countries, are not necessarily technologically determined, shape firms’ capabilities and their competitive environment, and constitute a distinct level of analysis. We extract antecedents of related theory and empirically test its impact with a survey of Korean firms expanding in emerging economies. We would say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tries to focus on industry architectures with the performance of Korean overseas subsidiaries. We find that separability and similarity of industry architectures across countries and localization of subsidiaries are robus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success in international expan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industry architectures should be added to firm and country as an intermediate level of analysis that helps explain success in international expansion. While we established a pattern, much more remains to be done. We focus on the success of foreign operations, but we do not consider the broader benefits of going abroad, such as the learning or network effects that accrue at the level of the entire firm. The next obvious question is whether the results would differ in the developed market context. These we leave for future research to consider.
1. 개발도상국의 경우,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제약요인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가치사슬 일부 단계의 개선만으로는 그 파급효과가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분석과 종합적인 개선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2. 선진 공여기관들은 개발도상국의 가치사슬 개선을 위해 여러 가지 분석 틀 및 개선전략 수립 틀을 가지고 가치사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 기획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해당 기획관리 절차를 한국의 대표적인 무상원조 기관인 KOICA의 원조사업 기획 단계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해당 절차는 1) 대상 품목(혹은 품목군)의 선정, 2) 가치사슬 분석, 3) 개선전략 수립, 4) 기대효과 도출, 5) 성과관리(모니터링 및 평가) 방안의 도출 등으로 구성되었다. 4. 한국의 공여기관들은 이 절차를 바탕으로 농산물 가치사슬 개선 사업의 기획과 시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점검 및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장에서의 활용을 통해 해당 절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1. 우즈베키스탄과 농업협력강화를 위한 유망분야로 제시된 체리산업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제조업 육성 정책과 연계되는 사업으로 고용창출 및 경제개발 지원 효과 등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지원이 가능한 분야임. 2. 최근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주스 원액 제조 등 가공 산업의 개발을 통해 제조업 육성 정책 마련하고, 수출 기업들에게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GAP의 인증 취득을 독려하고 있어 향후 수출 증대를 통한 농산업 발전이 기대됨. 3. 우즈베키스탄의 체리 산업은 현지 진출한 기업의 관심 분야이나, 체리 수출시 우리나라 검역관이 파견되어 상주하는 비용 등을 우즈베키스탄 생산자가 부담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우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 4. 향후 대 우즈베키스탄과의 농산물 교역 확대를 위해서는 기술지원 뿐 아니라 생산, 유통, 검역, 수출 등 가치사슬 전반을 고려하여 양국 협력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해야함.
To enrich a country’s food culture, it is essential that residents understand and care about that culture. Although various efforts to globalize Korean food have been made outside Korea,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Koreans’ perception of and increasing interest in Korean food has been neglecte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gnitive structures regarding Korean food among 30 Koreans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using in-depth laddering interviews based on the means-end chain theory. The most dominant cognitive structures toward Korean food were familiarity (attributes), ease of digestion and health (functional consequences), sense of responsibility and will to live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family affec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values). In short, Koreans were found to consume Korean food to achieve perceived high-dimensional values rather than simply for its attributes or benefits. Thes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strategies and policies aimed at increasing Korean food consumption by Koreans, as they suggest that underlying and symbolic values rather than the attributes of Korean food are more effective in promoting its consumption. Further studies on 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values using a larger Korean population are needed to preserve and further develop Korean food.
Large corporation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sinesses have tried finding cooperative partner models through win-win activity. In this study, certain factors were researched, which affect on the achievements by win-win activity of large corp
Large corporations and SMEs Businesses have tried finding cooperative partner models through win-win activity. In this study, certain factors were researched, which affect on the achievements by win-win activity of large corporative and SMEs from a standpoint of development by SMEs, the establishment of confidence, technical innovation and competence of value chain competence in order to enforce supplying value under the win-win activit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ents that the achievement of win-win activity by large corporations and SMEs is related positively to developmental capability, cooperative culture, developmental innovation, innovation of process, outer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value chain.
새로운 IT 환경에서의 변화를 이해하고 경쟁력 있는 클라우드 생태계를 구축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쟁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나라 IT시장의 구조와 그 변화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IT시장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과거의선행연구들은 통신시장을 배경으로 수직적 가치사슬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들어 이슈로 부각하고 있는 클라우드 생태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IT시장에서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등장에 따른 가치사슬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연구 문헌들을 통하여 기업 또는 산업의 공급 구조, 그리고 시장의 생태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 틀인 가치사슬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IT시장의 가치사슬에 대해,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이후의 우리나라 IT시장의 변화를 반영하여 그 구조의 변화를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IT시장을 진단하고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요인들을 파악하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가치사슬 관점에서 IT시장을 이해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향후 클라우드 기반으로 IT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게임산업은 정보 산업 중에 다른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침체된 IT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분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게임소비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소비층이 폭넓어짐에 따라 엔터테인먼트의 핵심적인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가치사슬 구조와의 비교를 통하여, 현재 게임산업의 가치사슬 구조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 게임비즈니스모델을 제시하고, 다변화하는 게임 가치사슬 구조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산업과 의료산업의 융합 서비스 모델인 암치료 게임 ‘리미션’을 분석하여 가치사슬 융합을 통한 새로운 게임 산업 발전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발전방향 및 전략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various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activation of the value chain for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which is aligned with creating job opportunities and start-up as well as value added enhancem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eks measures to kick-start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a model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and reduce the risk of market throughout surveying 168 6th industrialization management bodies about their start-up and business, and benchmarking of best practices, a case consistent with the value chain system of 6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Main findings are three-fold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success rate of startups by means of the compatibility of the capital scale, low cost and life cycle of ideas. Second, the living lab for sharing ideas and collaboration is needed in the value chain system. Third, the living lab model is promoting rural community development and farm household income.
Climate changes from global warming and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result in volatility of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causing a imbalance of food mark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nsnational food industry cooperation system among Korea, China and Russia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food industry in terms of the whole industrial network.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chain and linkage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ies in three nations. The unit structure and the industrial patterns of three nations were derived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WIOT) from 2004 to 2014 every five years.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foo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promote the mutual growth of food industry through industry linkage and cooperation.
The waste-to-energy (WTE) industry draws global attention by using wastes as energy resources. Korean government is very inclined to invest in the WTE industr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an industrial scale-up. Also it is needed to make proper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industry by creating the added value of related companies.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value-added structure of Korean WTE industry exhibits a virtuous cycle through the value chain (VC) within related companies by using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 survey to Korean WTE companies. As a result, the government’s R&D support is analysed not to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the R&D investments of the WTE companies. Also an increase in corporates’ R&D investments does not lead to an increase in corporates’ R&D outputs. An increase in corporates’ R&D outputs, however, has the positive influence on an increase in production. In contrast, an increase in production does not have an effect on a decrease in production costs. And a decrease in production costs does not lead to an increase in profit rates per sales.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an increase in profit rates per sales does not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production and R&D investments. Therefore, it is estimated that the Korean WTE companies do not organize the virtuous cycle of the VC yet. This study has a policy implication to need further efforts to create the virtuous cycle in the VC of Korean WTE industry.
본 연구는 사용자간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의 개념과 현금거래의 거래방식, 가치사슬, 이해관계자 그리고 발생 가능한 이슈에 대해 분석하였다. 게임아이템 현금거래는 게임 자체의 비즈니스 모델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의 유통, 사행성 및 작업장 등 민감한 사회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게임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서 게임 아이템 현금거래의 거래방식과 가치사슬도 변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거래방식 및 가시사슬과 다른 현재의 게임아이템의 새로운 개념에 대해 새롭게 분석하였다. 또한 게임아이템 현금거래와 관련하여 계정거래, 캐릭터 선물하기 서비스, 캐릭터 육성하기 서비스, 자금세탁, 아이템 자동 등록기 등의 대한 다양한 이슈를 분석하였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게임아이템 현금거래 관련 정책 및 각 이해관계자들의 전략 수립 등에 중요한 현황자료가 될 것이다.